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991B1 - 정보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991B1
KR970005991B1 KR1019880017006A KR880017006A KR970005991B1 KR 970005991 B1 KR970005991 B1 KR 970005991B1 KR 1019880017006 A KR1019880017006 A KR 1019880017006A KR 880017006 A KR880017006 A KR 880017006A KR 970005991 B1 KR970005991 B1 KR 970005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block
good
progra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7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819A (ko
Inventor
헨드리크 쿠스테르스 피에테르
마리에 스투렌스 루도
Original Assignee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filed Critical 엔.브이.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89001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 plurality of record carriers or indexed parts, e.g. tracks, thereof, e.g. for edi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5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 G11B27/3027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on the same track as the main recording used signal is digitally coded
    • G11B27/3063Subc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6Monitoring, i.e. supervising the progress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45C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60Solid state media
    • G11B2220/65Solid state media wherein solid state memory is used for storing indexing information or meta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Indexing, Searching, Synchronizing, And The Amount Of Synchronization Travel Of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보 재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제2,3 및 5도는 제1도의 실시예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다이어그램.
제4도는 제1도 실시예에 사용된 마이크로 컴퓨터의 프로그래밍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디스플레이 3 : 마이크로 컴퓨터
4 : 프로그램 메모리 5 : 서브코드 디코드
본 발명은 레코드 캐리어상에 저장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레코드 캐리어 판독 수단과, 판독된 정보 재생용 수단과, 상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정보로부터 레코드 캐리어 식별을 재생하기 전에 유도하기 위한 식별 수단과, 다수의레코드 캐리어에 대해 관련 레코드 캐리어상에 레코드된 정보가 양호하게 재생되는 부분을 규정하는 대응 양호 선택 프로그램과 함께 레코드 캐리어 식별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양호한 선택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선택하지 않기 위한 검출된 레코드-캐리어 식별에 응답하는 선택 수단과, 상기 정보 부분이 선택된 양호한 선택 프로그램에 의해 규정된 순서로 판독 및 재생되는 방식으로 제어 수단을 셋팅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한 장치는 네델란드왕국 특허원 제840295호(PHN 11.078)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 설명된 장치에서는 유저는 상기 메모리 장치를 양호하게 선택할 수 있다. 레코드 캐리어 식별과 함께 이 양호한 선택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다. 차후에 동일 캐리어가 상기 장치에서 재생되면, 그처럼 저장된 상기 양호한 선택은 레코드 캐리어가 적당한 키의 작동에 의해 표시 될 때 이 레코드 캐리어로부터 재생된다. 상기 장치는 관련 디스크의 식별이 메모리에 저장되었는지를 식별한다. 만일 그렇다면, 결합된 양호한 선택은 상기 레코드 캐리어로부터 재생된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단지 하나의 양호한 선택만이 각 레코드 캐리어에 대해 저장되는 잇점을 갖는다. 특히, 동일 장치가 다른 사람에 의해 사용될 때 잇점을 갖는다. 사실, 여러 유저에게 있어서, 다른 유저에 관계없이, 각 유저가 상기 레코드 캐리어로부터 개인적으로 양호한 선택을 재생할 수 있다는 것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경감시키는, 서로에 규정된 형태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 목적은, 상기 장치가 유저 식별을 넣기위한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특정 레코드 캐리어 식별 및 유저 식별과 결합된 양호한 선택 프로그램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는 방식으로 여러 유저 식별과 결합된 다수의 양호한 선택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과, 검출된 레코드 캐리어 식별 및 들어간 유저 식별 결합을 위해 양호한 선택 프로그램이 저장 수단에 저장되었는지를 검출하고 그러한 프로그램 존재가 검출되면 상기 양호한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구비하므로 달성된다.
이점에 있어서 프랑스공화국 특허원 FR. 2,571,863호는 오디오 카세트 테이프 판독용 자이에 대해 발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장치에서는 다수의 카세트를 포함하는 메가진(magazine)이 적재될 수 있다. 여러가지 카세트 유형상에 레코드된 음악 트랙이 양호한 특정 순서로 재생될 수 잇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장치는 다수의 양호한 순서가 저장될 수 있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상기 양호한 순서는 메가진 마다의 순서이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와 같은 레코드 캐리어 마다의 순서는 아니다. 개별 카세트는 메가진내 그 위치에 의해 서로 구별될 수 있다. 그러나, 카세트 자체는 재생되기 전에는 식별되지 않는다. 이것은 카세트가 잘못된 위치를 점유할 때 필요한 트랙이 재생되지 않는 단점을 갖는다.
