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007B1 - 비듬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듬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007B1
KR100653007B1 KR1020000007267A KR20000007267A KR100653007B1 KR 100653007 B1 KR100653007 B1 KR 100653007B1 KR 1020000007267 A KR1020000007267 A KR 1020000007267A KR 20000007267 A KR20000007267 A KR 20000007267A KR 100653007 B1 KR100653007 B1 KR 100653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ndruff
comparative example
people
composition
polyhexam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7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0251A (ko
Inventor
민두식
최수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00007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007B1/ko
Publication of KR20000030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3Guanid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듬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디요오도메칠-p-톨릴설폰, 클로로페녹시이미다졸일디메칠부탄온,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성분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용 제품은 비듬방지 효과와 두피 가려움증 제거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Description

비듬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DANDRUFF}
본 발명은 비듬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Polyhexamethylenebiguanidine salt)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통상의 비듬방지 성분과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듬은 두피의 죽은 세포가 자연적으로 떨어져나가는 것으로 일반 피부에서의 때와 같은 것이다. 따라서 정상적인 비듬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아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통상 비듬이라 하는 것은 두피의 각질세포가 두피에서 분비되는 피지, 땀등과 뭉쳐 덩어리로 된 것을 말한다. 이러한 비듬은 피지 성분이 분해되어 생성되는 산패 지방산이 두피 기저층 세포를 자극하여 세포 과증식을 유발시켜 발생되고 가려움증을 수반한다. 특히 두피상재균으로 비듬의 원인균으로 알려진 피티로스포름오발레(Pityrosporum ovale)가 피지 성분의 산패를 촉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 비듬 및 가려움증 치료, 예방을 목적으로 두발용 제품에 첨가되던 성 분으로는 아연피리치온이 있으나 이것은 수불용성이고 비중이 크기 때문에 조성물중에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눈에 대한 자극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참조:Gene A. Hyde and Mark M. Auerbach, "Formulation Techniques for Zinc Pyrithione Antidandruff Shampoos", Cosmetics and Toiletries, vol.94, p.57, April 1979; Fred H. Snyder 등 "Safety Evaluation of Zinc 2-Pyridiethiol 1-Oxide in Shampoo Formulation"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vol.7, p.425-437, 1965). 또한 아연피리치온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피록톤올아민 등을 모발용 제품 조성물에 첨가시키고 있으나 이 성분의 경우 비듬균에 대한 살균력이 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비듬예방, 살균 및 각질용해제로서 살리실산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것 역시 비듬균에 대한 살균력이 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통상적으로 기존의 비듬방지 모발제품에 사용되는 비듬방지 조성물은 비듬균에 대한 살균력이 떨어져 비듬방지 및 치료 효과가 낮다는 공통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여러가지 물질의 비듬균에 대한 살균력을 실험을 하던중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을 사용하면 적은량으로도 우수한 비듬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고 또한 통상의 비듬방지 성분들을 소량 함께 사용할 경우에도 탁월한 비듬예방 및 치료효과를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을 단독으로 함유하거나 통상의 비듬방지 성분인 피록톤올아민(Piroctone Olamine, 상품명:Octopirox(Hoechst)], 아연피리치온[Zinc Pyrithione, 상품명:Zinc Omadine(Olin)], 디요오도메칠-p-톨릴설폰 [Diiodomethyl-p-tolylsulfone, 상품명:Amial(Angus)], 클로로페녹시이미다졸일디메칠부탄온,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 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성분과 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예방 및 치료효과가 탁월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1종이상의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을 포함한다.
Figure 112000002778424-pat00002
상기 식에서, M은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의 염으로서 인산, 염산, 황산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n은 정수이다.
본 발명의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은 단독 사용시 0.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중량% 이하로 함유하는 경우 그 효과가 충분히 인정되지 않으며 2.0%이상 사용시에서는 그 효과가 함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성분의 낭비를 초래한다.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을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디요오도메칠- p-톨릴설폰, 클로로페녹시이미다졸일디메칠부탄온,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의 사용량은 0.001중량% 내지 0.5중량%에서도 그 비듬, 가려움증의 예방 및 치료 효과가 있었다.
