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597Y1 -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에너지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에너지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597Y1
KR970004597Y1 KR2019950013186U KR19950013186U KR970004597Y1 KR 970004597 Y1 KR970004597 Y1 KR 970004597Y1 KR 2019950013186 U KR2019950013186 U KR 2019950013186U KR 19950013186 U KR19950013186 U KR 19950013186U KR 970004597 Y1 KR970004597 Y1 KR 9700045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haft
steering column
plane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31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429U (ko
Inventor
노희동
Original Assignee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filed Critical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500131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597Y1/ko
Publication of KR970001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5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5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에너지 흡수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조립초기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조립완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 4 도는 본 고안의 조립평면도
제 5 도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려는 조립단면도
제 6 도는 종래의 사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컬럼 2 : 샤프트
2a, 3a : 평면 3 : 튜브
4 : 횡형슬롯트홈 4' : 경사진슬롯트홈
5, 5' : 니들 6 : 슬롯트공
본 고안은 자동차의 조향핸들과, 기어박스간을 연결하여 자동차 진행방향을 조향하는 스티어링 컬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의 주행중 충돌시 운전자의 안전을 위해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에너지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인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51)은 제 5 도에서와 같이 샤프트(52)와 튜브(53)를 결합한 후 그 사이에 1차적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수지(54)로 몰딩고정하고 튜브(53)에 삽입되지 않은 샤프트(52)의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에는 2차적 충격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강구(55)를 압입하여 조립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조립구성된 컬럼(52)은 자동차가 주행중 외부의 강한 충격에 의해 충격에너지가 전달되면 조향핸들과 기어박스간을 연결설치한 컬럼(51)이 제 6 도에서와 같이 1차적으로 샤프트(52)와 튜브(53)를 몰딩고정시킨 수지(54)가 파단되면서 1차적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면서 압입되다가 곧바로 샤프트(52)에 압입된 강구(52)에튜브(53)가 접촉되는 순간부터 튜브(53)가 확관되면서 진행하여 2차적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도록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컬럼(51)에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토록 하기 위해 샤프트(52)와 튜브(53) 사이에 수지(54)의 충전으로 지지되므로서 반복되는 내구 안전성이 저하되고 경방향 및 축방향유격이 발생될 수도 있으며, 이는 곧 조향장치의 노이즈(NOISE)로 나타나게 됨은 물론 수지(54)의 좌단하중이 곧 충격에너지의 흡수하중이므로 하중관리가 요구되어 관리가 어려운 결점등이 야기되었고, 수지의 국산화가 없어 수지를 수입사용하여야 하므로 제작단가가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등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결점 및 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그 주된 목적으론 스티어링 컬럼의 샤프트에 슬롯트홈을 가공하여 니들을 인서트(Insert)한 후 튜브를 압입하여 정정한 초기하중유지 및 충돌시 일정한 하중을 유지토록하여 충격에너지 흡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그 특징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으론 슬롯트홈이 가공된 샤프트와 튜브를 조립한 상태에서 니들을 인서트한 후 압입하여 조립완료하므로서 조립작업을 간편용이하도록 하고 그에 따른 제작단가를 절감토록한 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에서와 같이 샤프트(2)와 튜브(3)를 상호 조립하여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조향하는 컬럼(l)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의 평면(2a)상의 끝단측으론 횡형 슬롯트홈(4)을 형성하고 그 내측으론 경사진 슬롯트홈(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튜브(3)의 평면(3a)상에는 샤프트(2)의 압입시 횡형 슬롯트홈(4)과 일치되는 지점에 슬롯트공(6)을 형성하여 상기 슬롯트홈(4)(4')에 니들(5)(5')을 인서트한 후 튜브(3)를 압입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컬럼(1)의 조립은 제 2 도에서와 같이 평면(2a) 상에 횡형 슬롯트홈(4) 및, 경사진 슬롯트홈(4')이 형성된 샤프트(2)와 평면(3a)상에 슬롯트공(6)이 형성된 튜브(3)를 상호조립한다.
