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0562B1 -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을 포함한 잔디병 치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을 포함한 잔디병 치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0562B1
KR100790562B1 KR1020060124017A KR20060124017A KR100790562B1 KR 100790562 B1 KR100790562 B1 KR 100790562B1 KR 1020060124017 A KR1020060124017 A KR 1020060124017A KR 20060124017 A KR20060124017 A KR 20060124017A KR 100790562 B1 KR100790562 B1 KR 100790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patch
turf
oxysepal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대섭
김경덕
태현숙
김건우
Original Assignee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4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5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2Aloeaceae [Aloe family] or Liliaceae [Lily family], e.g. aloe, veratrum, onion,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을 포함한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건조된 박새 또는 붉노랑 상사화에 C1-C4 알코올을 첨가하고 침지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알코올 추출물을 가압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40℃로 끓여 순환 건조시켜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박새 또는 붉노랑 상사화로부터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라지 패치(Large-patch), 브라운 패치(brown-patch), 달라 스팟(dollar-spot)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잔디병원균을 억제하기 위한 유효양의 박새 또는 붉노랑 상사화의 추출물을 포함한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천연 물질, 붉노랑 상사화, 박새, 잔디병원균 항균력

Description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을 포함한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s for treatment of turf disease containing extracts from Veratrum oxysepalum Turcz and Lycoris flavescens M.Y.Kim and S.T.Lee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of}
도 1은 붉노랑 상사화(Lycoris flavescens M.Y.Kim & S.T.Lee)와 박새(Veratrum oxysepalum Turcz) 추출물이 잔디 병원균에 길항력을 가지는 모습을 나타낸다. a: 대조군, b: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 100㎍/㎖의 농도에서 라지 패치(Large-patch) 병원균을 24시간 동안 배양한 모습, c: 박새 추출물 100㎍/㎖의 농도에서 라지 패치(Large-patch) 병원균을 24시간 동안 배양한 모습
도 2는 붉노랑 상사화와 박새 추출물이 잔디 병원균에 길항력을 가지는 모습을 나타낸다. a: 대조군, b: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 100㎍/㎖의 농도에서 라지 패치(Large-patch) 병원균을 48시간 동안 배양한 모습, c: 박새 추출물 100㎍/㎖의 농도에서 라지 패치(Large-patch) 병원균을 48시간 동안 배양한 모습
도 3은 붉노랑 상사화와 박새 추출물의 라지 패치(Large-patch) 병원균 균사 생장 억제률을 나타낸다.
도 4는 붉노랑 상사화와 박새 추출물의 브라운 패치(Brown-patch) 병원균 균사 생장 억제률을 나타낸다.
도 5는 붉노랑 상사화와 박새 추출물의 달라 스팟(dollar-spot) 병원균 균사 생장 억제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을 포함한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제성장에 따른 문화생활의 향상과 더불어 골프장이나 각종 경기장, 공원, 조경지등이 늘어남에 따라 잔디의 식재면적이 넓어지고 있다. 이 같은 잔디 식재면적의 확대는 잔디의 활용이 단순히 관상적인 측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능적인 측면ㆍ경기적인 측면 등으로 잔디 역할의 폭이 한층 더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잔디의 식재 면적의 확대와 더불어 잔디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토양전염성병인 라지패치병(Large-patch)이 발생되고 있다. 이 병은 라이족토니아(Rhizoctonia)속 병원균으로 우리나라 잔디(조이시아 그라스)로 심겨져 있는 골프장, 경기장, 공원 및 조경지등에서 매년 4월 중순부터 10월말까지 넓은 면적에 다발적으로 병이 발생하고 있고 이들 병에 감염된 잔디의 잎은 고사로 인해 맨땅이 됨으로써 골프 및 각종 경기를 하는데 많은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여가공간이 축소되고 조경지의 시각적 불량 등으로 인해 잔디의 활용 가치를 떨어뜨리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잔디에 기생하여 병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병원균으로는 상기 라이족토이나속의 라이족토이나 솔라니(Rhizoctonia solani)와 라이족토니아 쎄레알리스(Rhizoctonia cerealis)등과 피시움(Pythium)속등이 있으며 상기와 같은 병원균에 대한 포식균 또는 억제균으로는 슈도모나스(Pseudomonas)속과 바실러스(Bacillus)속 및 방선균과 트라이코데르마(Trichoderma)속과 글리오클라디움(Gliocladium)속 등이 알려져 있다.
