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635B1 -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635B1
KR102227635B1 KR1020190004607A KR20190004607A KR102227635B1 KR 102227635 B1 KR102227635 B1 KR 102227635B1 KR 1020190004607 A KR1020190004607 A KR 1020190004607A KR 20190004607 A KR20190004607 A KR 20190004607A KR 102227635 B1 KR102227635 B1 KR 1022276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vehicle
panel
shock absorbing
guid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069A (ko
Inventor
최영규
신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프티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프티알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프티알에스
Priority to KR1020190004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63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8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6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6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8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mobile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2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plastic deformation of members

Abstract

본 발명은 주행차로를 벗어난 차량이 도로상의 구조물 등에 충돌하기 전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흡수 완화시켜 차량 및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충격흡수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면 상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세워 고정된 칸막이 지지체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절곡된 가이드패널을 반복하여 결합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패널의 외면에 긴밀하게 접촉되게 한 밀착고정구와 가압스프링을 이용하여 상기의 가이드패널 끝단부가 칸막이 지지체에 탄력적으로 볼트 결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가이드패널에 작용하는 고정수단의 슬립 저항을 조절하여 차량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또는 최고속도 범위에 따라 효율적인 충격 흡수가 부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완충 가능한 충돌에너지의 설계 폭이 크게 넓어질 수 있는 것이고, 충돌에너지의 완충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저속의 경량 차량이나 고속의 중량 차량 모두 효과적인 충격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차량은 물론 탑승자를 보호하는데 더욱 효율적인 것이며, 효율적인 충격 흡수작용으로 인해 충격흡수장치 전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차량의 충돌 후에도 파손부를 보완하거나 부분 수리하여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Shock absorber in case of vehicle collision}
본 발명은 주행차로를 벗어난 차량이 도로상의 구조물 등에 충돌하기 전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흡수 완화시켜 차량 및 탑승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충격흡수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칸막이 지지체를 이용하여 충격흡수장치의 양측부에 연속하여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패널을 밀착고정구 및 가압스프링을 통해 강력한 밀착 저항 상태로 고정함에 따라, 차량 충돌에 의한 가이드패널의 슬립과정에서 상기의 저항력으로 인한 완충 효과를 추가로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의 차량 충격흡수장치는 폭우, 폭설, 차량 고장 등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주행차로를 벗어난 차량이 도로상의 각종 구조물과 충돌하기 전에 차량의 충돌에너지를 흡수 및 완화하여 차량을 안전하게 정지토록 함과 더불어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도로 안전 시설물로서, 양방향 차도의 중앙분리대 끝단이나 자동차 전용도로의 나들목 분기점 또는 터널 및 지하차도의 입구, 교각, 고속도로 분기점, 국도 교차로 내지 분기점 등에 설치 사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차량 충격흡수장치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71364호와 같이, 차량의 충돌시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하여 다수개의 폐타이어를 삼각틀 형태로 적층 연결시킨 구조가 뒤로 밀리게 유도하고, 운전자의 식별을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외관미를 고려하여 설계된 교차로 진입도로의 차량 충돌 완충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90564호와 같이 내부공간을 갖는 다수의 단위체 들이 순차적으로 접철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단위체 중에서 가장 전방에 위치되는 전방 단위체는 그 전면이 곡면을 이루고 내측에는 삽입돌기가 설치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 중에 가장 후방에 위치되는 후방 단위체와 결합되는 고정판이 있고, 상기 고정판에는 