KR970006185B1 -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스크 크기 판별방법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스크 크기 판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185B1
KR970006185B1 KR1019930024495A KR930024495A KR970006185B1 KR 970006185 B1 KR970006185 B1 KR 970006185B1 KR 1019930024495 A KR1019930024495 A KR 1019930024495A KR 930024495 A KR930024495 A KR 930024495A KR 970006185 B1 KR970006185 B1 KR 970006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time
disc
disk
fixed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316A (ko
Inventor
김민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김광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4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185B1/ko
Publication of KR950015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1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스크 크기 판별방법
제 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블럭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크기 판별의 처리 흐름도.
본 발명은 디스크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기가 서로 다른 종류의 디스크를 겸용할 수 있는 광 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현재 장착된 디스크의 크기를 판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 디스크 재생장치라 함은 CDP(Compact Disc Player), LDP(Laser Disc Player)등과 같이 디스크게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광학적방식에 의해 재생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때 사용되는 디스크로서는 CD(Compact Disc),LD(Laser Disc)등이 있다. 여기서 디스크의 크기 즉, 직경은 모두 동일한 것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CD의 크기는 직경이 8cm, 12cm로 구분되고 LD의 크기는 직경이 20cm, 30cm로 구분된다.
상기와 같이 디스크의 크기는 여러가지가 있으므로 광 디스크 재생장치에서는 재생동작시 장착되는 디스크의 크기를 판별한후 판별된 디스크의 크기에 적합한 제어를 하고 있다. 예를들어 트랙 카운트방식을 이용한 고속서치시 정선속도(Constant Linear Velocity; 이하 CLV라 함) 서보(servo)를 위한 이득을 디스크의 크기에 따라 조정한다. 이는 디스크의 크기가 다르게 되면 무게도 달라지므로 디스크의 크기에 따라 CLV 이득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CDP에서 CD의 직경이 8cm일 경우에는 12cm일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CLV 이득을 낮게 조정하고 있다.
광 디스크 재생장치에서 디스크의 크기를 판별하기 위한 기술의 하나로서 센서를 사용하는 기술이 있었다. 이는 디스크의 중심축으로 부터 일정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 센서를 설치하여 장착되는 디스크의 크기에 따라 센서가 온 또는 오프되도록 함으로써 디스크의 크기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CDP일 경우 중심축으로부터 5cm정도 떨어진 위치에 센서를 설치한다면, 직경 8cm의 CD를 장착시에는 센서가 오프되고 직경 12cm의 CD를 장착시에는 센서가 온됨으로써 디스크의 크기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센서등의 소자가 추가로 소요될 뿐만 아니라 센서를 설치하기 위한 부품이나 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디스크의 크기를 판별하기 위한 다른 기술로서 포커스(focus) 서보를 이용하는 기술이 있었다. 이는 포커스 온상태에서 장픽업장치를 디스크의 내주로 부터 장착될 수 있는 디스크의 최대 크기에 해당하는 외주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포커스 드롭(drop)의 발생여부를 검사함으로써 디스크의 크기를 판별한다. 예를 들어 CDP일 경우 광픽업장치를 디스크의 중심죽으로 부터 6cm만큼 떨어진 외주 위치로 이동시키는 동안, 포커스 드롭이 발생하지 않으면 디스크가 직경 12cm의 크기인 것으로 판별하고 포커스드롭이 발생하면 디스크가 직경 8cm의 크기인 것으로 판별한다. 이때 포커스 드롭이 발생할 경우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커스 드롭이 발생한 위치에서 재 포커스을 수회 반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디스크의 크기가 작을 경우 불필요하게 재 포커스를 수회 반복함에 따라 실제 정보를 재생하기 시작하는 시간이 늦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디스크의 크기를 판별하기 위한 또 다른 기술로서 CLV 로크(lock)시간을 이용하는 기술이 있었다.