더우기, 국제특허출원 WO 86/01631호에는 비디오 디스크 판독용 판독 장치가 발표되어 있다. 상기 판독장치는 여러 비디오 디스크가 저장되는 메가진이 적재될 수 있다. 상기 메가진에는 여러 디스크상의 비디오 영상에 대한 여러 양호한 선택(앨범)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가 제공된다. 다시, 상기 디스크로부터 판독된 정보에 기초한 노드 디스크(nod disc) 식별이 비디오 영상 정보 재생전에 실시된다. 이것은 필요한 비디오 영상이, 비디오 디스크가 잘못된 위치를 점유할 때 재생되지 않는다는 단점을 갖는다.
상기 장치의 한 실시예는 상기 장치가 식별 코드를 형성하기 위한 레코드 캐리어 식별과 유저 식별을 결합하기 위한 수단과, 연관된 양호한 선택 프로그램과 함께 상기 식별 코드를 저장하게 되는 저장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는 양호한 프로그램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장치에서 이미 유용하게 사용되는 선택 소프트웨어가 사용되며, 따라서 신속하고 신뢰성있게 적응되는 장점을 갖는다.
콤팩트 디스크 디지탈 오디오에 따라서 인코드되는 오디오 정보 재생용 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는 상기 식별 수단이 서브코드를 수신하며 프레임 및 초단위의 정보부분 시작을 나타내는 서브코드에 포함된 이 인덱스 바이트로부터 레코드 캐리어 식별을 유도하기 위해 적용되며, 그 결합 수단이 선택된 바이트의 사용되지 않는 비트부의 유저 식별 비트를 삽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는 초와 프레임을 표시하는 바이트에서 모든 가용 비트 위치가 사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이용하고 있다. 실제로, 프레임 수의 최대값은 75이며 표시되는 최대 초의 수는 60인데, 이것은 프레임수를 나타내는 8비트 바이트(bit byte)에서 한개 비트 위치가 사용되지 않으며 초를 표시하는 8비트 바이트에서 두개 비트 위치가 사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사용되지 않는 비트 위치에 유저 식별 비트를 삽입시키므로 상기 식별 코드의 길이가 레코드 캐리어 식별 코드와 같게 유지되며, 이것으로 기존 장치의 적용이 매우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제1내지 제5도 도면에 의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련된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그에 대한 설명은 앤.브이.필립스 클로아이람펜파브리켄의 CD304형 플레이어와 같이 공지되었으며, 상업적으로 유용한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에 기초해있다. 이 공지된 플레이어는 키의 로우가 서로 특정 트랙수에 대응하는 프로그램 선택 제어 판넬(1)과, 광의 로우가 특정 트랙수에 대응하는 선택된 선정(choice)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2)를 구비한다. 트랙수 선택을 프로그래밍하는 가능성은 차지하고, 인덱스(트랙부), 트랙수내 시간 또는 절대 시간에 의해 선택할 가능성이 있다. 마이크로컴퓨터(3)는 제어판넬(1)에 주사하며 디스플레이(2)를 구동한다. 