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812B1 -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의 무클러치 구조체 - Google Patents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의 무클러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812B1
KR970004812B1 KR1019940012335A KR19940012335A KR970004812B1 KR 970004812 B1 KR970004812 B1 KR 970004812B1 KR 1019940012335 A KR1019940012335 A KR 1019940012335A KR 19940012335 A KR19940012335 A KR 19940012335A KR 970004812 B1 KR970004812 B1 KR 970004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clined plate
zero
valve
inclination angle
incl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2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487A (ko
Inventor
마사히로 가와구찌
시게기 간자끼
껜 스이또
도시로우 후지이
도모히꼬 요꼬노
마사노리 소노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샤꾸쇼
이소가이 찌세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샤꾸쇼, 이소가이 찌세이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요다 지도쇽끼 세이샤꾸쇼
Priority to KR1019940012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812B1/ko
Publication of KR960001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의 무클러치 구조체
제1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실시예의 압축기 전체의 측단면도.
제2도는 개폐밸브 및 제어 밸브를 도시한 확대 측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A-A)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선(B-B)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선(C-C)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선(D-D)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7도는 토출용량이 영인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8도는 개폐 밸브가 닫혀진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측단면도.
제9도는 밸브가 밸브 구멍에서 약간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측단면도.
제10도는 볼 밸브가 밸브 구멍에서 최대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 확대 측단면도.
제11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압축기 전체의 측단면도.
제12도는 다른 실시예의 요부 확대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 : 크랭크실 3b1: 토출압 영역
7 : 회전축 12 : 원통체
14 : 경사판 지지체 15 : 경사판
20 : 편두 피스톤 34A,34B : 변환체
37 : 유지볼 40 : 용량 복귀 스프링
41b : 압력 통로 46 : 압력통로
47 : 전자 솔레노이드 63 : 제어밸브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회전축에 기울어져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 경사판의 회전 운동을 편두 피스톤의 왕복 직선 운동으로 바꿈과 동시에 크랭크실안의 압력과 흡입압과의 편두 피스톤을 사이에 둔 차로 경사판의 기울기각을 제어하는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의 무클러치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91-143725호 공보에 개시된 가변 용량형 요동 경사판식 압축기에서는 외부 구동원과 압축기의 회전축과의 사이의 동력 전달의 연결 및 차단을 행하는 전자 클러치를 사용하고 있지 않다. 전자 클러치를 없애면 특히 차량탑재 형태에서는 이의 ON-OFF 충격에 따른 체간의 나쁜 결점을 해소할 수 있음과 동시에 압축기 전체의 중량 감소와 비용 감소가 가능해진다.
상기 종래 공보에 개시된 가변 용량형 요동 경사판식 압축기에서는 경사판을 수용하는 크랭크실안의 압력을 급격히 높여서 경사판 기울기각을 0°로 가져가고 토출 용량을 영으로 떨어뜨리도록 되어 있다. 이 토출 용량의 급격한 저하에 따라 압축기의 부하가 급격히 저하한다. 압축기를 차량에 탑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차량의 가속시나 등판시에 차량 엔진 출력 전부를 차량의 구동에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런 경우에 압축기의 부하가 급격한 저감이 이루어진다.
경사판 기울기각을 영에서부터 증대시켜 용량 복귀하는 경우에는 유압 작동기로 경사판을 기울기각 증대 방향으로 밀고 있다.
상기 종래 장치에서는 크랭크실안의 압력을 급격히 높이기 위하여 토출실과 크랭크실을 가스 통로로 연결하고 이 통로상에 제1의 전자 개폐 밸브를 개재시키고 있다. 또한 크랭크실 밑바닥의 기름 저장부와 유압 작동기를 오일 통로로 연결하고 이 통로상에 제2의 전자 개폐 밸브를 개재시키고 있다. 따라서 토출 용량을 영으로 하는 경우에는 제1의 전자 개폐 밸브가 열리고, 토출 용량을 복귀하는 경우에는 제2의 전자 개폐 밸브가 열린다.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압축기안에 두개의 전자 개폐 밸브를 조립하는 구성은 압축기의 대형화 및 중량 증가가 되어 불리하다. 또한 토출 용량이 영의 상태가 지속되면 크랭크실의 압력이 흡입압영역으로 빠져나가고 흡압기안의 냉매 가스압이 균일화된다.
그렇게 되면 경사판이 제멋대로 기울기 시작하고 용량 복귀가 제멋대로 이루어질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압축기의 대형화 및 중량 증가를 억제하고 그리고 제멋대로 용량 복귀가 되지 않는 무클러치 구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크랭크실, 흡입실, 토출실 및 이들 각 실을 접속하는 실린더 보어를 구획 형성하고 실린더 보어안에 편두 피스톤을 왕복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하우징안의 회전축상에 경사판 지지체를 슬라이드 가능케 지지하고 이 경사판 지지체상에 경사판을 기울어져 이동가능케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축상의 회전 지지체에 경사판을 기울어져 이동 가능케 연결시키고 크랭크실 안의 압력과 흡입압과의 편두 피스톤을 사이에 둔 차이로 경사판의 기울기각을 제어하는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를 대상으로 하며, 제1의 발명에서는 크랭크실과 토출압 영역을 접속시키고 상기 회전축상에서 경사판 기울기각 영이 되는 위치에 상기 경사판 지지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을 토출압 영역에서부터 크랭크실에 공급하는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압력 통로와 기울기각 강제변경용 압력 통로상에 개재된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개폐 밸브와, 상기 회전축 상에서 경사판 기울기각이 영이 되는 위치에 경사판 지지체를 유지하는 영역의 기울기각 유지위치와, 상기 회전축상의 경사판 지지체의 슬라이드를 허용하는 슬라이드 허용 위치에 바꾸어 배치하는 영의 기울기각 유지체를 갖춘 영의 기울기각 유지수단과, 외부 제어 신호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기울기각 영의 지령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개폐 밸브를 열고 동시에 상기 영의 기울기각 유지체를 상기 슬라이드 허용 위치로부터 영의 기울기각 유지위치로 바꾸어 배치하기 위한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구동수단과, 상기 회전축상에서 경사판 기울기각 영이 되는 위치에 있는 경사판 지지체를 경사판의 기울기각 증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사판 기울기각 복귀용 가압 수단을 갖춘 무클러치 구조체를 구성한다.