본 발명 조성물은 샴푸, 헤어 컨디셔너, 헤어토닉, 헤어스프레이, 헤어 무스등의 통상적인 모발제품에 비듬, 가려움증의 예방 및 치료를 목적으로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 단독 또는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디요오도메칠-p-톨릴설폰, 클로로페녹시이미다졸일디메칠부탄온,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혼합 사용하는데 이 중에서 비듬방지 제형으로 많이 사용되는 샴푸, 헤어컨디셔너, 헤어토닉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7 및 비교예 1-5
표 1과 같은 조성비율로 30% 라우릴황산나트륨, 3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나트륨,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프로필렌글리콜 및 본 발명에 따른 아연피리치온, 디요오도메칠-p-톨릴설폰, 클로로페녹시이미다졸일디메칠부탄온중 1종을 물에 첨가시킨 후, 이 혼합물의 온도가 60℃가 될 때까지 가온하여 균일하게 용해시킨 다음 40℃까지 냉각시켰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에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 색소(청색 1호),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향료 및 구연산을 투입 혼합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샴푸형제제를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
원료명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라우릴황산나트륨(3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 황산나트륨(30%) 야자유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프로필렌글리콜 클로로페녹시이미다졸일디메칠부탄온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 아연피리치온 디요도도메칠-p-톨릴설폰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닌딘염 색소(청색 1호)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향료(조합향 SKP-3473)* 구연산 물 20.0 20.0 2.0 2.0 - - - - 0.2 적량 0.2 적량 적량 20.0 20.0 2.0 2.0 - - - - 0.5 적량 0.2 적량 적량 20.020.0 2.0 2.0 - - - - 1.5 적량 0.2 적량 적량 20.0 20.0 2.0 2.0 0.5 - - - 0.2 적량 0.2 적량 적량 20.0 20.0 2.0 2.0 - 0.5 - - 0.2 적량 0.2 적량 적량 20.0 20.0 2.0 2.0 - - 0.5 - 0.2 적량 0.2 적량 적량 20.0 20.0 2.0 2.0 - - - 0.5 0.05 적량 0.2 적량 적량 20.0 20.0 2.0 2.0 - - - - - 적량 0.2 적량 적량 20.0 20.0 2.0 2.0 0.5 - - - - 적량 0.2 적량 20.0 20.0 2.0 2.0 - 0.5 - - - 적량 0.2 적량 20.0 20.0 2.0 2.0 - - 0.5 - - 적량 0.2 적량 적량 20.020.0 2.0 2.0 - - 0.5 - 적량 0.2 적량 적량
중량 100%가 될 때까지 첨가시킨다.
*Hasegawa 제품
이와 같이 제조된 제품에 대하여 비듬 및 가려움증에 대한 효능효과 실험을 다음의 시험예에 따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2, 3 및 표 5에 각각 나타내었다.
