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316B1 -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316B1
KR100370316B1 KR10-2000-0020728A KR20000020728A KR100370316B1 KR 100370316 B1 KR100370316 B1 KR 100370316B1 KR 20000020728 A KR20000020728 A KR 20000020728A KR 100370316 B1 KR100370316 B1 KR 100370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shock absorbing
elastic member
slots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7009A (ko
Inventor
이을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0-0020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316B1/ko
Publication of KR20010097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7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3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2Yieldable or collapsible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서로 결합되는 내측튜브(6)와 외측튜브(7)의 결합부위에 강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10)를 개입시켜 강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내측튜브(6)의 일단을 외측튜브(7)의 속으로 끼워 연결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에 있어서, 다수의 슬랏(61,61';62,62';63,63' : 71,71';72,72';73,73')을 형성한 내·외측튜브(6,7)를 강압함과 더불어 내·외측튜브(6,7)의 슬랏(61,61';62,62';63,63' : 71,71';72,72';73,73')을 통해 이들의 중심으로 삽입시킨 강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10)의 결합편(12,12';13,13';14,
14')을 매개로 상대적으로 강한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SHOCK ABSORBING APPARATUS OF VEHICLE STEERING COLUMN}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충격흡수율을 높인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체(2)에 고정된 채 그 속으로 통과하는 조향축(3)을 지지함은 물론 틸팅장치(4)를 가지고, 특히 전면 충돌시 완충기능을 발휘하도록 하여 가능한 운전자에게 핸들(5)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충격흡수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스티어링 칼럼(1)의 충격흡수기능은 충돌사고 발생시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사항이기 때문에 근래에 많은 구조 개선이 이루어져 왔다.
즉,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기 위해 내측튜브(6)와 외측튜브(7)로 분리하여 구성한 후, 이들을 서로 삽착하되, 그 단면을 변형시킨다든가 표면에 흠을 형성한다든가 특수한 부속물을 설치하므로써 평소에는 마찰력에 의해 지지되다가 충돌시 칼럼의 길이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 그 길이가 줄어 들면서 완충기능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근래의 한 실시예로 도 2 가에서와 같은 구조를 볼 수 있다.
이는 내측튜브(6)와 외측튜브(7)의 사이에 다수의 볼(8)들을 개입시키되, 이들볼(8)의 위치를 합성수지재 부시(9)로써 한정하여 평상시에는 마찰력이 유지되고, 충돌시 A방향으로 가해지는 마찰력을 이기고 길이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근래의 다른 실시예로 도 2 나에서와 같은 구조를 볼 수 있다.
이는 내측튜브(6)가 삽입되는 외측튜브(7)에 코킹부재(10)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내측튜브(6)와 외측튜브(7)의 결합을 유지시키고, 충돌시 A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력에 의한 마찰력을 이기고 길이가 줄어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충격흡수장치들은 마찰력을 이용하여 가해지는 충격력을 흡수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큰 충격력이 가해지면 마찰력에 의한 작용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 보완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발명의 주된 목적은 서로 결합되는 내측튜브와 외측튜브의 결합부위에 강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개입시켜 강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특징적인 수단은 내측튜브의 일단을 외측튜브의 속으로 끼워 연결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에 있어서, 다수의 슬랏을 형성한 내·외측튜브를 강압함과 더불어 내·외측튜브의 슬랏을 통해 튜브의 중심으로 삽입시킨 강한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매개로 상대적으로 강한 마찰력이 발생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스티어링 칼럼의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 가는 종래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로서, 볼을 이 용한 충격흡수장치
도 2 나는 종래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의 단면도로서, 코킹부재 를 이용한 충격흡수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칼럼 2 : 차체
3 : 조향축 4 : 틸팅기구
5 : 핸들 6 : 내측튜브
61,61';62,62';63,63' : 슬랏 7 : 외측튜브
71,71';72,72';73,73' : 슬랏 8 : 볼
9 : 부쉬 10 : 탄성부재
11 : 몸체
12,12';13,13';14,14' : 결합편 15 : 코킹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인데,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내측튜브(6)의 일단부가 외측튜브(7)에 삽입되되, 이 내·외측튜브(6,7)에는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개구된 한 쌍의 슬랏들이 소정간격으로 3쌍(61,61';62,62';63,63': 71,71';72,72';73,73')이 형성되어 진다.
상기 내·외측튜브(6,7)의 결합시 서로 일치되는 슬랏(61,61';62,62';63,
63': 71,71';72,72';73,73')들은 필요에 따라 소정 각도를 이루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120。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튜브(7)를 강압하면서 내·외측튜브(6,7)의 슬랏(61,61';62,62';63,63': 71,71';72,72';73,73')을 관통하여 중심을 향해 끼워지는 탄성부재(10)는 일정 폭과 두께로 된 몸체(11)와 이 몸체(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3쌍의 결합편(12,12';13,13';14,14')들로 이루어 진다.
여기서, 상기 3쌍의 결합편(12,12';13,13';14,14')들은 원 형상을 이룰 때 내·외측튜브(6,7)의 슬랏(61,61';62,62';63,63': 71,71';72,72';73,
73')들이 이루는 각도와 일치되는 간격을 갖게됨은 물론 그 길이는 내측튜브(6)의 내부에서 구부러져 내면에 안착될 수 있게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0)의 탄성력은 가해지는 충격력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게 됨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흡수장치의 결합단면도인데, 내·외측튜브(6,7)의슬랏(61,61';62,62';63,63': 71,71';72,72';73,73')들이 서로 일치 되도록 결합시킨 다음, 외측튜브(7)의 외주면에 탄성부재(10)의 몸체(11)를 감고 3쌍의 결합편(12,12';13,13';14,14')들을 각각의 슬랏(61,61';62,62';63,63': 71,71';72,72';73,73')들에 끼워 준다.
이어, 상기 내측튜브(6)의 내부로 삽입된 쌍의 결합편(12,12';13,13';14,
14')들을 외측튜브(7)쪽으로 구부려 내측튜브(6)의 내면에 안착시켜 준다.
이와같이 결합된 본 발명은 도4의 A 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은 내측튜브(6)가 삽입된 외측튜브(7)의 외주면을 강한 탄성력으로 강압한 탄성부재(10)의 몸체(11)에 의해 1차적으로 흡수되고, 이어 상기 몸체(11)에 의한 마찰력을 초과하는 충격력은 내·외측튜브(6,7)를 관통하여 결합된 탄성부재(10)의 결합편(12,12';13,13';14,14')들에 의해 흡수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내·외측튜브(6,7)를 결합한 충격흡수장치인 탄성부재(10)로 가해지는 충격력은 탄성부재(10)의 탄성력에 의존되므로, 충격력에 대한 스티어링 장치의 보호정도는 탄성부재(10)의 탄성력 크기에 따라 달라지게 됨은 물론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내·외측튜브(6,7)의 별다른 구조변경 없이 단순히 탄성부재(10)를 끼워주는 공정만으로 강한 결합력을 유지함은 물론 충격력의 크기에 따라 이를 견딜 수 있는 탄성력을 갖춘 재료를 이용하여 탄성부재(10)를 제조하게 되므로 충격력에 대한 흡수 범위가 광범위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 청구될 청구범위를 통해 상세히 언급되어지나, 청구범위에 언급되지 않을 경우라도 동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변형이나 변경될 수 있는 사항들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한정되어짐은 물론이다.

