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181B1 -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181B1
KR100493181B1 KR10-2002-0037513A KR20020037513A KR100493181B1 KR 100493181 B1 KR100493181 B1 KR 100493181B1 KR 20020037513 A KR20020037513 A KR 20020037513A KR 100493181 B1 KR100493181 B1 KR 100493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sub
lens barrel
lens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3152A (ko
Inventor
이찬호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7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3181B1/ko
Publication of KR20040003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3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1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소정 각도로 형성된 제 1 배럴 파이프 및, 제 2 배럴 파이프가 일체로 형성된 배럴 홀더; 상기 배럴 홀더내에 설치되는 미러; 상기 배럴 파이프들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면에 대응하는 결합면이 형성됨으로써 결합면 사이에서 스크류로 체결되며 내측 원주 표면에 스크류면이 형성된 서브 배럴; 상기 서브 배럴의 내표면에 형성된 스크류면에 대응하는 외측 원주 표면상의 스크류면이 형성되어 있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프로젝터용 렌즈 배럴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Lens barrel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로젝터용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브 배럴을 구비함으로써 렌즈 배럴의 편심을 조정할 수 있는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의 스크린에 영상을 재현하는 영상 표시 장치는 대략 40 내지 70인치 크기의 스크린에 영상을 투영하기 위한 프로젝터가 설치된다. 이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을 스크린에 투사하는 방식에 따라 배면 투사형과 전면 투사형의 두가지 타입으로 구분된다.
도 1 에 도시된 것은 배면 투사형 영상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젝터(1)가 스크린(7)과 함께 캐비넷(5)에 장착되어, 그 프로젝터(1)로부터 투사된 영상이 캐비넷(5) 내에 경사지게 설치된 반사경(6)에 반사되어 스크린(7)의 배면으로 투영된다. 상기 프로젝터(1)는 광을 출사하는 광원(2)과,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생성부(3)와, 상기 영상생성부(3)를 통과한 영상을 확대 투사시키는 투사렌즈 유니트(4)를 구비한다. 투사 렌즈 유니트(4)는 렌즈의 그룹들과, 그러한 렌즈를 유지하는 렌즈 배럴 어셈블리에 의해서 구성된다.
도 2 에 도시된 것은 상기 투사 렌즈 유니트(4)에 구비되는 통상적인 렌즈 배럴 어셈블리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 배럴 어셈블리(10)는 제 1 렌즈 유니트(미도시)를 구비하여 된 제 1 렌즈 배럴(11), 제 2 렌즈 유니트(미도시)를 구비하여 된 제 2 렌즈 배럴(13), 상기 제 1 렌즈 배럴(11)을 고정하기 위한 캡(17), 상기 렌즈 배럴들(11,13)을 고정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리 가능한 배럴 홀더(14,15), 및 상기 배럴 홀더(14,15) 내에 설치된 미러(1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광원(미도시)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상기 제 2 렌즈 배럴(13)에 의해 유지되는 제 2 렌즈 유니트를 통하여 배럴 홀더(14,15)내에 입사되고, 상기 미러(12)에 의해 반사되며, 다시 제 1 렌즈 배럴(11)에 의해 유지되는 제 1 렌즈 유니트를 통해 투사된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의 배럴 홀더(14,15)는 상호 대칭인 두개의 부분으로 각각 제작되어, 각 체결부(14a,14b,14c,14d;15a,15b,15c,15d)를 통해 서로에 대하여 나사 결합된다. 