전방 단위체의 삽입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밀봉된 공기 배출구를 갖는 고무튜브가 부착되며, 상기 고무튜브의 외측으로는 하단 양측에 바퀴가 구비된 다수의 지지틀이 장착되고, 상기 지지틀 사이에는 접힘이 가능한 연결대가 설치된 내부 완충부;로 구성된 차량 충돌 완충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는 공개특허 제10-2017-0085800호와 같이 가이드레일과 지지플레이트 및 복수 개의 충격흡수부재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장치가 안출된 바 있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장치의 경우 충돌에 따른 충격에너지를 전단응력과 마찰력 및 물리적 완충 작용에 따라 빠르게 흡수하기에 적합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통상적인 충격흡수장치들은 도로 노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로 설치되어지되 가이드레일 상측에 슬라이딩 가능한 접속 체결구조를 구비한 지지플레이트와, 에어튜브나 발포 탄성체 또는 완충스프링 및 소성변형 유도체 등의 다양의 형태로서 지지플레이트 사이 사이의 구획 공간에 복수로 배치하여 지지플레이트에 가해지는 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 완충하기 위한 충격흡수부재와, 지지플레이트 양측으로 연계 설치되어 가해진 충격량에 따라 순차적인 전단응력과 마찰력을 발휘하여 완충작용을 제공함과 더불어 지지플레이트의 동작을 원활하게 안내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패널과, 그외 전방 선단에 설치되는 전면커버와, 가이드레일 후방에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밀려 이동하는 지지플레이트와 충격흡수부재를 정지시켜주기 위한 멈춤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장치에 주행차로를 벗어난 차량이 충돌할 경우 전면커버 내측에 인접하여 설치되어진 전방 지지플레이트를 시작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지지플레이트들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순차적으로 밀려 이동하고 지지플레이트 양측에 배치되어진 가이드패널 역시 이웃하는 뒤쪽의 가이드패널 바깥쪽으로 겹쳐지면서 순차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지지플레이트와 가이드레일 간의 접속 체결부위 및 가이드패널 안내홀 전면과 가압고정편 간의 체결부위로부터 마찰력이 발생하여 충격에너지를 흡수 완충하게 되고, 단계적으로 밀려 이동하는 지지플레이트들의 가압력에 따라 충격흡수부재들 또한 가압 변형되면서 충돌에너지가 다시 한번 흡수 완화되어 탑승자 보호와 함께 차량을 안전하게 정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차량 충격흡수장치는 설계된 구조에 의해 일정한 충돌에너지에 대하여만 완충 효과를 갖는 것으로 설계된 수치 이상의 충돌에너지가 작용하는 경우 효과적인 완충 작용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차량 충격흡수장치는 장치의 설치 장소 및 위치에 근거하여 충돌이 예상되는 차량의 충돌에너지에 따라 다소의 설계변경을 통해 충돌에너지의 완충 효과를 기준하게 되는데, 차량의 충돌에너지는 차량의 충돌 속도와 차량의 하중에 따라 가변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차량 충격흡수장치는 주행차로의 제한 최고속도(예컨데, 시속 110Km)에 기준하여 설계되기 때문에 과속 또는 고중량의 차량이 충돌한 경우에는 효과적인 완충 작용을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예컨데, 저속인 경량의 차량이 충돌한 경우에는 충격흡수장치의 전방 충격흡수부재에 의한 완충 작용을 수행하게 되고, 경량의 차량이 고속으로 충돌한 경우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순차적으로 충격흡수부재가 충돌에너지를 흡수하게 될 것이나, 설계 이상의 속도(시속 120Km 이상의 과속) 및 고도 중량의 차량이 충돌한 경우에는 구조 전체의 마찰력과 흡수력 이상의 충돌에너지가 작용하면서 상기 충격흡수장치 전체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될 것이고, 충격흡수장치가 파괴되면서 효율적인 차량 완충 효과를 기대하지 못하는 것은 물론 충격흡수장치의 재사용 혹은 보완 사용이 불가능하여 그대로 폐기되므로 지극히 비경제적인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271364 (2002.03.28.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390564 (2005.07.13. 등록)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7-0085800 (2017.07.25. 공개)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노면 상에 설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세워 고정된 칸막이 지지체의 양측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절곡된 가이드패널을 반복하여 결합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패널의 외면에 긴밀하게 접촉되게 한 밀착고정구와 가압스프링을 이용하여 상기의 가이드패널 끝단부가 칸막이 지지체에 탄력적으로 볼트 결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가압스프링의 지속적인 탄발력에 의해 일정 수준의 밀착 저항력을 갖고 있는 가이드패널은 차량에 의한 충돌에너지가 작용하는 경우 상기 가압스프링에 의한 저항력과 상기 밀착고정구에 의한 저항력을 이기며 후퇴 중첩되면서 충격흡수장치의 완충효과를 가일층 향상시키게 되는 것은 물론 상기 가압스프링의 탄발력을 조절하여 슬립 저항이 가감될 수 있도록 하여 차량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또는 최고속도 범위에 따라 효율적인 충격 흡수가 부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복수로 설치된 칸막이 지지대와,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는 멈춤지지대와, 칸막이 지지대의 사이에 위치하는 충격흡수수단과, 멈춤지지대와 칸막이 지지대의 사이에 위치하는 유압식 완충수단과, 상기 칸막이 지지대의 양측에 끝단이 서로 중첩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패널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패널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평면과 절곡경사면이 상,하로 반복되고, 상기 수평면에는 일측 끝단의 체결공과 타측의 슬릿안내공이 형성된 차량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지지대의 양측부에는 관통공을 갖는 패널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패널은 서로 이웃한 칸막이 지지대의 패널고정부에 대하여 각 가이드패널의 양측 끝단이 순차적으로 밀착되게 하되,