또한, 마이크로 컴퓨터(3)는 기존에 제작된 프로그램 선택을 저장할 수 있으며, 재생되는 디스크상의 선택 아이템이 재생되는 방식으로 플레이어를 제어하기 위해 프로그램 메모리(4)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선택을 판독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마이크로 컴퓨터(3)는 서브코드 디코더(5)로부터 서브코드를 수신하는데, 이러한 서브코드는 디스크상의 음악 데이타에 포함되며 특히 트랙수, 인텍스 및 시간을 표시하는 런닝 코드이며, 마이크로 컴퓨터는 재생되는 디스크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플레이어는 메모리내에서 다수의 디스크를 갖는 양호한 프로그램 선택을 저장하며, 재생되는 디스크를 식별하며, 필요하면, 양호한 프로그램 선택을 재상하는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마이크로 컴퓨터(3)는 디코더 회로(5)에 의해 공급된 서브코드로부터 디스크 식별 코드 RID를 유도하기 위해 프로그램된다. 상기 식별 코드 R는 합성기, 수행기, 타이틀등의 이 서브코드 또는 표시내에 포함된 카달로그 수가 될 수 있지만, 적어도 데이타에 있어서 이 데이타는 모든 디스크의 서브코드에 포함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모든 디스크상의 데이타로부터 디스크-식별 코드 RID를 유도하는 것은 더 유리하다. 한가지 가능성은 모든 디스크상의 인덱스 테이블로부터 특성 비트 그룹을 선택하는 것으로, 이 테이블은 제3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이 인덱스 테이블을 제2도에서 16진법으로 표시된 4바이트(4×8비트) 그룹 형태인 직력 데이타를 포함한다. 모든 그룹의 제1바이트는 분(2번째 바이트), 초(3번째 바이트), 프레임(4번째 바이트)으로 표시된 트랙이 출발하는 디스크의 시작 이후 시간에 트랙수, 제2, 제3 및 제4바이트를 표시한다. 여기서 한 프레임은 1/75초와 같다. 모든 트랙수의 인덱스는 제1바이트가 A0, A1및 A2인 세개의 4바이트 코드 블럭에 선행한다. 초기 바이트 A0를 갖는 블록의 제2바이트는 재생되는 디스크상의 제1트랙의 수를 표시하며, 이수는 1일 필요는 없다. 왜냐하면 연속되는 수열이 다수의 디스크에 지정되기 때문이다. 이 그룹중 제3 및 제4바이트는 둘다 00이다. 초기 바이트 A1을 갖는 그룹은 유사한 방법으로 제2바이트내 마지막 트랙의 수를 표시하며, 제 3 및 제4바이트는 00이다. 초기 바이트 A2를 갖는 그룹은 제2, 제3 및 제4바이트내 분, 초 및 프레임의 판독트랙 시작으로부터 시간을 표시한다.
제1트랙수의 분 및 초의 수는 임의의 수가 아니다. 프레임(4번째 바이트)수는 다소 임의적이며 디스크-식별 코드 RID의 제1바이트로서 선택된다. 초의 수와 제2트랙프레임수는 다소 임의적이며 따라서 이 두바이트는 상기 디스크-식별 코드 RID의 제2 및 제3바이트로서 선택되었으며, 상기 바이트는 디스크가 단지 하나의 트랙을 포함할 때 00이 된다. 마지막 그룹의 제2바이트 제2 16진수 반과 함께 초기 바이트 A1을 갖는 그룹의 제2바이트 제2 16진수 반은 디스크 식별 코드 RID의 제4바이트와 함께 형성되도록 선택된다. 이 코드의 제5및 제6바이트는 판독 트랙의 시작으로부터 초 및 프레임의 수를 표시하는 마지막 그룹의 마지막 두 바이트로 구성된다. 제2도에서 선택된 바이트는 에워싸이며 선택된 수의 예와 함께 16진 토드 32-15-12-72-48-41을 구성한다. 실제로, 결과적인 디스크 식별 코드 RID는 독특한 코드이다. 이점에서 디스크 식별 코드 RID가 서브코드가 아니라 재생되는 정보로부터 유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디스크 식별 코드 RID는 마이크로 컴퓨터(3)를 적당히 프로그램하므로 디코더 회로(5)에 의해 공급된 서브코드로부터 유도된다. 디스크 식별 코드 RID는 식별 키(41a, 40b, 40c)에 의해 마이크로 검퓨터(3)로 들어갈 수 있는 유저 식별 코드와 결합된다. 그처럼 획득한 식별 코드 ID는 양호한 선택과 함께 메모리(6)에 저장된다. 이 정보는 재생기가 스위치 오프된 후, 예를들면 밧데리 전력 RAM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여 메모리(6)내에 보존되어야 한다. 