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374B1 - 야금용기용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야금용기용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374B1
KR970005374B1 KR1019890012156A KR890012156A KR970005374B1 KR 970005374 B1 KR970005374 B1 KR 970005374B1 KR 1019890012156 A KR1019890012156 A KR 1019890012156A KR 890012156 A KR890012156 A KR 890012156A KR 970005374 B1 KR970005374 B1 KR 970005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rotor
hole
container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2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4433A (ko
Inventor
켈러 베르너
발텐퓔 롤프
Original Assignee
스토핑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안톤 필 피에르 거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토핑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안톤 필 피에르 거버 filed Critical 스토핑크 아크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900004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4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Sliding Valves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Discharge Heat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 Ind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야금용기용 개폐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에 의한 개폐장치의 변형을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의 다른 예를 보인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의 또 다른 예를 보인 종단면도.
제6도와 제7도는 제5도에 도시된 개폐장치의 회전자와 고정자의 변형을 보인 요부 종단면도.
제8도와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부분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야금용기 11' : 용기저면
14 : 용기의 내화 벽체 15,32,42,52,15',15 : 고정자
16,33,43,53,53,16',16 : 회전자 17,18,19,31,41,55,55' : 횡공
20 : 원통형 밀봉접촉면 19',31',41',54,54' : 배출공
22,34,46,57 : 간극 35,72 :원륜상 홈
36 : 가스 주입관 44,60 : 원륜상 홈
44',61 : 구멍 52' : 인서어트
75,76 : 접촉표면 77 : 밀봉링
본 발명은 용융금속 용기에 사용하는 고정자와 회전자를 포함하는 용융금속 배출 조절용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 벽체에 고정된 고정자와 고정자내에 회전 또는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어 밸브의 개폐작용을 하는 회전자를 포함하는 용융금속 용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용융금속 용기의 탕출구에 연결되는 최소한 하나의 용융금속 배출용 횡공을 갖고 있으며, 전술한 횡공이 용기 내부에 위치하도록 용기 속으로 돌출되게 용기의 벽체에 설치된다.
미국 특허 제3651998호에는 본 발명에 유사한 형태의 밸브가 기재되어 있는바, 전술한 밸브에서는 고정자가 용기내의 용융금속속에 잠기도록 용기내로 돌출되게 설치되었고 회전자는 고정자내에 회전 가능하게 동축으로 설치되었다. 이 특허에서는 상단이 폐쇄된 고정자의 중앙공 내에 회전자를 설치하여 회전자의 하단에서 스프링으로 회전자를 상방으로 밀도록 되었다. 밸브가 개방되면 용융금속은 고정자에 형성된 다수의 용융금속 배출용 횡공을 통하여 회전자의 중앙에 형성된 용융금속 배출공속으로 흐른다음 회전자의 배출공을 통하여 탕출구로 배출되도록 되었다. 이 특허에서는 회전자의 외주면과 고정자의 내주면 사이에 큰 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되는 용융금속이 전술한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술한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간극속으로 가스를 공급하게 되었다. 비록 가스의 주입에 의하여 용융금속의 침투가 어느 정도 방지된다 하여도 완전하게 방지되지 않으므로, 일부의 용융금속이 간극내부로 침투하여 급속히 응고되어 회전자가 회전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더구나 스프링에 의하여 회전자에 가하여지는 압력은 압력에 대한 적응력이 낮은 내와 물질로 만들어졌고 횡방향 배출공의 형성에 의하여 압력에 대한 내성이 적은 고정자를 파손시키는 문제점을 가져올수도 있다.