이는 디스크를 정지상태로 부터 가속 회전을 시작시킨 시점부터 미리 설정된 CLV에 도달하여 로크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인 CLV 로크시간의 크기에 의해 디스크의 크기를 판별한다. CLV로크시간은 디스크가 무거울수록 길어지고 가벼울수록 짧아진다. 통상적으로 CLV로크시간은 직경 8cm의 CD일 경우에는 450msec 정도가 되고 직경 12cm의 CD일 경우에는 850msec 정도가 된다. 그러므로 디스크의 크기가 다르게 되면 무게가 달라지고, 무게가 달라지면 CLV로크시간이 달라지게 되는 것을 이용하여 디스크의 크기를 판별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은 단지 CLV로크시간만을 이용함으로써 정확도가 떨어지며 디스크의 일부분이 손상되었을 경우에는 디스크의 크기를 잘못 판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스크 크기 판별방법에 있어서 별도의 부품 추가없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디스크의 크기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스크를 정지상태로 부터 가속 회전을 시작하여 미리 설정된 제1CLV에 도달되어 로크될때까지의 CLV로크시간을 카운트하는 제 1카운트과정과, 디스크를 제1CLV로 회전하는 상태로 부터 감속 회전을 시작시켜 미리 설정된 제2CLV에 도달할때까지의 제동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카운트과정과, 카운트한 정선속도 로크시간과 제동시간을 각각 디스크의 크기에 대응하는 고유의 기준시간과 비교하는 것에 의해 디스크의 크기를 판별하는 판별과정으로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을 광 디스크 재생장치중 하나인 CDP에 적용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블럭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CDP의 예를 들어 개략적인 블럭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제 1도에서 스핀들 모터(spindle motor)(4)는 서보신호처리부(servo signal processor)(8)의 제어의 의해 구동되어 디스크(2)를 회전시킨다. 광픽업장치(6)는 디스크(2)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광학적방식에 의해 픽업하여 RF(Rodio Frequency) 증폭기(10)에 인가한다. 서보신호처리부(8)는 마이컴(16)의 제어와 RF증폭기(10)의 출력신호에 의해 광픽업장치(6)의 트랙킹(tracking) 서보, 포커스(focus) 서보, 슬레드(sled) 서보등을 위한 신호들을 처리하며, 디지탈 신호처리부(12)의 출력신호에 의해 스핀들 모터(4)를 구동한다. 서보신호처리부(8)로서는 전용 LSI인 CXA1082, CXA1182, CXD1182등이 사용된다. RF중폭기(10)는 광픽업장치(6)에서 픽업된 RF신호를 증폭한다. 디지탈신호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12)는 RF증푹기(10)에서 증폭된 RF신호를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파형으로 정형하고 복조처리한다. 디지탈신호처리부(12)는 또한 디스크(2)가 정지된 상태에서 가속 회전하여 제 1CLV에 도달될때 CLV 로크신호을 발생하며 제 1CLV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감속 회전하여 제2CLV에 도달될때 제동(brake)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제 1CLV라함은 디스크(2)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을 정상적으로 재생할 수 있는 CLV를 말하고, 제2CLV라 감속회전상태에서 디스크(2)가 정지할 수 있게 되는 CLV를 말한다. 디지탈신호처리부(12)로서는 전용 LSI인 CXDl130등이 사용되며, CXD1130에서는 CLV로크신호를 논리 로우의 GFS신호로서 발생하며, 제동신호를 논리 로우의신호로서 발생한다. D/A변환기(14)는 디지탈신호처리부(12)에서 복조처리된 신호를 아나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컴(16)은 디스크(2)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하기 위하여 서보신호처리부(8)와 디지탈신호처리부(12)의 재생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한편 상기한 제 1도의 구성은 대한민국 가남사에서 1988년 9월 1일자로 발행하여 판매하고 있는 도해 콤팩트 디스크의 제240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CDP에 대한 보다 상세한 구성 및 동작은 상기 도해 콤팩트 디스크를 참조하면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디스크 크기 판별의 처리 흐름도로서, 제 1도의 마이컴(16)에서수행된다. 