첫번째 경우에 요구된 저장 용량은 가격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특정 저장 용량이 각 디스크-선택 수에 대해 보유되도록(이것은 양호한 선택이 저장되는 디스크에 할당된 열의 수이다) 조직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데, 이 용량은 선택된 트랙의 최대수를 저장하기에 충분히 커야한다. 비휘발성 메모리의 경우에 저장 용량은 아직도 고려해야할 요소이다. 저장되는 디스크의 최대수를 양호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메모리 조직은 초과 저장 기능이 보유되지 않도록 양호하다. 제작된 모든 선택은 서로 직접 저장된다. 메모리에 대한 랜덤 억세스는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왜냐하면 여러 식별 코드가 고정 어드레스에 더이상 저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메모리는 인접하여 채워지며, 코드는 각 블록에 대해 지정되며, 상기 코드는 이 블럭의 길이를 표시하며 각 후속 블록의 어드레스가 계산되게 한다. 제3도는 그러한 블록의 예를 도시한다. 블록의 제1 6바이트는 디스크 식별 코드 RID를 포함하며, 제7바이트는 유저 식별 코드 UN을 포함하며, 다음 바이트는 다음 블록의 길이 L의 표시인데 이것은 블록 길이를 표시하므로 본 예에서 성취되며, 다음 바이트를 유저의 신호에 따라 디스크의 선택내에서 관련 디스크의 순서 번호 DN을 표시한다. 이 순서 번호는 유저가 이 순서 번호로 디스크 슬리브를 마크하므로 레코드를 유지하는 것을 쉽게 한다. 결국, 상기 블록은 유저에 의한 선택을 표시하는 여러 바이트 수 MFT를 포함한다. 이 선택이 여러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어드레싱(트랙수, 인덱스 또는 시간) 및 합병 비트 형태를 나타낸다. 그 대신에, 여러 형태의 어드레싱이 결합될 수 있다. 이것들의 예로는,
- 트랙수 어드레싱 이것은 선택할 때 마다 하나의 바이트를 필요로 한다.
- 특정 트랙내에 인덱스 어드레싱 이것은 선택할 때 마다 두개의 바이트를 필요로하는데, 하나의 트랙수에 대한 것이고, 다른 하나의 인덱스에 대한 것이다.
- 선택된 트랙내의 시간으로 이것은 5바이트를 필요로 하는데, 하나는 트랙수에 대한 것이고, 두개는 출발 시간(분, 초)에 대한 것이고, 두개는 종료 시간에 대한 것이다.
- 절대 시간 선택으로 이것은 4바이트를 필요로 하는데, 두개는 출발 시간에 대한 것이고 두개는 종료 시간에 대한 것이다.
양호한 선택 메모리(6)에 저장된 마직막 블록을 표시하기 위해서 마직막 블록후에 다음 바이트는 FF와 같은 16진수로 선정된 방식으로 인코드 된다. 다음으로 새로운 블록은 메모리의 저장 능력이 허용될 때 이 장소에서 저장된다.
선택이 미리 설정되는 디스크용 프로그램의 재선택에 의해서, 여기서 새로운 선택은 예비 선택에 의해 점유된 저장 장소내에 항상 누적되는 것은 아니며, 또는 블록을 지워버리므로 블록이 취소되면, 이것은 ID코드용 장소에 이 블록이 유효하지 않으며 스킵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코드로 채워지는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취소된 블록은 메모리가 풀일 때 정보를 이동시키므로 다시 사용된다. 이것은 비휘발성 메모리의 특정 형태에서 소거 및 레코드가 수명을 감소시키고 비교적 긴 시간을 요하므로 수행된다. 이 단점이 존재하지 않으면 취소된 블록은 다음 블록을 이동시키므로 즉시 채워진다. 재가입의 경우에 블록 취소에 대한 대안은 새로운 선택을 구 선택의 장소에 가입시키는 것이며, 저장 영역이 적합하지 않으면 정보의 나머지가 저장되는 장소를 지적하는 포인터에 저장하는 것이다.
단부에서 재가입이 선택되면 구 선서 번호가 유지되거나 다음 순서 번호가 선택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예에서는 순서 번호가 유지된다.