독일 특허 즉3540202호에는 용융금속 배출용 횡공을 갖고있는 2개의 튜우브를 상대적인 이동을 할수 있도록 동심원상태로 결합시키고 용융금속내부로 돌출되게 탕출구에 설치하여서된 개폐조절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내부 튜브는 용기의 탕출구에 고정되고 외부 튜브는 내부 튜브의 외주에 씨워지도록 되었으며, 용융 금속의 흐름은 외부 튜브의 회전 또는 종방향 이동에 의하여 조절되도록 되었다. 이와 같은 장치에서는 외부 튜브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고가의 장비를 용기 상방에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내부튜브가 약하므로 절대로 횡방향의 압력이 가하여져서는 않된다는 문제점도 갖고 있다. 특히 이러한 장치는 용기의 바로 위에 래들이 설치되어 있어서 용기 상방에 회전 장치를 설치하기 곤란한 야금용 중간 용기에는 사용하기 곤란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고 설치 공간을 적게 찾이하며 높은 조업 안정성과 완벽한 기능을 갖는 전술한 형태의 개폐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정자내에 설치되는 회전자를 용기 저면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고 용기 내부로 돌출된 배출공이 형성된 부위의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에는 밀폐 표면이 형성되도록 하되 용기의 벽체속에 위치하는 고정자와 회전자사이에는 열팽창에 적응될 수 있도록 하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한 본 발명에 의한 용융금속 용기의 개폐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용기의 벽체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어서 응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소형의 회전 작동장치로도 회전시킬 수 있어서, 큰 설치 면적을 필요로 하지않는 소형의 작동 기구를 용기하방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기의 벽체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지만 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에는 원통형 밀봉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어서 용융 금속이 간극속으로 침투되어 응고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철강공업 분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고정자와 회전자가 밀착되어 작동 불능상태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용기 벽체 내부에 위치하는 고정자의 중앙 구멍 내경을 회전자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하거나 또는 회전자의 외경을 고정자의 중앙 구멍 내경 보다 약간 작게하여 그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게 한다. 간극의 크기는 고정자와 회전자의 열팽창 계수의 차이를 감안하연 결정한다.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의 전술한 간극인 0.2-2mm 정도로 되면, 회전자에 횡방향의 압력이 가하여지는 경우에도 이 압력이 고정자가 파손될 정도로 고정자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의 바람직한 예에서는, 중앙에 길이방향의 용융금속 배출공을 갖는 회전자가 고정자내에 동축으로 되게 삽입되고, 용기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자의 주벽에는 중앙 배출공에 연결되는 횡공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고정자와 회전자를 간단한 구조의 관상으로 형성할 수 있어서 생산비를 절약할 수 있게 한다.
특히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하방에 주입관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주입관을 개폐장치의 고정 부분에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효과는 고정자에 횡공과 전술한 횡공에 연결된 수직 배출공을 형성하고, 회전자를 횡공이 형성된 부위의 고정자 내부에 전술한 고정자의 횡공을 가로지르도록 설치하되 회전 또는 종방향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하므로서 달성할 수 있다.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의 간극이 형성된 부분에 불활성 가스 주입구를 설치하여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간극속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면 외부의 공기가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를 통하여 용융금속 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용융금속 배출용 횡공은 용기의 저면에서 약간 위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하면, 용기 저면에 고여있는 냉각된 용융금속이나 오염된 용융금속이 횡공을 통하여 배출장치로 배출되지 않게 된다. 고정자는 용기 저면에 수직으로 되게 설치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용융 알미늄을 수용하는 래들과 같이 탕출구가 용기 측벽에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측벽에 수평으로 되게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의 또 다른 예에서는 횡공 하방의 고정자 내주면에 최소한 하나의 원륜상 홈을 갖고 있으며 이 원륜상 홈은 방사상으르 형성된 다수의 횡공에 의하여 용기 내부로 연결되었다. 고정자 또는 회전자의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용융금속의 흐름은 감압하에서 이루어지므로 고정자와 회전자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용기내로 흡인되는 경우가 있는바, 이러한 원륜상 홈은 외부 공기의 흡입을 차단하여 외부 공기가 개폐장치를 통하여 배출되는 용융금속과 접촉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따르면, 개폐장치(10)는 부분적으로 도시된 야금용기(11)의 벽체(14)에 형성된 탕출구(13)내에 설치된다. 전술한 야금용기(11)는 용강용 중간용기나 래들일수 있는바, 이러한 용기는 강철 외피(12)와 내화벽체(14)로 구성된다. 전술한 개폐장치(10)는 용기 벽체(14)내에 설치되는 내화 고정자(15)와 고정자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16) 및 회전자를 작동시키는 작동기구(24)를 포함한다.
