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241B1 - 두발화장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두발화장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241B1
KR970005241B1 KR1019900010861A KR900010861A KR970005241B1 KR 970005241 B1 KR970005241 B1 KR 970005241B1 KR 1019900010861 A KR1019900010861 A KR 1019900010861A KR 900010861 A KR900010861 A KR 900010861A KR 970005241 B1 KR970005241 B1 KR 970005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druff
veratrum
cosmetic composition
hair
ro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0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2113A (ko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성재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성재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19900010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241B1/ko
Publication of KR920002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2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두발화장품 조성물
본 발명은 두발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참여로, 흰여로, 여로 또는 박새와 같은 동속식물의 뿌리 및 근경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듬제거 및 방지효과가 우수한 두발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비듬방지 및 제거제로서 두발화장품에 첨가되던 성분으로는 아연피리티온이 있으나, 이것은 수불용성이고 비중이 크기 때문에 조성물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눈에 대한 자극성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두발화장품으로서 사용되기에는 적당하기 못하였다(참조:Gene A Hyde and Mark M. Auerbach, Formulation Techniques for Zinc Pyrithione Antidandruff Shampoos, Cosmetics and Toiletries, 94, 57, April 1979 및 Fred H. Snyder 등 Safety Evaluation of Zinc 2-Pyridiethiol 1-Oxide in a Shampoo Formulation,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7, 425~437, 1965).
따라서, 최근들어 상기 아연피리티온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피록톤올아민 등을 두발화장품 조성물에 첨가시키고 있으나, 이 성분의 경우에는 인체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있다(참조:Cosmetics and Toiletries, 102, 6, Dec. 1987).
또한, 비듬제거와 방지, 살균 및 용해제로서 살리실산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것 역시 인체에 대한 안정성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안전성에 관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동속식물의 뿌리 및 근경추출물 등의 자연성분을 사용하므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눈에 대한 자극이 없으면서도 비듬방지 및 제거효과가 월등히 향상된 두발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참여로, 흰여로, 여로 및 박생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그 뿌리 및 근경으로부터 추출된 추출물을 함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화장품 조성물인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본 발명은 대한민국 각지에 분포하는 참여로(Veratrum nigrum Linne var. ussuriense Loes. fil.), 흰여로(Veratrum versicolor Nakai), 여로(Veratrum maackii var. japonicum. T.Shimmizu) 및 박새(Veratrum glandiflorum Loesner fil.)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그 뿌리 및 근경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함유시킨 비듬방지용 두발화장품으로서, 상기 식물들의 뿌리 및 근경에는 져빈(Jervine), 베라트라민(Veratramine) 및 지가신(Zygacine) 등의 베라트럼 알칼로이드(Veratrum alkaloid)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베라트럼 알칼로이드는 강한 혈압강하작용이 있어 임상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한편으로는 비듬제거 및 방지에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러한 특성이 있는 상기 백합과 식물, 즉, 참여로, 흰여로, 여로 및 박새의 뿌리와 근경으로부터 추출물 얻는 과정은 먼저, 이들을 건조시킨 다음 그들의 뿌리와 근경을 가늘게 절단시킨 후, 실온에서 물, 에탄올 또는 메탄올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약 2주 동안 침적시킨 다음 여과하고, 그 잔사를 다시 상기 용매의 30% 수용액에 침적시키고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및 감압증류하므로써 연엑기스를 얻게 된다.