제5도는 디스크 식별 코드와 유저 식별 코드 UN과 결합시키기 위한 또다른 방법을 도시한다. 여기서, 초 또는 프레임 수의 시간을 나타내는 디스크 식별 바이트내 여러 비트가 사용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이용된다. 이것은 초 및 프레임을 나타내는 바이트의 최대값이 각각 60 및 75을 초과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전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이 값이 2진 코드로 표시되면, 이것은 프레임을 표시하는 바이트의 최상위 비트가 사용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초를 나타내는 바이트에서 두개의 최상의 비트는 사용되지 않는데, 따라서 총 7개의 사용되지 않는 비트가 디스크 식별 코드 RID에서 사용되게 된다. 이 비트는 유저 식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디스크 식별 코드 RID가 6개의 바이트, 즉, 제1바이트(50), 제3바이트(52) 및 제6바이트(55)가 제1음악 트랙 시작 위치의 프레임 수를 표시하는 6개의 바이트를 포함하면, 제3음악 트랙 및 리드 아웃 트랙과 그의 제2 및 제5바이트는 제2음악 트랙 및 리드 아웃 트랙의 시작 위치 표시의 초를 나타낸다. 이것은 디스크 식별 코드 RID가 7개의 사용되지 않는 비트 위치를 갖으며, 이것은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저 식별 코드 UN용으로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얻어진 식별코드 ID가 더이상 디스크 식별 코드 RID가 아니라는 장점을 갖는다.
제어 및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선택을 해결하며 이 선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특별한 설비가 제공 되는데, 키보드(1)와 디스플레이(2)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에 더해서, 다음 기능(제1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됨)이 제공된다. 즉,
- 상기 블록이 순서 번호가 해결될 때 양호한 선택 메모리에서 특정 블록이 무효가 되게 하는 소거 키(7)와,
- 유저에 의해 인식될 때 전체 양호한 선택 메모리를 소거하기 위한 전체 소거 키(8)인데, 이 키(8)는 프로그램을 무심코 소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되어야 하며, 이것은 여러 작동이 그러한 소거를 위해 수행되어야 할 때 달성될 수 있다.
- 순서 번호의 수순으로 특정 리듬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순서 번호를 디스플레이 하므로 유저가 양호한 선택 메모리의 전체 내용을 체크하게 하는 재고 키(9)와,
- 유저가 양호한 선택의 재생 및 양호한 선택의 저장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FTS키(10)와,
- 키보드(1)를 통해서 선택이 키되게 하는 저장 키(11)와,
- 양호한 선택 메모리가 풀임을(또는, 그대신, 또다른 디스플레이가 깜박이게 된다.) 나타내는 파일럭 램프(12)와,
- 식별된 디스크의 순서 번호 또는 저장되는 디스크 번호를, 그리고 응용하면, 유저 식별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13)가 제공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 마이크로 컴퓨터(3)의 프로그램밍에 대한 플로우 챠트이다.
블록(14)에서 프로그램은 디스크상에 놓임으로서 시작한다. 결국, 다수의파라메타가 블록(15)에서 초기화되는데, 양호한 선택 메모리(6)의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파라메타 A와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플레그인 F가 있다. 블록(16)에서 유저가 양호한 선택 재생 가능성을 사용하고자 하는지 또는 프로그램 기재를 사용하고 싶어 하는지를 식별하는데, 그러한 목적으로 FTS키(10)부는 건너뛴다. 유저가 양호한 선택 기재를 사용하고자 하지 않는다면, 프로그램은, 키보드(1)를 통해 단일 선택되는것 처럼 통상의 방식으로 디스크를 재생하기 위해 블록(26)으로 직접 진행되며, 상기 프로그램 선택은 프로그램 메모리(4)에 저장된다. 유저가 양호한 선택 기재를 사용하기 원한다면 상기 다스크의 디스크 식별 코드 RID는 제2도에서 설명된 규칙에 따라 블록(17a)에서 결정된다. 결국 블록(17b)에서 유저 식별 UN이 판독 된다. 이것은 식별 키(40)중 어느것이 눌러졌는지를 조사하고 작동된 키에 따라서 유저 식별을 지장하므로 가능해 진다. 여러 유저 식별의 숫자는 식별 키의 숫자와 같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세개이다.
그러나, 이 수는 쉽게 확장될 수 있다. 유저 식별 숫자가 크면, 디지날 키보드를 통해 유저 식별을 가입하는 것이 양호하다. 유저 식별 UN을 가입한 후, 이 유저 식별 UN과 디스크 식별 코드 RID는 제3도에 설명된 규칙과 일치하게 식별 코드 ID를 형성하기 위해 결합된다. 그러나, 다음 설명에서, 도면에 도시되었듯이 식별 코드가 6바이트의 길이를 갖도록 가정된다.
