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189Y1 -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 - Google Patents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189Y1
KR970003189Y1 KR2019930014988U KR930014988U KR970003189Y1 KR 970003189 Y1 KR970003189 Y1 KR 970003189Y1 KR 2019930014988 U KR2019930014988 U KR 2019930014988U KR 930014988 U KR930014988 U KR 930014988U KR 970003189 Y1 KR970003189 Y1 KR 970003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eve
guide
fixed
drop device
hold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4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338U (ko
Inventor
이수필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14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189Y1/ko
Publication of KR9500073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3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1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테스터 핸들러의 언로딩부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의 구조 및 동작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의 구조 및 동작 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4도는 동상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가이드바 10 : 트랜스퍼블록
11 : 하홀더 부재 12 : 상홀더 부재
11a, 12a : 슬리브 안착홈 및 지지홈 13, 13' : 가이드봉
14 : 가이드 부재 15 : 업/다운바
16, 16' : 에어실린더 17, 17' : 압축스프링
본 고안은 테스터 핸들러(Tester Handler)의 슬리브(Sleeve) 홀딩/드롭(Holding/drop)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랜스퍼의 좌, 우 왕복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guide bar)의 어느 위치에서나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한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스터 핸들러에 있어서는 테스트된 디바이스를 슬리브라는 고무튜브로 받아내고 있다.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테스터 핸들러에는 반슬리브를 홀딩하여 이동시킴과 동시에 디바이스가 담긴 슬리브를 슬리브 박스로 떨어뜨리는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A)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 본체의 디바이스 적치레일부(B) 하단부에 좌, 우 왕복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반슬리브를 홀딩하여 적치레일부(B) 측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디바이스가 담긴 슬리브를 슬리브 적재박스(C) 측으로 이동시켜 떨어뜨리는 작용을 하는 바, 가이드바(D)에 슬라이드 지지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E는 반슬리브 불량처리 박스, F는 슬리브 지지부, G는 슬리브 가이드부를 각각 보인 것이다.
한편, 상기한 종래 구조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를 살펴보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된 가이드바(1)(1')를 따라 좌, 우 왕복이동하는 몸체로서의 트랜스퍼(2)와, 상기 트랜스퍼(2)의 상부 일측에 상, 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슬리브(3)를 선택적으로 홀딩하는 홀더(4)와, 상기 트랜스퍼(2)의 하부 일측에 고정된 브래키트(5)에 설치되어 상기 홀더(4)를 상, 하 이동시키는 에어실린더(6)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에어실린더(6)에는 에어실린더 작동을 위한 에어호스(7) 및 센서연결와이어(8)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는 외부의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에어실린더(6)가 전, 후진동작하는 것에 의해 그에 연동된 홀더(4)가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슬리브(3)를 드롭 또는 홀딩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구조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는 트랜스퍼(2)에 슬리브홀더(4) 구동용 에어실린더(6)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에어실린더(6)의 파손 위험이 있었고, 에어실린더(6)에 필요한 에어호스(7) 및 센서연결와이어(8)도 트랜스퍼(2)와 같이 움직이게 되므로 에어홉스(7) 및 센서연결와이어(8)의 꼬임 등으로 인한 단선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호스(7) 및 와이어(8)의 간섭으로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도 있었다.
결국, 장비 가동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에어실린더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그 에어실린더의 구동력을 홀더에 전달하는 업/다운바 및 컨넥터를 구비하여 에어실린더의 파손 및 에어호스 또는 센서연결와이어의 단선을 방지하도록 한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트랜스퍼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바의 어느 위치에서나 동작이 원활이 이루어지도록 한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이드바를 따라 좌, 우 왕복이동하는 몸체로서의 트랜스퍼 블록과, 상기 트랜스퍼의 블록의 상면에 고정된 슬리브 안착홈을 가지는 하홀더 부재 및 그 하홀더 부재의 상부에 상, 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리브 지지홈을 가지는 상홀더 부재와, 상기 상홀더 부재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됨과 아울러 트랜스퍼 블록을 관통하여 돌출된 가이드봉 및 그 가이드봉의 단부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일정 간극을 유지하여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 업/다운바 및 그 업/다운바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업/다운바를 상승시키는 에어실린더와, 상기 가이드봉에 개재되어 상홀더 부재를 하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에 의한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는 홀더 구동용 에어실린더가 트랜스터 블록과는 별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에어실린더의 파손 위험이 없고, 에어호스 및 센서연결와이어의 처리가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선 위험이 없으며, 이로 인한 장비보수유지시간이 세이브되므로 장비의 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고안은 가이드바의 어느 위치에서나 홀더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진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구성 및 동작상태를 보인 정면도이고, 제4도는 동상의 측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는 가이드바(1)(1')를 따라 좌, 우 왕복이동하는 몸체로서의 트랜스퍼 블록(10)과, 상기 트랜스퍼 블록(10)의 상면에 고정된 슬리브 안착홈(11a)을 가지는 하홀더 부재(11) 및 그 하홀더 부재(11)의 상부에 상, 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홈(12a)을 가지는 상홀더부재(12)와, 상기 상홀더 부재(12)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됨과 아울러 트랜스퍼 블록(10)을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봉(13)(13') 및 그 가이드봉(13)(13')의 단부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14)와 , 상기 가이드 부재(14)의 하부에 일정 간극을 유지하여 가로방향으로, 즉 가이드바(1)(1')와 평행하게 설치된 업/다운바(15) 및 그 업/다운바(15)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업/다운바(15)를 상승시키는 에어실린더(16)(16')와, 상기 가이드봉(13)(13')에 개재되어 상홀더 부재(12)를 하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압축스프링(17)(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봉(13)(13')은 상홀더 부재(12)의 하단 양측에 셋트스크류(도시되지 않음)로 고정되어 있고. 가이드봉(13)(13')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가이드 부재(14) 역시 도시되지 않은 셋트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어 업/다운바(15)의 상승동작에 의해 일체로 상승하여 홀더가 개방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재(14)와 트랜스퍼 블록(10)의 내부 일측 사이에 개재된 압축스프링(17)(17')에 의해 하방향으로 탄력지지되어 슬리브 홀딩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업/다운바(15)는 그 양측에 위치하는 에어실린더(16)(16')의 구동에 의해 승강하게 되어 있는 바, 상기 에어실린더(16)(16')는 고정브래키트(18)(18')에 고정되어 있고, 그 브래키트(18)(18')에는 업/다운바(15)의 승강동작을 안내하는 승강안내 부재(19)(19')가 입설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20은 부시를 보인 것이며, 21은 슬리브의 홀딩상태 즉 정상적인 방향인지 그렇지 않은지를 감지하는 감지핀, 22는 상기 감지핀을 하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감지스프링을 각각 보인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의 동작 및 그에 따르는 효과를 설명한다.