비듬방지효과 시험예(1)
비듬이 비교적 많은 남녀 60명을 선정하여 표 1의 샴푸형제제에 대하여 1개월 동안 실험하였다. 시험 개시전에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상기 표 1에 나타낸 샴푸형제제 조성물로 2일에 한번씩 세발하여 시험 종료후 3일간에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때 누적된 비듬은 진공 흡입 장치를 사용하여 두피로부터 직접 채집했고, 다음식에 의거하여 비듬 감소율을 구하였다. 또한 비듬 방지 효과는 비듬 감소율이 25% 이상인 경우에만 실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Figure 112000002778424-pat00001
구 분 평균감소율(%) 비듬방지효과 있다 잘 모르겠다 비듬방지효과 없다
실시예 1 43.2 4명 - -
실시예 2 56.6 5명 - -
실시예 3 59.2 5명 - -
실시예 4 56.3 5명 - -
실시예 5 57.1 5명 - -
실시예 6 55.2 5명 - -
실시예 7 44.1 4명 1명 -
비교예 1 5.3 - 1명 4명
비교예 2 20.8 2명 1명 2명
비교예 3 35.8 3명 1명 1명
비교예 4 25.8 2명 1명 2명
비교예 5 20.6 1명 2명 2명
비듬방지효과 시험예(2)
표 1의 각 샴푸형제제를 콘오일(corn oil)이 함유된 와이엠 액체배지(Ym broth)에 각각 5, 1, 0.5, 0.1, 0.05, 0.01 및 0.005중량%로 첨가하고 피티로스포름 오발레를 105-106CFU(Colony Forming Unit)/ml의 양으로 접종하여 2일간 배양한 다음, 최소 미생물 억제농도(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와 최소 미생물 사멸농도(MBC,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구 분 최소 미생물 억제농도(MIC, %) 최소 미생물 사멸농도(MBC, %)
실시예 1 0.005-0.01 0.01-0.05
실시예 2 0.005이하 0.005-0.01
실시예 3 0.005이하 0.005-0.01
실시예 4 0.005이하 0.005-0.01
실시예 5 0.005이하 0.005-0.01
실시예 6 0.005이하 0.005-0.01
실시예 7 0.005-0.01 0.01-0.05
비교예 1 0.5-1 5이상
비교예 2 0.05-0.1 0.1-0.5
비교예 3 0.05-0.1 0.1-0.5
비교예 4 0.05-0.1 0.1-0.5
비교예 5 0.05-0.1 0.1-0.5
가려움증 제거 효과 시험예(1)
평소 가려움을 느끼는 남녀 60명을 선정하여 표 1의 제품을 2일에 1회씩 8주간 사용 후, 면접을 통하여 표 4의 평가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 가 기 준
평 가 구 분 (가려움증 감소 효과) 평 점
매우 있다. 5
있 다. 4
보통이다. 3
없 다. 2
전혀없다. 1
구 분 실시 예1 실시 예2 실시 예3 실시 예4 실시 예5 실시 예6 실시 예7 비교 예1 비교 예2 비교 예3 비교 예4 비교 예5
두피 가려움 감소 효과 3.6 3.8 4.0 3.8 3.8 3.8 3.6 2.2 2.8 3.0 3.0 2.8
상기 표 2, 3 및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이 함유된 실시예 1, 2, 및 3의 샴푸형제제가 비교예 1의 샴푸형제제 보다 비듬, 가려움증 방지 효과가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의 함유 농도에 비례하여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 온, 디요오도메칠-p-톨릴설폰, 클로로페녹시이미다졸일디메칠부탄온,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혼합 사용한 실시예 4, 5, 6, 7의 샴푸형제제가 비교예 2, 3, 4, 5의 샴푸형제제 보다 우수한 비듬, 가려움증 감소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13 및 비교예 6-9
표 6과 같은 조성비율로 세탄올,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델, 25% 염화스테아릴디메칠벤질암모늄, 프로필레글리콜 및 본 발명에 따른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클로로페녹시이미다졸일디메칠부탄온 중 1종을 75℃까지 가온하여 녹인 후 이 혼합물을 75℃로 가열된 정제수에 넣고 유화시킨 다음 40℃까지 냉각시켰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에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 색소, 향료 및 구연산을 투입 혼합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헤어 컨디셔너형제제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제품에 대하여 비듬 및 가려움증에 대한 효능효과 실험을 다음의 시험예에 따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7,8 및 표 10에 각각 나타내었다.
