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436Y1 -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436Y1
KR970005436Y1 KR2019900011047U KR900011047U KR970005436Y1 KR 970005436 Y1 KR970005436 Y1 KR 970005436Y1 KR 2019900011047 U KR2019900011047 U KR 2019900011047U KR 900011047 U KR900011047 U KR 900011047U KR 970005436 Y1 KR970005436 Y1 KR 970005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flash
cam
state
engaged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110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100U (ko
Inventor
쥰지 우메쯔
후미노리 우에노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도 도오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마쓰모도 도오루 filed Critical 아사히 고오가꾸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100031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1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4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02Still-picture cameras
    • G03B19/12Reflex cameras with single objective and a movable reflector or a partly-transmitting mirr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66Means for cocking shutter separate from means for releasing shut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22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units
    • G03B2215/0503Built-in units
    • G03B2215/0507Pop-up mechanisms
    • G03B2215/051Pop-up mechanisms with movable reflector, e.g. change of illumination angle or illumination direction

Abstract

요약 : 요약없음.

Description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제1도는 카메라의 여러 작동기구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상태 스위치의 상태감지코드판의 평면도,
제3도는 내장 전자플래시가 돌출위치로 이동될 때 제1도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미러가 후퇴되고 셔터가 해제됐을 때 제1도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셔터챠지작동의 후반을 도시한 도면, 및
제6도는 각 기구의 작동 시퀀스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어열(연결수단)99 : 시퀀스 모터
100 : 미러제어기구200 : 챠지기구
300 : 내장플래시 제어기구301 : 내장 플래시
본 발명 고안은 전기작동식 카메라내에 설치된 여러 작동기구를 구동 및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작동식 카메라에 있어서, 미러제어기구, 셔터챠지기구 등이 모터에 의해서 전기로 작동되는 구조는 이미 공지되어 있다. 비록 이러한 카메라는 내장된 전자 플래시의 위치가 전자플래시위치(돌출된 위치 또는 발광위치)와 수납위치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내장 전자플래시가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이 내장 전자플래시는 미러제어기구 및 셔터챠지기구를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모터가 아닌 또 다른 구동원에 의해 작동된다. 실제로, 어떤 전기작동식 카메라는 내장 전자플래시의 위치를 전환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또다른 카메라에 있어서는, 미러제어기구 및 셔터챠지기구용 모터가 내장 전자플래시를 수납위치로 수납시키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내장 전자플래시를 돌출위치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마그네트와 같은 액츄에이터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내장 전자플래시의 위치를 전환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액츄에이터가 더 구비된다면, 카메라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업계에서 요구하고 있는 카메라의 소형화도 달성할 수 없으며 액츄에이터를 추가함으로써 카메라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내장플래시의 위치가 미러제어기구 및 셔터챠지기구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구동모터에 의해서 전환되고 내장 전자플래시를 위한 별도의 특별한 액츄에이터가 필요하지 않으며 전기작동식 카메라의 구성을 단순화 및 소형화시킬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가격도 절감할 수 있는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구동원, 챠징수단 및 구동수단을 포함한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챠징수단은 돌출위치와 수납위치 사이에서 전자플래시의 위치를 변화시킨다. 구동수단은 전자플래시와 다른 작동기구를 구동시킨다. 다른 작동기구는 카메라의 사진촬영 작동을 위한 것이다.
구동원이 제1방향으로 회전할 때 적어도 구동수단이 제어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원은 위치변화수단과 구동수단에 연결되고, 위치변화수단은, 구동원이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될 때 전자플래시를 돌출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전자플래시의 위치를 전환시키기 위한 별도의 특별한 구동원 즉, 액츄에이터가 구비되지 않으며, 미러제어기구 및 셔터챠지기구와 같은 기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이 전자플래시의 위치를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르면 전기작동식 카메라의 구조가 단순화, 소형화될 뿐아니라 그 제조비용도 절감된다.
