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859B1 -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859B1
KR970002859B1 KR1019940005218A KR19940005218A KR970002859B1 KR 970002859 B1 KR970002859 B1 KR 970002859B1 KR 1019940005218 A KR1019940005218 A KR 1019940005218A KR 19940005218 A KR19940005218 A KR 19940005218A KR 970002859 B1 KR970002859 B1 KR 970002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ire
case
vehicle
resin layer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조
유경수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박규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박규열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19940005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859B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의 평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의 측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의 정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내부로 와이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충 장치의 설치상태도
본 발명은 도로상에 설치되는 각종 구조물의 전면에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사고시 충격을 흡수완화하여 차량의 파손 방지와 인명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 충돌 충격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를 포함하는 모든 도로상에는 중앙분리대 교량의 머릿돌 톨케이트의 톨부스 교차로 분기부단등과 같은 각종 콘크리트 구조물이 설치되어 차량의 충돌사고시 막대한 재산적인 손해 및 인명에 치명적인 손상을 초래케 되는 실정이다.
종래 상기한 바와 같은 각종 구조물 전면에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 완화시킬 목적으로 폐타이어를 적층 설치한것이 제공된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충격완충 장치는 차량의 충돌시 어느 정도의 충격은 흡수시킬 수는 있으나, 차량의 충돌충격에 의해 변형된 타이어가 본래의 모양으로 복귀하려는 탄발력에 의해 충돌차량이 튕겨지면서 2차적인 사고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어 본래의 목적을 충분하게 발휘하지 못함은 물론 충돌시 적층된 다수의 폐타이어가 비산되면서 다른 차선을 주행중인 차량에게도 사고의 위험성을 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적층설치된 폐타이어의 측면에서 차량충돌시에는 아무런 충격 흡수 효과를 기대하지 못하며 다른 차선을 주행중인 차량에게 사고원인만 제공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은 효과적으로 흡수 완화시키면서 충돌력에 대한 반발력은 미세하고 완만하게 진행되도록 함으로써, 충돌차량의 2차적인 충돌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충격완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격완충 장치의 정면 또는 측면 충돌시에 충분한 충격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적층된 폐타이어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차선을 주행중인 차량이 안전하게 운행 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충돌사고 후 보수작업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충격완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층 다수열로 적층되는 폐타이어를 상호 연결설치하고 상기 적층된 폐타이어의 외주면에서 발포성 수지층을 형성시킨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충격완충 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형상의 전면판(11)이 결합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후방이 도로상에 설치된 구조물(50)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요홈부(12)를 이루며, 상기 요홈부(12)의 양측단(13)은 후방구조물 형태에 적합하도록 형성하고 상면이 경사지고 다수의 체결볼트공을 구비하며, 케이스(10) 하부 바닥면에는 적정간격으로 다수의 횡간(15)이 결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다층 다수열로 체결부재(21)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충격흡수용 폐타이어(20)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타이어(20)의 하부열에 위치되는 각각의 타이어에는 절첩 가능한 가이드관(31)이 관통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관(31)내로는 자동차의 측면 충돌시 충격완충 장치(100)를 지지고정시키는 와이어(30)가 내설되며, 상기 외이어(30) 선단은 케이스(10) 전면 도로상에 고정결합된 콘넥터(33)에 연결되고 후단은 구조물(50) 전면에 고정결합된 앵커(32)와 연결설치 된다.
상기 적층결합된 타이어(20)가 삽입된 케이스(10)의 내부로 타이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발포성 수지층(60)을 충진설치 하되, 상기 수지층의 재질은 연질이면서 탄성에너지가 적은 우레탄리카우폼으로 충진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충격완충 장치(100)가 설치되는 도로상에 상기한 횡간(15)이 재치되어 차량의 충돌에 따른 충격력을 흡수하며 변형되는 충격완충 장치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레일(40)이 고정설치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이 충격완충 장치의 정면에 충돌한 경우를 설명한다.
주행차량이 구조물(50) 전면에 설치된 충격완충 장치(100)의 정면으로 충돌되면 자동차의 충돌 충격력이 타이어(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수지층(60)에 전달되어 수지층(60)이 변형되며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게 되고, 계속적인 충격력에 의해 다층 다수열로 적층된 타이어(20)의 전면 부터 변형되면서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 완화시키면서 충격완충 장치(100)가 도로상에 고정설치된 레일(40) 상에서 횡간(15)이 미끄러지며 후퇴 변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각의 타이어(20)는 체결부재(21)로써 상호 결합되고 수지층(60)에 의해 감싸지게 설치되고 하부층 타이어에 관통설치된 와이어(30)에 의해 지지되어 후방으로만 변형되며 좌, 우측방으로 비산되지는 아니하여 다른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에게 위험제공을 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와어어(30)를 감싸며 타이어(20) 하부열에 관통된 가이드관(31)은 절첩 변형되며 타이어와 함께 후방으로 변형 이동된다.
이와 같이 수지층(60)과 폐타이어(20)에 의해 1차, 2차에 걸쳐 충돌 충격이 흡수된 자동차는 고속으로 충돌되더라도 견고한 구조물(50)과 상당거리를 유지한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어 충격에 의해 압축변형된 타이어(20)가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모양으로 복귀되며 반발력을 발생시키게 되나 타이어(20) 외주면에 감싸지게 충진 설치된 수지층(60)이 변형에서 본래의 모양으로 복귀하려는 탄성에너지가 매우 적은 우래탄리카우폼홈으로 형성되어 타이어(20)의 탄성반발력을 억제하며 서서히 본래 모양으로 복귀하게 되어 충돌한 차량이 타이어의 복귀 반발력에 의해 2차적인 충돌 사고는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어 주행차량이 충격완충 장치의 측면에 충돌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충돌차량의 충격력이 충격완충 장치(100)의 횡방향으로 전가되면 1차적으로 타이어(20)의 외주면에 감싸도록 충진 설치된 수지층(60)이 충격을 흡수하며 변형되고 계속적인 충격력에 의해 적층된 타이어(20)가 변형되며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횡방향으로 전가된 충돌력에 의해 충격완충 장치(100)가 다른 차선으로의 밀림을 상호 결합된 타이어(20) 하부층열에 관통설치된 와이어(30)와 후방구조물과의 결합력에 의해 고정지지하게 되어 다른 차선을 주행하는 차량에게 위험을 제공하지는 않게 된다.