상기 배럴 홀더(14,15)의 결합에 앞서 미러(12)를 경사면(16) 내의 소정의 안착부(미도시)에 위치시키고 제 1 및, 제 2 렌즈 배럴의 체결부(11a, 13a)는 대응하는 체결부 사이(14a,14b,14c,14d;15a,15b,15c,15d)에 위치시키고 스크류 등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렌즈 배럴 어셈블리에서는 배럴 홀더(14,15)가 대칭적인 두 부분으로 분리 제작되고, 렌즈 배럴(11,13)들이 배럴 홀더(14,15)에 나사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광축의 일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다른 유형의 렌즈 배럴 어셈블리에서는 배럴 홀더상에 직접적으로 스크류를 제작함으로써 배럴 홀더에 대하여 서브 배럴을 고정하고, 다시 서브 배럴에 렌즈 배럴을 고정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배럴 홀더의 금형 구조를 복잡하게 할 뿐만 아니라, 렌즈 배럴의 고정시에 흔들림을 최소화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금형에서 나사 구멍이 편심되었다면 이를 보정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광축의 일치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렌즈 배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브 배럴을 통하여 렌즈 배럴을 배럴 홀더에 정확하게 조립할 수 있는 렌즈 배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선된 렌즈 배럴 어셈블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소정 각도로 형성된 제 1 배럴 파이프 및, 제 2 배럴 파이프가 일체로 형성된 배럴 홀더; 상기 배럴 홀더내에 설치되는 미러; 상기 배럴 파이프들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면에 대응하는 결합면이 형성됨으로써 결합면 사이에서 스크류로 체결되며 내측 원주 표면에 스크류면이 형성된 서브 배럴; 상기 서브 배럴의 내표면에 형성된 스크류면에 대응하는 외측 원주 표면상의 스크류면이 형성되어 있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프로젝터용 렌즈 배럴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럴 파이프들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면에는 가이드 핀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 배럴의 대응하는 결합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핀 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럴 파이프들중 어느 하나의 내측 원주 표면에는 상기 서브 배럴의 결합시에 편심을 보정할 수 있도록 제작 과정중에 임의로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리브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며, 상기 서브 배럴에 대한 상기 렌즈 배럴의 결합시에 상기 서브 배럴의 결합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렌즈 배럴의 단부에 림이 형성되고, 상기 림의 일부는 상기 서브 배럴의 결합면상의 스크류 체결 및, 해제시에 공구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제거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소정 각도로 형성된 제 1 배럴 파이프 및, 제 2 배럴 파이프가 일체로 형성된 배럴 홀더; 상기 배럴 홀더내에 설치되는 미러; 상기 배럴 파이프들중 어느 하나의 외측 원주 표면에 형성된 록킹 돌기에 결합되는 록킹부가 그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원주 표면에 스크류면이 형성된 서브 배럴; 상기 서브 배럴의 내표면에 형성된 스크류면에 대응하는 외측 원주 표면상의 스크류면이 형성되어 있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프로젝터용 렌즈 배럴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록킹부는 상기 서브 배럴의 원통부의 단부로부터 반경상으로 연장된 평면과, 상기 평면으로부터 상기 원통부와 평행하게 연장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록킹 홈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럴 파이프들중 어느 하나의 외측 원주 표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서브 배럴의 원통부의 단부로부터 반경상으로 연장된 평면과, 상기 평면으로부터 상기 원통부와 평행하게 연장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가이드 홈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렌즈 배럴 어셈블리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배럴 어셈블리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 에 도시된 것은 도 3 의 렌즈 배럴 어셈블리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 배럴 어셈블리는 제 1 배럴 파이프(31)와 제 2 배럴 파이프(32)가 형성된 배럴 홀더(30)와, 상기 배럴 홀더(30)의 제 2 배럴 파이프(32)에 결합되는 서브 배럴(33)과, 상기 서브 배럴(33)에 결합되는 렌즈 배럴(34)을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 1 배럴 파이프(31)에도 서브 배럴 및, 다른 렌즈 배럴이 제 2 배럴 파이프(32)에서와 같이 결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는 제 1 배럴 파이프(31)에 서브 배럴 없이 렌즈 배럴만이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배럴 홀더(30)의 미러(46)는 배럴 홀더(30)내에 설치되며, 상기 렌즈 배럴(34)의 렌즈(미도시)들을 통해 입사된 광을 상기 제 1 배럴 파이프(31)에 설치될 다른 렌즈 배럴(미도시)의 렌즈를 통해 반사시킨다. 