이하,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각의 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카메라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는데, 제1도, 제3도, 제4도 및 제5도는, 초기위치상태에 있을 때의 각 작동기구, 돌출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의 내장 전자플래시, 업(후퇴)위치로 전환되었을 때의 미러, 및 챠지작동중 후반 상태에 있을 때의 카메라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장치에는 미러제어기구(100), 챠지기구(200), 전자플래시제어기구(300), 조리개제어기구(400)가 구비되어 있다. 미러제어기구(100)는 사진촬영실 목표물이 미러(110)에 의해서 관찰될 수 있는 관찰위치와 노출이 이루어지는 수납위치 사이에서 가동미러(110)의 위치를 전환시킨다. 챠자기구(200)는 카메라 셔터(도시되지 않음)의 챠지작동을 행한다.
전자플래시 제어기구(300)는 내장 전자플래시(301)의위치를 돌출위치와 수납위치 사이로 전환시킨다. 조리개제어기구(400)는 조리개를 닫힌 상태와 완전개방된 조리개상태(A) 사이로 전환시킨다.
구동원 즉, 시퀸스 모터(99)는 기어열(10)로 이루어진 연결기구를 통해서 미러제어기구(100), 챠지기구(200), 전자플래시제어기구(300) 및 조리개제어기구(400)에 연결된다.
가동미러(110)는 가동미러시트(111)에 고정되거 이 가동미러시트는 핀(112)을 통해서 카메라에 구비된 지지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미러복귀스프링(113)에 의해서 관찰위치(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를 향해 항상 가압되어 있다. 또한 미러제어기구(100)는 미러-업(mirror-up) 부재(101)를 포함하고 있고, 이 미러-업 부재는 핀(102)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미러-업 부재(101)의 한쪽끝은 가동미러시트(111)내에 구비된 맞물림핀(114)에 맞물리고, 미러-업 부재(101)의 중심부분은 미러-업 캠(103)에 맞물리며, 이 미러-업 캠(103)은 1회전기어(22)에 일체로 연결된다. 미러-업 캠(103) 및 1회전기어(22)는 지지프레임에 제공된 지지축(104)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도에 도시된 초기 위치에서, 미러-업 부재(101)는 하향 회전된 위치에 있고 가동 미러시트(111)는 미러복귀스프링(113)에 의해서 가압되어 있으며 시계방향 회전후의 얻어진 있게 된다. 이때, 실제로, 미러(110)는 촬영전의 관찰위치에 위치된다.
1 회전기어(22) 및 미러-업 캠(103)이 회전하면, 캠(103)의 노즈부분(103a)은 미러-업 부재(101)에 맞물리고 미러-업 부재(101)는 도면에서 볼때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미러-업 부재(101)가 맞물림핀(104)에 맞물려서 가동미러시트(111)가 미러복귀스프링(113)의 스프링력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결과, 미러(110)는 노출이 이루어지는 수납위치로 전환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의 세트레버(210)는 실선으로 도시된 챠지완료위치와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셔터작동완료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세트레버(210)는 챠지기구(200)의 셔터챠지부재(201)에 의해서 상향으로 회전되어 챠지완료위치로 전환되는데, 그 위치에서 셔터(도시되지 않음)의 제1블라인드 및 제2블라인드(도시되지 않음)가 챠지된다. 실제로, 이 상태에서, 맞물림부재(도시되지 않음)는 제1 및 제2블라인드와 세트레버(210)에 맞물리기 때문에 제1 및 제2블라인드와 세트레버(210)는 챠지완료위치에 고정되어 있게 된다.
셔터챠지부재(201)는 핀(202)에 의해서 지지프레임 회저가능하게 부착된다. 셔터챠지부재(201)의 선단부분은 세트레버(210)에 맞물리고 셔터챠지부재(201)의 중심부분은 챠지캠(203)에 맞물리며, 이 챠지캠(203)은 1회전기어(21)에 일체로 연결된다. 챠지캠(203) 및 1회전기어(21)는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지지축(204)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도에 도시된 초기위치에서, 셔터챠지부재(201)는 하향회전된 위치에 있게 되고 세트레버(210)는 업(up)위치 즉, 챠지완료위치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셔터가 해제되면, 세트레버(210)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하향으로 이동되고 셔터챠지부재(201)에 맞물린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챠지캠(203)의 노즈부분(203a)이 챠지부재(201)에 맞물리도록 1회전기어 및 챠지캠(203)이 회전된다면, 챠지부재(20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세트레버(210)가 상향으로 밀려서 셔터가 챠지된다.