슬리브 홀딩의 전기적인 외부신호가 입력되면, 이 신호에 의해 에어실린더(16)(16')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업/다운바(15)가 상승하게 되고, 그에 연동하는 가이드 부재(14) 및 가이드봉(13)(13')이 상승하게 되어 홀더 개방상태가 된다.
이때 이동된 슬리브가 상기 홀더의 슬리브 안착홈(11a) 및 지지홈(12a) 사이로 들어가게 되며, 동시에 에어실린더(16)(16')가 하강하여 상홀더 부재(12)가 스프링(17)(17')의 탄력에 의해 하강하게 됨으로서 슬리브 홀딩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후 소정의 작업이 끝나고, 슬리브 드롭의 전기적인 외부신호가 입력되면, 다시 에어실린더(16)(16')가 상승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홀더 개방상태가 됨으로서 슬리브를 적재박스 또는 불량처리 박스로 드롭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이와 같은 슬리브 홀딩 및 드롭동작은 트랜스퍼가 가이드바(1)(1')의 어느 위치에 있어도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는 가이드바의 어느 위치에서나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진다는 효과가 있고(종래에는 에어실린더의 호스 및 센서연결선 등의 간섭으로 동작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에어실린더가 트랜스퍼 블록과는 별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에어실린더의 파손 위험이 없으며, 에어호스 및 센서연결와이어의 처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단선 위험을 배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결국 장비보수 유지시간을 세이브할 수 있으므로 장비가동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가이드바(1)(1')를 따라 좌,우 왕복이동하는 몸체로서의 트랜스퍼 블록(10)과, 상기 트랜스퍼 블록(10)의 상면에 고정된 슬리브안착홈(11a)을 가지는 하홀더 부재(11) 및 그 하홀더 부재(11)의 상부에 상, 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슬리브 지지홈(12a)을 가지는 상홀더 부재(12)와, 상기 상홀더(12)의 하단에 일체로 고정됨과 아울러 트랜스퍼 블록(10)을 관통하여 돌출된 가이드봉(13)(13') 및 그 가이드봉(13)(13')의 단부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14)와, 상기 가이드 부재(14)의 하부에 일정 간극을 유지하여 가로방향으로 설치된 업/다운바(15) 및 그 업/다운바(15)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고정되어 업/다운바(15)를 상승시키는 에어실린더(16)(16')와, 상기 가이드봉(13)(13')에 개재되어 상홀더 부재(12)를 하향 탄력지지하는 압축스프링(17)(17')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
KR2019930014988U 1993-08-05 1993-08-05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 KR970003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988U KR970003189Y1 (ko) 1993-08-05 1993-08-05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4988U KR970003189Y1 (ko) 1993-08-05 1993-08-05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338U KR950007338U (ko) 1995-03-21
KR970003189Y1 true KR970003189Y1 (ko) 1997-04-14

Family

ID=1936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4988U KR970003189Y1 (ko) 1993-08-05 1993-08-05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1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338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96346A (en) Vehicle body positioning apparatus
US10379296B2 (en) Fiber straightening apparatus and fiber straightening method
CN108955468A (zh) 一种三分度圆液力变矩器螺孔自动检测装置
CN217277389U (zh) 一种应急电源线抗拉伸测试装置
KR970003189Y1 (ko) 테스터 핸들러의 슬리브 홀딩/드롭 장치
CN106494886B (zh) 用于动车能量单元的综合参数检测装置
CN106002150B (zh) 电子排水阀控制器装配机的设置控制器上料装置
CN217331119U (zh) 一种线性滑轨测量治具
CN207473026U (zh) 电机接触式端子盒松脱及通电性能检测机构
CN116124607A (zh) 一种温变拉伸变形检测装置
CN207317697U (zh) 一种用于继电器衔铁间隙检测的检测机
CN205693534U (zh) 定子检测塘锡一体机
CN209656025U (zh) 一种板材表面测量设备
CN209296830U (zh) 一种功率器件检测治具
CN209230536U (zh) 动簧片检测及调整系统
CN208421089U (zh) 一种座椅检测设备对接机构
CN106248017A (zh) 一种汽车检具卡座
CN220525543U (zh) 一种温变拉伸变形检测装置
KR0121170Y1 (ko) 패키지 픽업 장치
CN219714321U (zh) 一种快速检测星环灯尺寸状态的装置
KR100596176B1 (ko) 전차선 절연봉의 인장시험 지그
CN111362049A (zh) 智能线束机的线卷装夹机构
CN116399704B (zh) 一种弹力绳拉伸力检测装置
JPH07243696A (ja) 防塵フィルターのリーク検出装置
CN216836895U (zh) 一种拉伸标定传感器装卸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