이어서, 이 연엑기스를 상기 제1단계에서 얻어진 추출액에 용해시키고 상온에서 정치 및 여과시킨 다음, 최종적으로 상기 용매의 30% 수용액을 첨가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두발화장품 즉, 샴푸, 린스 및 헤어토닉 등에 첨가시키면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조예 1]
참여로를 건조시킨 후, 이들의 뿌리 및 근경 1kg을 가늘게 절단시킨 다음, 여기에 30% 에탄올 51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약 2주동안 침적시킨 다음 여과시켰다. 이때, 얻어진 잔사에 다시 30% 에탄올 31를 첨가시킨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및 감압시키고 상온에서 다시 정치 및 여과시킨 수, 최종적으로 30% 에탄올을 전체가 51가 될 때까지 첨가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참여로와 흰여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여로와 박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에서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다음 표 1과 같은 조성비율로 30% 라우릴 황산나트륨, 30%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야자유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물에 첨가시킨 후, 이 혼합물의 온도가 60℃가 될 때까지 가온시켜서 균일하게 용해시킨 다음 40℃까지 냉각시켰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에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색소(청색 1호), 파라옥시 안식향산 메틸, 향료 및 인산을 다음 표 1과 같은 조성비로 투입하여 혼합시킨 후 냉각하여 샴푸를 제조했다. 이 샴푸의 비듬방지효과 시험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며, 그 결과는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1
비듬방지 효과시험
비듬이 비교적 많은 25 내지 40세의 남성 20명을 선정하여 상기 샴푸에 대하여 1개월동안 시험하였다.
시험 개시전에 통산의 샴푸로 세발하고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상기 표 1에 나타난 샴푸조성물로 3일에 한 번씩 세발하여 시험 종료후 3일간에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평가 하였다. 이때, 누적된 비듬은 진공 흡입장치를 사용하여 직접 채집했고, 다음 식에 의거하여 비듬 감소율을 구하였다.
또한, 비듬방지 효과는 비듬 감소율이 30% 이상인 경우에만 실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뿌리 및 근경추출액이 함유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의 샴푸가 비교예 1의 샴푸에 비해 평균 비듬감소율이 현저히 좋으므로 비듬방지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와 5 및 비교예 2]
다음 표 3과 같은 조성비로 에탄올,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파라옥시 안식향산 메틸, 25%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물에 첨가시킨 후, 이 혼합물의 온도가 75℃가 될 때까지 가온시켜서 균일하게 용해시킨 다음 40℃까지 냉각시켰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에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 색소(청색 1호), 향료 및 인산을 다음 표 3과 같은 조성비로 투입하여 혼합시킨 후 냉각하여 린스를 제조했다. 이에 대한 비듬방지효과 시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4
비듬방지 효과시험
비듬이 비교적 많은 25 내지 40세의 남성 15명을 선정하여 대상자로 하였으며, 각 린스에 대하여 1개월동안 시험하였다.
시험 개시전에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통상의 린스제품으로 린스한 후 3일동안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그 비듬의 중량과, 통상의 샴푸로 세발후 상기 표 3에 나타낸 린스를 3일에 한 번씩 사용하여 시험종료후 3일동안에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4에 나타내었다.
이에 대한 결과는 비듬 감소율이 30% 이상인 경우에만 비듬방지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으며, 비듬 감소율이 30% 미만인 경우에는 비듬방지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이때 비듬의 채집 및 비듬감소율은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하였다.
Figure kpo00005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뿌리 및 근경추출액을 함유하는 린스는 비듬발생이 감소하여 비듬방지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과 7 및 비교예 3과 4]
다음 표 5에 나타낸 조성비로 에탄올에다, L-멘톨, D-판텐올, 프로필렌글리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이나 살리실산, 색소(청색 1호), 향료 및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와 물을 투입하고 혼합시켜 헤어토닉을 제조했다. 이에 대한 비듬 방지효과는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kpo00006
비듬방지 효과시험
비듬이 비교적 많은 25 내지 40세의 남성 20명을 선정하여, 각 헤어토닉에 대하여 2주일 동안 시험하였다.
시험 개시전에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3일 동안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측정한 비듬의 양고, 통상의 샴푸로 세발한 후 상기 표 5에 따른 헤어토닉을 사용하여 시험 종료후 3일 동안에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비듬 감소율이 30% 이상인 경우에만 비듬방지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고, 비듬 감소율이 30% 미만인 경우에는 비듬방지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이때 비듬의 채집 및 비듬감소율은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하게 하였다.
