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3110B1 -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3110B1
KR102653110B1 KR1020190012676A KR20190012676A KR102653110B1 KR 102653110 B1 KR102653110 B1 KR 102653110B1 KR 1020190012676 A KR1020190012676 A KR 1020190012676A KR 20190012676 A KR20190012676 A KR 20190012676A KR 102653110 B1 KR102653110 B1 KR 102653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pulcherrima
boesenbergia
b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5067A (ko
Inventor
최용화
최지수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2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31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9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5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3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31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8Zingiberaceae [Ginger family], e.g. ginger or galang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은 식물병을 야기하는 병원균에 대해 항진균 효과를 가지고 있어 항진균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Composition for controlling plant diseases comprising Boesenbergia pulcherrima extract}
본 발명은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식물에 발생되는 병해는 딸기 무, 배추 등, 과수, 관상식물, 채소 등 작물에 발생되며, 그 원인으로 병해를 일으키는 병원균이 밝혀지고 있다. 이러한 병원균의 경우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 중에서 환경적응력이 높아 방제가 매우 어렵고, 기주 범위 또한 매우 넓으며, 저온이거나 기주식물이 없어도 후벽포자로 토양 중에서 수년간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에 밀도가 높아 문제가 되고 있다(Garibaldi et al, 2002; Huang et al, 1998; Lee et al, 2001; Matuo and Motohashi. 1967).
병원균에 감염된 식물은 뿌리, 지체부 및 도관부에 피해를 주고 아래 잎이 시들게 되어 밑으로 처지게 되며 병든 뿌리나 줄기는 검게 변하면서 식물체가 고사하게 되어, 포장 전체의 작물이 수확도 하기 전에 죽거나 심각한 손상을 입기도 한다(George N. Agrios., 2006; National crop pest management system, 2017).
잔디의 경우 경기장, 골프장, 공원, 조경지 등이 늘어나면서 잔디의 식재면적이 넓어지고 있다. 잔디 식재면적의 확대는 잔디의 활용이 단순히 관상적인 측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기능적인 측면ㆍ경기적인 측면 등으로 잔디 역할의 폭이 한층 더 증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잔디의 병해로는 토양전염성병인 라지팻치(Large Patch), 페어리링(Fairy-Ring), 스프링 데드스팟(Spring Dead Spot), 브라운팻치(Brown Patch), 옐로우팻치(Yellow Patch), 피시움블라이트(Pythium Blight), 달러스팟(Dollar Spot), 탄저병(Anthracnose) 등을 들 수 있다. 잔디에 기생하여 병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병원균으로는 라이족토니아 속(Rhizoctonia sp.)의 라이족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와 라이족토니아 쎄레알리스(Rhizoctonia cerealis) 등과 피시움(Pythium) 속 등이 있다. 이들 병원균에 의해 발생되는 토양성 병해는 라지 팻치(Large Patch), 브라운 팻치(Brown Patch), 모잘록병(Damping off) 등이다.
이들 잔디 병해는 잔디가 심겨져 있는 골프장, 경기장, 공원 및 조경지등에서 넓은 면적에 다발적으로 병이 발생된다. 이들 병에 감염된 잔디는 잎이 고사로 인해 스포츠 전용 공간의 축소와 조경지의 시각적 불량 등으로 인해 잔디의 활용 가치를 떨어뜨린다.
이같이 잔디에 발생되는 잔디 병해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유기합성농약에 의한 방제법과 토양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적 방제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유기합성 농약에 의한 방제법은 단기간에 이 병을 확산 및 억제시키는데는 우수하지만 장기간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 반복적으로 농약을 살포하게 됨으로서 인축에 대한 농약중 독ㆍ저항성을 가진 내성균의 출현과 토양내의 잔류독성 등 여러 가지의 환경문제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생물적 방제법은 전 세계적으로 많은 연구와 투자를 통해 부분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는 Zingiberaceae과로서 Gastrochilus Wall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보고되었으며(Wallich, 1829) 미얀마에 분류학적 기원을 가지고 있다. 주로 라오스, 미얀마, 인도, 태국 등에서 열대성 상록수 또는 반 습지대의 산악 지대에서 종종 대나무류와 함께 분포하고 있으며, 8월에서 11월 사이에 개화한다(J. Murata et al., 2016). 보에센베르기아(Boesenbergia)속에 대한 지금까지 연구결과로는 보에센베르기아 속의 DNA분석과 분류학 관련 연구만 있으며(J techaprasan, et al. 2006; jirana, et al. 2008), 같은 종으로 우리나라에서 많이 알려져 있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틴(Boesenbergia panduratin)의 경우 핑거루트(Finger root)로 알려져 있으며 항염, 항산화 효과와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라고 보고되었다(kang., 2017).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는 지하부가 민간요법과 약용, 식용으로 사용(Trakoontivakorn et al., 2001.)되고 있으나 그 성분에 대해서는 알려진 것이 없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를 통해 잔디 병해를 일으키는 병원균에 대해 방제활성 및 식물병 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4027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056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74277호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을 포함하여 식물병을 야기하는 병원균에 대한 방제 활성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추출물은 물, 핵산(n-hexane), 클로로폼(CHCl3), 에틸아세테이트(EtOAc),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는 메탄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병은 벼 잎집무늬마름병, 잔디 마름병, 사과 탄저병, 사과겹무늬 썩음병, 잿빛곰팡이병, 모잘록병 또는 벼 키다리병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병의 병원균은 Sclerotinia 속(genus), Rhizoctonia 