제2도의 (202)단계에서는 디스크(2)를 정지상태로부터 가속 회전을 시작시키고(204)단계에서 CLV로크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하며(206)단계에서 CLV로크시간을 카운트하면서 (208)단계에서 CLV로크신호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CLV로크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206)단계를 계속 수행하고 CLV로크신호가 입력되면 (210)단계를 수행한다. (210)단계에서는 CLV로크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을 중지하고, 그때까지 카운트한 CLV로크시간을 (212)단계에서 제 1기준시간과 비교하여 제 1기준시간보다크면 (214)단계에서 제 1크기플래크 L_FLG을 셋트한다. 이후 (218)단계에서 디스크(2)를 제 1CLV로 회전하는 상태로 부터 감속 회전을 시작시키고 (220)단계에서 제동시간을 카운트하기 시작하며, (222)단계에서 제동시간을 카운트하면서 (224)단계에서 제동신호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제동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222)단계를 계속 수행하고 제동신호가 입력되면 (220)단계를 수행한다. (226)단계에서는 그때까지 카운트한 제동시간을 (228)단계에서 제2기준시간과 비교하여 제2기준시간보다 크면(230)단계를 수행하고 제2기준시간보다 작으면 (234)단계를 수행한다. (230)단계에서는 제 1크기플래크 L_FLG의 상태를 검사하여 리셋트상태일시에는 (202)단계를 수행하고 셋트상태일시에는 (232)단계에서 디스크(2)의 크기를 제 1크기는 판별한다. (234)단계에서는 제2크기플래그 S_FLG의 상태를 검사하여 리셋트상태일시에는 (202)단계를 수행하고 셋터상태일시에는 (236)단계에서 디스크(2)의 크기를 제 2크기로 판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예를 첨부한 제 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디스크(2)가 정착되고 재생버튼(도시하지 않았음)이 눌려지면, 마이컴(16)은 서보신호처리부(8)을 제어하여 광픽업장치(6)를 포커스 온시킨 상태에서 제2도의 (202)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02)단계에서 마이컴(16)은 서보신호처리부(8)를 통해 스핀들모터(4)를 가속 회전을 시작시킨다. 이에따라 디스크(2)가 정지상태로 부터 가속 회전을 하게된다. 다음에 마이컴(16)은 (204)단계에서 CLV로크시간을 초기값부터 카운트하기 시작한후, (206)-(208)단계에서 계속 CLV로크시간을 카운트하면서 디지탈신호처리부(12)로 부터 CLV 로크신호가 발생되어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디지탈 신호처리부(12)는 광픽업장치(6)에 의해 픽업되어 RF증폭기(10)를 통해 입력되는 재생신호로부터 디스크(2)의 CLV를 검출한다. 디스크(2)가 계속 가속 회전되어 제 1CLV에 도달되어 로크되면 디지탈신호처리부(12)에서는 논리 로우의 GFS신호를 CLV로크신호서 발생하여 마이컴(16)에 인가한다. 그러면 마이컴(16)은 (210)단계에서 CLV 로크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을 중지하고 (212)단계에서 그때까지카우트한 CLV 로크시간을 제1기준시간과 비교한다. 여기서 제 1기준시간을 대스크(2)의 크기에 대응하는 고유의 시간값으로 설정하는데, 예를 들어 CD일 경우 CLV 로크시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직경 8cm의 CD일 경우에는 450msec정도가 되고 직경 12cm의 CD일 경우에는 850msec정도가 되므로 제1기준시간을 650msec로 설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CLV 로크시간이 제 1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214)단계에서 제1크기플래그 L_FLG를 셋트하고 제 1기준시간보다 작을 경우에는 (216)단계에서 제2크기플래그 S_FLG를 셋트한다. 여기서 제 1크기플래그 L_FLG와 제2크기플래그 S_FLG는 마이컴(16)의 내부에 있는 레지스터를 이용하며 초기값은 리셋트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크(2)의 크기가 일달 구별이 된다. 즉, 디스크(2)가 CD일 경우 CLV로크시간이 제 1기준시간보다 크면 디스크(2)의 크기는 직경 12cm인 것으로 구별되고 제 1기준시간보다 작을 경우에는 디스크(2)의 크기는 직경 8cm인 것으로 구별된다.
그러나 CLV 로크시간만을 이용하여 디스크(2)의 크기를 판별할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정확도가 떨어지며 디스크의 일부분이 손상되었을 경우에는 디스크의 크기를 잘못 판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218)-(236)단계를 추가적으로 수행한다.