상기 배럴 홀더(30)는 플라스틱 재료등으로 제작될 수 있고, 상기 서브 배럴(33)과 렌즈 배럴(34)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제 2 배럴 파이프(32)의 단부에는 결합면(35)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면(35)은 서브 배럴(33)을 상기 제 2 배럴 파이프(32)의 내측에 삽입하였을때 서브 배럴(33)에 형성된 결합면(41)과 맞닿게 된다. 결합면(35)상에는 가이드 핀(36)과, 스크류 홈(37)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배럴 파이프(32)의 내측 원주 표면에는 리브(rib, 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리브(46)는 서브 배럴(33)이 결합된 상태에서 편심이 발생하였을때 이를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즉,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배럴 홀더(30)의 제작 과정에서 편심을 보정할 수 있도록 상기 리브(46)의 두께를 임의로 두텁게 하거나 또는 얇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서브 배럴(33)은 상기 제 2 배럴 파이프(32)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도 4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직경이 상이한 몇개의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서브 배럴(33)의 전면에 형성된 결합면(41)에는 스크류 홈(39)과 핀 홀(38)이 형성되어 있다. 서브 배럴(33)이 제 2 배럴 파이프(32)의 내측에 삽입되었을때, 상기 핀 홀(38)에는 가이드 핀(36)이 삽입되며, 서브 배럴(33)의 스크류 홈(39)은 제 2 배럴 파이프(32)의 스크류 홈(37)에 대응된다. 따라서 스크류(미도시)를 상기 대응되는 두개의 스크류 홈(37,39)을 통해 결합함으로써 제 2 배럴 파이프(32)에 대한 서브 배럴(33)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서브 배럴(33)의 내측 원주 표면에는 스크류 면(40)이 형성된다. 서브 배럴(33)의 스크류 면(40)은 렌즈 배럴(34)의 외측 원주 표면에 형성된 스크류 면(42)에 대응되어 결합됨으로써 서브 배럴(33)에 대한 렌즈 배럴(34)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렌즈 배럴(34)을 서버 배럴(33)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광학계의 포커스등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두개의 스크류 면(40,42)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 서브 배럴(33)에 대한 렌즈 배럴(34)의 위치가 달라지고, 따라서 광학계의 포커스를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렌즈 배럴(34)은 도 4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직경이 상이한 다수의 원통형들이 집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렌즈 배럴(34)의 내측에는 렌즈들(미도시)이 설치된다. 렌즈 배럴(34)은 일 단부만을 제외한 대부분의 동체가 서브 배럴(33)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렌즈 배럴(34)의 외측 원주 표면에 형성된 스크류 면(42)과 서브 배럴(33)의 내측 원주 표면상에 형성된 스크류 면(40)이 상호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회전에 의해서 결합된다.
렌즈 배럴(34)의 일 단부에는 림(43)이 형성된다. 림(43)은 원형 단부의 둘레를 두텁게 한 것이다. 림(43)에는 180 도 각도로 도피 홈(45)이 형성된다. 도피 홈(45)은 상기 렌즈 배럴(34)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상기 스크류 홈(39)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서브 배럴(33)을 제 2 배럴 파이프(32)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스크류 드라이버(미도시)를 사용할때, 상기 도피홈(45)을 통해서 스크류 드라이버를 사용하면 된다. 즉, 렌즈 배럴(34)을 서브 배럴(33)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서브 배럴(33)을 배럴 홀더(30)의 제 2 배럴 파이프(32)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 에 도시된 것은 서브 배럴만이 배럴 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배럴 홀더(30')는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된 배럴 홀더(30')를 약간 변형시킨 것이다. 즉, 제 1 배럴 파이프(31')상에 돌기(5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돌기(51)는 제 1 배럴 파이프(31')에 대하여 결합될 다른 서브 배럴(미도시)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도 5 를 통해서 제 2 배럴 파이프에 대한 서브 배럴의 결합 상태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 1 배럴 파이프(32)의 결합면(35)에는 서브 배럴의 결합면(41)이 맞닿게 되며, 이때 가이드 핀(36)이 핀 홀(38)을 통해 삽입된다. 