속, Phytophthora 속, Colletotrichum 속, Glomerella 속, Stemphylium 속, Alternaria 속, Botrytis 속, Sphaerotheca 속 또는 Pythium 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 이상으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병은 라지 팻치(Large patch) 또는 브라운 팻치(Brown Patch)인 잔디 마름병 또는 모잘록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은 메틸 유제놀(methyl eugenol), 메틸 이소유제놀(methyl isoeugenol), 엘레미신(elemicin), 이소엘레미신(isoelemicin), 알파-아사론(α-asarone), 베타-아사론(β-asarone) 또는 1,2,4-트리메톡시-5-비닐벤젠(1,2,4-trimethoxy-5-vinylbenz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식물체 또는 재배 토양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농약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건조된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분쇄물에 용매를 첨가하여 침지시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가압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된 추출물을 35 내지 45℃ 순환 증발시켜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은 식물병을 야기하는 병원균에 대해 항진균 효과를 가지고 있는 바, 항진균용 조성물 및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타 본 발명의 효과들은 후술할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통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분명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 메탄올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 메탄올 추출물의 항진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와 다른 보에센베르기아 종의 유전자에 기초한 계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래피 결과에서 확인된 각 피크값 물질의 화학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을 포함하여 식물병을 야기하는 병원균에 대한 방제 활성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는 Zingiberaceae과로서 Gastrochilus Wall이라는 이름으로 보고되었으며(Wallich, 1829) 미얀마에 분류학적 기원을 가지고 있다. 주로 라오스, 미얀마, 인도, 태국 등에서 열대성 상록수 또는 반 습지대의 산악 지대에서 종종 대나무류와 함께 분포하고 있으며, 8월에서 11월 사이에 개화한다(J. Murata et al., 2016).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의 지하부인 뿌리는 민간요법과 약용, 식용으로 사용(Trakoontivakorn et al., 2001.)되고 있다.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로 이용되기 위해,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는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의 잎, 줄기, 또는 뿌리에서 나오는 오일에서 분리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를 건조시켜 분쇄한 분쇄물에 용매를 첨가하여 침지시켜 추출물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물을 가압 여과하여 35 내지 45℃ 순환 증발시켜 농축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매로 물, 핵산(n-hexane), 클로로폼(CHCl3), 에틸아세테이트(EtOAc),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탄올(MeOH)일 수 있다.
또한,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을 물에 현탁시킨 후, 핵산(n-hexane), 클로로폼(CHCl3), 에틸아세테이트(EtOAc),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분획하여 분획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항균"은 균에 저항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세균이나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의 작용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모든 기작을 의미하며, 항균용 조성물은 항진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항진균용 조성물"이란 곰팡이의 발육과 생활 기능을 저지 또는 억제할 수 있는 항진균제를 총칭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은 Sclerotinia 속(genus), Rhizoctonia 속, Phytophthora 속, Colletotrichum 속, Glomerella 속, Stemphylium 속, Alternaria 속, Botrytis 속, Sphaerotheca 속 또는 Pythium 속의 균주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가지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Rhizoctonia solani,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Botryosphaeria dothiea, Botrytis cinerea, Pythium ultimum 또는 Fusarium fujikuroi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가진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에서 분리된 구성성분을 단일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는 구성성분은 메틸 유제놀(methyl eugenol), 메틸 이소유제놀(methyl isoeugenol), 엘레미신(elemicin), 이소엘레미신(isoelemicin), 알파-아사론(α-asarone), 베타-아사론(β-asarone) 또는 1,2,4-트리메톡시-5-비닐벤젠(1,2,4-trimethoxy-5-vinylbenz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이들로부터 유도되며, 식물병 방제효과를 가질 수 있는 이성질체를 이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식물병은 벼 잎집무늬마름병, 잔디 마름병, 탄저병, 사과겹무늬썩음병, 잿빛곰팡이병, 모잘록병 또는 벼 키다리병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벼 잎집무늬마름병(rice sheath blight)은 주로 잎집에 발생하나 잎과 이삭목에 발생될 때도 있다. 처음에는 잎집의 표면에 회록색 또는 암회색의 타원형 병반이 생기며, 나중에는 회백색이 된다. 병반이 점차 위로 올라가면서 밑의 잎부터 마르고 포기가 지저분하게 되며 심하면 줄기가 꺾인다. 병원균(Rhizoctonia solani)의 1차 전염은 병반에 형성되었던 균핵이 월동 후 논갈이 등 농작업에 의해 물 위에 떠 올라와 벼의 잎집에 붙어 발병을 시작하고, 2차 전염은 균핵에 의해서 감염된 병반부에서 자라나온 균사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잔디 마름병(blight)은 주로 잔디에서 발생되며 병이 들면 색이 변하고 말라 죽는다. 병원체는 곰팡이가 대부분이고, 토양이나 씨를 통하여 전염된다. 병원균으로 Rhizoctonia solani이다. 예방하려면 저항성이 있는 식물을 심거나 병에 걸리지 않은 식물과 씨를 심는다. 이와 함께 토양을 소독하고 보르도액(液)과 같은 살균제를 뿌려준다. 일단 마름병증상이 나타나면 곧바로 그 부위를 없애고 태워 병이 번지는 것을 막는다.