Figure kpo00007
일반적으로 두발화장품의 일종인 헤어토닉은 주로 두피를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양호하게 하므로써 두피의 신진대사를 증진시키켜 모근에 활력을 주어 탈모를 방지하고, 두피 및 모방의 오염을 제거해주며 비듬과 가려움증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이중에서 비듬 방지용으로는 살균제 및 각질 용해제가 주로 사용되는데, 상기 비교예 3에서는 살리실산을 사용하였는 바, 이는 비듬방지 효과가 뛰어난 반면에 인체에 자극이 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상기 표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뿌리 및 근경 추출액을 함유한 실시예 6과 실시예 7의 헤어토닉이 비교예 3의 헤어토닉에 비해 비듬방지 효과가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뿌리와 근경 추출액을 포함한 헤어토닉인 실시예 6과 실시예 7의 경우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와 린스보다 비듬방지 효과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샴푸와 린스의 경우는 두발에 일단 사용후에 헹구어 내지만 헤어토닉의 경우에는 일단 사용후 헹구어 내지 않으므로 유효성분이 계속 잔류하므로 비듬방지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1)

  1. 참여로, 흰여로, 여로 및 박새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하여 그 뿌리 및 근경으로부터 추출괸 추출물을 함유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발화장품 조성물.
KR1019900010861A 1990-07-18 1990-07-18 두발화장품 조성물 KR970005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0861A KR970005241B1 (ko) 1990-07-18 1990-07-18 두발화장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0861A KR970005241B1 (ko) 1990-07-18 1990-07-18 두발화장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113A KR920002113A (ko) 1992-02-28
KR970005241B1 true KR970005241B1 (ko) 1997-04-14

Family

ID=19301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861A KR970005241B1 (ko) 1990-07-18 1990-07-18 두발화장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2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562B1 (ko) * 2006-12-07 2008-01-03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을 포함한 잔디병 치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1067939B1 (en) 1998-04-09 2015-09-16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Use of steroidal alkaloid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hedgehog protein signaling pathway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67939B1 (en) 1998-04-09 2015-09-16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Use of steroidal alkaloid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hedgehog protein signaling pathways
KR100790562B1 (ko) * 2006-12-07 2008-01-03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을 포함한 잔디병 치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2113A (ko) 199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8645A2 (de) Antischuppenmittel
DE3018599A1 (de) Sarsaparilla-extrakt enthaltende haarkosmetische mittel
KR100821846B1 (ko) 비듬 방지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0579710B1 (ko) 은행잎에서 분리한 비듬치료 및 탈모방지용 샴푸 조성물
DE19823552A1 (de) Zubereitung zur Behandlung der menschlichen Haut und der menschlichen Haare mit einer speziellen Wirkstoffkombination sowie Verwendung dieser Wirkstoffkombination
KR970005241B1 (ko) 두발화장품 조성물
JPH0240315A (ja) 両性界面活性剤およびピリミジン誘導体を基にした組成物
CN114366680A (zh) 用于养护头皮健康防脱固发的洗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
DE102004012009A1 (de) Antischuppenmittel
KR20130092260A (ko) 항비듬용 두피 조성물
KR100719479B1 (ko) 비듬방지 모발용 조성물
KR101257756B1 (ko) 비듬방지용 모발화장품 조성물
KR100560304B1 (ko) 비듬방지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EP0625041A1 (de) Wässrige reinigungsmittel.
DE102017218980A1 (de) "Strukturkräftigende Haarbehandlungsmittel mit gesteigerter Pflegewirkung "
JP4577596B2 (ja) 育毛剤又は発毛剤及びその使用方法
DE102017218984A1 (de) "Strukturkräftigende Haarbehandlungsmittel mit gesteigerter Pflegewirkung "
DE102017218978A1 (de) "Strukturkräftigende Haarbehandlungsmittel mit gesteigerter Pflegewirkung "
KR102569171B1 (ko) 모발 톤업 샴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모발 톤업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KR0154210B1 (ko) 두발 화장품 조성물
KR100653007B1 (ko) 비듬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H1045541A (ja) 発毛・育毛料
KR102101951B1 (ko) 카우스립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E102016218987A1 (de) verbessert konditionierende Haarbehandlungsmittel mit Auswaschschutz
KR100461087B1 (ko) 두발화장품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