회전자(16)는 하우징(25)내에 설치되고 구동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니언(26)에 결합된 회전 기어(21)에 결합되었다. 고정자(15)는 길이방향의 중앙 구멍을 갖는 관상으로 형성되었으며 용기 벽체(14)내에 설치하기 용이하도록 그 외주면이 원추형으로 형성되었다. 이 고정자(15)는 2개의 횡공(17),(18)을 갖고 있으며, 전술한 횡공들이 용기 내부에 위치하도록 용기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 횡공(17),(18)들은 일반적으로 원형으로 되는것이 바람직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하로 길거나 좌우로 긴 타원형이나 장방형의 형태로 헝성될수도 있다. 고정자(15)내에 동축으로 설치되는 회전자(16)는 일단이 폐쇄된 길이방향의 용융금속 배출공(19')과 고정자의 횡공(17),(18)에 연결도는 횡공(19)을 갖고있는바, 이러한 고정자와 회전자의 횡공들은 용기 저면(14')으로부터 20-7Omm 정도 떨어진 위치에 놓여 있다. 도면에는 개폐장치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어서 용융금속이 횡공(17),(18),(19)과 배출공(19')을 통하여 금형내로 배출될 수 있게 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전기한 회전자는 금형내의 용융금속에 잠기도록 된 주입관으로 구성될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융금속 속에 잠기는 횡공(17),(18)주위의 고정자(15)와 회전자(16)사이에는 원통형 밀봉접촉면(20)이 형성되어 이어서 용기의 외표면(11')밖에서 회전자(16)를 회전시키면 횡공들이 서로 엇갈리면서 폐쇄되게 되었고 용기 벽체(14)내에 위치하는 고정자(15)와 회전자(16)사이에는 0.2-2mm 정도의 간극(22)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자와 회전자의 열팽창이 다른 경우에도 주입중에 회전자와 고정자가 서로 꽉끼어 작동 불능상태로 되는 일이 없게 되었다.
제2도는 제1도에 유사한 개페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고정자(32)는 캡 모양으로 회전자(33)의 상단에 씨워져 있으며 고정자(32)와 회전자(33)에는 각각 하나의 횡공(31)과 배출공(31')만이 형성되었다. 용융금속속에 잠기는 부분의 고정자(32)와 회전자(33) 사이에는 원통형 밀봉접촉면(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 벽체(14)내에 삽입되는 부분의 고정자(32) 내주면은 용기내로 돌출된 상단부 보다 내경이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어서 회전자(33) 외주면과의 사이에 간극(34)이 형성되도록 되었다. 고정자(32)의 중앙공하단에는 원륜상 홈(35)이 형성되었으며, 이 홈(35)에는 외부 공기가 개폐장치내부로 홉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르곤 가스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가스 공급관(36)이 연결되었다. 도면에는 횡공(31)이 배출공(31')쪽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 횡공(31)은 배출공(31')과 직각으로 되게 형성할수도 있다.
제3도와 제4도의 개폐장치는 용기 벽체(14)내에 설치되는 판상의 고정자(42)와 고정자내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는 회전자(43)로 구성된다. 고정자와 회전자에는 용융금속을 용기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횡공(41)과 배출공(41')이 형성되었다. 제3도에 도시된 장치는 횡공(41)과 용기 저면(14')사이에 위치하는 고정자의 내주면에 원륜상 홈(44)을 갖고 있으며 주벽에는 홈(44)에 연결되는 다수의 통공(44')들이 바사상으로 형상되었다. 원륜상 홈(44)이 형성된 부분의 고정자(42)와 회전자(43)의 밀봉접촉부분에는 밀봉접촉면(40)이 형성되어 있어서 홈(44)속으로 유입된 용융 금속이 고정자(42)와 회전자(43) 사이를 통하여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되었다. 그리고 용기 벽체(14)내에 삽입되는 고정자(42)와 회전자(43) 사이에는 회전자(43)의 외주면을 깍아서 만든 간극(46)이 형성되었다.