제2의 발명은 회전축의 일부가 되는 원통체의 외부면안에 몰입되는 슬라이드 허용 위치와, 원통체의 외주면에서부터 돌출되는 영의 기울기각 유지 위치에 바꾸어 배치되는 영의 기울기각 유지체와 상기 개폐 밸브의 개폐 동작과 연동되도록 상기 원통체에 수용된 변환체로 영의 기울기각 유지 수단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안에 상기 영의 기울기각 유지체가 몰입 가능한 통상 위치와,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에서부터 돌출하는 영의 기울기각 유지 위치에 영의 기울기각 유지체를 규제하는 규제 위치에 변환체를 바꾸어 배치하도록 한다.
제3의 발명에서는 경사판 기울기각 복귀용 가압 수단을 스프링 부재로 한다.
[작용]
공조 장치 스위치, 외부 냉매 회로상의 증발기의 출구온도 센서, 외부 온도 센서, 엑셀 스위치, 압축기의 로크센서 등이 외부 제어 신호 발생기가 된다. 이와 같은 외부 제어 신호 발생기로부터 기울기각 영의 지령 신호가 출력되면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구동 수단이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개폐 밸브를 개방한다.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개폐 밸브가 열리면 토출압 영역의 냉매 가스가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통로를 통하여 크랭크실로 유입되고 크랭크실 압력이 급격 상승한다. 이 급격 상승으로 경사판 기울기각이 영으로 이동하고 압축기 무부하 상태가 된다.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개폐 밸브의 개방과 함께 영의 기울기각 유지 수단의 영의 기울기각 유지체가 영의 기울기각 유지위치에 바뀌어 배치되고 압축기 무부하 상태에서는 경사판 지지체가 경사판 기울기각이 영이 되는 위치에 유지된다. 외부 제어 신호 발생기로부터 기울기각 복귀 지령신호가 출력되면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구동 수단이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개폐 밸브를 닫음과 동시에 영의 기울기각 유지체가 슬라이드 허용 위치로 변환 배치 가능해진다.
경사판 지지체는 영의 기울기각 유지체의 걸림 작용에서부터 해방되어 경사판 기울기각 복귀용 가압 수단에 의해 기울기각 증대 방향으로 슬라이드 배치된다.
제2의 발명의 변환체는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개폐 밸브에 연동하여 통상 위치와 규제 위치로 바뀌어 배치된다. 변환체가 규제 위치로 바뀌어 배치되면 영의 기울기각 유지체가 회전축의 일부가 되는 원통체의 외주면에서부터 돌출되고 경사판 기울기각 영이 되는 위치에 경사판 지지체를 유지한다.
제3의 발명의 스프링 부재는 경사판 지지체를 기울기각 증대 방향으로 가압하고 있고 경사판 지지체는 영의 기울기각 유지체의 계지 작용에서부터 해방되면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작용에 따라 기울기각 증대 방향으로 이동 배치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일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8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기 전체의 하우징의 일부가 되는 실린더 블럭(1)의 전단부에는 전방 하우징(2)이 접합되어 있다. 실린더 블럭(1)의 후단부에는 후방 하우징(3)이 밸브 플레이트(4), 밸브 형성 플레이트(5A,5B) 및 리테이너 형성 플레이트(6)를 통하여 접합 고정되어 있다.
전방 하우징(2)에는 회전축(7)이 레디얼 베어링(8)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7)의 전단부는 전방 하우징(2)안의 크랭크실(2a)에서부터 외부에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단부에는 폴리(9)가 나사로 부착되어 있다. 풀리(9)는 벨트(10)를 통하여 차량 엔진에 작동 연결되어 있다. 회전축(7)의 전잔부와 전방 하우징(2) 사이에는 립시일(11)이 개재되어 있다. 립시일(11)은 크랭크실(2a)안의 압력 누출을 방지한다.
회전축(7)에는 회전 지지체(18)가 부착되어 회전축(7)의 내단부에는 원통체(12)가 압입에 의해 끼워져 연결되어 있다. 원통체(12)는 레디얼 베어링(13)을 통하여 실린더 블럭(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회전축(7)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회전축(7)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원통체(12)에는 구면상의 경사판 지지체(14)가 슬라이드 가능케 지지되어 있으며 경사판 지지체(14)에는 경사판(15)이 원통체(12)의 축선방향으로 기울어져 이동 가능케 지지되어 있다. 레디얼 베어링(13)을 수용하는 실린더 블럭(1)안의 수용공(1a1)의 둘레2벽과 시일링(38)은 레디얼 베어링(13)을 크랭크실(2a)로부터 격리한다. 시일링(38)은 시크립(39)에 의해 크랭크실(2a)로 뛰어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시크립(39)과 경사판 지지체(14) 사이에는 용량 복귀 스프링(40)이 개재되어 있다. 용량 복귀 스프링(40)은 경사판 지지체(14)를 회전 지지체(18)측에 가압하는 경사판 기울기각 복귀용 가압 수단이 된다.
경사판(15)의 최대 기울기각은 회전 지지체(18)의 기울기각 규제 돌출부(18b)와 경사판(15)의 접합으로 규제된다. 또한 경사판(15)의 최소 기울기각은 용량 복귀 스프링(40)의 최소 축소 상태에 의하여 규제된다. 용량 복귀 스프링(40)의 최소 축소 상태에 있을 때의 경사판(15)의 최소 기울기각은 0°가 된다.
경사판(15)에는 연결핀(16A,16B)이 부착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핀(16A,16B)에는 한쌍의 안내핀(17A,17B)이 부착되어 있다. 회전 지지체(18)에는 지지 암(18a)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암(18a)에는 지지 핀(19)이 회전 가능하게 그리고 회전축(7)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관통 지지되어 있다. 한쌍의 안내 핀(17A,17B)은 지지 핀(19)의 양단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지지암(18a)상의 지지핀(19)과 한쌍의 안내핀(17A,17B)의 연결에 의해 경사판(15)이 경사판 지지체(14)를 중심으로 회전축(7) 및 원통체(12)의 축선 방향으로 기울어져 이동 가능 그리고 회전축(7) 및 원통체(12)와 일체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경사판(15)의 기울어져 이동하는 지지 핀(19)과 안내 핀(17A,17B)과의 슬라이드 안내 관계, 경사판 지지체(14)의 슬라이드 작용 및 경사판 지지체(14)의 지지 작용에 의해 안내된다.