상기 (218)단계에서 마이컴(16)은 서보신호처리부(8)를 통해 제1CLV로 회전중인 스핀들모터(4)를 감속 회전을 시작시킨다. 이에따라 디스크(2)가 제 1CLV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감속 회전을 하게 된다. 다음에 마이컴(16)은 (220)단계에서 제동시간을 초기값부터 카운트하기 시작한후, (220)-(224)단계에서 계속 제동시간을 카운트하면서 디지탈신호처리부(12)로 부터 제동신호가 발생되어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디스크(2)가 계속 감속 회전되어 제2CLV에 도달되면 디지탈신호처리부(12)에서는신호를 제동신호로서 발생하여 마이컴(16)에 인가한다. 그러면 마이컴(16)은 (226)단계에서 제동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을 중지하고 (228)단계에서 그때까지 카운트한 제동시간을 제2기준시간과 비교한다. 여기서 제2기준시간을 상기한 제 1기준시간과 마찬가지로디스크(2)의 크기에 대응하는 고유위 시간값으로 설정한다. 만일 제동시간이 제26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230)단계에서 제 1크기플래그 L_FLG의 상태를 검사하여 셋트상태일시 (232)단계에서 디스크(2)가 제 1직경의 크기를 가지는 디스크인 것으로판별한다. 이와달리 제동시간이 제2기준시간보다 작을 경우에는 제2크기플래그 S_FLG의 상태를 검사하여 셋트상태일시 (236)단계에서 디스크(2)가 제2직경의 크기를 가지는 디스크인 것으로 판별한다.
여기서 제 1직경는 제2직경보다 큰 것을 말한다. 만일 (230)단계에서 제 1크기플래그 L_FLG가 리셋트 상태이거나 (234)단계에서 제2크기플래그 S_FLG가 리셋트상태일 경우에는 (202)단계부터 전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다시 수행한다.
따라서 디스크(2)의 크기를 CLV 로크시간과 제동시간에 의해 판별함으로써 정확하게 디스크(2)의크기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즉, CD일 경우 CLV 로크시간이 제 1기준시간보다 크면서 제동시간이 제2기준시간보다 큰 경우에만 디스크(2)의 크기를 CLV 로크시간과 제동시간에 의해 판별함으로써 정확하게 디스크(2)의 쿠기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즉, CD일 경우 CLV로크시간이 제 1기준시간보다 크면서 제동시간이 제2기준시간보다 큰 경우에만 디스크(2)의 크기가 직경 12cm인 것으로 판별하고, CLV로크시간이 제1기준시간보다 작으면서 제동시간이 제2기준시간보다 작을 경우에만 디스크(2)의 크기가 직경 8cm인 것으로 판별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스크 크기 판별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광 디스크 재생장치에서 별도의 부품 추가없이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디스크의 크기를 판별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디스크의 크기가 2종류일 경우에 판별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보다 많은 종류로 세분되는 디스크를 겸용하는 장치에도 모두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때는 CLV로크시간과 제동시간에 대한 기준시간을 디스크의 종류에 따라 세분하여 설정하면 된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특허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5)

  1. 서로 다른 크기의 디스크를 겸용하며, 상기 디스크가 정지상태에서 가속 회전하여 제1정선속도에 로크될때 정선속도 로크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1정선속도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감속회전하여 제2정선속도에 도달될때 제동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한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스크크기 판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를 정지상태로 부터 가속 회전을 시작시켜 상기 정선속도 로크신호가 발생될때가지의 정선속도로 로크시간을 카운트하는 제 1카운트과정과, 상기 디스크를 상기 제 1정선속도로 회전하는 상태로 부터 감속 회전을 시작시켜 상기 제동신호가 발생될때까지의 제동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카운트과정과, 상기 카운트한 정선속도 로크시간과 제동시간을 각각 상기 디스크의 크기에 대응하는 고유의 기준시관가 비교하는 것에 의해 상기 디스크의 크기를 판별하는 판별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크기 판별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과정이 상기 카운트한 정선속도 로크시간과 제동시간이 모두 동일한 크기의 디스크에 대한 기준시간에 대응할 경우에만 상기 디스크를 해당 크기로 판별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크기 판별방법.