제5도에 도시된 개폐장치(50)는 횡공(55)과 그에 연결되는 수직 배출공(54)을 갖고있는 질두원추형 고정자(52)가 래들을 형성하는 용기(11)의 탕출구(13)에 몰타르로 고정되고 회전자(53)는 고정자(52)의 횡공(55)부분에 회전 및 좌우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었다. 이 회전자(53)는 고정자(52)의 횡공(55)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회전자(53)는 고정자(52)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에 삽입 설치된 구동축(53')에 연결되는바, 이 구동축(53')은 용기(11)외부에 있는 구동 모우터(도시하지 않았음)에 연결된다.
회전자(53)와 고정자(52)사이에는 원통형 밀봉접촉면(56)이 용융 금속에 잠기는 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었다. 구동축(53')의 외측에는 구동축(53')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고정자(52)의 관통 구멍 내주면과의 사이에 간극(57)이 형성되었다. 회전자(53)는 개폐장치(50)의 개폐를 위하여 회전될 수도 있고 승강될 수도 있게 되었다. 고정자(52)에 형성된 배출공(54)에는 하단부가 금형내의 용융금속속으로 삽입되는 주입관(58)이 부착된다. 그리고 구동축(53')이 삽입되는 고정자(52)의 관통 구멍 내주면에는 원륜상 홈(72)이 형성되었으며, 홈(72)에는 불활성 가스 주입관(71)이 연결되었다.
제6도의 예에서는 고정자(52)와 회전자(53)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내화인서어트(52')가 회전자(53)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회전자(53)와 고정자(52)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었다. 이 인서어트(52')는 고정자(52)의 내주면에 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자(53)에는 횡공(55')이 형성되었는데, 이 횡공의 입구는 회전자(53)의 상면 중앙부에 위치하고, 출구는 회전자(53)의 측벽에서 고정자(52)의 배출공(54)와 연결되게 되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고정자에 부착된 인서어트(52')와 회전자(53)사이에 밀봉접촉면(56')이 형성된다.
제7도는 제5도의 변형을 도시한 것인바, 제7도에 의하면 횡공(55)과 용기 저면 사이에 위치하는 회전자(53)와 고정자(52) 사이에 밀봉접촉면(56)이 형성되고, 밀봉접촉면이 위치하는 고정자(52)의 내주면에 원륜상 홈(60)이 형성되었으며, 원륜상 홈(60)이 형성된 고정자의 측벽에는 용기내측으로 연결된 최소한 하나의 통공(61)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불필요한 공기가 횡공(55)을 통하여 배출되는 용융금속으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용융금속의 재산화가 방지된다.
제8도와 제9도는 제1도에 도시된 밸브(10)의 변형을 도시한 것이다. 제8도에 의하면 고정자(15')와 고정자내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회전자(16')는 각각 그 접촉면에 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턱이 원통형 밀봉접촉면(20)에 대하여 직각으로 되는 원륜상 제2밀봉접촉면(75),(76)을 형성하도록 되었다. 이 밀봉접촉면(75),(76)은 개폐장치의 작동시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원륜상 밀봉접촉면(75),(76)은 밀봉접촉면(20)의 밀봉작용과 함께 부가적인 밀봉효과를 가져온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용융금속이 용기의 벽체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자(16')와 고정자(15')사이의 간극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있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회전자(16)와 고정자(15)는 원통형 밀봉접촉면(20)외에 제3의 부가적인 원륜상 밀봉접촉면(75'),(76')을 갖고 있다. 밀봉접촉면(76')은 원통형 밀봉접촉면(20)에 대하여 30°내지 70°정도의 각도로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었고 회전자(16)의 외주면에는 흑연과 같은 우수한 윤활 특성을 갖는 내화 물질로 구성된 원륜상 밀봉 링(77)이 부착되었다. 회전자(16)의 외주에는 전술한 원륜상 밀봉링(77)은 고정자(15)의 내주면에 부착 고정될수도 있다. 전술한 제8도 및 제9도의 고정자(15'),(15)와 회전자(16'),(16)는 2-3kg정도의 약한 압력으로도 전술한 원륜상 밀봉접촉면에서 밀착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개폐장치는 특히 용강 용기의 탕출구에 수직으로 되게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경금속 용융물의 용기에도 이온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 저면이 아닌 측벽에 있는 수평 탕출구에도 결합시켜 사용할수도 있다.

