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304B1 - 비듬방지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듬방지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304B1
KR100560304B1 KR1020030081609A KR20030081609A KR100560304B1 KR 100560304 B1 KR100560304 B1 KR 100560304B1 KR 1020030081609 A KR1020030081609 A KR 1020030081609A KR 20030081609 A KR20030081609 A KR 20030081609A KR 100560304 B1 KR100560304 B1 KR 100560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druff
hair
cosmetic composition
hair cosmetic
egc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1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7810A (ko
Inventor
박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81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304B1/ko
Publication of KR20050047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7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듬방지용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비듬방지성분을 포함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비듬방지성분에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 의한 비듬방지용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종래에 비해 비듬방지 및 두피의 가려움증 제거가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비듬방지, 두피의 가려움증 제거

Description

비듬방지용 모발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Dandruff}
본 발명은 비듬방지용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비듬방지성분에 녹차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항산화효능이 우수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를 첨가함으로써 비듬방지 및 두피의 가려움증을 제거할 수 있는 비듬방지용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듬은 두피의 죽은세포가 자연적으로 떨어져나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피부에서의 때와 같은 것이다. 따라서 정상적인 비듬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아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비듬이라 하는 것은 두피의 각질세포가 두피에서 분비되는 피지, 땀 등과 뭉쳐 덩어리로 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비듬은 피지성분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산패 지방산이 두피 기저층 세포를 자극하여 세포 과증식을 유발시켜 발생되며 가려움증을 수반한다.
종래에는 두피상재균으로서 비듬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피티로스포룸오발레 (Pityrosporum ovale)에 대한 살균력이 우수한 항진균제들인 비듬방지제들은 인체 안전성에 문제가 있어 그 사용량이 법적으로 제한되어 있어서 비듬방지효과를 극대 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미합중국특허 등록번호 제2,809,971호, 제4,323,683호, 제4,345,080호, 제4,470,982호 및 유럽특허 등록번호 제285,388호에서는 두피 과각화 억제 및 항진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아연피리치온(아연-2-피리디네치올-1-옥사이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샴푸조성물을 게재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아연피리치온은 25℃의 물에 15ppm 밖에 녹지 않는 용해도가 매우 낮은 한계를 갖는 1㎛내외의 구상형태를 갖는 불수용성이며 비중이 큰 고체입자여서 모발화장료 조성물 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Gene A. Hyde and Mark M. Auerbach, Formulation Techniques for Zinc Pyrithione Antidandruff Shampoos. Cosmetics and Toiletries, 94, 57, April 1979.), 1% 이상을 첨가해야만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Marks, R. The effects of a shampoo containing Zinc pyrithione on the control of dandruff. Br J Dermatol 112. 415. 1985). 특히, 피부에 접촉성 피부염(Nielsen, N.H., Allergic contact dermatitis caused by zinc pyrithione associated with pustular psoriasis. Am J Contact Dermat. 8, 170, 1997)을 일으키며, 환경독성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따라서, 고농도로 모발화장료에 적용하기는 곤란하다. 그래서, 그 사용성에 있어서 제한되며 인체에 자극과 안정성의 문제로 미국 FDA(Food and Drug Adminstration)에 의해 그 함량이 규제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아연피리치온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물에 수용성이고, 효과 적인 항비듬균 효능을 나타내는 피록톤올아민(2(1H)-피리돈, 1-히드록시-4-메틸-6-(2,4,4-트리메틸펜틸)과 2-아미노에탄올 1:1)을 포함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이 알려져 있다(C T, Vol. 103, 49, February, 1988). 그러나, 이 성분 역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모발 화장료에 다량 첨가되어야 하며, 인체에 대한 안전성 문제로 인하여 그 사용량이 규제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참조: Cosmetics and Toiletries, 102, 6, Dec., 1987).
