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9392A -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 - Google Patents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9392A
KR20010039392A KR1019990047761A KR19990047761A KR20010039392A KR 20010039392 A KR20010039392 A KR 20010039392A KR 1019990047761 A KR1019990047761 A KR 1019990047761A KR 19990047761 A KR19990047761 A KR 19990047761A KR 20010039392 A KR20010039392 A KR 20010039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housing
projector
light
projection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47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39392A/ko
Publication of KR20010039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39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53Means for automatic focusing, e.g. to compensate thermal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베이스에 설치되며, 내부에 반사미러가 설치된 하우징과; 입사된 광을 반사미러로 투영시키는 후군렌즈를 가지며, 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시 광의 축방향으로 위치조정되는 후군경통과; 하우징에 고정되며, 반사미러에서 반사된 광을 소정 스크린으로 확대 투영시키는 전군렌즈를 가지는 전군경통;을 포함하여, 후군경통의 위치조정에 의해 전군경통에서 확대 투영되는 광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Projection-lens installing structure for 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광축방향으로 투사렌즈의 위치조정이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의 스크린에 영상을 재현하는 영상표시장치에는 상기 스크린에 영상을 생성하여 확대투사하기 위한 프로젝터가 설치된다. 이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방식에 따라 배면투사형과 전면투사형의 두가지 타입으로 구분된다.
배면투사형 영상투사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1)가 스크린(7)과 함께 캐비넷(5)에 장착되어 그 프로젝터(1)로부터 투사된 영상이 캐비넷(5) 내에 경사지게 설치된 반사경(6)에 반사되어 스크린(7)의 배면으로 투영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 프로젝터(1)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2)과,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생성부(3)와, 상기 영상생성부(2)를 통과한 영상을 확대 투사시키는 투사렌즈장치(4)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투사렌즈장치(4)에서 최종 출사된 영상은 원거리의 경로를 거친 후 스크린(7)으로 투사되는 구조이므로, 투사렌즈장치(4)에서의 초기 출사각도 즉, 상기 투사렌즈장치(4)의 위치가 조금만 틀어지더라도 스크린에 맺히는 영상의 광축은 그 축의 초점으로부터 상당히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스크린에 맺히는 영상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종래의 투사렌즈 설치구조체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캐비넷에 설치되는 베이스(10)에 다수의 투사렌즈가 설치된 하우징(11)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1)은 복수의 나사(13)에 의해 베이스(10)에 고정된다. 하우징(11)과 베이스(10) 사이에는 하우징(11)의 광축방향(A)으로의 위치조정을 위한 캠부재(15)가 설치된다. 상기 캠부재(1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에 광축방향(A)으로 형성된 장공(11a)에 결합되는 주축(15a)을 가지며, 베이스(10)에 상기 광축방향(A)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장홈(10a)에 삽입되는 종축(15b)을 구비한다. 상기 주축(15a)과 종축(15b)은 몸체(15c)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비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나사(13)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주축(15a)을 회전시키면 하우징(11)은 광축방향(A)으로 위치이동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하우징(11)을 광축방향(A)으로 위치조정하여 스크린에 맺히는 영상의 초점을 조정한 후, 상기 나사(13)를 조여서 하우징(11)을 베이스(10)에 조정하면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는, 상기 나사(13)를 모두 풀러놓은 상태에서 하우징(11) 전체를 이동시키면서 광의 초점을 조정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다. 또한, 나사(13)와 주축(15a)이 통과하는 장공(11a)에는 유격이 있으므로, 이러한 유격에 의해 하우징(11)의 위치조정시 광축방향(A)으로부터 벗어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정밀한 위치조정이 힘들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입사된 광의 광축방향의 조정이 용이하고, 광축방향 조정시 투사렌즈가 광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도록 개선된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영상표시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Ⅰ-Ⅰ선을 따라 절개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베이스 21..반사미러