이같이 매년 잔디에 발생되는 라지패치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유기합성농약에 의한 방제법과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유기합성 농약에 의한 방제법은 단기간에 이 병을 확산 및 억제시키는데는 우수하지만 장기간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반복적으로 농약을 살포하게 됨으로서 인축에 대한 농약중독ㆍ저항성을 가진 내성균의 출현과 토양내의 잔류독성 등 여러 가지의 환경문제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생물적 방제법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와 투자를 통해 부분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온도ㆍ습도 등 인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비닐하우스와 같은 환경이나 매년 길항미생물의 정착성을 증대하기 위해 통기성 및 물리성 개선작업인 경운을 하는 일년생 하우스작물의 경우에는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골프장 및 경기장이나 공원과 같은 잔디조성지에 한번 잔디가 심겨지면 새로 조성하기가 어려우며, 대규모의 면적으로 자연환경에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는 길항미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공간과 영양상태의 부족 및 토양 물리성 및 통기성의 악화로 인해 그 효과가 극히 미미한 상태이다.
이처럼 라지패치병을 방제하는데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무엇보다 잔디의 건전생육이 절실히 요구되는 골프장, 경기장 및 그 외의 잔디 조성지의 경우 라지패치병에 감염된 잔디가 죽고 감염된 지역에서 새로운 잔디로 정상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예방적 관리 외에도 각종 비료나 영양제, 토양개량제 처리로 이중의 관리인력과 경비가 요구되고 있다.
한국출원번호 제 2000-3114호에서는 트리코더마 하지아눔(Trichoderma harzianum)을 포함하여 적어도 2종 이상의 곰팡이와 바실러스 써브틸리스(Bacillus subtilis)를 포함하여 적어도 2종 이상의 세균을 주 활성성분으로 하는 식물병원균 방제용 생물농약 조성물을 기재하였고, 한국출원번호 제 1998-54040호에서는 바실러스 섭틸리스(Bacillus subtilis) GB-0365(수탁번호: KFCC-11071)와 바실러스속(Bacillus sp.) GB-017(수탁번호 : KFCC-11070)를 작물의 병해충 방지물로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라지 패치(Large-patch), 브라운 패치(brown-patch) 및 달라 스팟(dollar-spot)에 의해 유발되는 잔디병 방제를 위한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 및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로부터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잔디병 억제 효과가 있는 박새(Veratrum oxysepalum Turcz) 또는 붉노랑 상사화(Lycoris flavescens M.Y.Kim & S.T.Lee) 추출물을 함유하는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탄올을 유기용매로 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건조된 박새 또는 붉노랑 상사화에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을 첨가하고 침지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알코올 추출물을 가압 여과하는 단계; 및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35℃ 내지 45℃로 끓여 순환 건조시켜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잔디병은 라지 패치(Large-patch), 브라운 패치(brown-patch) 또는 달라 스팟(dollar-spot)을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로부터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의 추출
① 박새는 2004년 경북 영양군 일월산에서 채집하여, 그 중 뿌리만을 잘라내어 음지에서 건조시켰다. 붉노랑 상사화는 2004년 전남 영광군 불갑면 불갑산의 상사화 군락지에서 경엽을 채집한 것을 전문농예원(불갑농예원)에서 구입하여 음지에서 건조시켰다. 식물은 채집하자마자 추출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이지만, 성분을 추출하기 전에 식물을 건조시켜 추출하여 성분을 안정시켰다. 이 경우에는 건조과정에서 재료의 성분들이 화학적 변화를 받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였다. 따라서 식물재료는 가능한 한 빨리 저온으로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건조시켰고, 일단 건조된 식물재료는 장기간 두어도 성분 연구에 지장이 없었다.
② 음지에서 건조시킨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를 80% 메탄올에 수욕상으로 침지하여, 1 ~ 2시간동안 두어 액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은 일반 여과지(whatman No.2)을 이용하여 여과를 하였다. 여과를 할 때는 여과 장치를 이용, 가압하여 여과를 수행하였다.
③ 여과된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을 35℃ 내지 45℃로 끓여 12시간 정도 순환 건조시켜 농축하였다. 처음 사용하였던, 박새와 붉노랑 상사화로부터의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의 무게를 이용하여 농축의 농도를 계산하였다.