탄저병(anthracnose)은 통상 작물, 야채, 화초, 과수, 수목 등 유용식물의 잎, 가지, 과실, 종자 등에 발생하는 병으로, 불완전균아문 분생자층균목(Melanconiales)의 Colletotrichum, Gloeosporium속 및 자낭균아문 구각균목(Sphaeriales)의 Glomerella속 균의 기생으로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 탄저병이란 탄저병균의 감염에 의하여 생기는 식물병으로 동물의 탄저병과 구분된다. 대표적인 병원균으로는 콜레토트리쿰 글로에오스포리오이데스(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 acutatum, C. cocodes, C. dematium 등이 있다. 잎에서는 담갈색~갈색의 유원형 병반을, 과실 등에서는 갈색~암갈색의 움푹 팬 원형 병반을 만들고, 후에 병반 표면에 분홍색~연어살색의 특징이 있는 점질물(분생포자의 덩어리)이 생성된다. 많은 작물에 발생하며 앞서 말한 3속의 병원균은 형태적, 기생성의 차이로 90종에 가까운 종이 알려져 있다. 이 중 과수에 기생하는 것으로 잎에만 기생하는 것을 잎탄저병과 구별하여 부르는 경우도 있는데, 포도와 같이 예외적으로 만부병이라고 하는 것도 있다. 본 발명에서 탄저병은 사과, 배, 피망, 감귤, 밤, 비파, 난, 단풍류 및 그 밖의 탄저병으로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의 기생으로 발생하며, 숙주의 범위가 넓다.
사과 겹무늬썩음병(White rot)은 과실, 가지에 주로 발생한다. 과실에는 처음 황갈색의 작은 반점이 생기고, 점차 확대되어 윤문상의 큰 병반이 형성되고, 심하면 물이 흐르고, 과일 전체가 부패, 낙과한다. 한편 흑갈색 또는 황갈색의 원형 반점이 형성, 진전이 매우 느리고 병반 주위에 적색의 테를 형성하기도 한다. 탄저병과 다른 점은 중앙에 까만 소흑점(병자각)이 형성되고, 과일을 쪼개보면 심부까지 부패하며, 병반이 함몰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가지에서는 사마귀형성(조피), 굵은가지의 윤문증상, 가지마름증상 등으로 나타나는데, 사마귀증상의 피해가 가장 크다. 사과 겹무늬썩음병을 발생시키는 병원균으로 Botryosphaeria berengeriana, Botryosphaeria dothidea, Physalospora piricola, Botryosphaeria ribis, Macrophoma sp. 가 있다.
잿빛곰팡이병(Gray mold)은 Botrytis 속에 속하는 곰팡이 균주에 의해 발생하는 병해로 잎가장자리부터 갈색으로 변하고, 병반 주변에는 물결 모양의 주름이 생기며, 병반에는 작고 검은 점이 나타나고, 다습하면 솜털 같은 회색 곰팡이(분생자병 또는 분생포자)가 생기는 특징이 있다. Botrytis cinerea는 토마토, 가지, 오이, 호박, 양파, 딸기, 고추 등의 작물에 잿빛곰팡이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잘록병(damping off)은 균사에 의해 전염되는 식물병으로 병원균은 Pythium ultimum이다. 줄기의 지표면 가까이에 발생하며 어린 모의 줄기가 연화(軟化)되고 잘록이 생기며 말라죽는다. 특히, 가지, 감자, 담배, 오이, 양배추 등은 그 피해가 심하다. 병원균은 균사 및 균핵의 형태로 땅 속에서 월동하고, 다음해에 새로운 식물체에 침입 감염한다
벼 키다리병(bakanae disease)벼에 발생하는 식물병. 묘종 또는 본답 이식 직후부터 잎이 옅은 노랑색이 되며 도장(徒長)하여 풀의 길이가 건전한 주의 2배 가까이 된다. 이 때문에 벼키다리병이라고 한다. 종자전염의 병해로, 벼의 개화기 도장 후 고사한 포기 위에 형성된 병원균의 분생포자가 비산해 감염되어 이병종자가 된다. 또한 파종전 벼나락을 최아하기 위해 물에 침지할 때 이병종자가 섞여있으면 새로운 감염이 일어난다. 벼나락에 심하게 이 병이 침범하고 있으면 발아하지 않거나 발아하더라도 곧 고사한다. 고사하지 않은 것은 도장하여 전형적인 증상을 나타내지만 도장포기도 말기에는 고사한다. 병원균은 Fusarium fujikuroi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식물병은 Rhizoctonia solani,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Botryosphaeria dothiea, Botrytis cinerea, Pythium ultimum 또는 Fusarium fujikuroi에 의해 발병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더욱 유효한 식물병으로서 라지 팻치(Large patch) 또는 브라운 팻치(Brown Patch)인 잔디 마름병일 수 있으며, 벼 잘록병 또는 벼 잎집무늬마름병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라지 팻치(Large patch)는 잔디에서 발병되는 잔디병으로 직경 30cm ~수m의 원형병반을 형성한다. 초기에는 신초가 붉은 갈색으로 변하고 잘 뽑히며, 고사된 신초의 관부에는 짙은 갈색의 균사가 붙어 있다. 이들 병원균은 Rhizoctonia solani가 있다. 병반은 급속히 커지며 병세가 심한 잔디잎은 퇴색되어 볏짚색으로 변한다. 기온이 15~30℃일 때 발병하기 쉽고, 잦은 강우로 인한 과습, 과다한 대취축적, 질소질비료의 과다시용, 배수불량, 과다한 관수가 발병의 원인이다. 발생시기는 4~6월, 8~10월(초여름 장마기에 발생 많음)이다
