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861B1 - 모터 피동 축방향 이동성 서보로드를 구비한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피동 축방향 이동성 서보로드를 구비한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861B1
KR970002861B1 KR1019880005063A KR880005063A KR970002861B1 KR 970002861 B1 KR970002861 B1 KR 970002861B1 KR 1019880005063 A KR1019880005063 A KR 1019880005063A KR 880005063 A KR880005063 A KR 880005063A KR 970002861 B1 KR970002861 B1 KR 970002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servo rod
rim
magnetic tape
tape casset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051A (ko
Inventor
크로스-하인 칼
헤르만 룸프 호르스트
Original Assignee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이반 밀러 레르너 filed Critical 엔. 브이. 필립스 글로아이람펜파브리켄
Publication of KR890001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11B15/103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electrically operat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5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second movement only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 G11B15/67557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second movement only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with servo control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Moving Of Head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모터 피동 축방향 이동성 서보로드를 구비한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제1도는 자기테이프장치의 테이프 데크의 사시도.
제2도는 헤드 장착판 및 승강기구용 제어기구와 승강기구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방출위치에 있는 장치의 기구의 개략적인 평면도.
제4도는 재생위치에 있는 제3도의 기구의 도면.
제5도는 대기위치에 있는 제3도의 기구의 도면.
제6도는 고속감기위치에 있는 제3도의 기구의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헤드 장착판 9, 11 : 림
14 : 서보로드 15 : 전자기 보유장치
19 : 전달 돌출부 26 : 슬라이드
40, 41 : 모터 42, 43 : 턴테이블
46 : 논리회로 53 : 스위칭휘일
54 : 스위칭부재 60 : 스위칭수단
63 : 안내핀 66 : 죠오 포크
73 : 제어부재 87 : 로딩기구
96 : 경사면 98 : 편심 스프링
109 : 편심 디스크.
본 발명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헤드 장착판 및 로딩기구와 같은 장치의 작용 요소를 제어하는 반대방향으로 축방향 이동이 가능한 서보로드를 구비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 카세트 특히, 콤팩트 카세트를 재생하도록 제작된 자기테이프장치에서, 카세트 내에서 자기테이프에 관하여 자기헤드를 이동시키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이것은 자기헤드를 소유하는 헤드 장착판을 이동시킴에 의해 수행된다. 대체로, 그러한 장치는 콤팩트카세트를 수용하여 재생위치로 운반하는 로딩기구를 구비한다. 이를 위하여 승강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공통된 실시이다. 자동 역전형의 장치에서 테이프 전달방향은 모터의 회전방향에 의존하며, 가압롤러는 제1 또는 제2 캡스턴상으로 압박되고 턴테이블은 한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구동된다.
게다가, 유럽특허 제A95,815호(PHD 82-064_는 서보로드가 모터에 의해 각각의 축방향에서 구동될 수 있는 자기테이프장치를 설명한다. 제어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서보로드는 여러가지 기능들이 속해 있는 기준 위치로 항상 설정되어야 한다. 이것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복잡하고 또한 재생기능이 정지되고 재시작되는 순간 사이에서 많은 시간을 요구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의 기능들 사이를 연결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이 축소되며 공지된 서보로드를 이용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상기 목적은, 모터가 턴테이블을 구동하기 의해 추가로 사용되고, 제어부재가 서보로드 및 헤드 장착판이 지시한 위치에 제공되고, 이 위치에서부터 회전 스위칭(switching)부재의 위치가 유추되며, 스위칭부재가 모터의 논리회로를 위한 스위칭수단을 작동시킴으로써 모터와 서보로드간에 힘을 지속시키는 결합을 제공하고 그리고 장치 기능의 전환중에 모터로부터 턴테이블을 해제시키는 것으로부터 달성된다.
제어부재는 서보로드뿐만 아니라 헤드 장착판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방법에서 제어부재의 위치는 헤드 장착판과 서보로드에 의해 좌우된다. 이것은 헤드 장착판이 스위칭 과정을 제어할 수 있고 또한 서보로드가 제어부재를 경유하여 스위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재의 위치는 이 부재가 논리회로를 경유하여 스위칭수단의 도움을 받아 모터를 제어하고 따라서 테이프 테크 기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도록 스위칭부재의 회전을 명령한다. 또한, 회전 스위칭부재에 의하여 제어부재는 제어로드에 모터를 지속적으로 강력하게 결합시키고, 따라서 제어로드가 또한 기능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끝으로, 스위칭부재의 제3기능은 장치의 기능전환중에 모터로부터 턴테이블을 해제시키는 것이고, 따라서 실제로 장치의 기능전환중에 자기테이프의 구동을 단절한다. 만일에 회전 스위칭부재가 턴테이블을 구동시킬 수 있으면, 서보로드를 구동하는 동일한 모터가 또한 관련된 턴테이블을 구동할 수 있다. 주목해야 할 것은 가압롤러도 동일한 모터에 의해 전환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칭부재는 장치의 기능전환중에 모터와 서보로드간의 힘이 지속적인 결합을 제공하는 스위칭휘일을 소유하다. 스위칭휘일을 경유하여 서보로드와 모터간의 선택적 결합은 스위칭 기능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스위칭휘일이 서보로드와 결합하지 않는 시간간격에서 모터는 하나의 턴테이블을 구동하거나 또는 가압롤러를 전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칭휘일의 결합과정은 제어부재와 스위치부재와의 협동에 의해 항상 시작되고, 스위칭부재는 이 부재가 제어부재나 서보로드와의 협동에 의해 보유되는 결합위치로 비롯된다. 이것은 스위칭 휘일이 소위 제어부재의 위치를 경유하는 두 기준에 의존하여 또는, 서보로드에 관한 스위칭 휘일의 회전방향에 의존하여 결합위치에서 점유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칭부재는 제어부재와, 턴테이블의 피봇아암과 서보로드와 제각기 협동하도록 되어 있는 작용 림(limb), 해제 림 및 정위림을 구비한다. 