크랭크실(2a)에 접속되도록 실린더 블럭(1)에 관통 설치된 실린더 보어(1b) 안에는 편두 피스톤(20)이 수용되어 있다. 편두 피스톤(20)의 목부분(20a)에는 한쌍의 슈(21)가 끼워져 있다. 경사판(15)의 둘레 부분은 두개 슈(21) 사이에 끼어 들어가고 경사판(15)의 양면에는 두개 슈(21)의 단면이 접한다. 따라서 경사판(15)의 회전 운동이 슈(21)를 통하여 편두 피스톤(20)의 전후 왕복 요동으로 바뀌고 편두 피스톤(20)이 실린더 보어(1b)안을 전후 이동한다.
제1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하우징(3) 안에는 흡입실(3a) 및 토출실(3b)이 구획 형성되어 있다. 밸브 플레이트(4) 위에는 흡입 프트(4a) 및 토출 포트(4b)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 형성 플레이트(5A) 위에는 흡입 밸브(5a)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 형성 플레이트(5B) 위체는 토출밸브(5b)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실(3a) 안의 냉매 가스는 편두 피스톤(20)의 왕복 동작에 의해 흡입포트(4a)에서 흡입 밸브(5a)를 밀어제치고 실린더 보어(1b) 안에 유입된다. 실린더 보어(1b) 안에 유입된 냉매 가스는 편두 피스톤(20)의 왕복 동작에 의해 토출 포트(4b)에서 토출 밸브(5b)를 밀어 제치고 토출실(3b)에 토출된다. 토출 밸브(5b)는 리테이너 형성플레이트(6) 위의 리테이너(6a)에 붙어서 개방이 제한된다.
제1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럭(1)의 윗면에는 토출 플렌지(22)가 형성되어 있고 토출 플렌지(22) 안에는 배출구(1c)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구(1c) 안에는 단면이 원형인 오일 분리공(22a)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오일 분리공(22a)은 토출 통로(23)를 통하여 토출실(3b)에 연통되어 있으며 토출실(3b)안의 냉매 가스가 오일 분리공(22a) 안으로 토출 결합된다. 토출 통로(23)는 단면이 원형인 오일 분리공(22a)의 편심 위치를 지향하고 있고 토출 통로(23)에 토출되는 냉매 가스는 오일 분리공(22a)의 둘레면에 따르도록 오일 분리공(22a)에 결합된다.
냉매 가스안에는 연무 상태 오일이 혼입되어 있고 이 오일이 오일 분리공(22a)에 대한 냉매 가스의 결합에 의해 냉매가스로부터 분리된다. 토출 냉매 가스는 배출구(1c)로부터 외부 냉매 회로로 유출되고 분리 오일은 오일 분리공(22a)에 남는다. 오일 분리공(22a)의 밑바닥은 오일 통로(24)를 통하여 립시일(11)의 윤활 통로(11a)에 연통되어 있다. 오일 통로(24)의 중간에는 조리개(24a)가 설치되어 있다. 윤활 통로(11a)는 레디얼 베이링(8)의 틈새를 경우하여 크랭크실(2a)에 통하고 있다.
편두 피스톤(20)의 스트로크는 프랜크실(2a) 안의 압력과 실린더 보어(1b) 안의 흡입압의 편두 피스톤(20)을 사이에 둔 차압에 따라 변한다. 즉, 압축 용량을 좌우하는 경사판(15)의 기울기각이 변화한다. 크랭크실(2a) 안의 압력은 후방 하우징(3)의 하부에 결합된 제어 밸브(25)에 의해 제어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밸브(25)를 구성하는 밸브 하우징(26)에는 토출압 도입 포트(26a), 흡입압 도입 포트(26b) 및 제어 포트(26c)가 설치되어 있다. 토출압 도입포트(26a)는 토출실(3b)에 개구되어 있고 흡입압 도입 포트(26b)는 흡입압 도입 통로(27)를 통하여 흡입실(3a)에 연통되어 있다. 제어 포트(26c)는 제어 통로(28)를 통하여 크랭크실(2a)에 연통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28)의 내단벽과 밸브(29) 사이에는 복귀 스프링(30)이 개재되어 있고 밸브(29)는 밸브구멍(26d)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복귀 스프링(30)의 스프링 작용을 받는다. 밸브구멍(26d)이 폐쇄되면 토출압 도입 포트(26a)외 제어 포트(26c)의 연통이 차단된다.
밸브 하우징(26)의 외단벽측에는 다이어프램(31)이 개재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26) 안에는 가압 로드(32)가 흡입압 도입 포트(26b)와 제어 포트(26c)를 항상 차단하도록 슬라이드가능케 수용되어 있다. 가압 로드(32)의 편측 끝은 다이어프램(31)에 부착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26)의 외단벽과 다이어프램(31) 사이에는 가압 스프링(33)이 개재되어 있다.
가압 스프링(33)은 다이어프램(31)을 통하여 흡입 압력에 대향하고 가압 로드(32)는 가압 스프링(33)의 스프링 작용으로 항상 밸브(29)에 붙어 있다. 즉 제어밸브(25)는 냉방부하를 반영하는 흡입 압력의 변동에 따라서 밸브(29)의 밸브 개방도를 조정하고 크랭크실(2a) 안의 압력이 흡입 압력의 변동에 따라서 자동 조정된다. 이 압력 조정으로 경사판(15)의 기울기각이 제어된다.
원통체(12) 안에는 변환체(34A,34B)가 슬라이드 가능케 수용되어 있고 변환체(34A,34B) 사이에는 볼(35)이 개재되어 있다. 회전축(7)의 소경 내단부(7a) 안의 가스 배출 통로(7b)에 돌출들어가 있고 이의 선단부는 다시 회전축(7)에 끼워져 있다. 회전축(7)과 소경부(34a)의 앞끝은 상대 회전 불능이며 변환체(34A)는 회전축(7)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변환체(34A)의 단차부(34b)와 가스 배출 통로(7b)의 단차부(7b1) 사이에는 변환 복귀 스프링(36)이 개재되어 있고 변환체(34A,34B)가 후방 하우징(3)측에 가압되어 있다.
제4도 및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환체(34A)의 대경부에는 환상 후퇴홈(34c)이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원통체(12)에는 복수의 배출구멍(12a; 본 실시예에서는 세개)이 둘레 방향에 배열되어 있다. 배출구(12a)는 원통형(12)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향함에 따라 축경이 되는 테이퍼형상이며 이들 각 배출구(12a) 안에는 유지볼(37)이 수용되어 있다. 유지볼(37)의 직경(D)은 원통체(12)의 두께(T) 보다 크고 원통체(12)의 두께(T)와 후퇴홈(34c)의 깊이(H)의 화(T+H) 보다 작다. 그리고 배출구(12a)의 원통체(12) 외주면상의 최소 직경은 유지볼(37)의 직경(D) 보다 작고 유지볼(37)은 배출구(12a)에서 (D-T) 만큼만 돌출가능하다. 배출구(12a)의 배열위치는 경사판(15)의 기울기각이 영이 되는 위치에 있는 경사판 지지체(14)의 전단면(14a) 보다 앞쪽이 된다.