내장 전자플래시(301)는 돌출위치 즉, 플래시 작동위치와 수납위치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다. 제1도에는 내장 전자플래시(301)의 수납위치를 도시하고 있고, 제3도 및 제4도에는 돌출위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제5도에서 돌출위치에서부터 수납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내장 전자플래시(301)에는 지지프레임내에 형성된 가이드슬릿에 맞물리는 가이드핀(302)이 구비되어 있는데, 가이드핀(302)은 전자플래시(301)가 돌출위치와 수납위치 사이에서 전환하도록 가이드슬릿(303)을 따라 이동된다. 내장 전자플래시(301)는 전자플래시가 수납위치로부터 즉, 돌출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팝-업(popup) 스프링에 의해서 항상 가압되어 있다.
내장 전자플래시(301)의 위치를 전환시키는 작동을 이루기 위한 전자플래시기구(300)는 맞물림부재(310), 해제부재(320), 플래시수납부재(330)를 포함하고 있다.
맞물림부재(310)는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핀(311)을 중심으로 피봇회전되고, 해제부재(320)는 핀(311)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맞물림부재(310)의 한쪽 끝부분에는 가이핀(302)에 맞물릴 수 있는 돌출부(312)가 구비되어 있으며, 맞물림부재(310)의 다른쪽 끝부분에는 지지프레임에 연결된 맞물림스프링(313)이 연결되어 있고 이 맞물림부재(310)는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항상 가압된다.
해제부재(320)는 맞물림부재(310)에 맞물림 가능한 벤트부분(321)과 해제캠(322)에 맞물릴 수 있는 아암부분(323)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아암부분은 1회전기어(23)에 일체로 연결된다. 해제캠(322)과 1회전기어(23)는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지지축(324)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해제부재(320)의 벤트부분(321)에 인접한 부분은 스프링에 의해서 플래시수납부재(330)의 맞물림아암(332)에 연결된다.
플래시수납부(330)는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핀(331)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플래시수납부재(330)의 가압아암(333)은 전자플래시(301)의 가이드핀(302)에 맞물림가능하고, 가압아암(333)에 대향방향으로 뻗어 있는 맞물림아암(332)은 수납캠(334)에 맞물림 가능하며, 이 수납캠은 해제캠(322)과 동일한 방향으로 1회전기어(23)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초기위치에서, 맞무림부재(310)의 돌출부(312)는 전자플래시의 가이드핀(302)에 맞물려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전자플래시(301)가 수납위치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해제캠(322)이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해제캠(322)의 노즈부분(322a)이 제3도에 도시된 해제부재(320)의 아암부분(323)을 가압하면, 해제부재(3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벤트부분(32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맞물림부재(310)를 가압한다.
그 결과, 해제부재(320)의 돌출부(312)는 가이드핀(302)을 해제하고 전자플래시(301)는 팝-업 스프링(304)에 의해서 가압되어 도면에서 우측으로 즉, 돌출 위치로 변위된다.
조리개 제어기구(400)는 조리개 세팅용 회로를 포함한 제어블록(401), 조리개규제레버(402), 미끄럼판(403) 및 조리개 완전 개방된 세트부재(404)를 구비하고 있다.
미끄럼판(403)은 2개의 가이드슬롯(405, 406)을 구비하고 있고, 이 가이드슬롯은 도면에서 상하로 이동시에 미끄럼판(403)을 안내하기 위하여 지지프레임에 고정된 가이드판(407, 408)에 맞물린다. 미끄럼판(403)은 복귀스프링(409)에 의해서 항상 상향운로 가압되고 미끄럼판(403)의 상부 끝에 형성된 돌출부(411)는 조리개 제어블록(401)의 레버(412)에 맞물리고, 미끄럼판(403)이 상하로 이동될 때, 레버(412)는 조리개를 제어하도록 변위된다.
미끄럼판(403)의 중심부분에 형성된 돌출부(413)는 조리개규제레버(402)의 상향운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조리개규제레버(402)의 상부표면에 맞물린다. 조리개규제레버(402)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상향으로 즉, 조리개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제1도에서, 조리개규제레버(402)는 최저위치 즉 완전개방된 조리개위치에 있게 된다.
