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6219Y1 -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6219Y1
KR200176219Y1 KR2019940011267U KR19940011267U KR200176219Y1 KR 200176219 Y1 KR200176219 Y1 KR 200176219Y1 KR 2019940011267 U KR2019940011267 U KR 2019940011267U KR 19940011267 U KR19940011267 U KR 19940011267U KR 200176219 Y1 KR200176219 Y1 KR 2001762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stopper
inner pipe
stopper groov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12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015U (ko
Inventor
김덕승
Original Assignee
밍 루
주식회사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밍 루, 주식회사만도 filed Critical 밍 루
Priority to KR20199400112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219Y1/ko
Publication of KR9500330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0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62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62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줄일수 있도록한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컬럼의 내파이프의 원주방향에 길이방향으로 스톱퍼홈을 형성하고, 상기 내파이프의 외주연에는 프라스틱부시 외파이프와 피어싱하여 결합하되, 상기 프라스틱 부시의 내측에는 스톱퍼홈과 동일한 갯수의 스톱퍼돌기를 가이드된 상태로 압입설치하여 회전방지와 동시에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주지않도록 한것이 그 특징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컬럼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이 충격에너지를 흡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 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려는 컬럼의 결합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컬럼 2 : 내파이프
3 : 외파이프 4 : 스톱퍼홈
5 : 프라스틱 부시 6 : 스톱퍼 돌기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여 운전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핸들은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임의로 조정하기 위해, 기어 박스측과 조정핸들간을 조향축에 의해 연결하고, 그 외주연에는 내,외파이프가 결합된 컬럼에 의해 보호되는 상태로 자동차의 차체에 고정토록하였다.
그런데, 종래의 컬럼(51)은 제6도 및 제7도에서와 같이 내,외파이프(52)(53)를 삽입하여 결합하되 마찰하중을 높일수 있도록 내파이프(52)의 90。선상에 돌기부(54)를 엠보하였다.
이때 상기 충격에너지 흡수는 90°선상의 돌기부(54)와 외파이프(53)의 내경관리로 하중이 콘트롤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내,외파이프(52)(53)가 결합된 컬럼(51)은 자동차의 주행중 충돌시에 외파이프(53)는 내파이프(52)의 돌기부(54)를 누르면서 힘없이 압입되어 충격에너지의 흡수가 용이치 못하며 내,외파이프(52)(53)가 압입된 상태에서 회전방지 스톱퍼가 없어 내,외파이프(52)(53)가 회전방향으로 회전될수 있는 문제점등이 야기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문제점등을 해결하기 위차여 안출된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으론 컬럼의 내,외파이프간에 플라스틱부시를 압입하여 자동차의 충돌시 프라스틱부시와 내파이프의 마찰로 충격에너지 흡수를 가일층 높일수 있도록함과 컬럼이 조립된 상태에서 내이프의 회전됨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것이 그 특징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수 있는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갈다.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조향축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컬럼(1)은 내,외파이프(2)(3)를 상호끼움 조립하되, 상기 내파이프(2)의 원주방향에 길이방향으로 스토퍼홈(4)을 형성하였다.
이때 상기 스톱퍼홈(4)은 상광하협되게 형성하여도 되고 스톱퍼홈(4)의 깊이가 하측으로 갈수록 낮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내파이프(3)의 외주연에는 프라스틱부시(5)를 외파이프(3)와 피어싱(Piereing)하여 결합하되 상기 프라스틱부시(5)의 내측에는 스톱퍼홈(4)과 동일한 갯수의 스톱퍼돌기(6)가 가이드된 상태로 압입설치차여서 된것이다.
이와갈이 구성된 본 고안의 컬럼(1)은 외파이프(3)에 내측에 스톱퍼돌기(6)가 일체로 형성된 프라스틱부시(5)를 회전됨을 방지할수 있도록 피어싱하여 서브아세이로 한다.
상기 서브아세이된 상태의 프라스틱부시(5) 내부에는 내파이프(2)를 압입하되, 프라스틱부시(5)에 일체로 돌출형성된 스톱퍼돌기(6)와, 내파이프(2)에 형성된 스톱퍼홈(4)이 일치되는 상태로 끼움결합한다.
이때 압입길이는 70mm 확보될때까지 일정하중을 가하여 압입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조향축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컬럼(1)으로서 자동차가 주행중 충돌시 충격에너지가 전달되면 컬럼(1)의 내, 외파이프(2)(3)가 압입되면서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이다.
이때 충격에너지는 외파이프(3)에 피어싱된 프라스틱부시(5)의 스톱퍼돌기(6)가 내파이프(2)에 형성된 스톱퍼홈(4)에 가이드되어 제4도에서와 같이 충격에너지를 흡수토록 하는 것인데, 스톱퍼돌기(6)가 밀리면서 상광하협된 스톱퍼홈(4)을 벌리면서 하측으로 진행하여 충격에너지를 흡수토록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5도는 본 고안의 내,외파이프(2)(3)가 결합된 컬럼(1)에 있어서, 상기 내파이프(2)의 원주방향에 길이방향으로 수개 형성된 스톱퍼홈(4)의 깊이를 하측으로 갈수록 높게 형성하여도 프라스틱부시(5)의 스톱퍼돌기(6)가 스톱퍼홈(4)을 외측으로 누르면서 압입되므로 충격에너지가 흡수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내,외파이프를 결합하되 내파이프의 원주방향에 길이방향으로 수개의 스톱퍼홈을 상광하협 또는 하측으로 갈수록 얕게 형성하여 컬럼의 압입시 프라스틱부시가 슬라이딩되어 자동차의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현저히 줄일수 있어 운전자에게 치명적인 손상을 주지않토록 한것이 그 특징이다.