Claims (18)

  1. 야금용기의 벽체에 설치되는 최소한 하나의 횡공을 갖는 고정자와 고정자내에 개폐기능을 할수 있도록 회전 또는 전후진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회전자로 구성되고 전술한 횡공이 용융금속 용기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용기 내부로 돌출되게 탕출구에 설치되는 야금용기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고정자(15,15',15,32,42,52,52')내에 설치된 회전자(16,16',16,33,43,53,53)가 용기(11) 외부에서 작동시킬 수 있도록 되었고 용기내부로 돌출된 부분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는 횡공(17,18,31,41,55,55')을 둘러싸는 원통형 밀봉접촉면(20,30,40,56)이 형성되며 용기 벽체(14)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는 고정자와 회전자의 열팽창에 따른 밀착을 방지하기 위한 간극(22,34,46,57)이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야금용기의 개폐장치.
  2. 청구범위 1항에서, 전술한 간극(22,34,46)이 0.2-2mm의 폭으로 되도록 고정자(15,32,42)의 용기 벽체내에 삽입된 부분이 용기 내부로 돌출된 부분보다 더 큰 내경을 갖고 있거나 회전자(16,33,43)의 용기 벽체내에 삽입된 부분이 용기 내부로 돌출된 부분보다 더 작은 외경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3. 청구범위 1항에서, 회전자(16,33,43)가 고정자(15,32,42)내에 동축되게 설치되고 이 회전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중앙의 배출공(19',31',41')과 전기한 배출공에 연결되는 최소한 하나의 횡공(19,31,41)을 갖고 있으며, 전술한 횡공은 용기 내부에 위치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4. 청구범위 1항에서, 고정자(52,52')가 횡공(55)과 전기한 횡공(55)에 연결되어 용기외부로 이어지는 배출공(54,54')을 갖고있고, 회전자(53,53)는 전기한 횡공(55)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어 회전 및 종방향 이동을 할 수 있게 되었으며, 전술한 회전자는 고정자의 횡공과 배출공(54,54')에 연결되는 횡공(55),(55')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5. 청구범위 1항에서, 용기 벽체(14)내부에 위치하는 고정자(32,52)의 내주면에 전술한 고정자와 회전자(33,53')사이의 간극(34,57)속으로 불활성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과 연결된 원륜상 홈(35,72)이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6. 청구범위 1항에서, 고정자(15,32,42,52)가 용기 저면(14')으로부터 최소한 20mm 정도 떨어진 상방에 횡공(17,18,41,55)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7. 청구범위 1항에서, 이 장치가 용기 저벽에 수직으로 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8. 청구범위 1항에서, 회전자(16',16)와 고정자(15',15)가 각각 그들의 원통형 접촉면(20)에 대하여 각도지게 형성된 원륜상 밀봉접촉면(75,75'),(76,76')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9. 청구범위 8항에서, 원륜상 밀봉접촉면(75,75'),(76,76')이 회전자(16',16)와 고정자(15',15)사이의 원통형 밀봉접촉면(20)의 하부에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10. 청구범위 8항에서, 고정자(15')와 회전자(16')의 원륜상 밀봉접촉면(75),(76)이 원통형 밀봉접촉면(20)에 대하여 직각으로 되게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11. 청구범위 8항에서, 원륜상 밀봉접촉면(75'),(76')사이에 우수한 윤활성을 갖는 원륜상 밀봉링(77)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장치.