완전개방 조리개세트부재(404)는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핀(414)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세트부재(404)의 끝부분은 연결스피링(415)을 통해서 미끄럼판(403)에 연결된다. 조리개 완전개방 세트부재(404)의 중심부분(404a)은 조리개 제어캠(416)에 맞물리고, 이 조리개제어캠은 챠지캠(203)과 동일한 방향으로 1회전기어(21)에 일체로 고정된다.
제1도에 도시한 초기위치에서, 조리개 완전개방 세트부재(404)는 조리개 제어캠(416)의 노즈부분(416a)에 맞물려서 하향변위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미끄럼판(403)은 그 하단위치에 위치하도록 연결스프링(415)에 의해서 당겨지고 조리개규제레버(402)는 하부위치 즉, 완전개방된 위치에 있게 되며 조리개제어블록(401)의 레버(412)는 완전개방된 조리개위치에 있게 된다. 실제로, 조리개는 완전개방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1회전기어(21) 및 조리개 완전개방 세트부재(404)가 조리개 제어캠(416)의 노즈부분(416a)으로부터 해제되고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이 결과, 미끄럼판(403)은 스프링(415)으로부터 해제되어 상향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스프링(409)에 의해서 당겨져서 조리개규제레버(402) 및 조리개 제어블록(401)이 상향으로 이동되고 미리결정된 조리개가 얻어지게 된다.
여러 작동기구(100, 200, 300, 400)는 단일구동원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퀀스 모터(99)에 의해서 구동된다.
이들 작동기구(100, 200, 300, 400)와 시퀸스 모터(99)에 연결된 연결수단 즉, 기어열(10)은 시퀸스 모터(99)출력축(11)에 구비된 피니온기어(12), 감속기어(13, 14), 아이들 기어(15), 및 1회전기어(21, 22, 23)를 구비하고 있다.
피니온기어(12)는 감속기어(13)에 맞물리고 감속기어(13, 14)는 피니온기어(12)의 회전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감소된 회전수를 아이들 기어(15)에 전달하고, 이 아이들기어는 1회전 기어(21)에 맞물린다.
1회전기어(21, 22, 23)는 동일한 수의 톱니를 가지고 있는데, 1회전기어(21)는 1회전기어(22)에 맞물리고, 이 1회전기어(22)는 1회전기어(23)에 맞물린다. 따라서, 1회전기어(21, 22, 23)는 서로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 회전된다.
1회전기어(22)는 상태감지브러시(501)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상태감지브러시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태감지코드판(502)과 면하도록 배치되고 코드판(502)상에 형성된 3개의 접촉부(511, 512, 513)와 맞물린다. 이들 접촉부(511, 512, 513)는 브러시와 미끄럼 가능하게 접촉한다.
실제로, 상태스위치는 상태감지브러시(501)와 접촉부(511, 512, 513)로 구성되어, 내장 전자플래시(301), 미러제어기구(100), 챠지기구(200) 및 조리개제어기구(400)의 상태는 브러시(501)와 접촉부(511, 512, 513) 사이의 접촉에 의해서 감지된다. 접촉부(511, 513) 사이에 위치한 접촉부(512)는 작동기구(100, 200, 300, 400)들을 각각의 초기위치로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2도에서 상부위치에 위치된 접촉부(511)는 미러-업 신호에 따라 미러를 상부위치에서 정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하부위치에 위치된 접촉부(513)는 내장 전자플래시(301)를 돌출시키기 위한 팝-업 신호가 수용되는 반면에 모터(99)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때 모터(99)의 역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다음으로는 제6도를 참고하여 앞서 살펴본 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초기위치에서, 작동기구(100, 200, 300, 400)는 제1도에 도시된 상태로 위치된다. 실제로, 이 상태에서, 해제스위치(도시되지 않음)는 턴오프되고 시퀸스 모터(99)가 정지되며 접촉부(512)는 스위치가 챠지완료신호를 출력하도록 브러시(501)와 접촉하여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내장 전자플래시(301)는 수납되어 있고 미러(110)는 하향위치 즉, 촬영전 관찰위치에 있게 되며 조리개는 완전개방된 조리개위치로 설정되고 셔터는 챠지완료위치로 설정된다.