Claims (3)

  1. 삭제
  2. 내측튜브(6)의 일단을 외측튜브(7)의 속으로 끼워 연결하고, 상기 내측튜브(6)가 외측튜브(7)를 강압하는 탄성력을 가진 탄성부재(10)를 매개로 결합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튜브(6,7)에는 서로 짝을 이루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개구된 3쌍의 슬랏(61,61';62,62';63,63': 71,71';72,72';73,73')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0)는 외측튜브(7)를 강압하는 몸체(11)와, 이 몸체(11)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외측튜브(6,7)의 슬랏(61,61';62,62';63,63': 71,
    71';72,72';73,73')을 관통하여 중심을 향해 끼워지도록 서로 짝을 이루어 마주보는 3쌍의 결합편(12,12';13,13';14,14')들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튜브(6,7)에 형성된 3쌍의 슬랏(61,61';62,62';63,63': 71,71';72,72';73,73')들은 바람직하게 각도가 120。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2000-0020728A 2000-04-19 2000-04-19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370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728A KR100370316B1 (ko) 2000-04-19 2000-04-19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728A KR100370316B1 (ko) 2000-04-19 2000-04-19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009A KR20010097009A (ko) 2001-11-08
KR100370316B1 true KR100370316B1 (ko) 2003-02-05

Family

ID=1966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728A KR100370316B1 (ko) 2000-04-19 2000-04-19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4207B1 (ko) * 2003-10-06 2007-10-05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168B2 (ko) * 1981-12-24 1986-01-30 Yasuda Seisakusho Kk
JPH01156170A (ja) * 1987-12-14 1989-06-19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チューブ
JPH08318862A (ja) * 1995-05-27 1996-12-03 Mando Mach Co Ltd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168B2 (ko) * 1981-12-24 1986-01-30 Yasuda Seisakusho Kk
JPH01156170A (ja) * 1987-12-14 1989-06-19 Daihatsu Motor Co Ltd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チューブ
JPH08318862A (ja) * 1995-05-27 1996-12-03 Mando Mach Co Ltd 車両用ステアリングコ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7009A (ko) 2001-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81136B2 (ja) 安全ステアリングコラム
KR101138160B1 (ko) 충격 흡수식 조향장치
KR100370316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837993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 구조
JP3945495B2 (ja) 自動車車両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エネルギー吸収システムの変形可能な金属カプセル型装置
KR100380246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1031056B1 (ko) 상부 브라켓에 가이드와 슬릿 플레이트를 구비한충격에너지 가변 흡수구조 조향 장치
KR200172332Y1 (ko) 자동차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구조
KR200301922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1138073B1 (ko) 와이어를 구비한 조향축의 충격 흡수 구조
KR101813080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KR200153016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에너지 흡수구조
KR200160764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 구조
KR20010047801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0301921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160118419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KR100380443B1 (ko) 자동차의 조향칼럼
KR200323201Y1 (ko) 자동차용스티어링칼럼의충격흡수장치
KR100452294B1 (ko)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45233U (ko) 차량범퍼의 충격흡수용 프론트 프레임
KR19990005339U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구조
KR20000001813U (ko)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흡수구조
KR20080008906A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20010027564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010047876A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샤프트의 충격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