  12. 청구범위 1항의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고정자에 있어서, 이 고정자가 최소한 일단이 개방된 길이방향의 구멍을 중앙에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13. 청구범위 12항에서, 전기한 중앙 구멍의 내경이 용기내부로 돌출된 부분보다 벽체내에 삽입된 부분에서 더 크게 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14. 청구범위 12항에서, 이 고정자가 횡공(55)과 전술한 횡공을 외부로 연결하는 배출공(54)을 갖고 있으며 배출공(54)에 평행하게 축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자(53,53)가 삽입되는 구멍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15. 청구범위 14항에서, 회전자(53)가 삽입되는 축방향의 구멍 내주면에 고내화성 관상인서어트(52')가 설치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16. 청구범위 12항에서, 회전자(43),(53)가 삽입되는 축방향의 구멍 내주면에 용기 내부로 이어지는 다수의 구멍(44')(61)에 연결되는 원륜상 홈(44),(60)이 형성되었으며 이 홈은 횡공(41),(55)하방의 원통형 밀봉접촉면(40),(56)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자.
  17. 청구범위 1항의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회전자에 있어서, 이 회전자가 원통형 외주면을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
  18. 청구범위 17항에서, 원통형 외주면이 용기 벽체(14)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약간 작아지거나 커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자.
KR1019890012156A 1988-09-29 1989-08-25 야금용기용 개폐장치 KR9700053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3629/88A CH676811A5 (ko) 1988-09-29 1988-09-29
CH3629/88-3 1988-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4433A KR900004433A (ko) 1990-04-12
KR970005374B1 true KR970005374B1 (ko) 1997-04-15

Family

ID=4260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2156A KR970005374B1 (ko) 1988-09-29 1989-08-25 야금용기용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078306A (ko)
EP (1) EP0361052B1 (ko)
JP (1) JPH02117767A (ko)
KR (1) KR970005374B1 (ko)
CN (1) CN1026563C (ko)
AT (1) ATE97041T1 (ko)
BR (2) BR8904884A (ko)
CA (1) CA1340564C (ko)
CH (1) CH676811A5 (ko)
DE (2) DE3926249A1 (ko)
ES (1) ES2048247T3 (ko)
FI (1) FI87427C (ko)
IL (1) IL91060A (ko)
ZA (1) ZA8956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26263B (en) * 1988-12-22 1992-11-04 Steel Castings Res Valve for vessel outlet
BR8907893A (pt) * 1989-06-01 1992-04-28 Shinagawa Refractories Co Regulador de descarga de metal fundido
CH681435A5 (ko) * 1989-07-11 1993-03-31 Stopinc Ag
DE3934601C1 (ko) * 1989-10-17 1990-10-04 Didier-Werke Ag, 6200 Wiesbaden, De
US5230813A (en) * 1989-11-28 1993-07-27 Didier-Werke Ag Stator and rotor members for use in apparatus for closing and/or regulating the discharge or tapping of molten metal
US5330162A (en) * 1992-07-29 1994-07-19 Meichuseiki Kabushiki Kaisha Dipping and pouring apparatus for molten metal
DE19500012A1 (de) * 1995-01-02 1996-07-04 Didier Werke Ag Regel- und Verschlußeinrichtung für ein metallurgisches Gefäß
US7543605B1 (en) * 2008-06-03 2009-06-09 Morando Jorge A Dual recycling/transfer furnace flow management valve for low melting temperature metals
CN106311981B (zh) * 2016-11-17 2018-03-02 遵义市润丰源钢铁铸造有限公司 消失模铸造铸件的浇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83241A (en) * 1921-04-19 1922-07-19 William Rowland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eeming devices for ladles adapted to hold molten steel
US1742065A (en) * 1928-05-26 1929-12-31 George H J Eiser Ladle discharger
US3344965A (en) * 1965-10-18 1967-10-03 Joseph J Kerin Pouring nozzle for molten steel ladle
US3651998A (en) * 1970-09-23 1972-03-28 Metallurg Exoproducts Corp Nozzle for a pouring ladle
AT357283B (de) * 1977-09-16 1980-06-25 Voest Alpine Ag Drehschieberverschluss fuer mit feuerfester auskleidung versehene gefaesse
JPS59157756U (ja) * 1983-04-04 1984-10-23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タンデイツシユ
DE3540202C1 (de) * 1985-11-13 1986-11-27 Brown, Boveri & Cie Ag, 6800 Mannheim Zuflußstellglied für eine Kokillenfüllstandsregelung einer Stranggießanlage
JPS62202948U (ko) * 1986-06-11 1987-12-24
JPH01143757A (ja) * 1986-12-20 1989-06-06 Didier Werke Ag 冶金容器用の回転摺動閉鎖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回転摺動閉鎖装置用の回転体
JPS63256265A (ja) * 1987-04-13 1988-10-24 Nkk Corp ノズル内装形ロ−タリ−ノズル
US4779876A (en) * 1987-05-11 1988-10-25 John Crane-Houdaille. Inc. Drive for banded washer type seal
DE3877081D1 (de) * 1987-08-03 1993-02-11 Didier Werke Ag Drehverschluss fuer ein metallurgisches gefaess sowie rotor bzw. stator fuer einen solchen drehverschluss.