포토메모리장치(도시되지 있지 않음)에 의해서 사진촬영을 하기 위하여 전자플래시가 필요하다고 판단되거나, 전자플래시를 위도적으로 사용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제어회로(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팝-업 신호가 출력되고 시퀸스 모터(99)는 이 팝-업 신호를 수용함에 따라, 초기위치로부터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각각의 1회전기어(21, 22, 23)는 제3도에서 하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결정된 각도로 회전된다.
그 결과, 상태 감지 브러시(501)는 상태스위치의 접촉부(513)(제 22 도)와 접촉하여 전자 플래시(301)를 돌출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1회전 기어(23)의 회전에 의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캠(322)이 시계방향으로 해제부재(320)를 회전시키고, 맞물림부재(310)는 밴트부분(321)과 맞물림부재(310)와의 맞물림에 의해서 회전되며, 맞물림부재(310)의 돌출부(312)는 가이드핀(302)을 해제시킨다. 따라서 내장 전자플래시(301)는 팝-업 스프링(304)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이동되어 돌출위치로 전환된다.
제3도는 내장 전자플래시(301)가 돌출위치로 전환된 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미리결정된 세트시간(예를 들어 약 10ms)이 경과한 후, 시퀸스 모터(99)가 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기구(100, 200, 300, 400)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제3도에 도시된 전자플래시(301)의 팝-업 완료위치에서, 미러제어기구(100)의 미러-업 부재(101)가 미러-업 캠(103)의 노즈부분(103a)과 맞물리지 않으므로, 미러-업 부재(101)는 상향으로 이동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미러(110)는 하향위치 즉, 촬영전 관찰위치에 있게 된다.
조리개제어기구(400)의 조리개 완전개방 세트부재(404)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개 제어캠(416)의 노즈부분(416a)와 맞물려서 미끄럼판(403)이 최저위치에 있게 되고 조리개규제레버(402)가 완전개방된 조리개 위치로 설정된다.
게다가, 챠지기구(200)의 셔터챠지부재(201)가 챠지캠(203)의 노즈부분(203a)과 맞물리지 않으므로, 셔터챠지부재(201)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세트레버(210)는 챠지완료위치에 있게 된다.
전자플래시(301)가 사용되지 않을 때, 시퀸스 모터(99)는 역으로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정지상태로 유지된다.
제1도에 도시된 초기위지에서 즉, 상태스위치가 챠지완료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셔터버튼(도시되지 않음)이 눌려져 해제스위치가 ON신호를 출력하면, 시퀀스 모터(99)는 전방향으로 회전되고 1회전기어(22)는 제4도에서 검은 화살표로 도시된 방향을 회전된다. 그에 따라 미러-업 캠부재(103)의 노즈부분(103a)은 미러-업 부재(101)를 밀어올린다. 따라서 미러(110)는 복귀스프링(113)네 대해 상향으로 변위되고 노출이 달성될 수 있는 수납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1회전기어(21)의 회전 때문에 조리개제어캠(416)의 노즈부분(416a)이 조리개 완전개방 세트부재(404)를 해제시키므로 조리개 완전개방 세트부재(404)는 스프링(415)에 의해서 상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미끄럼판(403)은 복귀스프링(409)에 의해서 당겨지고 조리개제어블록(401)의 레버(412)에 의해서 수납되는 위치로 상향 이동된다. 그 결과, 조리개 규재레버(402)는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변위되고 미리결정된 위치에서 정지되어 조리개가 설정값으로 제어된다.
제6도에서, 일점쇄선(I)은 최소 조리개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고 실선(S)은 조리개의 실제 제어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시퀀스 모터(99)는 미러(110)가 상부위치로 이동될 때 정지되고 상태스위치의 접촉부(511)(제2도)는 브러시(501)와 접촉하여, 미러-업 신호가 출력된다.
다른 한편으로, 챠지캠(203)의 노즈부분(203a)은 1회전기어(21)의 회전에 의해서 챠지기구(200)의 챠지부재(201)와 맞물리지 않고 챠지부재(201)는 하부위치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미러-업 신호가 출력되면, 셔터의 제1 및 제2 블라인드는 이 신호에 따라 작동되고, 셔터는 해제되며, 그와 동시에 세트레버(210)는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작동완료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된 작동완료 위치로 하향 이동된다.