원통체(12)를 수용하는 실린더 블럭(1) 안의 수용공(1a2)은 후방 하우징(3) 측이 관통되어 있고 수용공(1a2)에는 밸브 하우징(41)이 끼워져 고정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41) 안에는 밸브 시트(42) 및 볼 밸브(43)이 수용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41)에 부착된 스프링받이(44)와 밸브시트(42) 사이에는 폐쇄 스프링(45)이 개재되어 있다. 볼 밸브(43)는 밸브 하우징(41) 위의 밸브 구멍(41a)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폐쇄 스프링(45)의 스프링 작용을 받고 있으며 밸브 하우징(41) 및 밸브시트(42)와 함께 압력 통로(41b,46)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구성한다.
변환체(34B)의 소경단부(34d)는 변환 복귀 스프링(36)의 스프링 작용으로 밸브시트(42)의 뒤에 눌려 접해져 있다. 수용공(1a2)는 압력 통로(46)를 통하여 크랭크실(2a)에 연통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하우징(3)의 레디얼중심부에는 토출압 영역(3b1)이 토출실(3b) 에서 연장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 하우징(41)의 일부가 수용공(1a2)에서 토출압 영역(3b1)으로 돌출되어 있다. 밸브구멍(41a)은 압력 통로(41b)를 통하여 토출압 영역(3b1)에 통하고 있다.
후방 하우징(3)의 레디얼 중심부에는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구동 수단이 되는 전자 솔레노이드(47)가 배설되어 있다. 코일(47a)로의 통전으로 여자되는 고정 철심(47b)과 가동 철심(47c) 사이에는 기울기가 강제 변경 스프링(48)이 개재되어 있다. 전자 솔레노이드(47)가 여자되면 가동 철심(47c)이 기울기가 강제 변경 스프링(48)의 스프링력을 이겨서 고정 철심(47d)에 흡착된다. 가동철심(47c)의 가동 범위는 고정철심(47d)에 접하는 위치와 솔레노이드 하우징(47d)의 단벽에 접하는 위치 사이에 규제되고 볼 밸브(43)는 밸브구멍(41a)에서부터 거리(L1) 만큼 이격된다.
가동철심(47c)에는 가압 로드(49)가 부착되어 있다. 가압 로드(49)는 슬라이드 가능케 밸브 하우징(41)을 관통하고 가압 로드(49)의 앞끝은 밸브구멍(42a)을 통하여 밸브하우징(41)안에 들어가 있다.
변환체(34A,34B), 볼(35), 밸브시트(43), 볼 밸브(42) 및 가압 로드(49)는 회전축(7) 및 원통체(12)의 축선방향의 이동에 관하여 변환 복귀 스프링(36) 및 기울기각 강제 변경 스프링(48)의 스프링 작용으로 일체화된다. 이 일체와 상태에 있어서 전자 솔레노이드(47)이 여자되고 있을 때에는 변환체(34A)가 복귀 스프링(36)의 스프링 작용으로 후방 하우징(3)측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으로 단차부(34b)가 회전축(7)의 단면(7a1)에서부터 이격되고 후퇴홈(34c)이 배출구(12a)의 배열 위치에 일치한다.
전자 솔레노이드(47)가 자기 소거되고 있을때에는 변환체(34A)가 기울기각 강제 변경 스프링(48)의 스프링 작용으로 회전축(7)측으로 이동한다. 이 이동으로 단차부(34b)가 단면(7a1)에 접하고 후퇴홈(34c)이 배출구(12a)의 배열 위치에서 벗어난다.
변환체(34A)의 둘레면에는 선상 가스 배출 통로(34e)가 축선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변환체(34B)의 둘레면에는 선상가스 배출 통로(34f)가 축선 방향에 형성되어 있고 환상 가스 배출 통로(34g)가 형성되어 있다. 가스 배출 통로(34e)는 단차부(34b)에서 시작되고 변환체(34A,34B) 사이의 틈새(50)에 통하고 있다. 따라서 단차부(34b)와 단면(7a1)이 붙어 있는 상태에서는 가스 배출 통로(7b)와 가스 배출 통로(34e)의 연통이 단절된다. 가스 배출 통로(34f)는 틈새(50) 및 가스 배출 통로(34g)를 연결하고 있으며 가스 배출 통로(34g)는 수용공(la1) 및 가스 배출 통로(51)를 경유하여 흡입실(3a)에 연통되어 있다.
전방 하우징(2) 안에는 회전 검출기(52)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검출기(52)는 회전 지지체(18)의 회전을 검출하고 있으며 이 검출 신호는 제어 컴퓨터(C)에 보내진다. 제어 컴퓨터(C)는 회전 검출기(52)로부터 회전 정지 검출 신호를 수득하면 전자 솔레노이드(47)의 자기소거를 지령한다.
흡입실(3a) 안에 냉매 가스를 도입하는 도입구(1d)와 토출실(3b에서부터 냉매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1c)는 외부 냉매 회로(53)로 접속되어 있다. 외부 냉매 회로(53)위에는 응축기(54), 팽창 밸브(55) 및 증발기(56)가 개재되어 있다.
팽창 밸브(55)는 증발기(56)의 출구측 가스압의 변동에 따라서 냉매 유량을 제어한다.
증발기(56)의 출구측에는 온도 센서(57)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 센서(57)는 증발기(56)의 출구측 온도를 검출하고 있으며 이 검출 신호는 제어 컴퓨터(C)에 보내진다. 제어 컴퓨터(C)는 온도 센서(57)로부터 소정 온도 이하의 온도 검출 정보를 수득하면 전자 솔레노이드(47)의 자기소거를 지령한다.
제어 컴퓨터(C)에는 공조 장치 작동 스위치(58), 공조장치 정지 스위치(59), 액셀 스위치(60) 및 외기온센서(61)이 신호 접속되어 있다. 제어 컴퓨터(C)는 공조 장치 작동 스위치(58)의 ON 및 액셀 스위치(60)의 OFF에 따라서 전자 솔레노이드(47)의 여자를 지령한다. 또한 제어 컴퓨터(C)는 공조 장치 정지 스위치(59) 및 액셀 스위치(60)의 ON에 따라서 전자 솔레노이드(47)의 자기소거를 지령한다. 또한 제어 컴퓨터(C)는 외기온 센서(61)로부터 소정 온도 이하의 온도 검출 정보를 수득하면 전자 솔레노이드(47)의 자기소거를 지령한다.