DE3731600A1 (de) * 1987-09-19 1989-04-06 Didier Werke Ag Drehschiebeverschluss fuer ein metallurigsches gefaess sowie rotor und/oder stator fuer einen solchen drehverschluss
GB8723059D0 (en) * 1987-10-01 1987-11-04 Foseco Int Rotary pouring nozz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894405A0 (fi) 1989-09-18
JPH0339785B2 (ko) 1991-06-14
BR8904883A (pt) 1990-05-08
FI87427C (fi) 1993-01-11
FI894405A (fi) 1990-03-30
ES2048247T3 (es) 1994-03-16
EP0361052B1 (de) 1993-11-10
CN1041553A (zh) 1990-04-25
EP0361052A3 (de) 1991-08-14
ATE97041T1 (de) 1993-11-15
JPH02117767A (ja) 1990-05-02
CH676811A5 (ko) 1991-03-15
DE3926249A1 (de) 1990-04-05
CN1026563C (zh) 1994-11-16
IL91060A0 (en) 1990-02-09
ZA895689B (en) 1990-04-25
EP0361052A2 (de) 1990-04-04
US5078306A (en) 1992-01-07
DE58906160D1 (de) 1993-12-16
CA1340564C (en) 1999-05-25
IL91060A (en) 1993-08-18
FI87427B (fi) 1992-09-30
KR900004433A (ko) 1990-04-12
BR8904884A (pt) 199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5374B1 (ko) 야금용기용 개폐장치
RU2039630C1 (ru) Поворотный затвор дл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й емкости
CN1788662B (zh) 用于进行液体烹制的家用烹饪电器
KR0138105B1 (ko) 가스 유통체
GR3006885T3 (ko)
PL134789B1 (en) Rotary disc valve for closing tap holes of metallurgical vessels
US5402936A (en) Nozzle head for rotating spray device
SU1722220A3 (ru) Запирающий и/или регулирующий орган дл выпуска жидкого металла из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й емкости
KR900007960B1 (ko) 슬라이딩 게이트 벨브
US58125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molten slag with a vacuum from a chamber
JPH0210094A (ja) 金属溶湯が入つている容器の出湯口用の回転又は摺動閉鎖装置及びこのような閉鎖装置用の閉鎖部材
JPS6330103B2 (ko)
US5085344A (en) Apparatus for closing and/or regulating the discharge or tapping of molten metal
CN1021888C (zh) 冶金容器的关闭/控制器
US5230813A (en) Stator and rotor members for use in apparatus for closing and/or regulating the discharge or tapping of molten metal
RU211204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секания шлака и закупорки выпускного отверстия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го агрегата
KR960010244B1 (ko) 용융금속 유량제어장치
JPH09178153A (ja) 高温溶融炉における排気ダクトのダスト除去装置
CN220246180U (zh) 一种钢包精炼炉炉盖
US6471912B2 (en) Rotor for the treatment of a fluid such as a metal melt
CA1232739A (en) Method for opening a closed portion of a pour orifice for molten steel in a slide closure device
SU1143511A1 (ru) Скольз щий ковшевой затвор
JP2536168Y2 (ja) 軸封装置
SE451756B (sv) Plasmageneratorinstallation i schaktugn
SU1673264A1 (ru) Поворотный шиберный затвор дл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х емкост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