제4도는 셔터의 작동이 완료된 직후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셔터의 해제 작동에서, 수납캠(334)의 노즈부분(334a)이 플래시수납부재(330)와 맞물리지 않으므로, 플래시 수납부재(330)는 회전되지 않고 전자플래시도 수납되지 않는다. 또한, 해제캠(322)의 노즈부분(322a)은 해제부재(320)와 맞물리지 않는다. 즉, 전자 플래시(301)는 돌출위치에 있게 된다.
셔터의 작동이 완료되면, 제2블라인드 작동완료신호가 출력되고 시퀀스 모터(99)는 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전자플래시기구(300)의 수납캠(334)의 노즈부분(334a)은 제5도에서 검은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시 수납부재(3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 결과, 플래시 수납부재(330)의 가압아암(333)은 가이드슬롯(303)을 따라 가이드핀(302)을 변위시키고, 가이드핀(302)은 맞물림부재(310)의 돌출부(312)와 맞물리며 이 맞물림부재(310)를 맞불림스프링(313)에 대해 하향으로 가압하고 가이드슬릇(303)의 좌측 끝부분을 향해 이동되고 그에 따라 전자플래시(301)는 수납위치로 이동된다. 그와 동시에, 해제캠(322)의 노즈부분(322a)이 해제부재(320)의 아암부분(323)과 맞물려서 해제부재(320)는 스프링(325)에 대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벤트부분(321)은 맞물림부재(310)로부터 해제된다.
비록 플래시수납부재(330) 및 해제부재(320)가 수납캠(334) 및 해제캠(322)에 의해서 각각 이동되지만, 셔터가 해제될 때 내장 전자플래시(301)가 수납되면, 이 부재(330, 320)들은 전자플래시(301)가 수납위치에 있으므로 대체로 작용을 하지 않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미러-업 캠(103)의 노주부분(103a)이 미러-업 부재(101)로부터 해제되므로, 미러스트(111)는 복귀스프링(113)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하향 회전되고 그에 따라 미러(110)는 노출진 관찰위치로 변위되고 미러-업 부재(101)는 하향으로 회전된다.
그와 동시에 챠지캠(203)의 노즈부분(203a)은 셔터챠지부재(201)와 맞물려 세트레버(210)가 제5도에서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밀어올려지고 셔터는 챠지된다.
또한 이때, 조리개 제어캠(416)의 노즈부분(416a)은 조리개 완전개방 세트부재(404)와 맞물리고 그에 따라서 조리개 완전개방 세트부재(40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연결스프링(415)은 복귀스프링(409)에 대해 하향으로 미끄럼판(403)을 당기고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대해 하향으로 조리개 수납레버(412)를 당기게 되어 조리개는 완전개방된 조리개 위치로 설정된다.
제5도에 도시된 챠지작동에서, 상태스위치가 챠지작동의 후반에서 팝-업 신호를 출력하지만 그 신호는 무시되고 시퀸스 모터(99)는 챠지완료신호에 의해서 정지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하나의 촬영작동이 달성될 때 기본적으로 전자플래시(301)의 팝-업, 셔터의 해제, 셔터 챠지의 순서로 제어가 이루어진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위치와 수납위치 사이에서의 내장플래시(301) 전환작동이 시퀸스 모터(99)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이 시퀸스 모터가 미러제어기구(100), 챠지기구(200) 및 조리개제어 기구(400)에 대한 구동원이 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내장 전자플래시(301)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특별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이러한 액츄에이터용 별도 공간이 필요하지도 않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있어서, 기어열(10)을 가진 연결기구는 유성기어클러치와 같은 클러치기구를 구비하지 않고 시퀸스 모터(99)의 전방 및 역회전에 의해서 작동기구(100, 200, 300, 400)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 장치의 구조는 단순하고 장치의 제조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전자플래시(301)가 돌출위치로 이동된 후 각각의 작동기구(100, 200, 300, 400)가 그 초기위치로 복귀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카메라는 전자플래시(301)의 위치가 전환된 직후 촬영준비 상태로 있게 되고 셔터는 한번 해제된 직후 다시 작동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조리개제어기구(400)가 시퀀스 모터(99)에 의해서 구동될 필요가 없으며, 시퀸스 모터(99)의 전방회전 및 역회전의 한정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제로, 본 고안에서 사용된 전방회전 및 역회전이라는 용어는 이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의미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가 여기에서 수반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되었지만, 당해기술에 숙련자에 의해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경 및 변화가 이루어질 것 이다.