블럭(18)에서 상기 식별 코드는, 블록(15) 즉, 처음으로 메모리내 처음 장소에서 초기화된 어드레스 A의 양호한 선택 메모리(6)를 판독한다. 명확히 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 코드는 ID 대신 IM로 일컬어진다. 결국, 블록(19)에서 코드IM이, 메모리가 또다른 양호한 선택을 포함하지 않는지를 나타내는 코드FF에 일치하는지가 체크된다. 만일 그렇지 않으면, 상기 디스크의 순서 번호 DM은 블록(20)내 어드레스 A+7바이트에서 판독된다. 이 후에, 블록(21)내에서 판독 디스크 식별 코드 IM이 재생되는 디스크의 식별 코드 ID에 대응하는지가 식별된다. 만일 그렇지 않으면, 어드레스 후의 6바이트에서 블록(제3도 참조)의 길이 L은 블록(27)에서 판독되며 결국 어드레스는 블록(28)의 상기 길이 L이 증가되며, 그후에 프로그램은 블록(18)으로 되돌아온다.
루프(18-19-20-21-27-28)를 남겨놓는 것은 두가지 방법으로 가능하다. 즉, 특정 디스크 코드가 메모리에 포함되지 않는데, 이 경우에 루프는 블록(19)을 통해 남겨지며, 디스크 코드가 저장되는데, 이 경우에 질문 ID-IM에 대한 확정적인 대답을 블록(21)에서 얻는다. 블록(20)에서 발견되는 순서 번호 DN은 재생되는 디스크가 상기 순서 번호를 갖는다는 표시로서 그리고 유저가 그렇게 하기를 원하면 재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는 표시로서 디스플레이(13)에 의해 디스플레이 된다. 그때 대기 시간은 블록(22)에서 측정되며 저장 키보드 및 키보드 (1)는 유저가 재프로그램하도록 질문을 받는다. 계속해서, 블록(23)에서 재프로그래밍이 일어났는지가 식별된다. 재프로그래밍이 발생하면 무효 코드는 관련 양호한 선택이 무효임을 표시하여 블록(29)의 어드레스 A에 가입된다. 결국, 블록(30)에서 디스크의 순서 번호는 파라메타 X에 의해 저장되며 플레그 F는 셋트되어 1이 되며 프로그램은 마지막의 양호한 선택후에 블록(19)을 통해 서치 루프(18-19-20-21-27-28)를 남겨놓기 위해 상기 루프는 돌아간다. 블록(23)에서 재프로그램밍이 검출되지 않으면, 프로그램은 블록(24)으로 진행하는데 여기서 어드레스 A후의 8바이트 어드레스에서 적재된 디스크에 대응하는 양호한 선택 MFT는 메모리(6)로 판독되며, 그 후에 이 양호한 선택은 블록(25)내 프로그램 메모리(4)에 저장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블록(26)에서 완성되며, 메모리(4)내의 프로그램은 디스플레이(2)에 의해 디스플레이된다. 이 프로그램은 양호한 선택메모리(6)를 판독하거나 양호한 선택(블록(16)에서 출력N) 없이 프로그램하므로서 얻어졌다.
상기 확산 번호 ID가 양호한 선택 메모리내에 저장된 식별 번호중 하나에 해당하거나 프로그램이 작성되면, 블록(19)은 출력 Y를 통해서 블록(31)으로 가도록 버려지는데 이 블록(31)에서 플래그 F가 검사된다.(F=1) 만일 그렇지 않으면, 상기 디스크는 식별 번호가 메모리내에 저장되지 않는 디스크이며, FTS 키(20)가 작동되었으므로 이것은 양호한 선택으로서 저장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대기시간은 블록(32)에서 측정되며 한편 키보드 및 저장키(11)는 유저가 프로그램에서 키하도록 하며, 디스크에 지정된 순서 번호가 디스플레이(13)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도록 건너뛴다. 따라서 판독된 마지막 순서 번호는 블록(32)에서 1이 증간된다. 이후에, 블록(34)에서 프로그램이 이러한 경우가 아니라면 블록(26)으로 직접 진행하도록 수행되었는지가 식별된다.
