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716Y1 - 환경차량의 적재함 덤핑 및 리프팅장치 - Google Patents

환경차량의 적재함 덤핑 및 리프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716Y1
KR970004716Y1 KR2019940038377U KR19940038377U KR970004716Y1 KR 970004716 Y1 KR970004716 Y1 KR 970004716Y1 KR 2019940038377 U KR2019940038377 U KR 2019940038377U KR 19940038377 U KR19940038377 U KR 19940038377U KR 970004716 Y1 KR970004716 Y1 KR 9700047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bracket
rear end
lock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3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433U (ko
Inventor
권영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아기공
김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아기공, 김재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아기공
Priority to KR20199400383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716Y1/ko
Publication of KR9600224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4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7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7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24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unloading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 B65F3/26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devices for unloading the tank of a refuse vehicle by tipping the ta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2003/006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the tank of the refus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환경차량의 적재함 덤핑 및 리프팅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록킹수단의 정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록팅수단의 평면도
제 5 도는 본 고안의 덤핑시의 작동상태도
제 6 도는 본 고안의 리프팅시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서보프레임 20 : 겐트리아암
30 : 브라켓 40 : 아우터아암
50 : 이너아암 52 : 경사가압판
60 : 리프트실린더 70 : 슬라이드 실린더
80 : 록킹수단 84 : 걸림구
90 : 적재함 92 : 걸림고리
본 고안은 환경차량의 적재함 덤핑 및 리프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환경차량의 적재함은 필요에 따라 상기 적재함을 차량에 지지시킨 상태에서 적재함용 경사지게 작동시켜 적재함내의 내용물을 하역하는 덤핑동작과, 상기 적재함을 차량으로부터 내려놓거나 또는 올리는 리프팅동작을 수행하는 덤핑 및 리프팅장치를 필요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리프트장치는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 81-830홍 개재된 바와 같이 와이어에 의해 작동하는 요동아암의 절환을 행하는 것만으로 단일의 리프트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기복프레임과 기립작동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고, 경동프레임과 기복프레임을 일체로 연결한 채로 경동시킬 수 있게하여 단일의 리프트실린더의 신축작동만을 적재함의 덤핑 및 리프팅을 이루게 하는 것이 개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기술은 덤핑시 사기 요동아암을 운전석에서 별도의 조작수단에 위해 조작하는 와아어로써 작동시키고 있어 비교적 큰힘을 받는 와이어가 단락되는 상황이 발생하여 덤핑을 이룰 수 없는 문제를 갖고 있었으며, 적재함의 무게중심점을 이동시킬 수 없으므로 리프팅시에 적재함의 전체하중이 리프팅장치에 가해지게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와이어 조작을 배제하여 고장의 우려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리프트시에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는 환경차량의 적재함 덤핑 및 리프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대에 고정되는 서보프레임에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축고정되고, 선단은 브라켓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겐트리아암과; 브라켓과 겐트리아암이 연결되는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아우터아암과; 선단에 후크가 형성되고 후단이 아우터아암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후단에 경사가압판이 구비되는 이너아암과; 일측이 브라켓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측이 차대에 고정되는 통상의 리프트실린더와; 일측은 아우터아암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이너아암에 연결되어 이어아암을 아우터아암에 대해 신축토록 하는 슬라이드 실린더와; 브라켓에 핀결합되는 록킹본체와, 상기 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후단이 브라켓에 스프링탄지되며 적재함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고리를 구속하며 상기 경사가압판에 의해 구속 해제하는 걸림구로 이루어진 록킹수단을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 실린더로 적재함을 이동시키고 그 이동에 의해 록킹수단으로부터 적재함의 걸림구가 이탈되도록 하여 와이어의 설치를 배제하고, 무게중심을 후방으로 이송시킨 후에 리프팅을 실시하여 리프팅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차대에 고정되는 서보프레임(10)이 구비되고, 선단에 후크(51)가 형성되고 후단이 아우터아암(40)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이너아암(5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후단이 상기 서보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축(22)고정되고, 선단에는 록킹수단(80)을 구비한 브라켓(3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게니트리아암(2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측(22)의 단부에는 적재함을 가이드하는 로울러(24)가 설치된다. 이 브라켓(30)과 겐트리아암(20)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아우터아암(40)의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브라켓(30)의 선단에는 일측이 차대에 고정되는 리프트실린더(60)의 타측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중공형태로 제작되는 이너아암(50)과 아우터아암(40)의 내측에는 후단이 아우터아암(40)에 고정되게 선단이 이너아암(50)에 연결되는 슬라이드 실린더(70)가 구비되어 슬라이드 실린더(70)의 작동에 의해 이너아암(50)은 아우터아암(40)의 내측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록킹수단(80)은 제 3 도 및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30)에 핀(32) 결합되는 록킹본체(82)가 구비되고, 역시 록킹본체(82)와 함께 핀(32)결합되되 후단이 브라켓(30)에 스프링(86) 탄지되는 걸림구(84)가 구비되어 있다. 이 걸림구(84)는 상기 적재함(90)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구(84)에 걸리게 되는 걸림고리(9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구(84)의 스프링(86)탄지측에는 이너아암(50)이 후단에 형성되는 경사가압판(52)이 위치하여 이너아암(50)의 후퇴시 걸림구(84)가 개방되어 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0은 작업시 차량의 들림을 방지하는 잭실린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덤핑 작동시에는 제 5 도의 (a)도와 같이 적재함(90)이 적재되어 적재함고리(94)가 후크(51)에 걸림과 동시에 적재함 하부에 제공되는 걸림고리(92)가 걸림구(84)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리프트실린더(60)가 작동하게 되면 적재함은 로울러(24)를 기준으로 회전하며 덤핑을 이루게 된다.
또한 적재함을 리프팅할 때에는 슬라이드 실린더(70)를 작동시켜 이너아암(50)을 후퇴시키면 이너아암(50)의 후단에 제공되는 경사가압판(52)이 걸림구(84)의 후단을 가압하여 스프링(86)힘을 이기며 걸림구(84)를 개방함과 동시에 이너아암(50)의 선단부가 적재함(90)을 후퇴시키게 되므로 적재함은 제 6 도의 (a)도와 같이 걸림고리(92)는 걸림구(84)로부터 이탈되며 후퇴하여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리프트실린더(60)가 작동하게 되면 제 6 도의 (b)도와 같이 아우터아암(40)이 핀()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적재함의 후단이 지면에 닿게 되고, 작동이 계속 진행됨에 따라 제 6 도의 (c)도와 같이 적재함(90)이 완전히 지면에 닿게 되고 이때 후크(51)는 적재함(90)으로부터 분리되어 진다.
그리고 적재함(90)을 적재할 때에는 상기와 역순으로 작동하여 적재를 이룰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환경차량의 적재함 덤핑 및 리프팅장치는 이너아암용 아우터아암에 대해 신축자능하게 하여 무게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되므로써 리프팅시 장치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어 장치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되고, 상기 이너아암의 후퇴에 의해 적재함의 걸림고리가 록킹수단으로 부터 해제되도록 하여 다락의 위험이 높은 와아어수단을 배제하여 고장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차대에 고정되는 서보프레임(10)에 후단이 회전가능하게 축(22)고정되고, 선단은 브라켓(3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겐트리아암(20)과; 브라켓(30)과 게니트리아암(20)이 연결되는 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아우터아암(40)과; 선단에 후크(51)가 형성되고 후단이 아우터아암(40)의 내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후단에 경사가압판(52)이 구비되는 이너아암(50)과; 일측이 브라켓(30)의 선단에 고정되고 타측이 차대에 고정되는 통상의 리프트실린더(60)와; 일측은 아우터아암(40)의 내측에 고정되고 타측은 이너아암(50)에 연결되어 이너아암(50)을 아우터아암(40)에 대해 신축토록하는 슬라이드 실린더(70)와; 브라켓(30)에 핀(32)결합되는 록킹본체(82)와, 상기 핀(3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후단이 브라켓(30)에 스프링(86)탄지되며 적재함(90)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고리(92)를 구속하며 상기 경사가압판(52)에 의해 구속해제하는 걸림구(84)로 이루어진 록킹수단(80)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차량의 적재함 덤핑 및 리프팅장치.
KR2019940038377U 1994-12-30 1994-12-30 환경차량의 적재함 덤핑 및 리프팅장치 KR9700047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377U KR970004716Y1 (ko) 1994-12-30 1994-12-30 환경차량의 적재함 덤핑 및 리프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377U KR970004716Y1 (ko) 1994-12-30 1994-12-30 환경차량의 적재함 덤핑 및 리프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433U KR960022433U (ko) 1996-07-20
KR970004716Y1 true KR970004716Y1 (ko) 1997-05-19