그리고 충격완충 장치(100) 측면으로의 충돌사고는 거의가 충격완충 장치와 대략 25° 각도 범위 내에서 충돌이 발생됨으로 충돌한 차량은 수지층(60) 타이어(20) 및 와이어(30)의 탄력에 의해 충격완충 장치 측면에서 미끄러지며 본래 주행방향으로 반향이 변경되어 대형사고의 위험성을 배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심한 충돌에 의해 케이스 및 수지층이 파괴되면 파괴된 수지층을 제거한 다음 새로운 케이스를 재결합 설치한 후 액상의 발포성 수지를 재충진 시키게 되면 약 4시간 경과후면 수지층이 양생완료되어, 사고후 충격완충 장치의 보수설치 작업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어 심한 교통제증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충격완충 장치가 횡간 레일에 의해 도면과 이격되어 설치됨으로써 우수나 설해로 인한 물의 침투로 시설물의 기능 저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정면충돌 및 측면 충돌시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완화 시켜 사고의 피해를 최소로 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편리하게 재보수 설치시킬 수 있는 특출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전면으로 원호형상의 전면판(11)과 후방에 구조물(50)과 결합이 용이토록하는 요홈부(12)를 보유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다층다수열로 체결부재(21)에 의해 상호결합된 충격흡수용 폐타이어(20)와, 상기 폐타이어(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발포성수지층(60)을 충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
  2. 제l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 하부에 충격을 흡수하여 변형이동하는 충격완충 장치(100)를 안내하는 레일(40)이 도로상에 고정결합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폐타이어(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충진되는 발포성수지층(60)의 재질이 우레탄리카우폼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
  4. 전면으로 원호형상의 전면판(11)과 후방에 구조물(50)과 결합이 용이토록하는 요홈부(12)를 보유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다층다수열로 체결부재(21)에 의해 상호 결합된 충격흡수용 폐타이어(20)와 상기 폐타이어(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발포성수지층(60)이 충진 설치되고 상기 적층결합된 폐타이어(20)의 하층열에 차량의 측면 충돌력에 대응하는 지지와이어(30)가 관통설치되며, 상기 와이어(30) 선단은 도로상에 고정된 콘넥터(33)에 연결되고 후단은 구조물(50) 전면에 설치된 앵커(32)와 연결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 하부에 충격을 흡수하여 변형이동하는 충격완충 장치(100)를 안내하는 레일(40)이 도로상에 고정 결합설치됨을 특깅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폐타이어(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충진되는 발포성수지층(60)이 재질이 우레탄리카우폼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폐타이어(20)에 관통되는 와이어(30)를 절첩가능한 가이드관(31)으로 감싸도록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
KR1019940005218A 1994-03-16 1994-03-16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 KR970002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218A KR970002859B1 (ko) 1994-03-16 1994-03-16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5218A KR970002859B1 (ko) 1994-03-16 1994-03-16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859B1 true KR970002859B1 (ko) 1997-03-12

Family

ID=1937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5218A KR970002859B1 (ko) 1994-03-16 1994-03-16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8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937B1 (ko) * 2010-08-18 2012-06-21 유한회사 거동건설 차량충돌 충격흡수 완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937B1 (ko) * 2010-08-18 2012-06-21 유한회사 거동건설 차량충돌 충격흡수 완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2013B2 (ja) 衝撃吸収装置
US4321989A (en) Energy absorbing impact barrier
US6905281B2 (en) Vehicular impact absorbing apparatus having cushion pins
US6926461B1 (en) High-impact, energy-absorbing vehicle barrier system
CA2917337C (en) Crash cushion
US6098767A (en) Cushion for crash attenuation system
JP3440253B2 (ja) 車両用衝撃吸収装置
KR970002859B1 (ko) 차량충돌 충격완충 장치
KR100716195B1 (ko) 방호울타리
CN211113175U (zh) 一种桥梁护栏端部伸缩式防撞缓冲装置
KR102082861B1 (ko) 칸막이 지지대의 후퇴 저항수단이 구비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20110043005A (ko) 슬라이딩 빔을 이용한 충격완화 고성능 가드레일
KR20090005914A (ko) 충격흡수장치용 가이드레일장치
KR20120090908A (ko) 충격흡수가드레일
CN211113176U (zh) 一种桥梁护栏端部防撞缓冲装置
KR200272031Y1 (ko) 충격을 흡수하는 가드레일 및 가드레일 충격흡수판.
KR100457890B1 (ko) 충격완화 되는 도로용 가드 레일
KR200375070Y1 (ko) 완충수단이 구비된 난간
KR101287856B1 (ko) 도로의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0471628B1 (ko) 완충수단이 구비된 난간
KR200252858Y1 (ko) 고무판과 슬립 파이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도로시설물
KR102227635B1 (ko)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20030088288A (ko) 도로교통 안전장치
KR200464371Y1 (ko) 도로 중앙분리대
KR200326711Y1 (ko) 교량용 방호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