23..나사공 25..고정나사
30..후군경통 35..후군렌즈
40..전군경통 45..전군렌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는, 베이스에 설치되며, 내부에 반사미러가 설치된 하우징과; 입사된 광을 상기 반사미러로 투영시키는 후군렌즈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광의 축방향으로 위치조정되는 후군경통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반사미러에서 반사된 광을 소정 스크린으로 확대 투영시키는 전군렌즈를 가지는 전군경통;을 포함하여, 상기 후군경통의 위치조정에 의해 상기 전군경통에서 확대 투영되는 광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사렌즈 설치구조체는, 내부에 반사미러(21)가 설치된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에 설치된 후군경통(30) 및 전군경통(40)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20)은 프로텍터의 캐비넷(미도시)에 설치되는 베이스(22)에 복수의 나사(S)에 의해 설치된다. 또한, 하우징(20)은 상기 후군경통(30)이 설치되는 광입구(20a)와, 전군경통(40)이 설치되는 광출구(20b)를 가진다. 상기 반사미러(21)는 하우징(20) 내에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후군경통(30)을 통과한 광을 전군경통(40) 쪽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후군경통(30)에는 입사되는 광을 상기 반사미러(21)로 투과시키기 위해 복수의 투사레즈(31,32,33)로 구성된 후군렌즈(3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입사광은 소정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출사된 후 LCD패널(51)을 포함하는 영상생성부(50)를 거쳐서 입사된다. 또한, 상기 후군경통(30)은 상기 광입구(20a)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광의 축방향(A)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후군경통(30)의 외주와 상기 광입구(20a)의 결합부에는 나사선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되며, 다른 대안으로 광입구(20a)에 후군경통(30)과 나사결합되는 보조경통(24)이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후군경통(30)의 단부에는 회전손잡이부(30a)가 마련된다. 이 회전손잡이부(30a)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쉽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외주면에 소정 거칠기를 갖는다.
상기 전군경통(40)의 내부에는 상기 반사미러(21)에서 반사된 광을 소정 스크린(미도시)으로 확대 투영시키기 위한 전군렌즈(45)가 설치된다. 상기 전군렌즈(45)는 복수의 투과렌즈(41,42,43)로 구성된다. 상기 전군경통(40)은 나사(S)에 의해 광출구(20b)에 체결되어 위치고정된다.
한편, 상기 회전손잡이부(30a)를 잡고 후군경통(30)을 회전시켜서 광축방향(A)으로 위치조정시킨 후에, 후군경통(30)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위치고정수단은 후군경통(30)의 외주에 대응되도록 하우징(20)에 형성된 나사공(23)과, 상기 나사공(23)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25)를 구비한다. 상기 나사공(23)은 적어도 하나가 상기 광입구(20a) 주변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나사(25)는 나사공(23)에 체결되며, 체결시 그 단부가 후군경통(30)의 외주에 접촉되어 후군경통(30)의 움직임을 억제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는, 하우징(20)과 전군경통(30)이 광축방향(A)에 대해 위치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후군렌즈(35)에서 투영되는 광의 초점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나사(25)를 느슨하게 한 상태에서 회전손잡이부(30a)를 잡고 후군경통(30)을 조금씩 회전시키면 된다. 예를 들어, 후군경통(3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LCD 패널(51)로부터 화상까지의 거리가 멀어지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가까워진다. 따라서, 후군경통(30)을 돌려서 전/후진시키면서 일정한 거리에 놓인 스크린에 맺히는 광의 초점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초점을 맞춘 후에는 고정나사(25)를 최대한 조여서 후군경통(30)을 고정시킨다. 그러면, 외부의 충격에 의해 또는 작업자가 실수로 후군경통(30)을 회전시키더라도 후군경통(30)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후군렌즈(35)는 움직이지 않고 위치조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후군경통(30)만을 움직여서 후군렌즈(35)를 광축방향(A)으로 위치조정하게 됨으로써, 종래에 비해 위치조정후 후군렌즈(35)가 광축방향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군경통(30)과 상기 보조경통(24) 각각에 형성된 나사선의 피치 크기에 따라 후군경통(30)을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정밀한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는, 하우징에 나사결합된 후군경통을 회전시키면서 위치조정하므로, 투사렌즈를 광축방향으로 위치조정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위치조정시 투과되는 광이 광축방향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어, 광축방향 조정정밀도가 향상된다.