  3. 서로 다른 크기의 디스크를 겸용하며, 상기 디스크가 정지상태에서 가속 회전하여 제 1정선속도에 로크될때 정선속도 로크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디스크가 상기 제 1정선속도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감속회전하여 제2정선속도에 도달될때 제동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구비한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스크크기 판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를 정지상태로 부터 가속 회전을 시작시켜 상기 정선속도 로크신호가 발생될때까지의 정선속도 로크시간을 카운트하는 제 1카운트과정과, 상기 카운트한 정선속도 로크시간을 제 1기준시간과 비교하는 제 1비교과정과, 상기 제 1비교과정에서 상기 정선속도 로크시간이 상기 제 1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제 1크기플래그를 셋트하는 제 1크기셋트과정과, 상기 제1비교과정에서 정선속도 로크시간이 상기 제 1기준시간보다 작을 경우에는 제 1크기플래그를 셋트하는 제2크기셋트과정과, 상기 디스크를 상지 제 1정선속도로 회전하는 상태로 부터 감속 회전을 시작시켜 상기 제동신호가 발생될때까지의 제동시간을 카운트하는 제2카운트과정과, 상기 카운트한 제동시간을 제2기준시간과 비교하는 제2비교과정과, 상기 제2비교과정에서 상기 제동시간이 상기 제2기준시간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제 1크기플래그의 상태를 검사하여 셋트상태일시에만 상기 디스크가 제 1크기인 것으로 판별하는 제 1판별과정과, 상기 제 1비교과정에서 상기 제동시간이 상기 제2기준시간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 제2크기플래그의 상태를 검사하여 셋트상태일시에만 상기 디스크가 제2크기인 것으로 판별하는 제2판별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크기 판별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판별과정의 제 1크기가 상기 제 2판별과정의 제2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크기 판별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별과정에서 상기 제1플래그가 리셋트상태이거나 상기 제2판별과정에서 상기 제2플래크가 리셋트상태일시 상기 제1카운트과정부터 다시 수행하는 과정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크기 판별방법.
KR1019930024495A 1993-11-17 1993-11-17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스크 크기 판별방법 KR970006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495A KR970006185B1 (ko) 1993-11-17 1993-11-17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스크 크기 판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495A KR970006185B1 (ko) 1993-11-17 1993-11-17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스크 크기 판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316A KR950015316A (ko) 1995-06-16
KR970006185B1 true KR970006185B1 (ko) 1997-04-24

Family

ID=19368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495A KR970006185B1 (ko) 1993-11-17 1993-11-17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스크 크기 판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1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619B1 (ko) * 1998-05-15 2001-12-28 구자홍 기록매체종류판별장치및판별방법과그에따른초기구동전압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316A (ko) 199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56838C (zh) 鉴别光盘的装置与方法
JPH10228646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US5644561A (en) Method of discerning disc in compact disc drive
JP3127987B2 (ja) 光ディスク判別装置及び方法
US5508987A (en) Disk player having a system configuration for determining the diameter of loaded disks
KR970006185B1 (ko)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스크 크기 판별방법
JPH02173970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の回転制御方式
JP3670806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偏重心ディスク検知方法
KR0131416B1 (ko)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트랙점프 제어회로 및 방법
KR0173772B1 (ko) 광 디스크 재생장치의 고속 데이타 액세스를 위한 서보제어방법
JP3449783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US200800628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optical disk type
KR0155761B1 (ko) 디스크 판별 장치
JPH0337861A (ja) ディスク判別方法
JP3526455B2 (ja) 光ディスク判別方法
JPH05258450A (ja) ディスクサイズ検出装置
JP3124220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JP3043245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再生制御方法
KR960011296B1 (ko) 멀티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겹침 파악방법
JP2000011527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ディスク種類判別方法
JPH11306658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H09212998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ブレーキ制御方法
JP2000011531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偏重心ディスク検知方法
JPH06290469A (ja) 異常処理機能付きcdプレーヤ
JPH11120684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ディスク判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