(단위 : 중량%)
원료명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비교예6 비교예7 비교예8 비교예9
세탄올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염화스테아릴디메칠 벤질 암모늄(25%) 프로필렌글리콜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클로로페녹시이미다졸일디메칠부탄온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 색소(적색 40호) 향료(조합향 SKP-3473)* 구연산 물 3.0 1.5 0.2 8.0 2.0 - - - 0.2 적량 적량 적량 3.0 1.5 0.2 8.0 2.0 - - - 0.5 적량 적량 적량 3.0 1.5 0.2 8.0 2.0 - - - 1.5 적량 적량 적량 3.0 1.5 0.2 8.0 2.0 1.0 - - 0.05 적량 적량 적량 3.0 1.5 0.2 8.0 2.0 - 0.5 - 0.2 적량 적량 적량 3.0 1.5 0.2 8.0 2.0 - - 0.5 0.2 적량 적량 적량 3.0 1.5 0.2 8.0 2.0 - - - - 적량 적량 적량 3.0 1.5 0.2 8.0 2.0 1.0 - - - 적량 적량 적량 3.0 1.5 0.2 8.0 2.0 - 0.5 - - 적량 적량 적량 3.0 1.5 0.2 8.0 2.0 - 0.5 - 적량 적량 적량
중량 100%가 될 때까지 첨가시킨다.
*Hasegawa 제품
비듬방지효과 시험예(3)
비듬이 비교적 많은 남녀 50명을 선정하여 표 6의 헤어 컨디셔너형제제에 대하여 1개월 동안 실험하였다. 시험 개시전에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통상의 헤어 컨디셔너로 헹군후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상기 표 6에 나타낸 헤어 컨디셔너형제제의 조성물로 2일에 한번씩 사용하고 시험 종료후 3일간에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 시험기간중 샴푸는 시험개시전에 사용하던 샴푸를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비듬 감소율이 25% 이상인 경우에만 실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으며, 비듬의 채집 및 비듬감소율은 상기 실시예 1-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구 분 평균감소율(%) 비듬방지효과 있다 잘 모르겠다 비듬방지효과 없다
실시예 8 44.5 4명 1명 -
실시예 9 53.3 4명 1명 -
실시예 10 58.4 5명 - -
실시예 11 43.7 4명 1명 -
실시예 12 55.5 5명 - -
실시예 13 54.1 4명 1명 -
비교예 6 5.4 - 1명 4명
비교예 7 20.1 1명 1명 3명
비교예 8 28.5 2명 2명 1명
비교예 9 25.5 2명 2명 1명
비듬방지효과 시험예(4)
표 6의 각 헤어 컨디셔너형제제를 콘오일(corn oil)이 함유된 와이엠 액체배지(Ym broth)에 각각 5, 1, 0.5, 0.1, 0.05, 0.01 및 0.005중량%로 첨가하고 피티로스포름 오발레를 105-106CFU(Colony Forming Unit)/ml의 양으로 접종하여 2일간 배양한 다음, 최소 미생물 억제농도(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와 최소 미생물 사멸농도(MBC,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표 8에 나타내었다.
구 분 최소 미생물 억제농도(MIC, %) 최소 미생물 사멸농도(MBC, %)
실시예 8 0.005-0.01 0.01-0.05
실시예 9 0.005이하 0.005-0.01
실시예 10 0.005이하 0.005-0.01
실시예 11 0.005-0.01 0.01-0.05
실시예 12 0.005이하 0.005-0.01
실시예 13 0.005이하 0.005-0.01
비교예 6 0.5-1 5이상
비교예 7 0.1-0.5 0.5-1
비교예 8 0.05-0.1 0.1-0.5
비교예 9 0.05-0.1 0.1-0.5
가려움증 제거 효과 시험예(2)
평소 가려움을 느끼는 남녀 50명을 선정하여 표 6의 제품을 2일에 1회씩 8주 간 사용후, 면접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이 시험기간중 샴푸는 평소 사용하던 샴푸를 사용하게 하였다.