브라운 팻치(Brown patch)는 한지형 잔디와 난지형 잔디의 잎, 줄기, 관부에 발생되는 병이다. 패취의 형태 및 색깔은 발병시기의 잔디상태, 수분조건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깎기높이가 낮은 벤트그래스 그린의 경우 습할 때에는 패취의 가장자리에 암회색의 경계부위가 나타나 스모크링(smoke ring)을 형성하고 건조할 때는 패취 전체가 갈색으로 고사한다. 브라운 팻치의 병원균으로 Rhizoctonia solani가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 외에 농약 제제로 사용 가능한 담체를 함께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농약 제형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동결보존제 스킴밀크(skim milk), 효모 추출물(yeast extract), PG와 전착제 SOF70, 계면활성제 TD20A, AS65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농약 제제로 이용되기 위해 상기 담체 외에도, 부형제, 희석제를 더 포함하여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을 식물 잎에 잘 부착되거나 토양에서 잘 분해되게 하는 코팅 응집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액제나 유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물과 희석하여 분제로 산포되거나 미리 물과 함께 제형화되거나 수용성 수화제, 과립, 오일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는 독성 완화제나 성장 조절제 등의 다른 농약 활성 화합물과의 배합물 레디 믹스(ready mix) 또는 탱크 믹스의 형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은 전체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에 대하여 0.001 ~ 9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식물의 종자에 도포하는 처리, 식물의 종자를 침지시키는 처리, 식물의 재배 토양에 관주하는 처리, 식물의 재배 토양 표면에 분무하는 처리, 식물의 경엽에 살포하는 처리, 및 식물의 부상부에 접촉시키는 처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병 방제 방법으로 처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훈증제 또는 훈연제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훈증제 또는 훈연제는 효력증강제, 증산향상제, 분해방지제, 안정제, 물성개량제, 점착제, 증점제, 훈증완화제 등과 같은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식물병 방제제, 종자 코팅제, 미생물 영양제, 토양 개량제 등의 전반적인 농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을 식물 또는 재배 토양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의 유효한 비식물독성 양을 종자 처리, 잎 적용, 줄기 적용, 또는 종자, 식물 및/또는 식물의 과실 또는 식물이 생장하고 있거나 이를 생장시키고자 하는 토양 및/또는 불활성 기재(예: 유기 기재(예: 모래, 암면, 유리울, 팽창성 광물(예: 펄라이트, 질석, 제올라이트, 팽창성 점토)), 속돌, 화쇄암 물질/응회암, 합성 유기 기재(예: 폴리우레탄), 유기 기재(예: 이탄, 퇴비, 임목 폐기물(예: 코이어, 목재 섬유/칩, 나무 껍질)) 또는 액체 기재(예: 부유 수경 시스템, Nutrient Film Technique, Aeroponics)에 관주/점적(drench/drip) 적용(관개)을 통해 적용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병 방제 방법은 훈증방제방법, 즉 훈증효과가 있는 본 발명의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가스나 증기상태로 밀폐된 온실 내에서 훈증시켜 병해충을 방제하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훈증방제방법은 밀폐도가 비교적 높은 곳에서 사용하여 농약의 손실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훈증방제방법에는 실리카겔과 같은 흡착성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유효한 비식물독성 양"이란 표현은 작물에 존재하거나 그에 출현하기 쉬운 해충 및/또는 질병을 구제하거나 박멸하기에 충분하면서, 상기 작물에 어떤 상당한 식물 독성 증상도 수반하지 않는 양을 의미한다. 이러한 양은 퇴치 또는 구제할 해충 및 질병, 작물의 종류, 기후 조건 및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합물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상기 양은 당업자들이 정할 수 있는 것으로, 조직적인 현장 실험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은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한바, 방제가 필요한 식물체 또는 지역에 처리함으로써 여러 식물병을 방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화 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닐 것이다.
<1>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균주는 농업유전자 자원센터, 농협, 동방에서 분양받아경북대학교 대학원 생태환경시스템학과 식물자원환경전공 천연물화학연구실에 보관하여 배양한 뒤 사용하였다(표 1).