제1도의 상태에서는 공조 장치 작동 스위치(58)가 ON되고 있으며 전자 솔레노이드(47)는 여자 상태에 있다. 전자 솔레노이드(47)의 여자 상태에서는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밸브(43)가 밸브 구멍(41a)을 닫고 있으며 토출압영역(3b1)의 고압 냉매 가스가 크랭크실(2a)에 공급되는 일은 없다. 또한 변환체(34A)의 단차부(34b)가 회전축(7)의 단면(7a1)에서부터 이격되고 크랭크실(2a)과 흡입실(3a)이 가스 배출 통로(7b,34e,34f,34g,51)에 의해 연통된다. 또한 유지볼(37)이 후퇴홈(34)에 떨어져서 원통체(14)의 외주면에서부터 후퇴하고 있으며 경사판 지지체(14)의 슬라이드가 유지볼(37)에 의해 저해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크랭크실(2a)의 압력은 제어밸브(25)에 의해 제어되고 경사판 기울기각이 냉방부하를 반영하는 흡입압에 따라서 가변 제어된다.
즉 다이어프램(31)이 흡입압 도입 포트(26a)로부터 도입되는 흡입 압력의 변동에 따라서 변위되고 이 변위가 가압로드(32)를 통하여 밸브(29)에 전달된다. 흡입 압력이 높은(냉방 부하가 큰) 경우에는 다이어프램(31)이 가압 스프링(33)의 스프링 작용에 반향하여 밸브(29)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휘어 변형되고 밸브(29)의 밸브 개도가 작아진다. 크랭크실(2a)안의 압력이 흡입 압력 보다 높은 경우에는 크랭크실(2a) 안의 냉매 가스는 가스 배출 통로(7b,34e,34f,34g,51)를 경유하여 흡입실(3a)로 유출된다. 따라서 밸브(29)의 밸브 개도가 작아지면 크랭크실(2a) 안의 압력이 저하되고 경사판 기울기각이 커진다. 역으로 흡입 압력이 낮은(냉매 부하가 작은) 경우에는 다이어프램(31)이 가압 스프링(33)의 스프링 작용으로 밸브(29)측에 휘어져 변형되고 밸브(29)의 밸브 개도가 커진다. 따라서 크랭크실(2a)안의 압력이 상승되고 경사판 기울기각이 작아진다.
제어 컴퓨터(C)는 회전 검출기(52)로부터의 회전 정지 검출 신호, 온도 센서(57)로부터의 소정 온도 이하의 검출 신호, 공조 장치 정지 스위치(59)로부터의 ON 신호, 액셀 스위치(60)로부터의 ON 신호 혹은 외기온 센서(61)로부터의 소정 온도 이하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자 솔레노이드(47)를 자기소거한다.
즉 이들 각 검출 신호는 전자 솔레노이드(47)에 대한 기울기각 영의 지령 신호가 된다. 그리고 회전 검출기(52), 온도 센서(57), 공조 장지 정지 스위치(59), 액셀 스위치(60) 혹은 외기온센서(61)가 외부 제어 신호 발생기가 된다.
전자 솔레노이드(47)가 자기소거되면 가동 철심(47c)이 기울기각 강제 변경 스프링(48)의 스프링 작용으로 고정 철심(47d)으로부터 이격되고 솔레노이드 하우징(47d)의 단부벽에 붙는다. 이 가동 철심(47c)의 이동으로 볼 밸브(43), 밸브시트(42) 및 변환체(34A,34B)가 일체적으로 회전 지지체(18)측으로 밀려 움직여진다. 주면에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즉, 후퇴홈(34c) 안의 위치는 경사판 지지체(14)의 슬라이드를 허용하는 위치가 된다.
후퇴홈(34c)과 변환체(34A)의 대경주면과의 작은 단차부(34c1)가 유지볼(37)을 누르기까지에는 변환체(34A,34B) 및 볼 밸브(43)는 제8도의 상태로부터 제9도의 상태로 거리 L2(<L1) 만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볼 밸브(43)가 밸브 구멍(41a)에서부터 거리(L2)만큼 이격하고 볼 밸브(43)가 밸브 구멍(41a)을 연다. 이렇게 밸브를 열므로서 토출압 영역(3b1)의 고압 냉매 가스가 압력 통로(41b,46)을 경유하여 크랭크실(2a)에 유입한다. 또한 단차부(7b1,34b)가 맞붙고 가스 배출 통로(34e)가 차단된다. 이 차단으로 크랭크실(2a)과 흡입실(3a)의 가스 배출 통로(7b,34e,34f,34g,51)을 통한 연통이 차단된다.
가스 배출 통로(7b,34e,34f,34g,51)의 차단 및 고압 냉매가스의 유입으로 크랭크실(2a) 안의 압력이 토출압까지 급격히 상승하고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랭크실(2a) 안의 급격한 상승으로 경사판(15)의 기울기각이 0°가 된다. 즉 경사판 지지체(14)가 용량 복귀 스프링(40)의 스프링 작용에 대항하여 경사판 기울기각 영이 되는 위치에 이동 배치된다.
따라서 토출 용량은 영이 되고 무클러치 장착식의 압축기에 무클러치를 차단했을 때의 압축기 무부하 상태와 동일한 상태가 얻어진다. 압축기 부하가 영의 상태가 되면 차량용 엔진의 전 출력이 차량 구동에 향해진다.
경사판 기울기각이 영이 되는 위치에 경사판 지지체(14)가 오면 유지볼(37)은 경사판 지지체(14)의 피복 작용에서부터 해방되고 배출구(12a)로부터 돌출가능해진다. 변환체(34A)는 기울기각 강제 변경 스프링(48)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회전 지지체(18)측에 더욱 가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지볼(37)이 후퇴홈(34c)에서부터 변환체(34A)의 대경주면에 올라앉고 배출구(12a)로부터 돌출한다.
경사판 기울기각 영이 되는 위치의 경사판 지지체(14)는 배출(12)로부터 돌출하는 유지볼(37)에 의해 회전 지지체(18)측으로의 이동을 저지당한다. 즉 배출구(12a)로부커 돌출한 유지볼(37)의 위치는 경사판 기울기각 영이 되는 위치에 경사판 지지체(14)를 유지하는 영의 기울기각 유지 위치가 된다.