또한, 이외에도 클림바졸, 셀레늄설파이드, 케토코나졸 등도 두피에 존재하는 미생물인 피티로스포름오발레에 대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므로, 항비듬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두피에 항균제를 처리하여 두피미생물을 감소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비듬이 완전하게 감소하지 않는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비듬원인 미생물인 피티로스포름오발레가 성장하기 위해서는 고온·다습한 여름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비듬의 경우는 여름철보다는 겨울철에 훨씬 많이 존재한다. 이를 정리하면, 피티로스포름오발레에 의해 비듬이 발생하는 것은 비듬발생의 일부분일 뿐 전부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리고 두피미생물인 피티로스포름오발레의 증가는 비듬의 원인이 아니라, 비듬의 결과라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또한, 비듬증은 통상적으로 두피 가려움증을 수반한다. 이런 가려움은 두피에서 생성된 피지가 산패하여 생성된 유리지방산의 두피자극과 정상적으로 각화되지 않은 비듬세포가 박리할 때의 자극이 가려움증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추론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통상의 비듬방지 성분에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를 첨가함으로써 통상의 비듬방지성분을 소량 사용하며, 피지성분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유리지방산 생성을 억제시켜 각질세포의 과각화에 의한 비듬발생 및 두피 가려움증 제거효과가 우수한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비듬방지 성분을 포함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가 0.0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비듬방지 성분은 피록톤올아민(Piroctone Olamine), 아연피리치온(Zinc Pyrithione) 및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Iodopropynylbutyl Carbam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품형태가 샴푸, 헤어컨디셔너, 헤어토닉 또는 헤어크림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화장품에서 비듬방지 및 두피 가려움증 제거를 목적으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와 통상의 비듬방지성분을 함께 사용한다.
상기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는 녹차의 주성분인 카테킨류의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인체의 활성산소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유리기(free radical)을 정상화하는 항산화작용의 효과가 탁월하여 인체의 노화를 억제(Anti-Senescent activity)하며, 또한 비타민 흡수효과증대와 발암성 아질산염(Carcinogen nitrite) 생성억제작용으로 인해 의학적으로 질병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의 항산화작용에 착안하여 두피에서 분비되어 유리지방산이나 과산화지질로 산화되어 두피를 자극하여 과각화를 촉진시켜 비듬을 발생시키는 피지의 산화를 방지하여 비듬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의 사용량은 제한이 없으나, 그 함량은 0.001 내지 1.0중량%가 바람직하다. 그 사용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 비듬방지 및 두피의 가려움증 제거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현저한 효과의 상승이 없다.
상기 통상의 비듬방지 성분으로는 피록톤올아민(Piroctone Olamine, 상품명:Octopirox(Hoechst)), 아연피리치온(Zinc Pyrithione, 상품명:Zinc Omadine (Arch)) 및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Iodopropynylbutyl Carbamate, 상품명: Biodocarb C 450 또는 Biodocarb L 450(M & G), Omacide IPBC(Arch)) 등으로 이루 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하며, 또한 통상의 비듬방지 성분의 함량은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샴푸, 헤어컨디셔너, 헤어토닉, 헤어크림 등으로 제형화된다. 이들 각 제형의 조성물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하기에 당업자에 의해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과 첨가물을 함유하는 샴푸, 헤어컨디셔너, 헤어토닉 및 헤어크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샴푸 제조>
샴푸는 음이온계면활성제, 보습제, 모발보호성분, 물 등이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샴푸제형을 갖는 경우에는 30% 라우릴황산나트륨, 30%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황산나트륨,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물에 첨가한 후, 이 혼합물에 피록톤올아민을 첨가한 다음, 가온하여 용해시킨 후 냉각시킨다. 이 혼합물에 아연피리치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hydroxy Toluene(BHT)), 색소,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향료 및 구연산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냉각시켜 샴푸를 제조한다.
<헤어컨디셔너 제조>
헤어컨디셔너제형을 갖는 경우에는 세탄올,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75% 염화디스테아릴디메칠암모늄, 피록톤올아민을 물에 첨가한 다음, 가온하여 용해시킨 후 냉각시킨다. 이 혼합물에 아연피리치온, 에 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Butylhydroxy Toluene(BHT)), 색소, 향료 및 구연산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헤어컨디셔너를 제조한다.
<헤어토닉 제조>
헤어토닉 제형을 갖는 경우에는 무유성 헤어토닉은 30 내지 70%의 알코올 수용액에 살균제, 자극제 등을 용해시키고 향료를 첨가하고, 유성 헤어토닉은 순알코올에 살균제, 자극제 및 향료를 용해한 유지류 등을 첨가한다. 상기 혼합물들에 공지의 비듬방지성분인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및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를 첨가하여 헤어토닉을 제조한다.
<헤어크림 제조>
헤어크림 제형을 갖는 경우에는 밀랍, 유동 파라핀, 스테아르산, 라놀린, 향료, 방부제 및 기타 몇 가지 재료를 배합한 후, 상기 혼합물들에 공지의 비듬방지 성분인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및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를 첨가하여 헤어크림을 제조한다.