또한 스크류 홈(39)을 통해서 스크류(미도시)를 삽입함으로써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것은 도 5 에 도시된 배럴 홀더와 서브 배럴의 결합체에 렌즈 배럴을 결합시킨 렌즈 배럴 조립체의 완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서브 배럴과 렌즈 배럴의 동체는 대부분 제 2 배럴 파이프(32)의 내측으로 삽입된 것을 알 수 있다. 렌즈 배럴을 서브 배럴에 대하여 결합했을때, 렌즈 배럴에 형성된 림(43)의 도피 홈(45)은 렌즈 배럴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 스크류 홈(39)에 대응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배럴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렌즈 배럴 조립체는 제 1 배럴 파이프(71)와 제 2 배럴 파이프(72)를 구비한 배럴 홀더(70)와, 상기 배럴 홀더(70)의 제 2 배럴 파이프(72)에 결합되는 서브 배럴(73)과, 상기 서브 배럴(73)에 대하여 결합되는 렌즈 배럴(74)을 구비한다. 도 7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2 배럴 파이프(72)에 대한 서브 배럴(73)의 결합이 록킹부(77)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이러한 록킹 방식은 제 2 실시예의 중요한 특징을 이룬다. 한편, 서브 배럴(73)에 대한 렌즈 배럴(74)의 결합 방식은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배럴 자체의 내측 원주 표면 및, 외측 원주 표면에 형성된 대응 나사면의 결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7 의 실시예에서는 서브 배럴(73)에 대한 렌즈 배럴(74)의 결합에 관해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도 8 에 도시된 것은 도 7 에 도시된 렌즈 배럴 조립체의 일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체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 2 배럴 파이프(72)의 외측 원주 표면에는 록킹용 돌기(86) 및, 가이드 돌기(87)가 형성된다. 또한 제 2 배럴 파이프(72)의 내측 원주 표면에는 리브(88)가 형성되는데, 상기 리브(88)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서브 배럴의 삽입시에 발생하는 편심을 몰딩 과정에서 보정하기 위한 것이다.
서브 배럴(73)은 상이한 직경의 원통이 복수개로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가장 큰 직경의 원통부는 도면 번호 89 로 표시되어 있다. 서브 배럴(73)의 상기 원통부(89)의 일 단부에는 고리형 평면(8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리형 평면(81)의 직경은 상기 원통부(89)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고리형 평면(81)은 상기 원통부(89)의 단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더욱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고리형 평면(81)의 외측 테두리로부터 직각으로 고리형 수직면(82)이 연장된다. 고리형 수직면(82)은 실제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89)의 원주면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고리형 수직면(82)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데, 그것의 내표면은 상기 원통부(89)의 외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고리형 수직면(82)의 일부는 록킹부(77)로써 형성된다. 록킹부(77)는 상기 고리형 수직면(82)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즉, 록킹부(77)의 양측에서는 상기 고리형 수직면(82)의 일부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가이드 홈(85)을 형성하고, 록킹부(77)의 중앙 부분에서는 상기 제 2 배럴 파이프(72)를 향하는 단부를 제외한 상태로 절개하여 록킹 홈(86)을 형성한다.
서브 배럴(73)을 제 2 배럴 파이프(72)에 삽입할때, 상기 록킹부(77)의 록킹 홈(86)은 록킹 돌기(86)와 체결된다. 제 2 배럴 파이프(72)의 원통형 단부는 서브 배럴(73)의 원통부(89)의 외표면을 따라서 활강하여 원통부(89)와 고리형 수직면(82)의 사이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록킹 돌기(86)는 록킹부(77)의 록킹 홈(86)에 진입하게 된다. 일단 록킹 돌기(86)가 록킹 홈(86)에 체결되면 외력을 사용하여 록킹부(77)를 원통부(89)로부터 더 이격되게 하지 않는 한, 체결이 해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록킹 작용중에 록킹 홈(86)과 록킹 돌기(87)의 대응 위치를 안내하기 위하여, 가이드 돌기(87)는 고리형 수직면(82)상의 가이드 홈(85)으로 진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리형 수직면(82)과 록킹부(77)가 일정한 탄성을 가지도록 고리형 수직면(82)의 외표면 원주를 따라서 슬롯(84)이 형성되어 있다.