그리고 유지볼(37), 변환체(34A,34B) 및 볼(35)이 경사판 기울기각 영이 되는 위치에 경사판 지지체(14)를 유지하는 영의 기울기각 유지 수단이 된다. 즉 변환체(34A,34B) 및 볼(35)은 전자 솔레노이드(47)의 여자에 의해 경사판 지지체(14)의 슬라이드를 허용하는 통상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변환체(34A,34B) 및 볼(35)은 전자 솔레노이드(47)의 자기소거에 의해 경사판 기울기각 영이 되는 위치에 경사판 지지체(14)를 유지하는 규제 위치에 배치된다.
토출 용량이 영이 되는 경사판 기울기각 영의 상태가 계속되면 압축기안의 압력이 균일화되어 버리고 크랭크실(2a) 안의 압력만으로는 경사판(15)의 기울기각을 영으로 유지해 둘수는 없다. 그러나 경사판 지지체(14)는 배출구(12a)로부터 돌출하는 유지볼(37)에 의해 회전 지지체(18) 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고 경사판 기울기각이 제멋대로 복귀하는 일은 없다.
립시일(53)은 회전축(7)의 둘레면에 따른 크랭크실(2a)로부터의 냉매 가스 누설을 방지한다. 경사판 기울기각을 영으로 가져갈 때에는 크랭크실(2a) 안의 압력이 토출압까지 급격히 승압되고 이 고압 상태가 잠시 계속된다. 이와 같은 고압 상태가 계속되면 립시일(53)의 시일 성능이 상대적으로 저하되고 냉매 가스 누설을 막을 수 없다. 그러나 오일 분리공(22a)으로부터 오일 통로(24)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오일이 립시일(11)을 윤활시켜 시일 성능을 높인다. 그러므로 크랭크실(2a)안의 압력이 토출압 상당 고압상태가 되어도 림시일(11)과 회전축(7) 사이에서 냉매 가스가 누설되는 일은 없다. 립시일(11)의 윤활에 제공된 오일은 크랭크실(2a)로 환류된다.
경사판(15)의 기울기각 0°가 된 상태에서 압축기를 운전하여도 토출 용량이 영이 되므로 압축기안 및 외부 냉매회로안의 냉매 가스압은 균일해진다. 이 때문에 크랭크실(2a) 안의 압력을 저하시켜서 경사판(15)을 경사시킬 수는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솔레노이드(47)를 여자시키므로써 경사판(15)이 기울어진다.
공조 장치 작동 스위치(58)가 ON인 때 제어 컴퓨터 C는 온도 센서(57)로부터의 소정 온도 이상의 검출 신호, 액셀 스위치(60)로부터의 OFF 신호 혹은 외기온 셈서(61)로부터의 소정 온도 이상의 검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전자 솔레노이드(47)를 여자한다. 즉 이드 검출 신호는 기울기각 복귀 지령신호가 된다. 전자 솔레노이드(47)의 여자로 가동 철심(47c)이 기울기각 강제 변경 스프링(48)의 스프링 작용에 대항하여 고정 철심(47b)에 흡착된다. 이 흡착으로 변환체(34A,34B) 및 밸브(43)가 변환 복귀 스프링(36)의 스프링 작용으로 후방 하우징(3)측으로 이동하고 후퇴구(34c)가 배출구(12a)의 배열 위치에 일치한다. 따라서 유지볼(37)이 후퇴구(34c)에 떨어질 수 있게 되고 경사판 지지체(14)가 유지볼(37)의 이동 저지작용으로부터 해방된다. 유지볼(37)의 이동 저지 작용으로부터 해방된 경사판 지지체(14)는 용량 복귀 스프링(40)의 스프링 작용으로 회전 지지체(18)측으로 이동하고 경사판(15)의 기울어진다. 따라서, 편두 피스톤(20)이 왕복 운동을 시작하고 토출 작용이 이루어진다.
경사판(15)의 기울기각을 영으로 강제 변경하는 것은 전자솔레노이드(47)의 자기 소거에 의한 크랭크실(2a)로의 고압 공급이다. 경사판(15)의 기울기각을 복귀시키는 것은 전자 솔레노이드의 여자에 의한 크랭크실(2a)로의 고압 공급 정지 및 용량 복귀 스프링(40)의 작용에 의한다. 또한 경사판(15)의 기울기각이 영이 되는 위치에 경사판 지지체(14)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볼(37)은 전자 솔레노이드(47)의 여자 및 자기 소거에 따른 변환체(34A)의 변환 동작에 의한다. 즉 경사판 기울기각을 영으로 강제 변경하기 위한 전자 솔레노이드(47)의 여자 및 자기 소거에 의해서만 경사판 기울기각을 영으로 유지 및 경사판 기울기각 복귀도 행해진다. 따라서 경사판 기울기각을 영으로 하기 위한 전자 밸브 및 경사판 기울기각을 복귀시키기 위한 전자 밸브를 각각 필요로 하는 일본 특허 공개 제91-143725호 공보에 개시된 무클러치 압축기의 경우와는 다르며 압축기의 대형화 및 중량 증가가 되지는 않는다.
전자 솔레노이드(47)가 자기 소거 상태인 때에는 유지볼(37)은 용량 복귀 스프링(40)의 이동을 저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유지볼(37)은 변환체(34A)와 경사판 지지체(14) 사이에 끼워져 있다. 이 끼워진 상태가 변환체(34A)를 후방 하우징 측으로 작용 해방시의 저항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크랭크실(2a) 안의 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가스 배출 통로(7b,34e,34f,34g,51)의 일부(34e)가 후퇴구(34c)와 교차하도록 변환체(34A)와 원통체(1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가스 배출 통로 구성으로 냉매 가스 안에 혼입하는 윤활유가 변환체(34A)의 둘레면 및 유지볼(37)을 윤활시키고 변환체(34A)와 유지볼(37) 사이의 윤활성이 높여지고 있다. 따라서 유지볼(37)의 이동 저지 작용을 해방할 때의 저항이 저감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볼 밸브(43)의 개폐 동작에 유지볼(37)을 연동시키기 위해 한쌍의 변환체(34A,34B)가 사용되고 있다. 두 변환체(34A,34B)를 단일 부재로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별체의 구성으로 하므로서 변환체(34B)가 회전축(7) 및 원통체(12)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일은 없어지고 밸브 시트(42)의 변환체(34B)와의 접촉 부위의 마모가 회피된다. 이 접촉 부위의 마모가 커지면 유지볼(37)의 배출 동작이 흐트러지고 경사판 지지체(14)를 경사판 기울기각이 영인 위치로 유지할 수 없는 염려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 검출기(52), 온도 센서(57), 공조 장치 정지 스위치(59), 엑셀 스위치(60) 및 외기온 센서(61)를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구동이 되는 전자 솔레노이드(47)의 여자 및 자기 소거를 제어하기 위한 외부 제어 신호 발생기로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이외에도 예를 들면 냉매 가스압을 검출하는 압력 센서 혹은 차량용 엔진의 냉각수온센서 외부 제어 신호 발생기의 대상이 된다. 압력 센서에서 수득되는 검출 압력이 소정 상하한의 범위를 벗어났을 때에는 전자 솔레노이드(47)를 자기소거하고 경사판(15)의 기울기각을 영으로 한다. 검출 압력이 소정 상하 한계의 범위안에 들어갔을 때에는 전자 솔레노이드(47)를 여자하고 경사판(15)의 기울기각을 복귀시킨다.