식물병 병원균 출처
벼 잎집무늬마름병 Rhizoctonia solani KACC NO. 40101
잔디 라이족토니아마름병 Rhizoctonia solani ㈜농협케미컬 분리균주
잔디 라이족토니아마름병 Rhizoctonia solani ㈜동방아그로 분리균주
사과 탄저병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KACC NO. 40897
사과 겹무늬썩음병 Botryosphaeria dothiea KACC NO. 45481
잿빛곰팡이병 Botrytis cinerea KACC NO. 40963
잘록병 Pythium ultimum KACC NO. 40705
벼 키다리병 Fusarium fujikuroi ㈜경농 분리균주
식물재료인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B pulcherrima)는 라오스 약재상에서 구매하였다.
2. B. pulcherrima 동정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재료인 B. pulcherrima는 유전자 분석을 위하여 한국생명공학원 해외 생물 소재센터에 지하부 부분을 샘플 형태로 의뢰하였으며, 해당 시료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밝히기 위해 total DNA extraction 법을 통해 DNA를 추출하였다(Dneasy Plant Handbook., 2006). 추출한 DNA는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하여 타깃 분자 마커구간인 ITS1 & ITS2 구간을 증폭하였다. 얻어진 PCR product는 Minelute PCR purification kit를 사용하여 정제하였으며, Cyclic sequencing reaction 과정을 수행하고 얻어진 product는 ethanol/EDTA/sodium acetate precipitation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Sequencing product는 업체에 의뢰하여 sequence chromatogram를 얻었고, 확보된 sequence chromatogram은 Sequencher program (Ver.4.9;Gene CodesCorp.,USA)을 이용해 서열을 확인하고 정렬하여 contig를 제작하였다.
3. 시약 및 시기
표준물질 methyl eugenol, methyl isoeugenol, elemicin, α-asarone은 Sigma aldrich chemical 제품을, 대조 약제 톱신엠(Topsin M)은 경농(주) 제품을 구매하였다. 용매분획과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에서 사용된 시약 methanol(MeOH), n-hexane, chloroform(CHCl3), ethyl acetate(EtOAc), n-butanol(n-BuOH) 등은 덕산약품공업(주)의 extra pure grade를 NMR용매로 사용한 CDCl3는 Aldrich chemical제품을 사용하였다. NMR spectrometer는 Varian Bruker사의 DMX 600(600MHz)을 사용하였고, 내부표준물질은 tetramethyl silane(TMS)을 사용하였으며, chemical shift는 ppm(δ)으로 나타내었다. Bioassay에 사용된 PDA배지는 B.D사의 배지를 사용 하였으며, 여과지는 Sanyo(185㎜Ø, No 2, Japan)를 사용하였고 petri dish는 SPL사 제품을 이용하였다. Silica gel(7734)은 Merck사 제품을,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GC-MS)는 Agilent의 7890A기종을, column은 HP-5MS capillary를, detector는 Agilent 5975C를, library는 Wiley(NIST11.L)를 사용하였다. 분석 시 오븐의 온도와 설정시간은 다음과 같다(표 2).
Rate (°C/min) Oven temperature (°C) Hold time (min)
80 2
10 170 2
30 310 2
4. 병원균의 배양 조건
사용한 병원균 균주에 대한 배양 배지는 PDA를 1L 조건으로 petri dish에 조제하였다. 병원균들은 cork borer (8 mm)로 채취하여 petri dish 배지의 중앙에 치상 시킨 후 18℃로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5. MeOH 용매추출
건조시킨 B. pulcherrima 시료 1kg을 blender를 이용해 잘게 분쇄하고 99.5% MeOH로 실온에서 24시간 침지 후 추출하였으며 침지와 추출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상등액을 여과지를 사용하여 고형물을 걸러내고 40℃에서 rotary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MeOH 추출물(73.74g)을 얻었다.
6. 용매분획
MeOH 추출물 73.74g을 증류수(H2O) 500ml에 현탁시킨 후 n-hexane, CHCl3, EtOAc, n-BuOH을 순차적으로 용매분획하여 n-hexane fraction 37.97g, CHCl3 fraction 10.08g, EtOAc fraction 3.27g, n-BuOH fraction 6.08g, Aqueous layer 16.34g을 얻었다(도 1).
7. 항진균 활성물질 탐색
B. pulcherrima 뿌리의 MeOH 추출물을 GC/MS로 분석하였다. GC/MS에서 얻어진 peak를 Wiley library Data base(NIST11.L)와 비교하여 항진균 활성물질을 profiling하였다.
8. 항진균 물질 규명
GC/MS 분석으로 탐색된 화합물 중 항진균 활성물질로 추정되는 화합물들 중에 시중에서 시판되고 있는 표준품 시약들을 구매하여 GC/MS로 분석, 시료의 retention time(Rt)과 mass spectrum을 비교하여 항균물질을 구명하였다. 구매가 불가한 성분은 직접 분리, 정제하여 NMR 분석으로 화합물의 구조를 구명하였다.