도 9 에 도시된 것은 도 8 에 도시된 제 2 배럴 파이프에 서브 배럴이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록킹부(77)의 록킹 홈(86)내에 록킹 돌기(86)가 체결되어 있으며, 가이드 홈(85)내에 가이드 돌기(87)가 진입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브 배럴의 동체 대부분은 제 2 배럴 파이프(72)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렌즈 배럴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나사면 결합 방식에 의해서 서브 배럴(73)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배럴 어셈블리는 서브 배럴을 통하여 렌즈 배럴을 배럴 홀더에 결합시키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조립시에 렌즈의 흔들림이나 광축 조정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배럴 홀더의 제조 과정중에 서브 배럴의 편심에 대한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배면 투사형 영상표시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렌즈 배럴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 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배럴 어셈블리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4 에 도시된 것은 도 3 의 렌즈 배럴 어셈블리에 대한 정면도.
도 5 에 도시된 것은 서브 배럴만이 배럴 홀더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에 도시된 것은 도 5 에 도시된 배럴 홀더와 서브 배럴의 결합체에 렌즈 배럴을 결합시킨 렌즈 배럴 조립체의 완성 사시도.
도 7 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 배럴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8 에 도시된 것은 도 7 에 도시된 렌즈 배럴 조립체의 일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
도 9 에 도시된 것은 도 8 에 도시된 제 2 배럴 파이프에 서브 배럴이 삽입되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배럴 홀더 31. 제 1 배럴 파이프
32. 제 2 배럴 파이프 33. 서브 배럴
34. 렌즈 배럴 35. 결합면
41. 결합면 45. 도피홈

Claims (8)

  1. 상호 소정 각도로 형성된 제 1 배럴 파이프 및, 제 2 배럴 파이프가 일체로 형성된 배럴 홀더;
    상기 배럴 홀더내에 설치되는 미러;
    상기 배럴 파이프들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면에 대응하는 결합면이 형성됨으로써 결합면 사이에서 스크류로 체결되며 내측 원주 표면에 스크류면이 형성된 서브 배럴;
    상기 서브 배럴의 내표면에 형성된 스크류면에 대응하는 외측 원주 표면상의 스크류면이 형성되어 있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배럴 파이프들중 어느 하나의 내측 원주 표면에는 상기 서브 배럴의 결합시에 편심을 보정할 수 있도록 제작 과정중에 임의로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렌즈 배럴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 파이프들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면에는 가이드 핀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 배럴의 대응하는 결합면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는 핀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렌즈 배럴 어셈블리.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배럴에 대한 상기 렌즈 배럴의 결합시에 상기 서브 배럴의 결합면에 대응하도록 상기 렌즈 배럴의 단부에 림이 형성되고, 상기 림의 일부는 상기 서브 배럴의 결합면상의 스크류 체결 및, 해제시에 공구의 접근을 허용하도록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배럴 어셈블리.
  5. 상호 소정 각도로 형성된 제 1 배럴 파이프 및, 제 2 배럴 파이프가 일체로 형성된 배럴 홀더;
    상기 배럴 홀더내에 설치되는 미러;
    상기 배럴 파이프들중 어느 하나의 외측 원주 표면에 형성된 록킹 돌기에 결합되는 록킹부가 그 일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 원주 표면에 스크류면이 형성된 서브 배럴;
    상기 서브 배럴의 내표면에 형성된 스크류면에 대응하는 외측 원주 표면상의 스크류면이 형성되어 있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의 내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며,
    상기 배럴 파이프들중 어느 하나의 내측 원주 표면에는 상기 서브 배럴의 결합시에 편심을 보정할 수 있도록 제작 과정중에 임의로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용 렌즈 배럴 어셈블리.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서브 배럴의 원통부의 단부로부터 반경상으로 연장된 평면과, 상기 평면으로부터 상기 원통부와 평행하게 연장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록킹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배럴 어셈블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럴 파이프들중 어느 하나의 외측 원주 표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서브 배럴의 원통부의 단부로부터 반경상으로 연장된 평면과, 상기 평면으로부터 상기 원통부와 평행하게 연장된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된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배럴 어셈블리.