스위칭부재의 세가지 다른점은 제어부재, 피봇아암 및 서보로드의 운동에 적합한 특정한 기능을 각기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칭부재는 하나의 피봇방향에서 스프링 하중의 가해지며 상기 림을 구비하는 3개의 아암 스위칭 레버로써 제작된다. 따라서, 제어부재는 스피링력에 대항하여 한 방향으로 스위칭부재를 피봇시킬 수 있고, 제어부재가 귀환할때 스위칭부재는 스프링 하중을 받으며 다른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작용 림은 스위칭 휘일을 소유하고, 그리고 경사면을 구비하는데 이 경사면을 경유하여 작용 림이 제어부재의 경사면과 협동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작용 림은 스위칭휘일을 모터 피동 중앙기어휘일과 맞물리게 할 수 있고, 상기 맞물림이 신뢰성있게 수행되고 있음을 상기 경사면이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정위 림은 두 위치에서 서보로드와 결합하게 되어 있는 안내핀을 소유한다. 이 안내핀은 제어부재의 위치에 관계없이 스위칭부재가 서보로드에 관하여 특정한 두 위치를 차지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해제 림은 턴테이블의 구동을 비작동으로 만들기 위하여 장치의 기능전환중에 피봇아암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는 넓은 죠오 포크를 소유한다. 이것은 서보로드가 스위칭기능을 제어하는 위치에 스위칭부재가 있다면 모터가 턴테이블을 구동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기능전환과 테이프 구동간의 정확한 분리에 중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재는 헤드장착판과 협동하도록 되어 있는 하나의 단부와, 서보로드와 협동하도록 되어 있는 다른 단부를 가지는 제어레버로써 제조되고, 이 제어레버는 축방향 이동 및 피봇이 가능하도록 안내되고, 제어레버를 헤드 장착판을 향하여 하나의 피봇방향에서 추진시키기 위해 스프링 수단이 제공된다. 제어부재는 하나의 부유방법으로서 지지되고, 헤드 장착판과 서보로드 사이에서 다른 위치를 차지할 수 있다. 이것은 특정한 스위칭 기능을 위해 스위칭부재를 제어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또한, 헤드 장착판에 대하여 서보로드를 제어하기 위해서 중요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다른 단부는 서보로드의 전진 및 후진운동중에 서보로드의 단일방향 안내로에서 이동이 가능한 추종핀을 소유한다. 추종핀이 서보로드에 관하여 한 방향에서 이동하면, 단일방향 안내로와 상기 안내로에 배치된 새도우형 캐치(catch)는 한 방향에서 핀이 다른방향에서보다는 서보로드에 관하여 또하나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혜드 장착판은 자기 헤드 및 가압롤러를 소유하는 베이스와, 제1림을 구비하고, 또한 상기 베이스와 제1림 사이의 코너부분에 있는 피봇에 대하여 선회가 가능하고, 제1림의 자유단부는 제1림에 관하여 스프링 하중을 받는 전달 돌출부 및 제어 돌출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돌출부들은 제각기 제어부재와 서보로드와 협동하도록 되어 있다. 전달 돌출부는 서보부재에 의해 작동되고, 제어 돌출부는 제어 부재에 의해 작동된다. 전달 돌출부는 헤드 장착판과 서보로드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종류의 과다이동을 얻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헤드 장착판은 U형이고, 기부에 관하여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신장이 가능한 제2림을 구비하는데, 상기 제2림은 자유단부의 부근에서 전자석과 협동하여 헤드 장착판을 두 작동 위치에서 보유할 수 있다. 따라서, 헤드 장착판은 다른 두 작동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다른 작동위치에서 보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칭수단은 스위칭부재나 서보로드중 어느하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스위치 작동기를 가지는 제어 스위치를 구비한다. 스위칭부재의 특정한 회전위치가 제어부재 및 스위칭부재를 경유하여 요청되면, 스위치 작동기는 스위칭부재의 회전에 순응하여 작동되어서 장치의 논리회로를 거쳐 모터를 제어한다. 서보로드는 논리회로를 경유하여 모터를 제어하기 위해 동일한 스위치 작동기를 거쳐 논리회로를 조작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모터의 전기적 스위칭이 스위칭부재가 기계적으로 작용되어 있을때까지 수행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때 스위치 작동기의 위치는 중요하지 않다. 이것은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치 작동기는 서보로드에서 정위 림 또는 스위칭 돌출부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 작동기는 서보로드에서 정위 림이나 스위칭 돌출부중 어느하나에 의해 작동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서보로드는 결합부재를 경유하여 로딩기구의 승강 슬라이드와 협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승강 슬라이드는 로딩기구의 승강 격실의 높이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승강슬라이드는 서보로드에 영향을 끼치고, 그 역도 가능하고, 따라서 한 경우에는 승강 슬라이드가 카세트의 삽입중에 서보로드를 작동시킬 수 있고, 다른 경우에는 서보로드가 승강 슬라이드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승강 슬라이드는 장치 샤시에 관하여 서보로드에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고, 편심 스프링을 경유하여 장치 샤시에서 지탱되는데 상기 편심 스프링은 카세트가 승강격실내에 삽입될때 승강 슬라이드와 결합부재를 통해 전달 돌출부를 향하여 특정거리를 따라 서보로드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편심 스프링은 카세트의 삽입후 승강 슬라이드가 자동으로 더 이동되며 모터에 의해 구동이 단절될 때까지 서보로드를 구동하고 있음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서보로드의 상기 운동중에, 제어부재의 추종핀은 단일방향 안내로의 일부를 횡단하고, 이에 의해 제어부재를 작동시켜서 제어 부재의 경사면이 작동 림의 경사면에 의해 스위칭 휘일을 통하여 모터를 서보로드에 결합시키고 스위칭 수단을 작동하게 하다. 서보로드가 편심 스프링에 의해 더 많이 이동된 후 모터 구동이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어 스위치는 서보로드의 우동이 모터 구동을 통해 계속되고 있음을 보장한다. 이것은 모터 제어하에서 서보로드에 의해 스위칭 기능이 더 수행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실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및 2도는 편심축(5)에 대하여 선회될 수 있는 헤드 장착판(3)을 구비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의 샤시로써 이용되는 테크판(1)을 도시한다. 헤드 장착판(3)은 U형이고, 기부(7)의 단부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1림(9) 및 제2림(11)을 구비한다. 림(9, 11)이 베이스에 연결되는 장소에서 코너부(12, 13)가 형성되다. 제1림(9)은 서보로드(14)(제1도에 도시되지 않음)와 협동하고, 제2림(11)은 전자기 보유장치(15)와 협동하도록 적용되어 있는 작용 요소를 구성한다.
헤드 장착판(3)의 베이스(7)는 자기헤드(16)와, 베이스(7)에 관하여 피봇될 수 있는 가압롤러(17a, 17b)를 소유한다. 가압롤러(17a, 17b)는 캡스턴(18a, 18b)에 적용되어서 자기헤드(16)를 통해 한방향 또는 다른방향으로 자기테이프를 이동시키게 된다.