평 가 기 준
평 가 구 분 (가려움증 감소 효과) 평 점
매우 있다. 5
있 다. 4
보통이다. 3
없 다. 2
전혀없다. 1
구 분 실시 예8 실시 예9 실시 예10 실시 예11 실시 예12 실시 예13 비교 예6 비교 예7 비교 예8 비교 예9
두피 가려움 감소 효과 3.6 3.8 3.8 3.6 3.8 3.8 1.8 2.4 3.2 3.0
상기 표 7, 8 및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이 함유된 실시예 8, 9 및 10의 헤어 컨디셔너형제제가 비교예 6의 헤어 컨디셔너형제제 보다 비듬, 가려움증 방지 효과가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의 함유 농도에 비례하여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클로로페녹시이미다졸일디메칠부탄온 중 1종을 혼합 사용한 실시예 11, 12, 13의 헤어 컨디셔너형제제가 비교예 6, 7, 8의 헤어 컨디셔너형제제 보다 우수한 비듬, 가려움증 감소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4-18 및 비교예 10-12
표 11과 같은 조성비율로 에탄올에 I-멘톨, D-판테놀, 프로필렌글리콜, 색소 및 향료를 혼합하여 용해한 후 미리 물에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및 본 발명에 따른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 단독 또는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 및 피 록톤올아민, 디요오도메칠-p-톨릴설폰 중 1종을 혼합 교반하여 만든 용액을 혼합하여 헤어토닉형제제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제품에 대하여 비듬 및 가려움증에 대한 효능효과 실험을 다음의 시험예에 따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2 및 표 14에 나타내었다.
(단위 : 중량%)
원 료 명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에탄올 I-멘톨 D-판테놀 프로필렌글리콜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 피록톤올아민 디요오도메칠-p-톨릴설폰 색소(청색 1호) 향료(조합향 SKP-3473)*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물 50.0 0.1 0.5 1.0 0.2 - - 적량 적량 0.5 50.0 0.1 0.5 1.0 0.2 - - 적량 적량 0.5 50.0 0.1 0.5 1.0 0.2 - - 적량 적량 0.5 50.0 0.1 0.5 1.0 0.2 1.0 - 적량 적량 0.5 50.0 0.1 0.5 1.0 0.05 - 0.5 적량 적량 0.5 50.0 0.1 0.5 1.0 - - - 적량 적량 0.5 50.0 0.1 0.5 1.0 - 1.0 - 적량 적량 0.5 50.0 0.1 0.5 1.0 - - 0.5 적량 적량 0.5
중량 100%가 될 때까지 첨가시킨다.
*Hasegawa 제품
비듬방지효과 시험(5)
비듬이 비교적 많은 남자 40명을 선정하여 표 11의 헤어토닉형제제에 대하여 1개월 동안 실험하였다. 시험 개시전에 통상의 샴푸로만 세발하고 3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중량을 측정한 비듬의 양과 통상의 샴푸로 2일에 한번씩 세발하면서 1일 1회 상기 표 11에 따른 헤어토닉형제제를 사용하여 시험 종료후 3일간에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 시험기간중 샴푸는 시험개시전에 사용하던 샴푸를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비듬 감소율이 25% 이상인 경우에만 실제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으며, 비듬의 채집 및 비듬감소율은 상기 실시예 1-7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구 분 평균감소율(%) 비듬방지효과 있다 잘 모르겠다 비듬방지효과 없다
실시예 14 50.4 4명 1명 -
실시예 15 55.3 4명 1명 -
실시예 16 60.4 5명 - -
실시예 17 55.7 4명 1명 -
실시예 18 49.1 4명 1명 -
비교예 10 7.3 1명 3명 1명
비교예 11 25.5 2명 1명 2명
비교예 12 29.8 3명 1명 1명
가려움증 제거 효과 시험(3)
평소 가려움을 느끼는 남자 40명을 선정하여 표 11의 제품을 1일에 1회씩 4주간 사용후, 면접을 통하여 평가하였다. 이 시험기간중 샴푸는 평소 사용하던 샴푸를 사용하게 하였다.