Claims (12)

  1. 구동원(99);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전자플래시가 수납위치에 있도록 전자플래시와 맞물려있는 맞물림부재(310)와,
    전자플래시가 돌출위치 또는 발광위치로 벼뉘되도록 회전에 의하여 상기 전자플래시와 맞물림부재(310)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해제부재(320)와, 전자플래시와 맞물려 있어 전자플래시를 돌출외치로부터 수납위치로 이동시키는 플래시수납부재(330)를 구비하여, 전자플래시를 돌출위치와 수납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전자플래시 위치변화수단;
    적어도, 촬영대상을 관찰할 수 있는 관찰위치와 노출이 이루어질 수 있는 후퇴위치 사이로 가동미러를 변위시키는 미러제어기구 구동수단(101), 셔터챠지작동을 행하는 챠지기구 구동수단(201)을 포함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원(99)이 제1방향으로 구동될 때 상기 구동수단(101, 201)이 제어되면, 제1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구동될 때에는 상기 위치변화수단(310, 320, 330)이 상기 전자 플래시를 돌출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구동원(99)을 상기 위치변화수단(310, 320, 330) 및 상기 구동수단(101, 201)에 연결하는 연결수단(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조리개가 닫힌 제1상태와 상기 조리개가 완전개방된 제2상태 사이에서 조리개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위한 조리개 제어기구 구동수단(40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기구 재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0)은, 상기 구동원(99)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전자플래시 위치변화수단이 돌출된 위치의 전자플래시(310)를 수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자플래시 위치변화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연결수단(10)은, 상기 전자플래시 위치변화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메인기어(23), 및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메인기어(23)와 맞물리는 하나 이상의 서브기어(21, 22)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기어(23)와, 서브기어(21, 22)는 동일한 톱니수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0)은 상기 메인기어(23)에 고정된 제1캠(322, 334)과 상기 서브기어(21, 22)에 고정된 제2 캠(103, 203, 416)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1 및 제2캠은 상기 전자플래시 위치변화수단과 상기 구동수단(101, 201)에 맞물림 가능한 노즈부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322, 334)의 상기 노즈부분은 상기 전자플래시 위치변화수단에 맞물리고 상기 제2캠(103, 203, 416)의 상기 노즈부분은 상기 구동원(99)이 상기 구동원(99)의 초기위치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구동수단(101, 201)에 맞물리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322, 324)의 상기 노즈부분은 상기 위치변화수단에 맞물리지 않고 상기 제2캠(103, 203, 416)의 상기 노즈부분은 상기 구동원(99)이 제 1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구동수단(101, 201)에 맞물려서 상기 전자플래시의 위치는 변화되지 않고 상기 다른 기구는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10)은 상기 전자플래시 위치변화수단을 제어하기 위한 기어(23)를 구비하고 있고, 해제캠(322)은 상기 기어(23)에 고정되고, 상기 해제캠(322)은 상기 해제부재(320)와 상기 맞물림부재(310)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해제부재(320)와 맞물리고, 그에 따라 상기 전자플래시(301)는 상기 구동원(99)이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돌출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 기구 제어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상기 연결수단(10)은 상기 기어(23)에 고정된 수납캠(334)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구동원(99)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회전될때 상기 수납부재(330)가 상기 전자플래시(301)를 상기 수납위치로이동시키도록 상기 수납캠(334)은 상기 수납부재(330)와 맞물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플래시(301)의 상태와 상기 다른 작동기구와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상태감지스위치(501,511,512,513)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감지스위치는, 상기 연결수단(10)에 구비된 상태감지브러시(501) 및 상기 연결수단(10)에 면하고, 상기 브러시(501)와 미끄럼가능한 접촉상태로 있는 접촉부(511,512,513)를 가지고 있는 상태감지코드판(502)을 포함하고 있고. 사기 전자플래시(301)와 상기 다른 작동기구의 상태는 상기브러시(501)와 상기 접촉부(511,512,513)사이의 접촉에 의해서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KR2019900011047U 1989-07-28 1990-07-26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KR970005436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95887 1989-07-28