9. D peak 화합물의 분리 및 정제
GC/MS분석으로 탐색된 화합물 중 1,2-dimethoxy-4-(2- methoxyethenyl)benzene로 추정되는 D peak 화합물은 구매가 불가하여 직접 분리 및 정제하여 NMR 분석으로 화합물의 구조를 확인하고자, silica gel(Merck 7734, 700g)을 glass column (50 mmØ × 860 mm)에 충진 시킨 후 D peak가 함유된 것이 확인된 hexane fraction 37.97g을 hexane에 용해시켜 column chromatograph에 loading하였다. Hexane : CHCl3 (1, 10, 20, 30, ..., 50% in CHCl3, v/v)의 용매계로 step-wise방식으로 용출하여 150ml씩 100개의 fractions(HS-1, ..., HS-100)을 얻었다. 100개의 fractions 중 D peak가 함유되어 있는 HS-80 fraction 6.09g을 200g silica gel이 충진된 open column(30mm Ø × 860mm)에 loading하고 hexane : CHCl3 (1 : 9, v/v)의 용매계로 용출시켜 15ml씩 60개의 subfractions(HS-80-1, ..., HS-80-60)을 얻었다. 60개의 subfractions 중 D peak로 추정되는 subfraction HS-80-50을 순수 분리하였다.
10. 병원균 생육억제능 평가 실험
B. pulcherrima에서 확인한 화합물들의 병원균 생육억제능에 대한 평가실험은 고압멸균 한 PDA 배지의 화합물 농도가 0 ppm, 10ppm, 50 ppm, 100 ppm, 500 ppm, 1000 ppm이 되도록 화합물을 첨가하여 petri dish(90 × 15 mm)에 분주 평판배지를 만들었다. 평판 배지를 완전히 굳히고 cork borer (8 mm)로 채취한 시험 균주를 배지 중앙에 치상하여 18℃ incubator에서 균주의 생장속도를 보며 병원균 생육 억제능을 검정하였다.
11. 통계분석 및 구조분석
실험을 통해 얻은 성적들은 SAS 프로그램을 이용해 EC50(effective concentration inhibiting by 50% of mycelial growth)값 및 유의성 검정을 하였으며, NMR 분석으로 D peak를 구조 동정하였다.
D peak compound
El-MS m/z 194.1 [M]+; 1H-NMR (600MHz, CDCl3) δ 7.02(1H, s, H-6), 6.98(1H, t, J=10.8Hz, H-7), 6.51(1H, s, H-3), 5.60(1H, s, H-3), 5.60(1H, dd, J=1.2, 18.0Hz, H-8b), 5.17(1H, dd, J=1.2, 10.8Hz, H-8a), 3.90(3H, s, 1-OCH3), 3.87(3H, s, 4-OCH3), 3.83(3H, s, 2-OCH3) ,13C-NMR (150MHz, CDCl3); δ 151.5(C-2), 149.7(C-4), 143.4(C-1), 131.0(C-7), 118.7(C-5), 112.1(C-8), 109.6(C-6), 97.8(C-3), 56.7(2-OCH3), 56.5(1-OCH3), 56.1(4-OCH3).
<2> 실험 결과
1. B. pulcherrima 지하부의 MeOH 추출물의 항진균 활성
B. pulcherrima 지하부를 MeOH로 3회 추출하여 회전식 감압 농축기로 농축한 후 MeOH 추출물의 농도가 0ppm, 10ppm, 50ppm, 100ppm이 되도록 PDA 배지를 조제하였다. 시험 균주 Rhizoctonia solani,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Botryosphaeria dothiea, Botrytis cinerea Pythium ultimum, Fusarium fujikuroi를 각각 배지 중앙에 치상하여 18°C에서 10일간 배양하여 항진균 활성을 검정하였다 (도 2, 도 3). 대조군으로 살균제인 펜티오피라드(Penthiopyrad)와, 테부코나졸(Tebuconazole)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B. pulcherrima MeOH 추출물을 첨가한 처리구 중에 잔디에서 Rhizoctonia solani와, Pythium ultimum 균의 성장이 억제된 것을 확인하였다(표 3). 특이하게도 잔디에서 분리된 R. solani에 대해서 기존 살균제와 유사한한 약효를 확인 하였다.
병원균/출처 균사생육 억제율 (%)
B. pulcherrima 추출물 대조물질
BSS
100ppm
BSS
50ppm
BSS
10ppm
Penthiopyrad Tebuconazole
Rhizoctonia solani
KACC NO. 40101
43.7 19.9 3.0 80.8 96.7
Rhizoctonia solani
잔디라이족토니아마름병
㈜농협케미컬 균주
83.9 75.3 25.0 86.0 100.0
Rhizoctonia solani
㈜동방아그로 균주
82.4 74.2 23.0 87.1 100.0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KACC NO. 40897
28.2 16.4 2.7 93.0 100.0
Botryosphaeria dothiea
KACC NO. 45481
13.6 11.5 9.1 36.0 100.0
Botrytis cinerea
KACC NO. 40963
7.7 4.2 3.5 70.2 100.0
Pythium ultimum
KACC NO. 40705
60.9 37.8 5.2 27.7 100.0
Fusarium fujikuroi
㈜경농 균주
0.0 0.0 0.0 38.7 100.0
2. 염기서열 분석 및 Phylogenetic tree 제작
B. pulcherrima의 지하부를 PCR 후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NCBI의 nucleotide blast와 염기서열을 비교해보니 B. pulcherrima와 99%이상의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ITS 영역을 증폭후 Boesenbergia의 다른 계통들과 비교하여 분자계통수를 작성한 결과, B.pulcherrima에 속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4).