헤드 장착판(3)은 서보로드(14)를 경유하여 피봇된다. 상기 서보로드(14)는 림(9)에 피봇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프링 장전된 전달 돌출부(19)에 작용을 가한다. 서보로드(14)에 의해 헤드 장착판(3)은 작용될때마다 편심축(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전자기 보유장치(15)는 자석 코일(20)을 구비하는데, 이 코일의 내부 공간(21)(제3도)은 U형의 자기적으로 절연된 전기자(22, 23)의 림이 횡단한다. 두전기자(22, 23)는 중첩되어 있고, 관련된 전기자 림(22a, 23a)은 서로 쌍을 이루며 겹쳐져 있다. 요크(22b, 23b)는 대향한 코일단부(20a, 20b)에 놓여 있다. 전자기 보유장치(15)는 데크판(1)에 고정된다.
림의 자유단부는 제1전기자판(24) 및 제2전기자판(25)과 협동하도록 되어 있는 극편(23c, 22c)을 형성한다. 핀(24a)에 의해 제1전기자판(24)은 슬라이드(26)상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슬라이드(26)에서 핀(24a)은 림(11)의 안내슬롯(27)과 결합한다. 슬라이드(26)의 안내핀(26b)은 림(11)에 있는 아치형슬롯(28)에서 안내를 받는다. 슬롯(28)은 아치형 경로를 따라 전자기 보유장치(15)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한다. 스프링(29)은 안내핀(26b)이 아치형슬롯(28)의 단부(28aa)와 정상적으로 결합하고 있음을 보장한다. 이 위치에서 슬라이드(26)는 림(11) 위에서 이 림과 평행하게 연장한다.
제2전기자판(25)은 핀(25a)에 의해 피봇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아암(30)에 배치된다. L형 아암(30)은 제2전기자판(5)을 소유하는 짧은 아암부(30a)를 가지며, 그 단부(30b)에서 피봇(31)에 대하여 이중화살표(32)로 지시된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긴 아암부(30c)는 자석코일(20)과 평행하게 슬라이드(26)의 측면(33)까지 연장하는데, 이 측면에서 긴 아암부는 경사면(35)을 가지는 슬라이드의 노우즈(34)의 부근에서 끝난다.
제각기 극편(23c, 22c)에 적용될때, 전기자판(24, 25)은 자석코일(20)이 에너지를 받으면 극편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따라, 자석코일(20)이 에너지를 받는 동안에 전기자판은 헤드 장착판(3)의 두 작동위치를 규정한다. 하나 또는 두 파이 적용되는지에 따라 하나 또는 두 전기자판이 자석코일(20)에 에너지가 단절될때 해제되고, 헤드 장착판(3)의 베이스(7)에 작용하는 스프링(37)은 헤드 장착판(3)을 시계방향으로 휴지위치로 피봇할 수 있다. 전자기 보유장치는 독일연방공화국 특허출원 제37 14 7048호(PHE 87-084)에 이해하기 쉽게 설명되어 있다.
상기 자석의 작동을 설명함으로써 헤드 장착판이 전자기 보유장치와 협동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5도는 대기 또는 휴지위치를 도시한다. 자석코일(20)은 에너지를 받지 않고 있으며, 제1전지자판(24)은 전기자(23)의 극편(23c)에서 떨어져 있다. 제2전기자판(25)은 스프링(36)에 의해 극편(22c)으로 지속적으로 추진된다. 스프링(37)은 헤드 장착판(3)이 휴지 또는 대기위치로 반시계방향으로 피봇됨을 보장한다. 자기헤드(16)와 가압롤러(17a, 17b)는 자기테이프(도시되지 않음)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고, 테이프는 가압롤러/캡스턴 쌍(17a, 18a/17b, 18b)의 사이에서 자기헤드(16)를 지나서 이동한다. 헤드 장착판이 피봇되어 재생위치 측, 제1작동위치(제4도)에서 보유되면, 서보로드(14)는 점선으로 도시된 위치에서 전달 돌출부(19)에 접촉하고, 이로써 헤드 장착판(3)을 시계방향으로 피봇시킨다. 자석코일(20)은 이동안에 에너지를 받지 않고 있다. 헤드장착판(3)이 시계방향으로 피봇될때, 림(11)은 전자기 보유장치(15)를 향하여 이동된다. 슬라이드(26)의 노우즈(34)는 긴 아암부(30c)의 경사면에 접촉한다. 스프링(36)이 약하므로 노우즈(34)가 경사면(35)과 긴 아암부(30c)를 외부로 반시계방향으로 누른다. 안내핀(26b)은 단부(28a)에서 유지된다. 림(11)은 제1전기자판(24)을 극편(23c)에 대해 위치시킨다. 이제 자석코일(20)이 에너지를 받고, 제1전기자판(24)이 극편(23c)에 대해 보유된다(제4도). 따라서, 헤드 장착판(3)도 재생위치 즉, 제1작동위치에서 보유된다. 재생모드가 끝나거나 또는 고속진행 또는 역전작동으로 전환시키고자 할때는, 자석코일(20)은 에너지를 받지 않고, 스프링(37)은 헤드 장착판을 반시졔방향으로 휴지 또는 대기위치로 귀환시킨다. 상기 휴지 또는 대기위치에서부터 고속감기 또는 재생위치로 진행될 수 있다. 재생위치가 어떻게 도달되는지를 앞에서 설명하였다. 이제 고속감기 위치(제6도) 즉, 제2작동위치가 도달되는 보유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고속감기위치(제6도)에 도달하기 위해서 자석 코일(20)은 에너지를 받는다. 제2전기자판(25)은 이미 극편(22c)에 위치해 있고, 이제 보유자력이 스프링(36)에 의해 가해진 힘을 돕는다. 따라서, 긴 아암부(30c)를 반시계방향으로 멀리 피봇하기가 더욱 어렵게 되어 있다. 서보로드(14)는 하나의 전진운동을 수행하여 헤드장착판(3)을 시계방향으로 피봇시킨다. 이때 슬라이드(26)의 노우즈(34)는 긴 아암부(30c)를 반시계방향으로 멀리 피봇하기가 더욱 어렵게 되어 있다. 서보로드(14)는 하나의 전진운동을 수행하여 헤드 장착판(3)을 시계방향으로 피봇시킨다. 이때 슬라이드(26)의 노우즈(34)는 긴 아암부(30c)에서 멀리 피봇될 수 없다. 이것은 노우즈(34)가 긴 아암부(30c)의 경사면(35)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문에 안내핀(26b)은 아치형 슬롯(28)의 다른 단부(28b)를 향해 이동된다. 이러한 운동은 화살표(26c)로 지시된 방향으로 피붓되는 슬라이드(26)의 안내핀(24a)이 전자기 보유장치(15)를 향해 슬롯(27)에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 결과 림(11)은 실제로 전자기 보유장치(15)를 향해 연장된다. 이러한 연장의 결과로써 림(11)은 재생위치에 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기 보유장치(15)를 향해 더 멀리 이동할 수 없다. 서보로드(14)는 동일한 이동을 수행하고, 스프링(19a)에 의해 저항을 받는 쇄선위치(제6도)로 전달 돌출부(19)를 과다 이동하게 피봇시킨다. 그 결과, 헤드 장착판(3)은 제4도에 도시된 재생위치에서 약간 벗어나며, 자기테이프는 자기헤드(16)와 밀접한 접촉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고속진행 및 역전감기의 위치가 도달된다. 게다가, 가압롤러(l7a, 17b)는 관련된 캡스턴(18a, 18b)에 가해지지 않는다.