Claims (4)

  1. 베이스에 설치되며, 내부에 반사미러가 설치된 하우징과;
    입사된 광을 상기 반사미러로 투영시키는 후군렌즈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시 상기 광의 축방향으로 위치조정되는 후군경통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상기 반사미러에서 반사된 광을 소정 스크린으로 확대 투영시키는 전군렌즈를 가지는 전군경통;을 포함하여,
    상기 후군경통의 위치조정에 의해 상기 전군경통에서 확대 투영되는 광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군경통의 외주와 그 후군경통에 대응되는 상기 하우징의 결합부에는 나사선이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군경통의 위치조정 후 그 후군경통의 회전을 억제시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후군경통의 외주에 대응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나사공과;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며, 체결시 상기 후군경통의 외주에 접촉되어 그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고정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
KR1019990047761A 1999-10-30 1999-10-30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 KR200100393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761A KR20010039392A (ko) 1999-10-30 1999-10-30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761A KR20010039392A (ko) 1999-10-30 1999-10-30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392A true KR20010039392A (ko) 2001-05-15

Family

ID=19617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761A KR20010039392A (ko) 1999-10-30 1999-10-30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3939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534B1 (ko) * 2002-01-09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투사렌즈 유닛
KR100440751B1 (ko) * 2002-02-05 2004-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사렌즈의 포커스 조정장치
KR100493181B1 (ko) * 2002-06-29 2005-06-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503036B1 (ko) * 2002-09-27 2005-07-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프로젝터용 렌즈 배럴 어셈블리
KR100560879B1 (ko) * 2002-08-27 2006-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Lcd광학엔진의 조명계 조정장치
KR100644587B1 (ko) * 1999-11-11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용 셔터 자세 조정방법 및 그 장치
CN107870500A (zh) * 2016-09-23 2018-04-03 海信集团有限公司 镜头调节装置及投影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1129A (en) * 1987-10-01 1989-04-10 Seiko Epson Corp Focusing mechanism for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JPH07184151A (ja) * 1993-12-24 1995-07-21 Hitachi Ltd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の投写装置
KR19990016997U (ko) * 1997-10-31 1999-05-25 전주범 프로젝션 티브이의 경통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91129A (en) * 1987-10-01 1989-04-10 Seiko Epson Corp Focusing mechanism for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JPH07184151A (ja) * 1993-12-24 1995-07-21 Hitachi Ltd プロジェクションテレビの投写装置
KR19990016997U (ko) * 1997-10-31 1999-05-25 전주범 프로젝션 티브이의 경통 조립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587B1 (ko) * 1999-11-11 2006-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용 셔터 자세 조정방법 및 그 장치
KR100433534B1 (ko) * 2002-01-09 2004-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투사렌즈 유닛
KR100440751B1 (ko) * 2002-02-05 2004-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사렌즈의 포커스 조정장치
KR100493181B1 (ko) * 2002-06-29 2005-06-03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560879B1 (ko) * 2002-08-27 2006-03-13 엘지전자 주식회사 Lcd광학엔진의 조명계 조정장치
KR100503036B1 (ko) * 2002-09-27 2005-07-21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프로젝터용 렌즈 배럴 어셈블리
CN107870500A (zh) * 2016-09-23 2018-04-03 海信集团有限公司 镜头调节装置及投影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6499B2 (ja) 投射レンズ及びプロジェクタ
JP4902184B2 (ja) 微小ミラー型表示素子を備える投射型表示装置
KR20010039392A (ko)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
KR100794794B1 (ko) 광학 프로젝션장치의 초점 조정장치 및 투사 광학계
US10782604B2 (en) Projection-type video display apparatus
KR200294451Y1 (ko) 프로젝터의 투사렌즈장치
JP4891112B2 (ja) ランプユニット、投写型表示装置及び投写型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9980068378A (ko) 액정 프로젝터의 광학장치
KR200450275Y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반사경 조절 장치
KR200209093Y1 (ko) 프로젝터용광축조정투사렌즈장치
KR100243149B1 (ko) 프로젝터의광축조정투사렌즈장치
KR100468870B1 (ko) 렌즈 배럴 어셈블리
KR100219647B1 (ko) 영상투사장치
JP2000352650A (ja) 投射レンズ鏡筒構造
KR100493181B1 (ko)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17356A (ko) 광투사형 디스플레이어의 영상왜곡 보정장치
KR100440751B1 (ko) 투사렌즈의 포커스 조정장치
KR970004916Y1 (ko)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
US6631041B1 (en) Apparatus to steer a collimated laser beam
KR200168982Y1 (ko) 프로젝터용투사렌즈설치구조체
JP2018205656A (ja) プロジェクター
KR0135340Y1 (ko) 리어프로젝션 티브이의 광학계의 미러조정장치
KR100219650B1 (ko)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
KR100219644B1 (ko) 프로젝터의 투사렌즈계 광축 조정장치
KR100243150B1 (ko) 프로젝터의광축조정가변형투사렌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