특히 샴푸, 헤어컨디셔너, 헤어토닉 및 헤어크림 등의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를 제외하고는 통상의 조성물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
하기의 표 1과 같은 조성비율로 30% 라우릴황산나트륨, 30% 폴리옥시에칠렌라우릴황산나트륨,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물에 첨가한 후, 이 혼합물에 본 발명에 따른 피록톤올아민을 첨가하여 온도가 60℃가 될 때까지 가온하여 균일하게 용해시킨 다음 40℃로 냉각시켰다. 이 혼합물에 아연피리치온,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hydroxy Toluene(BHT)), 색소,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향료 및 구연산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냉각시켜 샴푸를 제조하였다.
원료명(중량%)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라우릴황산나트륨(3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황산 나트륨(3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야자유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프로필렌글리콜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피록톤올아민 0.20 - 0.20 - - - 0.20 -
아연피리치온 - 0.20 - 0.20 - 0.20 - 0.20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EGCG) 0.05 0.05 0.10 0.10 - - - -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BHT) - - - - - - 0.05 0.05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향료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구연산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100 중량%가 될때까지 첨가시킨다.
상기 샴푸의 비듬방지 및 두피 가려움증 제거효과는 하기의 실험예 1 및 실험예 2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예 1]
비교적 비듬이 많은 40명을 선정하여 표 1과 같이 조성된 샴푸에 대하여 1개월 동안 시험하였다. 시험개시 전에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표 1의 샴푸 조성물로 세발하고 시험 종료후 3일간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평가하였다. 이때 누적된 비듬은 진공흡입장치를 사용하여 두피로부터 직접 채취하였고, 하기식에 의하여 비듬 감소율을 구하였다.
Figure 112003043459013-pat00001
또한, 비듬방지 효과는 비듬 감소율이 30%이상인 경우에만 실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평균비듬감소율(%) 비듬방지효과 있다(명) 비듬방지효과 없다(명) 잘 모르겠다(명)
실시예1 43.4 4 1 -
실시예2 49.5 4 - 1
실시예3 65.7 4 - 1
실시예4 71.2 5 - -
비교예1 4.8 - 5 -
비교예2 16.8 1 3 1
비교예3 21.1 1 2 2
비교예4 15.0 1 3 1
[실험예 2]
평소 가려움을 느끼는 사람중 무작위로 선정된 남여 40명에게 표 1과 같이 조성된 샴푸를 2일에 1회씩 8주간 사용하게한 후, 면접을 통하여 가려움증 완화여 부를 조사하였다. 평가는 다음의 기준에 의하여 피시험자가 주관적으로 평점을 메긴 후, 이를 평균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 평가기준 : 매우 좋다 - 평점 5
좋다 - 평점 4
보통이다 - 평점 3
없다 - 평점 2
전혀 없다 - 평점 1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두피 가려움 제거효과 3.8 4.0 4.2 4.4 1.4 2.4 2.2 2.0
상기의 표 2 및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와 통상의 비듬방지성분이 포함된 실시예1 내지 4의 샴푸가 기존의 종래의 방법에 의한 비교예1 내지 4의 샴푸에 비해 비듬방지 및 가려움증 제거 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 내지 8 및 비교예 5 내지 8]
하기의 표 4와 같은 조성비율로 세탄올, 자기유화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75% 염화디스테아릴디메칠암모늄, 피록톤올아민을 물에 첨가한 후, 이 혼합물의 온도가 65℃가 될 때까지 가온하여 균일하게 용해시킨 다음 40℃까지 냉각시켰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에 아연피리치온, 에피갈로카테킨 갈 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hydroxy Toluene(BHT)), 색소, 향료 및 구연산을 첨가하고 혼합한 후, 헤어컨디셔너를 제조하였다.
원료명(중량%) 실시예 비교예
5 6 7 8 5 6 7 8
세탄올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50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염화디스테아릴 디메칠암모늄(75%) 3.00 3.00 3.00 3.00 3.00 3.00 3.00 3.00
프로필렌글리콜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피록톤올아민 0.20 - 0.20 - - - 0.20 -
아연피리치온 - 0.20 - 0.20 - 0.20 - 0.20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EGCG) 0.05 0.05 0.10 0.10 - - - -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BHT) - - - - - - 0.05 0.05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향료 0.50 0.50 0.50 0.50 0.50 0.50 0.50 0.50
구연산 0.02 0.02 0.02 0.02 0.02 0.02 0.02 0.02
100 중량%가 될때까지 첨가시킨다.