고속진행 또는 역전감기가 끝나면, 자석코일(20)은 에너지를 받지 않는다. 그 결과 제1전기자판(24)은 극편(23c)에서 해제되고, 스프링(37)은 헤드 장착판(3)을 반시계방향으로 휴지 또는 대기위치(제5도)로 다시 피봇시킬 수 있다. 방금 설명한 구조가 사용될때 이것은 재생 또는 고속감기위치로 작동시키기 전에 대기 위치로 항상 귀환시킬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데크판(1)은 두개의 모터(40, 4l)를 소유한다. 모터(40)는 헤드 장착판의 운동을 제어하고, 턴테이블(42, 43)을 구동하는 작용을 한다. 모터(41)는 벨트(44)를 경유하여 캡스턴(18a, 18b)을 구동한다. 이것은 플라이휘일(45a, 45b)을 통해 수행된다. 벨트(44)는 S형으로 플라이휘일(45a, 45b)의 둘레를 지나가면서 캡스턴(18a, 18b)의 역회전방향을 획득하게 된다. 모터는 회로판(47)에 배치된 논리회로(46)를 통해 제어된다. 회로판(47)은 데크판(1)에 장착된다.
모터(40)는 두개의 휘일부품(49a, 49b)을 구비한 감속기어휘일(49)과, 워엄축(48)을 경유하여 중앙기어휘일(50)을 구동한다. 피봇아암(41)은 중앙기어휘일(50)의 스핀들(50a)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고, 전송기어휘일(52)을 피봇가능하게 지지한다. 전송기어휘일(52)은 피봇아암(51)과 중앙기어휘일(50) 사이에서 마찰 클러치(도시되지 않음)을 경유하여 피봇되어서 턴테이블(42)이나 또는 턴테이블(43)을 구동한다. 서보로드(14)는 스위칭 휘일(53)에 의해 축방향에서 이동될 수 있다. 스위칭 휘일(53)은 스위칭부재(54)에 속하고, 스위칭부재(54)의 작용 림(55)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스위칭 부재(54)는 해제 림(56) 및 정위 림(57)을 더 구비한다. 스위칭부재(54)는 스핀들(58)에 대하여 피봇될 수 있고, 탄성아암(59)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추진된다. 데크판(1)은 정위 림(57)과 서보로드(14)의 스위칭 돌출부(62)와 협동하도록 되어 있는 스위치 작동기(61)를 가진 제어 스위치(60)를 더 소유한다. 정위 림(57)은 두 위치에서 서보로드(14)와 결합하는 안내핀(63)을 소유한다. 두 위치중 하나의 위치가 제3도, 4도 및 6도에 도시되고, 다른 위치가 제5도에 도시된다. 제5도에 도시된 위치로 설정하기 위하여 서보로드는 제2위치를 제어하는 에지(64)를 구비하다. 제1위치는 서보로드(14)에서 슬롯(65)에 의해 규정된다. 3아암 스위칭부재(54)의 해제 림(56)은 피봇아암(51)에 있는 제한핀(67)과 협동하도록 되어 있는 넓은 죠오 포크(66)를 구비한다.
데크판(1)에는 두 슬롯(68, 69)이 형성된다. 슬롯(68)은 L형이고, 슬롯(69)은 서보로드(14)의 운동 방향으로 연장하는 직선형 슬롯이다. 서보로드의 운동 방향은 이중 화살표(70)로 지시된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부(68a)와, 이중 화살표(70)에 수직방향으로 상기 슬롯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부분(68b)을 가진다. 이러한 수직방향은 화살표(71)로 지적된다. 슬롯(68, 69)은 제어부재(73)의 안내핀(72a, 72b)과 결합한다. 스프링(74)은 상기 제어부재(73)를 두방향으로, 그중에서도 제1림(9)의 자유단부에 단단히 연결되는 제어 돌출부(75)를 향하여 추진시킨다. 제어 돌출부(75)는 전달 돌출부(9)의 부근에 위치한다. 제어부재(73)가 스프링(74)에 의해 추진되는 제2방향이 화살표(71)로 지지되어 있다. 제어부재(73)는 작용 림(55)에 있는 경사면(55a)과 협동하도록 되어 있는 경사면(76)을 가진다. 제어부재(73)는 L형이고, 추종핀(78)을 소유하는 짧은 아암부(77)를 구비한다. 이 추종핀은 서보로드(14)에서 단일방향 안내로(79)와 협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단일방향 안내로는 새도우형 캐치(80)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경로(79a, 79b)를 구비한다. 상기 새도우형 캐치(80)는 추종핀이 역방향이 아인 화살표(81)로 지시된 방향으로 캐치를 지나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진다. 추종핀(78)이 통과한 후에 새도우형 캐치(80)가 경로(79b)를 들어가며, 귀환할 수 없고 이중 화살표(70)로 도시된 방향으로 연장하는 경로(79b)를 따라가야 한다.
서보로드(14)는 승강 슬라이드(83)와 접속이 확립되도록 결합부재(82)를 갖추고 있다. 상기 승강 슬라이드(83)는 화살표(80)로 지시된 방향에서 결합부재(82)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돌출부(84)를 구비한다. 화살표(85)의 방향은 승강 슬라이드(83)가 속해 있는 로딩기구(87)로 카세트(86)를 삽입하는 방향과 일치한다. 로딩기구(87)는 카세트(86)를 수용하도록된 승강격실(88)을 구비한다.