<실시예 2>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의 잔디 병원균에 대한 길항력
① 실험에 이용하고자하는 잔디 병원균[라지 패치(Large-patch), 브라운 패치(brown-patch), 달라 스팟(dollar-spot)]을 병원균에 감염된 잔디엽에서 분리하여 PDA(감자 추출액 300g, 포도당 20g, 아가 15g, 증류수 1L) 배지에 36시간 정도 배양하였다.
② 배양한 잔디 병원균들을 6mm 보러(borer)를 이용하여 절단한 후, 박새와 붉노랑 상사화로부터의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을 100 ㎍/㎖, 50 ㎍/㎖, 10 ㎍/㎖ 의 농도로 희석한 용액에 2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이 실험에 대조구로 브라운 패치(Brown patch), 라지 패치(Large patch) 방제를 위해 널리 상용중인 터부코나졸을 다양한 농도(1 ㎕/㎖, 0.1 ㎕/㎖, 0.01 ㎕/㎖)로 희석하여 침지에 사용하였고, 달라 스팟(Dollar spot) 방제에 용이한 싸이클로나졸을 다양한 농도(0.1 ㎕/㎖, 0.01 ㎕/㎖)로 희석하여 동일하게 2시간동안 침지하였다.
③ 침지가 끝난 후 멸균한 여과지를 이용하여 잔여 물기를 제거한 후, PDA 배지에 치상하여 배양하였다.
④ 24시간, 48시간 동안 배양한 병원균의 균사의 생장을 관찰, 측정하여,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배양 24시간 후 관찰하였을 때, 박새와 붉노랑 상사화에 침지되어 있던 실험구에는 라지 패치(Large-patch) 균사가 자라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박새 추출물 100 ㎍/㎖ 때의 항균 효과가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 100 ㎍/㎖ 보다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도 1).
배양 48시간 후 관찰하였을 때도 박새에 침지되었던 실험구에는 전혀 균사가 자라지 않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에서도 라지 패치 균사가 성장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라지 패치(Large-patch)병원균을 배양하여, 라지 패치 병원균 방제에 상용중인 화학 농약인 터부코나졸을 다양한 농도(1 ㎕/㎖, 0.1 ㎕/㎖, 0.01㎕/㎖)로 처리하고, 붉노랑 상사화와 박세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1 ㎍/㎖, 10 ㎍/㎖, 100 ㎍/㎖)로 처리한 후 48시간동안 배양하였다.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의 경우, 100 ㎍/㎖ 이하의 농도에서는 항균력을 보이지 않거나, 그 항균력이 너무나 경미하였고, 박세 추출물에서도 100 ㎍/㎖이하의 농도에서는 경미한 항균력을 보였지만, 100 ㎍/㎖에서는 화학 농약인 터부코나졸와 거의 비슷한 뛰어난 항균력을 보였다.(도 3)
이 밖에도 브라운 패치(Brown patch)와 달라 스팟(dollar spot)을 일으키는 병원균에 대해 동일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브라운 패치(Brown patch)와 달라 스팟(dollar spot)의 병원균을 36시간 동안 PDA 배지에 배양하여, 라지 패치와 동일한 농도의 추출 희석 용액에 병원균을 2시간 동안 침지한 후, PDA 배지에 치상하였다. 그리고, 대조구로 브라운 패치 병원균은 화학 농약인 터부코나졸에, 달라 스팟은 싸이크로나졸을 이용하여 동일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후 24시간,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박새와 붉노랑 상사화는 이 병원균들에 대해서는 아주 약한 항균력을 보였다.(도 4, 도 5)
본 발명에 따라 박새와 붉노랑 상사화로부터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은 라지 패치(Large-patch) 병원균에 적용하였을 때, 우수한 길항력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잔디병이 발생하기 전 이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을 정기적으로 처리하면, 잔디 관리가 용이해 지고 잔디병 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Claims (6)

  1. 잔디병 억제 효과가 있는 박새(Veratrum oxysepalum Turcz) 또는 붉노랑 상사화(Lycoris flavescens M.Y.Kim & S.T.Lee) 추출물을 함유하는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액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추출된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에틸아세테이트,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된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인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
  5. 건조된 박새 또는 붉노랑 상사화에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을 첨가하고 침지하여 추출하는 단계;
    상기 알코올 추출물을 가압 여과하는 단계;
    상기 여과된 추출물을 35℃ 내지 45℃로 끓여 순환 건조시켜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 제조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병이 라지 패치(Large-patch), 브라운 패치(brown-patch) 또는 달라 스팟(dollar-spo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병 치료용 조성물.