상기 헤어컨디셔너의 비듬방지 효과는 하기의 실험예 3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험예 3]
비교적 비듬이 많은 40명을 선정하여 표 4와 같이 조성된 헤어컨디셔너에 대하여 1개월 동안 시험하였다. 시험개시 전에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통상의 헤어컨디셔너를 사용한 후,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표 4의 헤어컨디셔너 조성물을 사용하고 시험종료 후 3일간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평균비듬감소율(%) 비듬방지효과 있다(명) 비듬방지효과 없다(명) 잘 모르겠다(명)
실시예5 48.4 4 1 -
실시예6 54.9 4 1 -
실시예7 63.7 5 - -
실시예8 75.3 5 - -
비교예5 6.9 - 4 1
비교예6 10.9 - 2 3
비교예7 24.1 1 2 2
비교예8 12.5 - 3 2
상기의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GCG)와 통상의 비듬방지성분이 포함된 실시예 5 내지 8의 헤어컨디셔너가 기존의 종래의 방법에 의한 비교예 5 내지 8의 헤어컨디셔너에 비해 비듬방지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비듬방지용 모발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비듬방지성분에 녹차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항산화효능이 우수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를 첨가함으로써 비듬방지 및 두피의 가려움증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모발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EGCG) 0.001 내지 1.0중량%; 및
    피록톤올아민(Piroctone Olamine), 아연피리치온(Zinc Pyrithione) 및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Iodopropynylbutyl Carbam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비듬방지 성분;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발화장료 조성물의 제품형태가 샴푸, 헤어컨디셔너, 헤어토닉 또는 헤어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81609A 2003-11-18 2003-11-18 비듬방지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KR100560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09A KR100560304B1 (ko) 2003-11-18 2003-11-18 비듬방지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1609A KR100560304B1 (ko) 2003-11-18 2003-11-18 비듬방지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10A KR20050047810A (ko) 2005-05-23
KR100560304B1 true KR100560304B1 (ko) 2006-03-10

Family

ID=3724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1609A KR100560304B1 (ko) 2003-11-18 2003-11-18 비듬방지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677A (ko) 2014-08-18 2016-02-26 유민정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22067A1 (en) * 2005-08-11 2008-05-21 Medical College Of Georgia Research Institute Modified green tea polyphenol formulations
KR101257756B1 (ko) * 2006-08-21 2013-04-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비듬방지용 모발화장품 조성물
CN108272794A (zh) * 2018-01-17 2018-07-13 苏州大学 表没食子儿茶素没食子酸酯的应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677A (ko) 2014-08-18 2016-02-26 유민정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7810A (ko) 2005-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922B1 (ko) 검은 곡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조성물
KR20060049895A (ko) 항여드름제를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090095359A (ko) 그리포니아 추출물과 편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모발용 조성물
KR100560304B1 (ko) 비듬방지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KR20080109440A (ko) 비듬방지용 모발화장품 조성물
KR101257756B1 (ko) 비듬방지용 모발화장품 조성물
JPS6253917A (ja) 頭髪化粧料
KR0141416B1 (ko) 두발용 화장품 조성물
KR100448434B1 (ko) 비듬방지효과를갖는모발화장료조성물
KR102429344B1 (ko) 원지 또는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듬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9479B1 (ko) 비듬방지 모발용 조성물
KR100653007B1 (ko) 비듬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0170110B1 (ko) 비듬방지용 모발제품 조성물
KR0174807B1 (ko)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0154210B1 (ko) 두발 화장품 조성물
JP4492918B2 (ja) 抗菌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抗菌製品
KR100552923B1 (ko) 퀘르세틴을 함유하는 두발조성물
JP2002128687A (ja) 皮膚外用剤
KR100461087B1 (ko) 두발화장품조성물
KR100461085B1 (ko) 두발화장품조성물
JPS63119413A (ja) 頭髪化粧料
KR102048708B1 (ko) 항비듬 조성물
JP2023092422A (ja) 毛髪ケア組成物
KR19980074158A (ko) 비듬예방 및 치료용 모발제품 조성물
JP2003063943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