승강 슬라이드(83)는 이중 화살표(70)로 지시된 방향에서 축상으로 이동하도록 안내부(89)에 의해 안내를 받는다. 안내부(89)는 도시되지 않은 방법으로 데크판(1)에 연결된 플라스틱 요소의 일부를 형성한다. 승강 슬라이드(83)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U형이고, 긴 림(91), 베이스(92) 및 짧은 림(93)을 구비한다. 긴 림(91)은 승강격실(88)의 핀(95)이 안내를 받는 두 경사 슬롯(94)을 형성한다. 짧은 림(93)은 승강격실의 태브(97)와 협동하도록 되어 있는 경사면(96)을 형성하고 있다. 이런 방법에서 승강격실(88)은 원리상승강 슬라이드(83)에 관한 3점에서 안내를 받는다. 또한 편심 스프링(98)은 플라스틱 요소(90)와 승강 슬라이드(83)의 긴 림(91)에 작용한다.
플라스틱 요소(90)는 수직 에지면(90b)으로 둘러싸인 수평 에지면(90a)을 가진다. 다른 수직 에지면(90c)은 상기 수직 에지면(90b)과 평행하게 연장한다. 두 수직 에지면(90b, 91c)간의 거리는 핀(95)간의 거리와 일치하고, 핀(95)은 수직 에지면(90b, 90c) 사이에서 이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1도는 전송기어휘일(52)을 지지하는 피봇아암(51)이 턴테이블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피봇 아암(51)은 피봇(101)에 대하여 피봇될 수 있는 작동레버(100)에 의해 결합되는 피봇(99)을 가진다. 전송 기어휘일(52)의 피봇운동의 범위내에 고정기어 세그먼트(102)가 배열되고, 이 세그먼트는 전송기어휘일(52)과 맞물릴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송기어휘일은 저면에 기어휘일부품(52a)을 소유한다. 피봇(99)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작동레버(100)의 단부에서 상기 작동 레버(100)는 슬롯(104)에서 제한된 정도까지 이동될 수 있는 핀(103)을 소유한다. 슬롯(104)은 슬라이드(105)에 형성되고, 이 슬라이드는 이중화살표(70)로 지시된 방향으로 데크판에 있는 슬롯(107)에서 이동될 수 있는 핀(106)을 구비한다.
기어 세그먼트(110)에 연결된 편심디스크(109)는 스핀들(108)에 대하여 피봇운동이 될 수 있도록 데크판(1)에 장착된다. 이러한 기어 세그먼트(110)는 슬라이드(105)의 치형 래크(111)와 협동한다. 따라서, 피봇(101)에 대해 작동레버(100)의 피봇운동에 의하여, 핀(103)이 슬롯(104)의 한 단부에 도달한 후 이중화살표(70)로 지시된 방향중 한방향으로 슬라이드(105)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운동중에 편심 디스크(109)가 회전된다. 가압롤러(17a, 17b)는 부재(112a, 112b)에서 지지되고, 차례로 이 부재들은 스핀들(113)에 대해 피봇될 수 있다. 스핀들(113)의 헤드 장착판(3)에 장착된다. 부재(112a, 112b)는 편심 디스크(109)의 캠면을 추종하도록 되어 있는 핀(114)을 구비한다. 부재(112a, 112b)는 스프링(115a, 115b)에 의해 캡스턴(18a, 18b)을 향하여 스프링 하중을 받는다. 스프링(115a, 115b)은 편심 디스크(109)에 대해 핀(115)을 추진시킨다. 테이프 데크에 카세트가 없으면 데크의 부품들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관련된 위치에 있게 된다. 장치가 작동되려면 카세트(86)가 승강 격실(88)내에 삽입된다. 카세트가 손으로 삽입될때 승강 슬라이드의 돌출부(84)는 결합부재(82)를 운동상태로 놓는다. 승강 슬라이드(83)가 내부로 이동될때 서보로드(14)도 이동 된다. 이때 편심 스프링(98)이 장력을 받고, 편심점을 지나갈때 스프링은 카세트(86)가 손으로 이동되지 않고도 승강 슬라이드를 더 내부로 끌어당긴다. 승강 슬라이드가 더 내부로 이동될때 또한 서보로드도 삽입방향(85)으로 더 이동된다. 이러한 서보로드(14)의 운동중에 경사면(55a, 76)은 서로 접촉하고, 스위칭부재(54)는 반시계방향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결과로서 스위칭 휘일(53)은 중앙기어휘일(50)을 서보로드에 결합시킨다. 또한 스위칭부재(54)의 피봇 운동은 스위칭 돌출부(67)를 정위 림(57)에서 해제시킨다. 이러한 해제는 모터(40)를 시동시키기 위해 논리회로(46)에 대한 명령을 형성한다. 이 결과 서보로드는 모터(40)에 의해 삽입방향(85)으로 더 이동된다. 이제 돌출부(84)는 더이상 결합부재(82)를 구동할 필요가 없고, 승강 슬라이드는 편심스프링의 힘에 의해서만 삽입방향(85)으로 더 이동되고, 이러한 이동은 핀(95)이 수직 에지면(90b, 90c) 아래로 활주할 수 있을때 까지 계속하고, 또한 핀(95)은 경시슬롯(94)에서 아래로 활주하다. 동시에 태브(97)는 경사면(96) 아래로 활주한다. 이러한 하향 운동은 승강 슬라이드(93)가 제2도에 도시된 가장 뒷쪽에 단부 위치에 도달할때 정지된다. 이 위치에서 승강 격실(88)은 가장 뒷쪽의 최하 위치에 도달하고, 카세트(86)는 감기 스핀들(116, 117)과 결합된다.
화살표(85)로 도시된 방향으로 서보로드(14)가 운동하는 동안 제어부재(73)의 추종핀(78)은 화살표(81)로 지시된 방향에서 경로(79a)로 들어간다. 추종핀(78)은 스프링(74)의 영향을 받아서 삽입위치를 취한다. 그때 제어부재(73)는 안내핀(72b)에 대하여 피봇된다. 이러한 피봇운동은 화살표(118)로 도시되어 있다. 추종핀(78)은 새도우형 캐치(80)를 경유하여 경로(79b)로 들어간다. 이때 제어부재(73)는 화살표(1l9)로 도시된 방향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피봇운동의 결과로서 스위칭부재(54)는 경사면(55a, 76)을 경유하여 반시계방향으로 더 많이 피봇되어서 제한핀(67)이 넓은 죠오 포크(66)의 아암 사이에 끼워진다. 이런 포크는 전송기어휘일(52)는 텐테이블(42, 43)을 차폐할 수 없음을 보장한다.