Claims (3)

  1. 내,외파이프(2)(3) 결합되어 하나의 컬럼(1)을 구성함에 있어서, 내파이프(2)의 원주방향에 길이방향으로 스톱퍼홈(4)을 형성하고, 상기 내파이프(2)의 외주연에는 프라스틱부시(5) 와파이프(3)와 피어싱하여 결합하되, 상기 프라스틱부시(5)의 내측에는 스톱퍼홈(4)과 동일한 갯수의 스톱퍼돌기(6)를 가이드된 상태로 압입설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함(4)을 상광하협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퍼홈(4)을 하측으로 갈수록 깊이를 얕게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향핸들컬럼의 구조.
KR2019940011267U 1994-05-20 1994-05-20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KR2001762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1267U KR200176219Y1 (ko) 1994-05-20 1994-05-20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1267U KR200176219Y1 (ko) 1994-05-20 1994-05-20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015U KR950033015U (ko) 1995-12-16
KR200176219Y1 true KR200176219Y1 (ko) 2000-04-15

Family

ID=19383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1267U KR200176219Y1 (ko) 1994-05-20 1994-05-20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621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957B1 (ko) * 2014-07-21 2015-07-27 (주) 케이 이엔씨 조립식 레일 체결형 난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129322B1 (es) * 1996-04-18 2000-02-01 Castellon Melchor Daumal Perfeccionamientos en los arboles telescopicos.
KR20030004678A (ko) * 2001-07-06 2003-01-15 주식회사 만도 완충구조를 갖는 스티어링 컬럼
KR100421099B1 (ko) * 2001-07-06 2004-03-04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957B1 (ko) * 2014-07-21 2015-07-27 (주) 케이 이엔씨 조립식 레일 체결형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015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76219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KR970005917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에너지 흡수장치
KR0114933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KR970004335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 칼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970004595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KR970004331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100764208B1 (ko) 칼럼형 동력조향장치용 감속기의 유격흡수구조
KR200299036Y1 (ko) 차량용 조향축의 충격 흡수구조
KR200153016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200148307Y1 (ko) 충격흡수용 조향컬럼 구조
KR200299644Y1 (ko) 차량용 조향컬럼의 충격하중 흡수장치
KR100764213B1 (ko) 스티어링 기어 하우징의 마운팅 부시
KR0126666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JP2001088715A (ja) コラプシブルシャフト
KR970004596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970004592Y1 (ko) 자동차용 조향핸들 컬럼의 구조
KR0128038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200158237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 튜브의 충격 흡수장치
KR0176053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샤프트 에너지 흡수 장치
KR200301928Y1 (ko) 자동차의 조향축용 유니버셜 조인트의 유격 보상구조
KR100370316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9990005339U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구조
KR0134865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JPS5849896Y2 (ja) エネルギ−吸収式ステヤリングシヤフト
KR200150367Y1 (ko)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컬럼샤프트 충격흡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