3. B.pulcherrima 지하부의 MeOH 추출물의 항진균 활성물질 profiling
MeOH extract의 항진균 활성물질을 탐색하고자 GC/MS로 분석하여 GC chromatogram(도 5)에 나타난 각각의 peak들의 mass spectrum을 Wiley library와 비교 검토하여 각각의 peak들을 추정하였다.
그 결과 A peak(9.729min)는 mehtyl eugenol로, B peak(10.913min) 는 methyl isoeugenol로, C peak(11.709min)는 elemicin로, D peak(11.857min)는 1,2-dimethoxy-4-(2-methoxyethenyl)benzene, E peak(12.647min)는 isoelemicin, F peak(13.711min)는 β-asarone, G peak(13.711min)는 α-asarone으로 추정되었다. 이들 추정물질들을 명확히 구명하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표준품 4종과 순수 분리하여 NMR로 구조동정하였다.
4. 항진균 물질의 identification
표준품들을 GC/MS로 분석한 결과, 표준품 methyl eugenol의 Rt(9.734min)와 mass spectrum이 MeOH extract의 A peak의 Rt(9.729min)와 mass spectrum이 일치하여 A peak 화합물을 methyl eugenol로 구조 동정하였다. 표준품 methyl isoeugenol의 Rt(10.930min)와 mass spectrum이 MeOH extract의 B peak의 Rt(10.913min)와 mass spectrum이 일치하여 B peak 화합물을 methyl isoeugenol로 구조 동정하였다. 표준품 elemicin의 Rt(11.709min)와 mass spectrum이 MeOH extract의 C peak의 Rt(11.697min)와 mass spectrum이 일치하여 C peak 화합물을 elemicin으로 구조 동정하였으며, 표준품 α-asarone의 Rt(13.688min)와 mass spectrum이 G peak의 Rt(13.699)와 mass spectrum이 일치하여 G peak 화합물을 α-asarone으로 구조 동정하였다. 한편 E peak는 표준품 elemicin과 mass spectrum이 거의 일치하나 Rt(12.647min)이 달라 E peak화합물을 elemicin의 isomer인 isoelemicin으로 동정하였다. 또한 F peak는 표준품 α-asarone과 mass spectrum이 거의 일치하나 Rt(13.711min)이 달라 F peak 화 합물을 α-asarone의 isomer인 β-asarone으로 동정하였다. D peak 화합물로 추정되는 1,2-dimethoxy-4-(2-methoxyethenyl) benzene은 시중에서 구매할 수 없어 직접 순수분리하여 그 화합물의 구조를 해석하였으며, 그 결과 D peak 화합물은 1,2,4-trimethoxy-5-vinylbenzene 화합물로 구조해석 되었다(도 6).
5. B. pulcherrima 지하부로부터 분리한 화합물들의 생물검정
B. pulcherrima 지하부로부터 구조 동정된 화합물 methyl eugenol, methyl isoeugenol, elemicin, α-asarone, 1,2,4-trimethoxy-5-vinylbenzene 화합물들의 병원균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표준품 methyl eugenol, methyl isoeugenol, elemicin, α-asarone과 순수분리한 1,2,4-trimethoxy-5-vinylbenzene 화합물을 각각 PDA 배지에 0ppm, 1ppm, 5ppm, 10ppm, 50ppm, 100ppm 농도가 되도록 약액배지 혼합방법으로 화합물을 배지에 첨가하였다. 대조약제로 시판되는 농약 톱신엠 (Topsin M)을 구매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배지를 조제하였다. 시험 균주로서 성장 억제가 확인된 리조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를 배지 중앙에 치상하고 배양실에서 10일간 18°C로 배양 후 항진균 활성을 검정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식물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에 대하여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의 항진균 활성을 확인한 결과 잔디의 라지 팻치병, 브라운 팻치병 및 벼 잎집무늬마름병을 일으키는 리조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와, 모 잘록병을 일으키는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에 항진균 활성이 강하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확인한 결과, 항균력이 강한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지하부 추출물을 이용하여 잔디의 라지 팻치병, 브라운 팻치병 또는 벼 잎집무늬마름병을 일으키는 리조토니아 솔라니(Rhizoctonia solani)와, 모잘록병을 일으키는 피티움 울티멈(Pythium ultimum)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갖는 유기농 소재로서 활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에서,
    상기 식물병의 병원균은 라이족토니아(Rhizoctonia) 속 균주이며,
    상기 식물병은 잔디 마름병, 모잘록병(Damping off) 및 벼 잎집무늬마름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잔디 마름병은 라지 팻치(Large patch) 또는 브라운 팻치(Brown Pa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핵산(n-hexane), 클로로폼(CHCl3), 에틸아세테이트(EtOAc),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급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 중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추출물은 메틸 유제놀(methyl eugenol), 메틸 이소유제놀(methyl isoeugenol), 엘레미신(elemicin), 이소엘레미신(isoelemicin), 알파-아사론(α-asarone), 베타-아사론(β-asarone) 또는 1,2,4-트리메톡시-5-비닐벤젠(1,2,4-trimethoxy-5-vinylbenze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의 조성물을 식물체 또는 재배 토양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 방법.