스위칭휘일(53)을 경유하는 서보로드(14)의 구동은 외부방향 즉, 화살표(85)로 지시된 방향의 역방향으로 자동 고정된다. 이것은 제5도에 도시된 대기위치에서 안내핀(63)이 에지(64)와 슬롯(65) 사이의 코너부(125)에서 유지됨을 의미한다. 이 위치에서 넓은 죠오 포크(66)는 제한핀(67)에 대해 작용하고 그리고, 턴테이블(42 또는 43)로부터 전송기어휘일(52)을 멀리 부진한다. 그러나, 화살표(85)로 지시된 내부방향에서 스위칭휘일(53)에 의해 구동이 자동해제된다. 이것은 서보로드가 당김운동을 수행할때 제어부재(73)가 운동경로를 제한하지 않으면 스위칭휘일이 중앙기어휘일로 부터 자동으로 분리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향한 외부방향에서 스위칭휘일(53)의 자동고정형태는 안내핀(63)이 어떤 특별한 안내 처치를 취하지 않고 코너부(125)에서 유지되고 있음을 보장한다.
제4도에 도시된 재생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서보로드(14)는 제4도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만큼 멀리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 위치에서 서보로드(14)는 제1도 및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방법에 따라 헤드장착판(3)을 재생위치로 이미 피봇시켰다. 서보로드(14)의 극대의 우측위치에서 서보로드의 스위칭 돌출부(62)는 스위치 작동기(61)와 접촉한다. 이 결과 논리 회로(46)는 모터(40)에 역전명령을 부여한다. 모터(40)가 돌출부(62)를 통해 역전명령을 받으면 그 전압이 높게 유지된다. 이때 서보로드(14)는 화살표(85)의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좌측으로 귀환한다. 제어부재(73) 및 스위칭부재(54)는 서로 분리된다. 스프링(59)의 힘은 스위칭부재(54)를 시계방향으로 피봇시키고, 따라서 제한핀(67)이 포크(66)에 의해 해제된다. 이러한 시계방향 피봇 운동중에 정위 림(57)은 다시 스위치 작동기(61)에 작용한다. 이러한 재작용의 논리회로(46)는 모터(40)는 더 낮은 전압을 적용한다. 따라서, 모터는 이제 더 작은 토오크로서 작동한다. 큰 모터 토오크는 스위칭 기능에서만 요구되고, 정상 재생작동에서는 요구되지 않는다. 시계방향의 회전중에 스위칭휘일(53)은 중앙기어휘일(50)로부터 분리되고, 따라서, 서보로드(14)가 더이상 구동되지 않는다. 서보로드(14)의 극대의 우측 위치로의 운동과 헤드 장착판(3)의 피봇운동과 동시에, 제어부재(73)가 스위칭부재(54)의 경사면(55a)에서 멀리 이동되는데, 왜냐하면 상기 제어부재도 또한 스프링(74)의 힘 때문에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이다. 스프링(79)은 시계방향으로 스위칭부재(54)를 이동시키고. 안내핀(73)은 서보로드에 관하여 다른 위치를 취한다. 해제 림(56)도 제한핀(67)에서 시계방향으로 멀리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송기어휘일(52)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42)과 맞물려서 이를 구동할 수 있다.
동시에 가압롤러가 작용한다. 작동레버(100)는 화살표(120)로 도시된 방향에서 좌축으로 슬라이드(105)를 이동시킨다. 치형 래크(111)는 기어 세그먼트(110)를 경유하여 편심 디스크(109)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켰다. 이때 우측부재(112a)의 핀(114)이 편심 디스크(109)의 표면(121)을 뗘나고, 에지(122)와 접촉하며, 이 에지에 스프링(115a)이 지속적으로 힘을 가한다. 동시에 가압롤러(17a)가 캡스턴(18a)에 적용된다. 핀(114)이 표면(121)에서 코너부(123)를 경유하여 에지(102)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105)를 화살표(120)로 도시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 이동은 작동레버(100)에 의해 개시되고 핀(114)에 의해 전달된다. 우측 편심 디스크(109)의 핀(114)이 이제 하부 에지(122)로 이동하기 때문에, 좌측 편심 디스크(109)의 핀(114)은 코너부(123)를 경유하여 에지(122)로부터 표면(121) 위로 이동된다. 이 결과 부재(112b)는 스프링(115b)에 의해 가해진 힘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피봇되고, 가압롤러(17b)는 캡스턴(18b)에서 벗어난다.
장치는 항상 논리회로(46)를 통해 제어된다. 이것은 외부의 제어명령이 키이동을 통해 논리회로에 항상 적용되고 있음을 의미하다. 유사한 과정이 테이프의 단부에서 있을 수 있음은 명백하다. 장치의 전달방향이 역전되면 모터(40)는 테이프의 단부가 도달되거나 또는 푸시버튼에 의해 논리회로를 경유하여 역전 명령을 받는다. 이러한 회전방향의 역전은 좌측 편심 디스크(109)의 핀(114)이 코너부(123)를 지나 이동하고 또 피(114)이 에지(122)를 경유하여 화살표(124)로 지시된 방향으로 슬라이더(105)의 운동을 전달할때까지 작동레버(100)가 화살표(124)의 지시방향으로 슬라이더(105)를 초기에 이동시키도록 만든다. 가압롤러(17a)는 그 때 캡스턴(18a)에서 분리되고, 가압롤러(17b)는 캡스텬(18b)에 적용된다. 동시에 전송기어휘일(52)은 턴테이블(42)에서 턴테이블(43)로 피봇 이동된다. 재생모드가 종료되면, 이는 예를들어 키이의 작동이나 또는 작동전압이 없어지면 완료될 수 있는데, 전자기 보유장치(15)는 에너지 공급이 끊어지고, 헤드 장착판(3)은 스프링(37)의 영향을 받아 반시계방향으로 피봇된다. 이러한 피봇단부위치가 제5도에 도시된다. 다음에 전달 돌출부(19)는 서보로드(14)의 우측단부와 접촉한다. 동시에 제어 돌출부(75)는 제어부재(73)를 좌측으로 이동시켜서 스위칭부재(54)의 경사면(55a)과 결합하게 한다. 이제 스위칭휘일(63)은 다시 중앙기어휘일(50)을 서보로드에 결합시킨다. 동시에 넓은 죠오 포크(66)는 전달기어휘일(52)이 턴테이블(42)과 맞물리지 않도록 중앙까지 제한핀(67)을 피봇시켰다. 스위칭부재(54)의 반시졔방향 운동의 결과로서 정위 림(57)은 스위치 작동기(61)를 해제시켰다. 논리회로(46)에 대해 이러한 해제는 새로운 명령이 적용될 것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명령은 작동키이를 누름에 의해 얻어진다. 이러한 키이로부터 논리회로(46)는 어떻게 진행시켜야 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아래와 같은 상황이 있을 수 있다.