평 가 기 준
평 가 구 분 (가려움증 감소 효과) 평 점
매우 있다. 5
있 다. 4
보통이다. 3
없 다. 2
전혀없다. 1
구 분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실시예 17 실시예 18 비교예 10 비교예 11 비교예 12
두피 가려움 감소 효과 3.8 4.0 4.0 4.0 3.8 2.4 3.2 3.2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 단독 사용 또는 폴리헥 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과 피록톤올아민, 디요오도메칠-p-톨릴설폰 중 1종을 혼합 사용한 실시예 14-18가 비교예 10-12보다는 가려움 방지 효과 면에서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비듬 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에 비해 어떤 제형에 사용하더라도 우수한 비듬방지 및 치료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비듬 방지제로 하기 일반식(Ⅰ)로 표시되는 1종 이상의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을 0.1~2.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
    Figure 112006054733710-pat00004
    상기식에서, M은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의 염으로서 인산, 염산, 황산 중에서 선택되며, n은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디요오도메칠-p-톨릴설폰, 클로로페녹시이미다졸일디메칠부탄온,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를 포함한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상기 일반식(Ⅰ)의 폴리헥사메칠렌비구아니딘염이 0.001~0.5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듬방지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000007267A 2000-02-16 2000-02-16 비듬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53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267A KR100653007B1 (ko) 2000-02-16 2000-02-16 비듬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7267A KR100653007B1 (ko) 2000-02-16 2000-02-16 비듬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251A KR20000030251A (ko) 2000-06-05
KR100653007B1 true KR100653007B1 (ko) 2006-11-30

Family

ID=19646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7267A KR100653007B1 (ko) 2000-02-16 2000-02-16 비듬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0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160B1 (ko) * 2011-04-04 2013-03-2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사포닌 Rg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모용 주사제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717A (en) * 1980-06-20 1982-01-19 Nippon Shinyaku Co Ltd Germicidal composition
JPS59101425A (ja) * 1982-12-02 1984-06-12 Ueno Seiyaku Kk 畜産動物の伝染性疾患の抑制方法
US5069907A (en) * 1990-03-23 1991-12-03 Phoenix Medical Technology Surgical drape having incorporated therein a broad spectrum antimicrobial agent
US6031119A (en) * 1996-07-08 2000-02-29 Yukong Limited Polyalkylene guanidine salts or polyalkylene biguanidine salts having a branched silane compound,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uses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9717A (en) * 1980-06-20 1982-01-19 Nippon Shinyaku Co Ltd Germicidal composition
JPS59101425A (ja) * 1982-12-02 1984-06-12 Ueno Seiyaku Kk 畜産動物の伝染性疾患の抑制方法
US5069907A (en) * 1990-03-23 1991-12-03 Phoenix Medical Technology Surgical drape having incorporated therein a broad spectrum antimicrobial agent
US6031119A (en) * 1996-07-08 2000-02-29 Yukong Limited Polyalkylene guanidine salts or polyalkylene biguanidine salts having a branched silane compound,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us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251A (ko) 200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3922B1 (ko) 검은 곡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조성물
EP1238645A2 (de) Antischuppenmittel
CN110831565A (zh) 局部用组合物
KR20170046419A (ko) 모발 및 두피개선용 조성물
EP3723714B1 (en) Propanediol monoacetate mononitrate
JPS6253917A (ja) 頭髪化粧料
EP0914816A1 (en) Scalp care compositions
KR100653007B1 (ko) 비듬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080109440A (ko) 비듬방지용 모발화장품 조성물
KR101257756B1 (ko) 비듬방지용 모발화장품 조성물
DE102004012009A1 (de) Antischuppenmittel
KR100560304B1 (ko) 비듬방지용 모발화장료 조성물
KR102630903B1 (ko) 신규 용도
KR100448434B1 (ko) 비듬방지효과를갖는모발화장료조성물
KR100719479B1 (ko) 비듬방지 모발용 조성물
KR102674723B1 (ko) 국소 조성물
KR0154210B1 (ko) 두발 화장품 조성물
KR970005241B1 (ko) 두발화장품 조성물
KR101351470B1 (ko) 클림바졸을 함유한 비듬 방지용 모발 컨디셔너 조성물
KR19980074158A (ko) 비듬예방 및 치료용 모발제품 조성물
KR960004012B1 (ko) 죽염을 함유하는 두발화장품 조성물
KR0170110B1 (ko) 비듬방지용 모발제품 조성물
KR19980044042A (ko) 비듬방지 효과를 갖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0461085B1 (ko) 두발화장품조성물
KR100454149B1 (ko) 해면추출액을 함유하는 모발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