블록(31)내 검사 F=1이 참이면, 상기 디스크는 양호한 선택이 재프로그램된(블록 22에서) 디스크이다. 블록(351)에 따라서 상기 순서 번호 DN은 블록(30)에 저장된 값 즉, 메모리내 원래의 장소에 있는 순서 번호의 값이며, 그 후에 프로그램은 블록(34)의 출력 Y로 진행된다. 프로그램내 이점에서 양호한 선택메모리(6)내 IM, DN 및 MFT 값을 저장하기 위해 블록(39)으로 진행되며 결국, 프로그램은 키보드(1)로 표시된 양호한 프로그램을 수행하거나, 디스크를 제거하거나 양호한 선택 메모리에 저장되어서는 안되는 또다른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블록(26)으로 진행된다.
블록(36)이 저장 능력이 불출분함을 나타내면, 메모리는 무효 블록(블록(29) 참조)이 초과 레코드되듯이 양호한 선택 블록을 이동시키므로 블록(37)에서 제조직된다. 이 후에 블록(38)에서 저장 능력이 충분한지가 체크된다. 그렇지 않다면 파일럿 램프(12)에는 에너지가 공급되며 다른 경우에는 프로그램은 이미 설명된 또다른 프로그램을 수행하기 위해 블럭(39)으로 진행된다.
전술된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 여러 유저는 그들에게 지정된 유저 식별을 먼전 가입한 후에 여러 유저 식별을 사용하므로 서로 독립적으로 그 자신이 양호한 선택을 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레코드 캐리어 식별 코드 RID는 식별코드 ID를 형성하기 위해 유저 식별코드 UN과 결합된다. 식별 코드는 양호한 프로그램과 더불어 양호한 선택 메모리(6)에 저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알아야 한다. 예를들어, 메모리의 선정된 부분을 각 유저 식별에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양호한 선택의 존재를 탐색하는 것은 유저 식별에 할당된 메모리 부분에서만 실시된다.
더우기, 전술된 것과는 다른 저장 방법이 사용될 수 있는데, 저장 방법은 항상 양호한 선택과 대응 유저 식별 사이의 관계를 제한하게 된다.

Claims (3)

  1. 레코드 캐리어를 판독하는 수단과, 판독된 정보를 재생하는 수단과, 판독 수단을 제어하는 수단과, 플레이하기전에 상기 판독 수단에 이해 판독된 정보로부터 레코드 캐리어 식별을 유도하기 위한 식별 수단과, 관련된 레코드 캐리어상에 레코드된 정보가 양호하게 재생되도록 부분을 규정하는 이에 대응하는 양호한 선택 프로그램과 함께 레코드 캐리어 식별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과, 검출된 레코드 캐리어 식별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양호한 선택 프로그램을 선택하거나 선택하지 않기 위한 선택 수단과, 선택된 양호한 선택 프로그램으로 규정된 순서로 정보의 일부가 판독되고 재생되는 방식으로 제어 수단을 셋팅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레코드 캐리어상에 저장된 정보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유저 식별을 가입시키기 위한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특정 레코드-캐리어 식별을 저장 시키며 유저 식별과 결합된 양호한 선택 프로그램 사이에 관계를 한정하는 방식으로 여러 유저 식별과 결합된 다수의 양호한 선택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해 적응되는 저장 수단과, 검출된 레코드 캐리어 식별 및 가입된 유저 식별의 결합을 위해 양호한 선택 프로그램이 상기 저장수단에 되었는지, 그리고, 그러한 프로그램의 존재가 검출될 때 상기 양호한 프로그램을 검출하도록 적용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식별 코드를 형성하는 유저 식별과 레코드 캐리어 식별을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저장 수단은 연관된 양호한 선택 프로그램과 더불어 식별 코드를 저장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재생 장치.
  3. 콤팩트 디스크 디지탈 오디오 표준에 따라 인코드된 오디오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제2항의 장치에 있어서, 식별 수단은 서브코드를 수신하며 프레임 및 정보 부분의 시작을 프레임과 초로 나타내는 서브코드내에 포함된 바이트로된 인덱스로부터 레토드 캐리어 식별을 듀도하도록 적용되며, 결합 수단은 선택된 바이트의 사용되지 않는 비트 위치에 유저 식별 비트를 삽입하도록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재생 장치.