1. 대기가 요구되면, 논리회로(46)는 모터(40)를 정지시킨다.
2. 방출이 요구되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보로드(14)는 좌측으로 이동되고, 이 결과 카세트(86)에서 결합부재(82)를 경유하여 방출된다. 카세트는 편심스프링(98)에 의해 방출된다.
3. 고속 전진 또는 역전 작동이 요구되면, 자석기 보유장치(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에너지를 받고, 서보로드는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된다. 아암(11)의 연장때문에 헤드 장착판은 재생 위치에 도달할 수 없다. 이 위치에서 논리회로는 모터가 고속 데이퍼 전달을 얻기 위해서 큰 구동 토오크를 가지고 있음을 보장한다.
4. 다시 재생모드가 요구되면, 논리회로(46)는 서보로드가 우측(제4도)으로 이동되고(제4도) 이로인해 장착판을 재생위치로 피봇될 수 있음을 보장한다.

Claims (18)

  1. 헤드 장착판(3)과 로딩기구(87)와 같은 장치의 작용 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역방향에서 축상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모터(40)에 의해 구동이 되는 서보로드(14)를 구비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에 있어서, 모터(40)가 턴테이블(42, 43)을 구동하기 위해 추가로 사용되고, 제어부재(73)가 서보로드(14)와 헤드 장착판(3)에 의해 좌우되는 위치를 가지며, 이 위치로 부터 회전 스위칭부재(54)의 위치가 유추되고, 상기 스위칭부재는 모터(40)와 서보로드(14)간에 힘이 유지된 결합을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 장치의 기능전환중에 모터(40)로부터 턴테이블(42, 43)을 분리시키기 위해 모터(40)의 논리회로(46)에 대한 스위칭수단(60)을 작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칭부재(54)는 장치의 기능전환중에 모터(40)와 서보로드(14)간에 힘이 유지된 결합을 제공하는 스위칭휘일(53)을 소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스위칭휘일(53)의 결합과정은 제어부재(53)와 스위칭부재(54)간의 협동에 의해 항상 시작되고, 스위칭부재(54)는 결합위치로 피봇되고, 이 결합위치에서 스위칭부재는 제어부재(73) 또는 서보로드(14)와의 협동에 의해 보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4.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위칭부재(54)는 제어부재(73)와 턴테이블 구동의 피봇아암(51)과 서보로드(14)와 제각기 협동하도록 되어 있는 작용 림(55)과 해제 림(56)과 정위 림(5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스위칭부재(54)는 하나의 피봇방향에서 스프링 하중이 걸리고 상기 림(55, 56, 57)을 구비하는 3아암 스위칭 레버로써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작용 림(55)은 스위칭 휘일을 소유하고, 경사면(55a)을 구비하고, 이 경사면을 통해 작용 림(55)이 제어부재(73)의 경사면(76)과 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정위 림(57)은 두 위치에서 서보로드(14)와 결합하도록 되어 있는 안내핀(63)을 소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해제 림(56)은 턴테이블(42, 43)의 구동을 비작동으로 하기 위하여 장치의 기능 전환중에 피봇아암(51)의 운동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는 넓은 죠오 포크(66)를 소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재(73)는 헤드 장착판(3)과 협동하도록 되어 있는 한 단부와, 서보로드(14)와 협동하도록 되어 있는 다른 단부를 가지는 제어레버로써 제작되고, 상기 제어레버(73)는 축방향에서 이동 및 피봇가능하도록 안내되고, 스프링수단(74)은 하나의 피봇방향(118)에서 헤드 장착판(3)을 향하여 제어레버(73)를 추진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단부는 서보로드(14)의 전진 및 후진 운동중에 서보로드(14)의 단일방향 안내로(79)에서 이동될 수 있는 추종핀(78)을 소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헤드 장착판(3)은 자기헤드(16) 및 가압롤러(17a, 17b)를 소유하는 베이스(7)와 제1림(9)을 구비하고 또한 베이스(7)와 제1림(9) 사이의 코너부(12)에서 피봇에 대하여 피봇이동이 될 수 있고, 제1림(89)의 자유단부는 제1림(9)을 향하여 스프링 하중이 걸리는 돌출부(19)와 제어 돌출부(75)를 갖추고, 상기 돌출부들은 제어부재(73) 및 서보로드(14)와 제각기 협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헤드 장착판(3)은 U형이고, 베이스(7)에 관하여 길이를 증가시키도록 연장가능하며 자유단부의 부근에서 헤드 장착판(3)을 두 작동위치에서 보유하도록 전자석(15)과 협동할 수 있는 제2림(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칭수단(60)은 스위칭부재(54) 또는 서보로드(14)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스위치작동기(61)를 가지는 제어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스위치 작동기(61)는 서보로드(14)에서 정위 림(57)이나 또는 스위칭 돌출부(62)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서보로드(14)는 결합부재(82)를 경유하여 로딩기구(87)의 승강 슬라이드(83)와 협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승강 슬라이드(83)는 로딩기구(87)의 승강 격실(88)의 높이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승강 슬라이드(83)는 장치 샤시(1)에 관하여 서보로드(14)와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고 또한 편심 스프링(98)을 경유하여 장치샤시(1)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카세트(86)가 승강 격실(88)내에 삽입될때 편심 스프링(98)은 승강 슬라이드(83) 및 결합부재(82)를 경유하여 전달 돌출부(19)를 향하여 특정거리에 걸쳐 서보로드(14)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보로드의 운동중에 제어부재(73)의 추종핀(78)은 단일방향 안내로(79)의 한부분을 횡단하고 이에 의해 경사면(76)이 작용림(55)의 경사면(55a)에 의해 스위칭 휘일(53)을 경유하여 모터를 서보로드(14)에 결합하고 스위칭수단(60)을 작동시키도록 제어부재(73)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KR1019880005063A 1987-06-13 1988-05-02 모터 피동 축방향 이동성 서보로드를 구비한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KR9700028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719890.4 1987-06-13
DE3719890A DE3719890C1 (de) 1987-06-13 1987-06-13 Magnetbandkassettengeraet mit einer von einem Motor angetriebenen,hin und zurueck laengsverschieblichen Servostange
DEP37198904.4 1987-06-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051A KR890001051A (ko) 1989-03-18
KR970002861B1 true KR970002861B1 (ko) 1997-03-12

Family

ID=632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063A KR970002861B1 (ko) 1987-06-13 1988-05-02 모터 피동 축방향 이동성 서보로드를 구비한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24336A (ko)
EP (1) EP0295726B1 (ko)
JP (1) JP2685223B2 (ko)
KR (1) KR970002861B1 (ko)
CN (1) CN1012305B (ko)
DE (2) DE3719890C1 (ko)