KR10-2002-0037513A 2002-06-29 2002-06-29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100493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513A KR100493181B1 (ko) 2002-06-29 2002-06-29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513A KR100493181B1 (ko) 2002-06-29 2002-06-29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152A KR20040003152A (ko) 2004-01-13
KR100493181B1 true KR100493181B1 (ko) 2005-06-03

Family

ID=37314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513A KR100493181B1 (ko) 2002-06-29 2002-06-29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31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532B1 (ko) * 2004-05-08 2006-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학엔진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916U (ko) * 1998-12-22 2000-07-15 윤종용 프로젝션 텔레비젼용 렌즈 어셈블리의 고정구조
KR20010039392A (ko) * 1999-10-30 2001-05-15 윤종용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
JP2001166380A (ja) * 1999-01-29 2001-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プロジェクター
JP2001337258A (ja) * 2000-05-25 2001-12-07 Ace Kogaku Kk コンバージョンレンズのマウントホルダ
KR20020092677A (ko) * 2001-06-05 2002-12-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렌즈 배럴과 렌즈 배럴 홀더의 결합 구조
KR20030014493A (ko) * 2001-08-11 2003-02-1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916U (ko) * 1998-12-22 2000-07-15 윤종용 프로젝션 텔레비젼용 렌즈 어셈블리의 고정구조
JP2001166380A (ja) * 1999-01-29 2001-06-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プロジェクター
KR20010039392A (ko) * 1999-10-30 2001-05-15 윤종용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
JP2001337258A (ja) * 2000-05-25 2001-12-07 Ace Kogaku Kk コンバージョンレンズのマウントホルダ
KR20020092677A (ko) * 2001-06-05 2002-12-1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렌즈 배럴과 렌즈 배럴 홀더의 결합 구조
KR20030014493A (ko) * 2001-08-11 2003-02-19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3152A (ko) 2004-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5379B2 (en) Lens apparatus focus adjustment support device and focus adjusting method
US20060007564A1 (en) Lens holder for lens device and process of assembring lens device equipped with the lens holder
US20070297790A1 (en) Lens accessory mounting device
EP3351984B1 (en) Mirror holding mechanism
US10481362B2 (en) Circumferential angle adjustment device for generatrix of cylindrical lens, and lens barrel equipped with circumferential angle adjustment device for generatrix of cylindrical lens
KR100433534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투사렌즈 유닛
US7072122B2 (en) Lens apparatus, projection type optical apparatus and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493181B1 (ko) 렌즈 배럴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KR200294451Y1 (ko) 프로젝터의 투사렌즈장치
JP5405331B2 (ja) 投写用レンズ鏡筒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10039392A (ko) 프로젝터용 투사렌즈 설치구조체
JP2005275027A (ja) レンズマウント構造
KR100468870B1 (ko) 렌즈 배럴 어셈블리
US6130788A (en) Structure for holding lens
JP6752909B2 (ja) シリンドリカルレンズの母線周方向角度調整装置、シリンドリカルレンズの母線周方向角度調整装置を有するレンズ鏡筒
US6337775B1 (en) Collet lens mount
CN216013782U (zh) 一种投影灯用六层高清可变焦镜头
KR100503036B1 (ko) 프로젝터용 렌즈 배럴 어셈블리
KR101423693B1 (ko) 광축 조절식 렌즈경통
JP2013122485A (ja) レンズ鏡筒およびレンズユニット
JP6752910B2 (ja) シリンドリカルレンズの母線周方向角度調整装置、シリンドリカルレンズの母線周方向角度調整装置を有するレンズ鏡筒
KR20020092677A (ko) 렌즈 배럴과 렌즈 배럴 홀더의 결합 구조
KR100236653B1 (ko) 렌즈 고정장치
KR970004916Y1 (ko) 투광기의 광축 정렬장치
JP2004347646A (ja) プロジェクタ装置用鏡筒およびプロジェ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