  9.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농약 제제.
  10. 건조된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Boesenbergia pulcherrima) 분쇄물에 용매를 첨가하여 침지시켜 추출물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물을 가압 여과하는 단계; 및,
    여과된 추출물을 35 내지 45℃ 순환 증발시켜 농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상기 식물병의 병원균은 라이족토니아(Rhizoctonia) 속 균주이며,
    상기 식물병은 잔디 마름병, 모잘록병(Damping off) 및 벼 잎짚무늬마름병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잔디 마름병은 라지 팻치(Large patch) 또는 브라운 팻치(Brown Pa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핵산(n-hexane), 클로로폼(CHCl3), 에틸아세테이트(EtOAc),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90012676A 2019-01-31 2019-01-31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102653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676A KR102653110B1 (ko) 2019-01-31 2019-01-31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676A KR102653110B1 (ko) 2019-01-31 2019-01-31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67A KR20200095067A (ko) 2020-08-10
KR102653110B1 true KR102653110B1 (ko) 2024-04-01

Family

ID=7204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676A KR102653110B1 (ko) 2019-01-31 2019-01-31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31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27300B (zh) * 2021-11-01 2023-06-02 中国农业科学院农业基因组研究所 异丁子香酚及其甲基化衍生代谢产物在抑制致病疫霉、防治植物病害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277B1 (ko) 2004-07-05 2006-04-26 김영권 모잘록병 방제용 길항균 및 이를 이용한 항균상토 및 그제조방법
KR100790562B1 (ko) 2006-12-07 2008-01-03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을 포함한 잔디병 치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619752B2 (ja) 2008-10-09 2014-11-05 ニュートゥリー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パンドラチン誘導体またはボエセンベルギアパンドラタ抽出物の新規な用途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ternational Food Research Journal, Vol.21, No.6, pp.2393-2398, 2014.
Plant Archives, Vol.19, Supplement 1, pp.515-521, 2019.
박찬주, "Boesenbergia pulcherrima 지하부로부터 시들음병 병원균에 대한 항균 활성물질 탐색", 경북대학교 농학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5067A (ko) 2020-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vlou et al. Biological control of root and stem rot of greenhouse cucumber,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radicis-cucumerinum, by lettuce soil amendment
TW201138632A (en) Active compound combinations
AU2016253008B2 (en) Methods for hydraulic enhancement of crops
CN107006258B (zh) 一种火龙果溃疡病的综合防控方法
KR20140040896A (ko) 은행잎 물 숙성물을 함유하는 살충제 또는 비료 조성물
CN113940221A (zh) 一种综合防控猕猴桃蒂腐病的方法
EP2755485A1 (en) Methods of enhancing health and/or promoting growth of a plant and/or of improving fruit ripening
KR102653110B1 (ko) 보에센베르기아 풀케리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20180133806A (ko) 리모넨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AU2018218164A1 (en) Agent for inducing stress tolerance in plants
Rajwanshi et al. Pre-and postharvest management practices for Litchi production in India
Jahan Investigation on foot and root rot of betel vine (Piper betle L.) in Kushtia district of Bangladesh
Matloob et al. The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 complement by addition Biological control agents on Rhizoctonia solani Kühn Causing of Eggplant root rot Disease
WO2011151766A2 (en) Insect and plant disease contro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thereof
MXPA06002036A (es) Patogenos de plantas supresores y pesticidas con auxinas aplicadas o inducidas.
KR102068267B1 (ko) 히노키티올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383789B1 (ko) 옻나무 추출물 및 황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30109646A (ko) 자귀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라이족토니아 시리얼리스 또는 라이족토니아 솔라니에 의한 식물병 방제제 조성물 및 방제 방법
Tomar et al. Neem: An Introduction
KR102360511B1 (ko) 플라보박테리움 속 tch3-2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의 환경 스트레스 내성 증진용 미생물 제제 및 이의 용도
KR100790562B1 (ko) 박새 및 붉노랑 상사화 추출물을 포함한 잔디병 치료용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horsheduzzaman et al. Evaluation of mosquito net barrier on cucurbit seedling with other chemical, mechanical and botanical approaches for suppression of red pumpkin beetle damage in cucurbit
Collingwood et al. Response of selected herbs to improved production practices
Medina-Urrutia et al. Organic mango production: a review Campo Experimental Tecomán, Mexico
PrakashRaja et al.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esticidal Action of Sambucus Nigra and Bombyx Processionea against Leucinodes Orbonalis in Solamum Melonge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