본 발명은 물론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실시예도 가능하다.
후방 하우징(3)의 레디얼 중심부에는 제어 밸브(63)가 설치되어 있다.
제10도를 기초로 하여 제어 밸브(63)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솔레노이드 하우징(64)에는 코일(65) 및 고정 철심(66)이 수용 고정되어 있다. 고정 철심(66)의 중심축 선상에는 안내 로드(67)가 슬라이드 가능케 관통 지지되어 있다. 안내 로드(67)에는 가동 철심(68)이 부착되어 있고 안내로드(67)의 안내 작용으로 고정 철심(66)에 대하여 접착 분리가 가능하다. 가동 철심(68)의 이동 범위는 고정 철심(66)과 솔레노이드 하우징(64)의 스프링받이(64a) 사이로 규제된다. 안내 로드(67)의 편측 끝에는 스프링받이(67a)가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받이(67a)와 솔레노이드 하우징(64)의 단벽(64b) 사이에는 밸브 개방 강제 스프링(69)이 개재되어 있다.
가동 철심(68)은 밸브 개방 강제 스프링(69)의 스프링 작용으로 고정 철심(66)에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하우징(64)에는 밸브 하우징(70)이 결합고정되어 있고 밸브 하우징(70) 안에는 공모양 밸브(71)가 수용되어 있다. 밸브 하우징(70)에는 토출합 도입 포트(70a), 흡입압 도입 포트(70b) 및 제어 포트(70c)가 설치되어 있다. 토출압 도입 포트(70a)는 토출압 도입 통로(72)를 통하여 토출심(3b)에 연통되어 있고 흡입압 도입 포트(70b)는 흡입압 도입 통로(73)를 통하여 흡입실(3a)에 연통되어 있다. 제어 포트(70)는 압력 통로(74)를 통하여 크랭크실(2a)에 연통되어 있다.
밸브(71)에는 변환체(34B)의 소경 단부(34d)가 토출압 도입 포트(70a)를 통하여 붙어있다.
밸브 하우징(70)의 단벽과 밸브(71) 사이에는 복귀 스프링(75)이 개재되어 있고 밸브(71)는 밸브 구멍(70d)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복귀 스프링(75)의 스프링 작용을 받는다. 밸브 구멍(70d)이 개재되고 있다. 밸브 하우징(70)안에는 가압 로드(77)가 흡입압 도입 포트(70b)와 제어 포트(70c)를 항상차단하도록 슬라이드 가능케 수용되어 있다. 가압 로드(77)의 편측 끝은 다이어프램(76)에 부착되어 있다. 스프링 받이(64a)와 다이어프램(76) 사이에는 가압 스프링(78)이 개재되어 있다. 가압 스프링(78)은 다이어프램(76)을 통하여 흡입 압력에 대항한다. 가입 로드(77)는 가압 스프링(78)의 스프링 작용으로 항상 밸브(71)에 붙어 있다.
밸브(71)가 밸브 구멍(70d)을 폐쇄하고 있고 또한 가동 철심(68)이 밸브개방 강제 스프링(69)의 스프링 작용으로 스프링 받이(64a)에 붙는다.
이 붙은 상태에서는 안내 로드(67)가 가압 로드(77)를 밸브(71)의 밸브 개도가 최대가 된다.
제1도의 상태에서는 코일(65)이 통전되어 있고 고정 철심(66)이 여자 상태에 있다. 고정 철심(66)의 여자 상태에서는 가동 철심(68)이 고정 철심(66)에 흡착되어 있고 안내로드(67)가 다이어프램(76)에서부터 이격되고 있다. 이 이격 상태하에서 다이어프램(76)이 흡입압 도입 포트(70b)에서부터 도입된느 흡입 압력의 변동에 따라 변위되고 이 변위가 가압 로드(77)를 통하여 밸브(71)에 전달된다. 흡입 압력이 높은(냉방 부하가 큰) 경우에는 다이어프램(76)이 가압 스프링(78)의 스프링 작용에 대항하여 안내 로드(67)측에 휘어져 변형되고 밸브(71)의 밸브 개도가 작아진다. 밸브(71)의 밸브 개도가 작아지면 크랭크실(2a) 안의 압력이 저하하고 경사판 기울기각이 커진다. 역으로 흡입 압력이 낮은(냉방 부하가 작은) 경우에는 다이어프램(76)이 가압 스프링(78)의 스프링 작용에 의해 밸브(71)측으로 휘어져 변형되고 밸브(71)의 밸브 개도가 커진다. 따라서 크랭크실(2a) 안의 압력이 상승하고 경사판 기울기각이 작아진다.
코일(65)로의 통전이 정지되면 가동 철심(68)이 밸브 개방 강제 스프링(69)의 스프링 작용으로 고정 철심(66)으로부터 이격되어 스프링받이(64a)에 붙는다. 이 가동 철심(68)의 이동으로 밸브(71)의 밸브 개도가 최대가 되어 크랭크실(2a) 안의 압력이 급격히 상승한다. 크랭크실(2a) 안의 급격한 승압으로 경사판(15)의 기울기각이 즉시 0° 가 된다. 그리고 변환체(34A)가 밸브(71)의 밸브 개도 최대 위치로의 이동으로 연동하여 회전 지지체(18) 측으로 이동하고 유지볼(37)이 배출구(12a)에서 돌출한다. 이 돌출로 경사판 지지체(14)가 경사판 기울기각 영의 위치에 유지된다.