이때, 샤프트(2)와 튜브(3)는 샤프트(2) 평면(2a)에 형성된 횡형 슬롯트홈(4)과, 튜브(3) 평면(3a)상에 형성된 슬릇트공(6)과 일치된 상태로 하고, 튜브(3)의 끝단은 샤프트(2) 평면(2a)상의 경사진 슬롯트홈(4)을 포삽되지 않는 상태로 압입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샤프트(2)와 튜브(3)의 압입이 완료된 후에는 샤프트(2)의 슬롯트홈(4)(4')에 각각 니들(5)(5')를 인서트한다.
그리고 니들(5)(5')의 인서트가 완료된 후에는 제 3 도 및 제 4 도에서와 같이 튜브(3)를 압입하여 적정한 초기하중이 유지된 상태로 되어 조립제작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1)에 자동차가 주행중 충돌시 충격에너지가 전달되면 샤프트(2) 평면(2a)상의 슬롯트홈(4)(4')에 압입 고정된 니들(5)(5')이 튜브(3) 내면과 마찰되면서 압입되어 충격에너지가 흡수되는 것이다.
이때 샤프트(2)의 평면(2a)상 내측의 경사진 슬롯트홈(4')은 샤프트(2)가 좌금되면서 튜브(3) 평면(3a)상에 형성된 슬롯트홈(6)에 위치하였을때 인서트된 니들(5')이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계속 충격에너지를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샤프트에 횡형 슬롯트홈과, 경사진 슬롯트홈을 형성하여 니들을 인서트하고 튜브를 압입하여 제작을 완료하므로서 반복되는 내구안전성이 향상됨은 물론 제작이 간편용이하여 작업능률을 가일층 향상시킬뿐 아니라 조립제작 코스트가 현저히 절감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샤프트(2)와 튜브(3)를 상호조립하여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조향하는 컬럼(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2) 평면(2a)상의 끝단측과 내측에는 횡형 슬롯트홈(4)과 경사진 슬롯트홈(4')을 형성하고, 튜브(3)의 평면(3a)상에는 샤프트(2)의 압입시 횡형 슬롯트홈(4)과 일치되는 지점에 슬롯트공(6)을 형성하며, 상기 슬롯트홈(4)(4')에는 니들(5)(5')를 인서트한 후 튜브(3)를 압입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에너지 흡수장치.
KR2019950013186U 1995-06-12 1995-06-12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에너지 흡수장치 KR9700045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186U KR970004597Y1 (ko) 1995-06-12 1995-06-12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에너지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3186U KR970004597Y1 (ko) 1995-06-12 1995-06-12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에너지 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429U KR970001429U (ko) 1997-01-21
KR970004597Y1 true KR970004597Y1 (ko) 1997-05-13

Family

ID=19415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3186U KR970004597Y1 (ko) 1995-06-12 1995-06-12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에너지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5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429U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9818A (en) Stroke absorbing type intermediate shaft for vehicular steering column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970004597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에너지 흡수장치
KR970004331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970005915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JP3698820B2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ジャケットとその組立方法
KR200176219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JP2593420Y2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970004335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 칼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200172612Y1 (ko) 조향 중간축 조립체
KR200299036Y1 (ko) 차량용 조향축의 충격 흡수구조
KR970003516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20080110220A (ko) 스티어링컬럼의 텔레스코픽 구조
KR970003517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100345862B1 (ko) 차량 조향장치의 샤프트
KR970003519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970005917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에너지 흡수장치
KR970003518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0114933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KR100345544B1 (ko) 자동차 스티어링샤프트의 충격흡수구조
KR100211379B1 (ko) 자동차의 조향축 충격흡수구조
KR100373277B1 (ko) 자동차의조향축충격흡수구조
KR970005916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JP2504091Y2 (ja) ストロ―ク吸収式中間シャフト
KR0136325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 구조
KR19980044708A (ko) 자동차의 유니버설조인트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