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916Y1 -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916Y1
KR970004916Y1 KR2019940006371U KR19940006371U KR970004916Y1 KR 970004916 Y1 KR970004916 Y1 KR 970004916Y1 KR 2019940006371 U KR2019940006371 U KR 2019940006371U KR 19940006371 U KR19940006371 U KR 19940006371U KR 970004916 Y1 KR970004916 Y1 KR 9700049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optical axis
fixing plate
cam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6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960U (ko
Inventor
복기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6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916Y1/ko
Publication of KR950028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9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9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9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04N9/3135Driving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 G02B27/1073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characterized by manufacturing or alignmen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
제1도는 종래 투광기의 구성도
제2도는 종래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 광축 정렬장치가 결합된 투광기의 구성도
제4도는 본 고안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로서,
(a)는 렌즈 크기가 가장 큰 상태에서의 상태도
(b)는 (a) 상태에서 고정간의 간격을 좁히기 위하여 회전시키는 상태도
(c)는 렌즈 크기가 가장 작은 상태에서의 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 광축 정렬장치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6 : 레이저다이오드 107 : 고정판
108 : 경통외곽 111 : 안내홈
113 : 고정간 115 : 캠
116 : 캠홈
본 고안은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광기의 생산시 음극선관과 미러, 스크린의 광축을 용이하게 정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투광기는 제1도와 같이 R, G, B 3원색이 투사되는 음극선관(1)과 상기 음극선관(1)을 통하여 나오는 화상을 확대 투사시키는 투사렌즈(3)와, 상기 투사렌즈(3)을 통하여 확대 투사된 화상을 반사시키는 미러(4)와, 상기 미러(4)에 의하여 반사된 화상을 결상시키는 스크린(5)으로 구성되었다.
상기 스크린(5)은 전술한 바와 같이 화상을 결상시키는 장치로서 일종의 렌즈이며, 대물방향으로 설치된 프레넬렌즈(FresNel Lens)와 시청자 방향으로 설치된 렌티큐러 렌즈(LentiCular Lens)의 2매 구성으로 된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프레넬렌즈는 미러(4)에서 반사된 화상을 평행광으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기능을 통해서 이 프레넬렌즈는 주어진 피치를 갖는 동성을 지니며 따라서 그 중심이 존재하게 되며 그 중심은 광축에 일치해야 한다.
한편, R, B색에 있어서 음극선관의 형광면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음극선관상의 래스팅(Rsting)형상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는데 이는 스크린(5)상에서 광축의 중심으로 나타내며 그 크기는 정확히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음극선간의 세부광학구조의 정열을 제외하고 장치상에서 반드시 구현하여야 할 정열은 G-렌즈, 광축과 프레넬 스크린 중심과 일치시키고, R, B-Lens광축과, G-LENS 광축간의 정확한 중심 이동량의 구현과, 스크린과 광축간의 각도에 대한 설계치 만족과, 광축과 미러 반사 중심에 대한 설계치 만족등이 투광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설계시 그 공차에 대한 분석을 행하여야 하며 제로된 세트에 대해서는 설계치 만족여부에 대한 검증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투광기의 초기 모델 개발시에는 음극선관, 미러, 스크린 등의 광학부품을 서로 교체해 보면서 요구하는 성능을 만족하는지 확인하게 되는데 주로 렌즈와 스크린을 교체하면서 평가작업을 행한다.
이러한 평가를 위해서는 렌즈의 중심에서 발광하는 실제 광원과 독립된 광원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흔히 레이저 다이오드(6)를 사용하게 된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6)는 제2도의 (a)와 같이 고정간(7)에 고정하고, 상기 고정간(7)을 경통외곽(8)에 고정하였다.
또 다른 방법으로 제2도의 (b)와 같이 중심일치에 대한 허용치를 줄이기 위하여 레이저 다이오드(6')가 고정되는 고정간(7')을 십자형으로 구성하여 정통외곽(8')에 고정하였다.
상기의 장치와 방법으로 요소에 대한 정열을 검증하는 것은 어느 정도 부합한다고 할 수 있으나, 요구되는 성능에 대한 최적 부품을 찾아내기 위해 렌즈등을 교체할 시에는 렌즈 중심에 레이저 다이오드를 고정시키는 고정간을 제작하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생산라인중의 조정라인 및 검사라인에서 상기의 평가를 행할시에는 각 모델별로 각각의 측정기구를 따로 준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음극선관과 미러 및 스크린간의 배열을 측정하기 위하여 광원을 발광하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고정된 고정판을 회전시켜 경통외곽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정판에 다수개 형성된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간과, 상기 고정판을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간이 직경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통외곽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투광기의 광축 정열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 투광기의 광축 정열장치를 제3도 내지 제5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제5도와 같이 R, G, B 3원색이 투사되는 음극선관(101)과 상기 음극선관(101)을 통하여 나오는 화상을 확대 투사시키는 투사렌즈(102)와, 상기 투사렌즈(102)를 통하여 확대 투사된 화상을 반사시키는 미러(103)와, 상기 미러(103)에 의하여 반사된 화상을 결상시키는 스크린(104)으로 구성된 투광기에 있어서, 상기 투광기의 광축을 정열하는 본 고안 광축 정열장치는 제3도 및 제4도와 같이 음극선관(101)과 미러(103) 및 스크린(104)간의 배열을 측정하기 위하여 광원(105)을 발광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06)가 이 고정된 고정판(107)을 회전시켜 투사렌즈(102)에 장착된 경통외곽(108)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07)에는 레이저 다이오드(106)가 고정된 고정대(109)와, 상기 고정대(109)의 하부를 고정판(107)의 상부에 대고 하부에는 결합나사(110)로 고정시키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고정수단은 고정판(107)에 다수개 형성된 안내홈(111)과, 상기 안내홈(111)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홈(112)이 형성된 고정간(113)과, 상기 고정판(107)을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간(113)이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통외곽(108)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결합나사(110)의 하부에 대고 고정나사(114)로 고정한 캠(115)과, 상기 캠(115)에 형성된 캠홈(116)과, 상기 캠홈(116)에는 고정판(107)의 안내홈(111)에 삽입된 고정간(113)의 삽입홈(112)이 삽입되게 구성하였다.
그리고 미설명부호 117은 고정간(113)과 경통외곽(108)과의 결합시 흔들림을 방지하고 조립을 원활히 하는 흔들림 방지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축 정열장치는 투광기의 음극선관(101)과 미러(103), 스크린(104)과의 광축의 일치에 대한 평가를 행하기 위한 것으로 이 광학구조의 교체를 대비하여 광원(105)를 발광하는 레이저 다이오드(106)를 분리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106)를 투사렌즈(102)가 형성된 경통외곽(108)에서 분리코저 할때는 고정판(107)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115)의 캠홈(116)에 삽입홈(112)이 삽입되어져 있는 고정간(113)이 캠홈(116)을 따라 이동한다.
이와 같이 고정간(113)이 캠홈(116)을 따라 이동하려면 직경방향으로 이동이 되어야 하는데 이때 고정판(117)에 형성된 안내홈(111)에 따라 고정간(113)이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대향된 고정간(113)들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경통외곽(108)에 결합되어진 고정간(113)이 분리되기 대문에 레이저 다이저 다이오드(106)가 고정되어져 있는 고정판(107)을 분리한다.
그리고, 경통외곽(108)을 교체한 다음 교체된 경통외곽에 본 고안의 정열장치를 올려놓은 다음 고정판(107)을 제4도의 (b)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고정판(107)이 회전함에 따라 고정판(107)의 안내홈(111)에 삽입되고 캠(115)의 캠홈(116)에 삽입된 고정간(113)이 중심방향으로 이동되면서 대향진 고정간(113)이 차차 좁아지면서 고정간(113)이 경통외곽(108)에 밀착됨과 더불어 본 고안의 정열장치가 경통외곽(108)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경통외곽(108)에 정열장치를 고정하면 경통외곽(108)의 구경에 관계없이 레이저 다이오드(106)의 중심을 유지하여 준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장치에서 제4도의 (a)는 구현가능한 최대 직경이며, 고정판(107)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4도의 (c)와 같이 된 상태는 구현가능한 최소반경이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본 고안의 장치는 렌즈구경의 변화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의 중심을 렌즈의 광축에 일치시킬 수 있어 효과적인 정열을 평가 가능케 하였다.
본 고안은 변화하는 직경에 대하여 측정점인 레이저 다이오드를 그 원의 중심에 항상 일치되도록 고안되어 렌즈의 교체에 따른 평가장치의 재 제작에 따른 시간 및 비용의 낭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엔지니어링 및 생산라인에 적용하여 공수를 줄이고 따라서 생산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는 고안이다.