이 실시예의 제어 밸브(63)는 상기 실시예의 제어 밸브(25)의 기능과 전자 솔레노이드(47)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으며 압축기의 대형화 회피 및 중량 증가 회피는 한층 현저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구동 수단으로서는 전자 솔레노이드(47)를 대신하여 유압 작동기를 사용하고 유압 작동기로의 오일 공급 및 정지를 전자 삼방 밸브 혹은 전자 개폐 밸브를 행하도록한 실시예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량 복귀 스프링(40)을 생략하고 경사판 지지체(14)에 기울어져 이동가능케 지지되는 경사판이 이의 회전으로 기울어져 기울기각 증대 방향으로의 원심 작용을 받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경사판지지체(14)의 구면 중심보다는 회전지지체(18)측 또한 지지암(18a)측의 영역에 경사판(15), 연결핀(16A,16B) 및 안내핀(17A,17B)의 전체의 중심을 설정하면 경사판(15)은 이의 회전으로 증각 증대 방향으로의 원심 작용을 받는다. 이와 같은 중심 구성이 경사판 기울기각 복귀용 가압 수단이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랭크실과 토출압 영역을 접속하는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압력 통로상에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개폐 밸브를 개재시키고 회전축상에서 영의 기울기각 유지 위치와 슬라이드 허용 위치로 변환 배치되는 영의 기울기각 유지체를 갖춘 영의 기울기각 유지 수단 및 개폐 밸브를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구동 수단에 의해 변환 구동시키고 상기 회전축상에서 경사판 기울기각이 영이되는 위치에 있는 경사판 지지체를 경사판 기울기각 복귀용 가압 수단에 의해 경사판 기울기각 증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했으므로 경사판 기울기각을 영으로 강제변경하기 위한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구동 수단이 작동에 의해서만 경사판 기울기각 유지 및 경사판 기울기각 복귀도 행해지며 압축기의 대형화 및 중량 증가가 되지 않고 영의 용량 유지를 확실히 수행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낸다.

Claims (3)

  1. 크랭크실, 흡입실, 토출실 및 이들 각 실을 접속하는 실린더 보어를 구획 형성하고 실린더 보어안에 편두 피스톤을 왕복 직선 운동이 가능하도록 수용하는 하우징안의 회전축상에 경사판 지지체를 슬라이드가능케 지지하고 이 경사판 지지체상에 경사판을 기울어져 이동가능케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축상의 회전지지체에 경사판을 기울어져 이동가능케 연결시키고, 크랭크실내의 압력과 흡입압과의 편두 피스톤을 거친 차이에 의해 경사판의 기울어짐 이동을 제어하는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의 무클러치 구조체에 있어서, 크랭크실과 토출압 영역을 접속시키고 상기 회전축상에서 경사판 기울기각 영이 되는 위치에 상기 경사판 지지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압력을 토출압 영역에서부터 크랭크실에 공급하는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압력 통로와,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압력 통로상에 개재된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개폐 밸브와, 상기 회전축상에서 경사판 기울기각 영이 되는 위치에 경사판 지지체를 유지하는 영의 기울기각 유지 위치와, 상기 회전축상의 경사판 지지체의 슬라이드를 허용하는 슬라이드 허용 위치에 바꾸어 배치하는 영의 기울기각 유지체를 갖춘 영의 기울기각 유지 수단과, 외부 제어 신호 발생기에서 출력되는 기울기각 영의 지령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개폐 밸브를 열고 동시에 상기 영의 기울기각 유지체를 상기 슬라이드 허용 위치로부터 영의 기울기각 유지 위치로 바꾸어 배치하기 위한 기울기각 강제 변경용 구동 수단과, 상기 회전축상에서 경사판 기울기각이 영이 되는 위치에 있는 경사판 지지체를 경사판의 기울기각 증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사판 기울기각 복귀용 가압 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의 무클러치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영의 기울기각 유지 수단은 회전축의 일부가 되는 원통체의 외주면안에 몰입되는 슬라이드 허용 위치와, 원통체의 외주면에서부터 돌출되는 영의 기울기각 유지 위치로 바꾸어 배치되는 영의 기울기각 유지체와 상기 개폐 밸브의 개폐 동작과 연동되도록 상기 원통체에 수용된 변환체로 이루어지며 변환체는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안에 상기 영의 기울기각 유지체가 몰입 가능한 통상의 위치와,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에서부터 돌출하는 영의 기울기각 유지 위치에 영의 기울기각 유지체를 구제하는 규제 위치로 바꾸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의 무클러치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경사판 기울기각 복귀용 가압 수단은 스프링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의 무클러치 구조체.
KR1019940012335A 1994-06-02 1994-06-02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의 무클러치 구조체 KR970004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2335A KR970004812B1 (ko) 1994-06-02 1994-06-02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의 무클러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2335A KR970004812B1 (ko) 1994-06-02 1994-06-02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의 무클러치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487A KR960001487A (ko) 1996-01-25
KR970004812B1 true KR970004812B1 (ko) 1997-04-04

Family

ID=19384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2335A KR970004812B1 (ko) 1994-06-02 1994-06-02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의 무클러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81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487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811B1 (ko) 무클러치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 및 그 용량 제어방법
EP2113662B1 (en)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with displacement control mechanism
KR0127087B1 (ko) 클러치리스 편측피스톤식 가변용량압축기
JPH09268973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JPH09268974A (ja) 可変容量型圧縮機用制御弁
EP0824191B1 (en) Variable displacement compressor
JPH11257217A (ja) 片側可変容量型圧縮機
US6733246B2 (en) Control device for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US6283722B1 (en) Variable displacement type compressor
KR100277815B1 (ko) 가변용량 압축기
JPH10274153A (ja) 可変容量型圧縮機
KR970004812B1 (ko) 편측 피스톤식 가변 용량 압축기의 무클러치 구조체
US5890878A (en) Valve structure in compressor
JP3182950B2 (ja) 片側ピストン式可変容量圧縮機におけるクラッチレス構造
WO2019139132A1 (ja) 可変容量圧縮機
CN112313413B (zh) 可变容量压缩机
WO2020189604A1 (ja) 可変容量圧縮機
JP3289848B2 (ja) 可変容量型圧縮機
JP3182955B2 (ja) 片側ピストン式可変容量圧縮機におけるクラッチレス構造
JPH1061548A (ja) 可変容量圧縮機
JPH06207583A (ja) 片側ピストン式可変容量圧縮機におけるクラッチレス構造
JP3254820B2 (ja) クラッチレス片側ピストン式可変容量圧縮機
WO2020004166A1 (ja) 可変容量圧縮機
JPH06213152A (ja) 片側ピストン式可変容量圧縮機におけるクラッチレス構造
WO2000050775A1 (fr) Vanne de reglage a deplacement variable pour compresse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