Family

ID=19404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377U KR970004716Y1 (ko) 1994-12-30 1994-12-30 환경차량의 적재함 덤핑 및 리프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7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433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332962A (en) Skip loader and dumper
JP5132484B2 (ja) 荷役車両
JP5380159B2 (ja) 荷役車両
KR200486557Y1 (ko) 덤프트럭용 리어도어 장치
FI86977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lyttning av lastutrymmet pao och fraon fordonet.
KR970004716Y1 (ko) 환경차량의 적재함 덤핑 및 리프팅장치
CN101495360B (zh) 机械后挡板
JP2003137016A (ja) 貨物自動車におけるテールゲートリフト
EP0025322B1 (en) Vehicle for transporting containers
JP4191662B2 (ja) コンテナ荷役車両
EP0014513A1 (fr) Mécanisme de chargement ou de déchargement d'un container sur ou à partir d'un véhicule
NL193187C (nl) Transportvoertuig voor afval met een containerlosinrichting en een beveiligingsconstructie.
JP3741840B2 (ja) コンテナ荷役車輌
JPS581065Y2 (ja) ダンプ車両
US6435800B2 (en) Slag transporter
JP2002036937A (ja) パレット運搬用車両
JP2000313272A (ja) キャスタストッパ
KR200368343Y1 (ko) 고리견인 운반기의 갠트리 고정장치
JPS59202943A (ja) 荷役車輛のコンテナ支持装置
JPS5885734A (ja) 荷役車両のコンテナ積卸装置
KR860002135B1 (ko) 하역차량의 콘테이너 실어내리기 및 경동장치
JPS6341237Y2 (ko)
SU497181A1 (ru) Самосвал
JP2759242B2 (ja) コンテナ
JP2593801Y2 (ja) 荷台傾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