JP1195887A JP2933323B2 (ja) 1989-07-28 1989-07-28 カメラの駆動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100U KR910003100U (ko) 1991-02-26
KR970005436Y1 true KR970005436Y1 (ko) 1997-06-04

Family

ID=16348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11047U KR970005436Y1 (ko) 1989-07-28 1990-07-26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933323B2 (ko)
KR (1) KR970005436Y1 (ko)
DE (1) DE4023957C2 (ko)
FR (1) FR2650403B1 (ko)
GB (1) GB22350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37442A (ja) * 1990-02-14 1991-10-23 Canon Inc カメラ
JP2580812Y2 (ja) * 1991-09-12 1998-09-17 旭光学工業株式会社 一眼レフカメラ
DE4230459A1 (de) * 1991-09-12 1993-03-18 Asahi Optical Co Ltd Mechanische steuerung fuer eine einaeugige spiegelreflexkamera
JP4574773B2 (ja) * 1999-12-15 2010-11-04 株式会社シグマ 一眼レフカメラのミラークイックリターン機構
JP4746179B2 (ja) * 2000-12-06 2011-08-10 株式会社シグマ 一眼レフカメラのミラークイックリターン機構
JP5570159B2 (ja) * 2009-08-27 2014-08-13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464179B2 (ja) * 2011-07-14 2014-04-09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04759A (en) * 1977-11-25 1980-05-27 Konishiroku Photo Industry Co., Ltd. Camera with built-in motor
DE3028452C2 (de) * 1980-07-26 1982-07-22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Stehbildkamera mit einem ein- und ausziehbaren Objektiv und einem umsteuerbaren Elektromotor
JPS582827A (ja) * 1981-06-29 1983-01-08 West Electric Co Ltd フラツシユカメラ装置
DE3301730C1 (de) * 1983-01-20 1984-03-22 Regula-Werk King & Bauser GmbH, 7263 Bad Liebenzell Fotokamera
JPH01164933A (ja) * 1987-12-21 1989-06-29 Nikon Corp 閃光装置内蔵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023957A1 (de) 1991-01-31
JP2933323B2 (ja) 1999-08-09
GB9016366D0 (en) 1990-09-12
JPH0359635A (ja) 1991-03-14
DE4023957C2 (de) 1995-10-26
KR910003100U (ko) 1991-02-26
GB2235057B (en) 1993-07-07
FR2650403A1 (fr) 1991-02-01
FR2650403B1 (fr) 1994-04-29
GB2235057A (en) 1991-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0258A (en) Lens shutter mechanism for camera
US5079574A (en) Motor-driven camera
US4779114A (en) Shutter driving mechanism
US4752796A (en) Still camera
US5253004A (en) Control device for camera
KR970005436Y1 (ko) 카메라 작동기구 제어장치
US3470803A (en) Electrically driven automatic winding means
US5258797A (en) Camera shutter device incorporated with lens shifting mechanism
JPH0322967B2 (ko)
US4549799A (en) Focus adjusting mechanism for a camera
US4961084A (en) Camera with changeable focal length
US4164370A (en) Shutter device in a camera
US5416547A (en) Camera lens focus and shutter aperture setting
US5083148A (en) Driving power transmitting device for camera
US4106040A (en) Camera having improved mechanism for shutter actuation and film winding
US5327185A (en) Motor driven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aphragm and shutter of a camera
US4629301A (en) Camera having a motor winding mechanism
JP2837235B2 (ja) プレビュー機構
US4072409A (en) Release device of motion picture camera
JPS6226450B2 (ko)
US4014034A (en) Single lens reflex camera
US3730614A (en) An overlap control device for a motion picture camera
JPH0760240B2 (ja) 沈胴式カメラ
JP3561339B2 (ja) 開口規制機構を備えたカメラ用シャッタ
JP2810208B2 (ja) フィルム自動巻戻機能を兼ねたプレビュー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