Claims (4)

  1. 음극선관과 미러 및 스크린간의 배열을 측정하기 위하여 광원을 발광하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고정된 고정판을 회전시켜 경통외곽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판에는 레이저 다이오드가 고정되는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하부를 고정판의 상부에 대고 하부에서 결합나사로 고정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은 고정판에 다수개 형성된 안내홈과,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간과, 상기 고정판을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간이 직경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통외곽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은 상기 결합나사의 하부에 대고 고정나사로 고정한 캠과, 상기 캠에 형성된 캠홈과, 상기 캠홈에는 고정판의 안내홈에 삽입된 고정간의 삽입홈이 삽입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
KR2019940006371U 1994-03-29 1994-03-29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 KR9700049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371U KR970004916Y1 (ko) 1994-03-29 1994-03-29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6371U KR970004916Y1 (ko) 1994-03-29 1994-03-29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960U KR950028960U (ko) 1995-10-20
KR970004916Y1 true KR970004916Y1 (ko) 1997-05-21

Family

ID=1937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6371U KR970004916Y1 (ko) 1994-03-29 1994-03-29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9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960U (ko) 1995-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49291A1 (en) Rotatable projection lens and projector
JP6670388B2 (ja) 投射レンズ及びプロジェクタ
CN209460563U (zh) 投影透镜及投影仪
JP4902184B2 (ja) 微小ミラー型表示素子を備える投射型表示装置
US2007000228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ojection optical system and projection optical system
US20100118283A1 (en) Light source unit and image display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16139114A (ja) 投写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WO2016121299A1 (ja) 投写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US7161745B2 (en) Aperture stop mechanism, illumination optical system, projection optical system, and projector
US7111945B2 (en) Projector
US2442564A (en) Device for camera or projector lenses for producing reversed images
US6089730A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projector
US7997740B2 (en) Integrator unit
KR970004916Y1 (ko)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
JP4557204B2 (ja) 投映型画像表示装置
JP6578892B2 (ja) 投写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KR20010039392A (ko)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
KR19980068378A (ko) 액정 프로젝터의 광학장치
JP6623693B2 (ja) 投写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JP6036895B2 (ja) 投写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JPH1172844A (ja) 液晶プロジェクタ、投写型液晶表示装置、之に用いられるランプユニット、ランプ構成体及びランプ、ランプユニットの組立方法、ランプユニットの光軸調整用治具、並びにコネクタ装置
JP2593870Y2 (ja) 照明装置
KR100200651B1 (ko) 프로젝터용 조명장치
JP2017078733A (ja) 投写光学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
JP2004347646A (ja) プロジェクタ装置用鏡筒およびプロジェ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