KR1019880017006A 1987-12-21 1988-12-20 정보 재생 장치 KR970005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703086 1987-12-21
NL8703086A NL8703086A (nl) 1987-12-21 1987-12-21 Inrichting voor het weergeven van op een registratiedrager opgetekende informat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819A KR890010819A (ko) 1989-08-10
KR970005991B1 true KR970005991B1 (ko) 1997-04-22

Family

ID=1985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7006A KR970005991B1 (ko) 1987-12-21 1988-12-20 정보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322037B1 (ko)
JP (1) JP2966850B2 (ko)
KR (1) KR970005991B1 (ko)
DE (1) DE3888651T2 (ko)
NL (1) NL87030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1659A (en) * 1990-09-14 1993-08-31 Eastman Kodak Company Auxiliary removable memory for storing image parameter data
WO1992005553A1 (en) * 1990-09-19 1992-04-02 N.V. Philips' Gloeilampenfabrieken Information retrieval and reproduction device
ATE148819T1 (de) * 1990-09-19 1997-02-15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e und apparat zur regelung der anzeige des dargestellten bildes
WO1992007360A1 (en) * 1990-10-10 1992-04-30 Mario Moro A recording medium library management system
NL9100475A (nl) * 1991-03-18 1992-10-16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weergeven van een muziekstuk van een magnetische registratiedrager (favourite tape position).
DE4118368A1 (de) * 1991-06-05 1992-12-10 Nsm Ag Speicher- und abspielvorrichtung fuer programme von platten
JP3365024B2 (ja) * 1994-02-14 2003-01-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選択制御方法
DE19745022A1 (de) * 1997-10-11 1999-04-15 Bosch Gmbh Robert Autoradio
KR100317064B1 (ko) * 1999-03-26 2001-12-22 유수근 디지털 음악 고속 녹음장치 및 녹음방법
JP2008524759A (ja) 2004-01-15 2008-07-10 サンディスク アイエル リミテッド ブックマーク付き着脱式メディア
US8855714B2 (en) 2005-09-14 2014-10-07 Sandisk Il Ltd. Removable media player for mobile phon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901801A (nl) * 1979-03-06 1980-09-09 Eduard Thomas Eggink Automatische afspeelinrichting.
FR2517863B1 (fr) * 1981-12-09 1992-03-13 Moulene Daniel Appareil de traitement d'informations
NL8402095A (nl) * 1984-07-02 1986-02-03 Philips Nv Inrichting voor het weergeven van informatie van een registratiedrager.
DE3573963D1 (en) * 1984-08-24 1989-11-30 Eastman Kodak Co Video disk apparatus providing organized picture playback
FR2573905B1 (fr) * 1984-11-28 1990-07-20 Sorriaux Pierre Procede de realisation, a partir d'un video-disque, de programmes audio-visuels et cassette mise en oeuvre dans ce procede
US4677604A (en) * 1985-02-04 1987-06-30 Selsys Corporation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recorded data
EP0265167B1 (en) * 1986-10-15 1997-01-02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Disk player with disk magaz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22037B1 (en) 1994-03-23
DE3888651T2 (de) 1994-09-22
EP0322037A1 (en) 1989-06-28
JPH01201886A (ja) 1989-08-14
DE3888651D1 (de) 1994-04-28
NL8703086A (nl) 1989-07-17
JP2966850B2 (ja) 1999-10-25
KR890010819A (ko) 1989-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69597B1 (en) Apparatus for reproducing information from a record carrier
US5063547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producing a user-defined preferred selection from a record carrier
US5367510A (en) Disk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he capability of recording an operator designated program sequence
EP0346979B1 (en) Reproducing and/or recording apparatus
US5546365A (en) Record carriers containing a user's preferred order of reproduction of items of information included therein, and apparatus for use with and/or for creating such record carriers
US4989104A (e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quickly retrieving video signal parts on a magnetic tape
US663110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EP0579285A2 (en) Information reproducing system
US5113383A (en) Information reproducing system and method
EP0281415B1 (en)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tion
KR970005991B1 (ko) 정보 재생 장치
EP0210006B1 (en) Recor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with content identifiers
JPH10326478A (ja) 音楽用コンパクトディスク再生装置
US5263010A (en) Information reproducing system identifying previously stored playback information
US5001688A (en) Apparatus for playing record carriers using playing frequency ranking
USRE34475E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producing preferred selections from a record carrier
JPH09219086A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244763B1 (ko) 광디스크 시스템의 재생 방법
KR0125612B1 (ko) 비스화면 편집방법과 그 장치
JP2708637B2 (ja) 情報再生装置
EP0535733A2 (en) Medium player with time-wise bar display of items
JPH0386990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