HK (1) HK5489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15201A1 (de) * 1988-06-16 1989-12-21 Philips Patentverwaltung Laufwerk fuer ein magnetbandkassettengeraet mit tonwellen-antriebsmotor und mit einer von einem motor angetriebenen, hin und zurueck laengsverschieblichen servostange
DE3915110A1 (de) * 1988-10-25 1990-04-26 Philips Patentverwaltung Steuervorrichtung fuer das laufwerk eines magnetbandkassettengeraetes
DE3915427A1 (de) * 1989-05-11 1990-11-15 Blaupunkt Werke Gmbh Kassettentonbandgeraet fuer reversebetrieb
KR910008049B1 (ko) * 1989-10-12 1991-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기능 메카포지션 확장제어장치 및 방법
US5257150A (en) * 1989-11-15 1993-10-26 U.S. Philips Corporation Magnetic tape cassette apparatus having a tiltable transport member for switching tape transport direction
EP0432816A3 (en) * 1989-11-15 1992-08-12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Magnetic tape cassette apparatus with a magnetic tape cassette drive (transport rod)
DE4032638A1 (de) * 1989-11-15 1991-05-16 Philips Patentverwaltung Magnetbandkassettengeraet mit einem laufwerk fuer magnetbandkassetten (umkehrgetriebe)
DE9017963U1 (de) * 1990-10-15 1993-04-01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Magnetbandkassettengerät mit einem reversierbaren Laufwerk (bevorzugte Anlaufrichtung)
DE4116920A1 (de) * 1991-05-24 1992-11-26 Philips Patentverwaltung Anordnung, bestehend aus einem magnetbandkassettengeraet mit einem laufwerk und mit lademechanismus fuer magnetbandkassetten und aus einer magnetbandkassette
DE4130404A1 (de) * 1991-09-13 1993-03-18 Philips Patentverwaltung Magnetbandkassettengeraet mit einem laufwerk (kopftraegerverstellung)
DE4130401A1 (de) * 1991-09-13 1993-03-18 Philips Patentverwaltung Magnetbandkassettengeraet mit einem laufwerk fuer magnetbandkassetten (wickelgetriebe mit logischem schnellauf und mit richtungsumkehr)
DE4130403A1 (de) * 1991-09-13 1993-03-18 Philips Patentverwaltung Magnetbandkassettengeraet mit einem laufwerk fuer magnetbandkassetten (richtungsumkehrmechanismus)
DE4229753A1 (de) * 1992-09-05 1994-03-10 Philips Patentverwaltung Magnetbandkassettengerät mit einem die Wickelteller antreibenden Motor (Lademechanismus mit langem Verschiebeweg)
DE4229754A1 (de) * 1992-09-05 1994-03-10 Philips Patentverwaltung Magnetbandkassettengerät mit einem zum Abspielen von Magnetbandkassetten dienenden Laufwerk (Führung des Lademechanism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901747A (nl) * 1978-03-06 1979-09-10 Clarion Co Ltd Cassettelint-registratie/weergevingsinrichting.
JPS55178866U (ko) * 1979-06-12 1980-12-22
DE3315822A1 (de) * 1982-06-02 1983-12-08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Steuervorrichtung fuer das laufwerk eines magnetbandkassettengeraetes
JPS6080153A (ja) * 1983-10-07 1985-05-08 Pioneer Electronic Corp カセツトデツキにおけるイジエクト機構の起動機構
NL8502056A (nl) * 1985-07-17 1987-02-16 Philips Nv Magneetbandapparaat met tenminste een een servowiel omvattende schakelinrichting voor het schakelen van een apparaatfunkt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95726A3 (de) 1991-01-30
KR890001051A (ko) 1989-03-18
CN1012305B (zh) 1991-04-03
JP2685223B2 (ja) 1997-12-03
HK54896A (en) 1996-04-03
DE3719890C1 (de) 1988-11-17
EP0295726A2 (de) 1988-12-21
DE3884469D1 (de) 1993-11-04
EP0295726B1 (de) 1993-09-29
JPS63313337A (ja) 1988-12-21
CN1030156A (zh) 1989-01-04
US4924336A (en) 199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861B1 (ko) 모터 피동 축방향 이동성 서보로드를 구비한 자기테이프 카세트장치
NO170347B (no) Fremgangsmaate for bleking av cellulosebasert masse med hydrogenperoksyd
US4573088A (en) Control device for the tape deck of a magnetic tape cassette apparatus
US4829393A (en) Automatic magnetic recording medium ejecting mechanism for use in a magnetic recording medium driving unit
KR880001550B1 (ko) 기록 재생 장치
US4470087A (en) Head base drive mechanism in tape player
US3770176A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an automatic start device
US4491887A (en) Mode selector of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60229265A (ja) カセツト式テ−プレコ−ダ
US4263631A (en) Operating mechanisms of tape recorders
KR880000324B1 (ko) 자기테이프상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재싱시키기 위한 장치
KR100438656B1 (ko) 스위칭장치를구비한오토리버스테이프테크
US4630148A (en) Magnetic-tape-cassette apparatus with improved function switching mechanism
US4614987A (en) Mode selection device of a tape deck
KR910001294Y1 (ko) 자기테이프 카세트 장치의 데크용 제어 기구
EP0179643B1 (en) Magnetic tape players
US4722011A (en) Cassette loading/ejection and lift mechanism
US4611256A (en) Ejection mechanism for a tape recorder
JP3983326B2 (ja) スイッチ装置を備える自動反転テープデッキ
US4026497A (en) Pause device for tape recorder
EP0210692A1 (en) Magnetic-tape apparatus with at least one switching device comprising a servo-wheel for switching an apparatus function
JPH0355154Y2 (ko)
JP2685222B2 (ja) 電気装置における機能素子の位置変化装置
JPH0677360B2 (ja) テ−プレコ−ダ
JPS631441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