KR1020060124017A 2006-12-07 2006-12-07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을 포함한 잔디병 치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90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017A KR100790562B1 (ko) 2006-12-07 2006-12-07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을 포함한 잔디병 치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017A KR100790562B1 (ko) 2006-12-07 2006-12-07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을 포함한 잔디병 치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562B1 true KR100790562B1 (ko) 2008-01-03

Family

ID=3921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017A KR100790562B1 (ko) 2006-12-07 2006-12-07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을 포함한 잔디병 치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5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067A (ko) 2019-01-31 2020-08-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241B1 (ko) * 1990-07-18 1997-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두발화장품 조성물
KR20020068021A (ko) * 2002-08-05 2002-08-24 박지웅 식물병 방제용 한약추출물 비료와 그 제조방법
KR20030061167A (ko) * 2002-01-11 2003-07-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베라트라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050102394A (ko) * 2004-04-22 2005-10-26 (주) 에코바이오 메드 살충활성을 가지는 복합미생물살충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5241B1 (ko) * 1990-07-18 1997-04-14 주식회사 엘지화학 두발화장품 조성물
KR20030061167A (ko) * 2002-01-11 2003-07-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베라트라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020068021A (ko) * 2002-08-05 2002-08-24 박지웅 식물병 방제용 한약추출물 비료와 그 제조방법
KR20050102394A (ko) * 2004-04-22 2005-10-26 (주) 에코바이오 메드 살충활성을 가지는 복합미생물살충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5067A (ko) 2019-01-31 2020-08-1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bu Joseph et al. Bioefficacy of plant extracts to control Fusarium solani f. sp. melongenae incitant of brinjal wilt
Suleiman et al. Efficacy of four plant extracts in the control of root rot disease of cowpea (Vigna unguiculata [L.] Walp)
CN102776130A (zh) 一株金龟子绿僵菌及其应用
CN104692957B (zh) 含有枯草芽孢杆菌的生物有机肥及其应用
CN106490057A (zh) 一种用于水稻种植的复合农药及其制备方法
Sharma et al. Use of biotic agents and abiotic compounds against damping off of cauliflower caused by Pythium aphanidermatum
KR100790562B1 (ko)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을 포함한 잔디병 치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Islam et al. Effect of antioxidants on Citrus leaf anatomical structure grown under saline irrigation water
CN116195605A (zh) 一种姜黄根茎提取物的制备方法及其产品和在防治植物白粉病中的应用
CN107041244B (zh) 一种提高草坪草抗旱性能的方法
Yu et al. Sugi (Cryptomeria japonica D. Don) bark, a potential growth substrate for soilless culture with bioactivity against some soilborne diseases
Abada et al. Effect of the combination among compost, bioagents andsoilsolarization on management of strawberry Verticillium wilt
KR102653110B1 (ko)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Santana Baños et al. Biostimulant and Nematicidal Effect of Trichoderma harzianum Rifai and Aqueous Extract of Azadirachta indica A. Juss. in Solanum lycopersicum L.
AE Hassan et al. Incidence of root-rot and wilt disease complex of olive trees in New Valley Governorate in Egypt and its control
Schena et al. Integrated management of Rosellinia necatrix root rot on fruit tree crops
Laugale et al. Preliminary studies on development of a new environmentally friendly plant protection product against grey mould
Kumar et al. Antagonistic potentiality of bioagents against wilt of cumin (Cuminum cyminum)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cumini
Kumar et al. Tree—crop interactions in the agroforestry system of Mizoram
EL-MORSI et al. Efficacy of some organic compounds against root rot wilt diseases of olive transplants and their growth response in New Valley governorate, Egypt
CN107868766B (zh) 菌株及其应用
El-Morsi et al. Effectiveness of some organic compounds in controlling pathogenic fungi associated with roots of date palm offshoots in New Valley Governorate, Egypt
Mulero Aparicio Biological control of Verticillium wilt of olive with the nonpathogenic strain of Fusarium oxysporum FO12 and the grape marc compost CGR03
Kellam Sustainable management approaches for fungal pathogens on vegetable crops
Gnanapragasam et al. Nematode parasites of t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