상기 가이드패널의 외면에는 별도 구비의 밀착고정구가 위치되게 하고, 상기 칸막이 지지대의 패널고정부 내측에는 가압스프링이 위치되게 하여, 상기 밀착고정구 및 가이드패널과 가압스프링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볼트의 단부에 체결너트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밀착고정구와 가압스프링에 의해 가이드패널이 탄력적으로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이드패널에 작용하는 고정수단의 슬립 저항을 조절하여 차량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되는 장소 또는 최고속도 범위에 따라 효율적인 충격 흡수가 부가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완충 가능한 충돌에너지의 설계 폭이 크게 넓어질 수 있는 것이고, 충돌에너지의 완충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저속의 경량 차량이나 고속의 중량 차량 모두 효과적인 충격 흡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차량은 물론 탑승자를 보호하는데 더욱 효율적인 것이며, 효율적인 충격 흡수작용으로 인해 충격흡수장치 전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차량의 충돌 후에도 파손부를 보완하거나 부분 수리하여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일측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단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패널 고정수단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패널 단부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패널 단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패널 중첩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패널 중첩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패널 고정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일측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단면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패널 고정수단 확대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는 노면에 가이드레일(10)(1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10)(10')의 상부에는 가이드레일(10)(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된 칸막이 지지대(20)(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레일(10)(10')의 끝단에는 멈춤지지대(30)가 고정 설치되어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프레임체를 완성하게 된다.
이어, 상기 칸막이 지지대(20)(20')의 사이에는 다양한 형태의 충격흡수수단(40)(40')이 삽입되는 것이고, 끝단의 멈춤지지대(30)와 칸막이 지지대(20)(20')의 사이에는 유압식 완충수단(50)이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프레임체의 양측부에는 상기 칸막이 지지대(20)(20')를 이용하여 상호 끝단이 중첩 상태로 고정되게 한 가이드패널(60)(60')이 결합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프레임체의 상부에 다양한 형태로 된 커버 혹은 지붕 등을 결합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가이드레일(10)(10')은 다양한 형태 및 모양 등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칸막이 지지대(20)(20')가 가이드레일(10)(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후퇴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가이드레일(10)(10')의 상부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칸막이 지지대(20)(20')는 전기한 충격흡수수단(40)(40') 및 유압식 완충수단(50)의 끝단을 고정하기 위해 수직의 포스트와 이들 포스트를 연결하는 가로대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칸막이 지지대(20)(20')의 양측부에는 전기한 가이드패널(60)(60')의 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패널고정부(22)(22')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패널고정부(22)(22')은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상기 칸막이 지지대(20)(20')의 양측부에 각기 견고하게 용접 고정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상기 패널고정부(22)(22')에는 상,하로 이격된 관통공(21)(2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관통공(21)(21')을 이용하여 전기한 가이드패널(60)(60')의 끝단을 볼트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멈춤지지대(30)는 전기한 칸막이 지지대(20)(20')와 유사한 형태를 갖고 가이드레일(10)(10')의 끝단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의 칸막이 지지대(20)(20')가 차량의 충돌에 의해 가이드레일(10)(10')을 따라 이동하는 반면 상기의 멈춤지지대(30)는 이동 없이 온전하게 가이드레일(10)(10')과 직접 고정되거나 가이드레일(10)(10')의 끝단에 연결 고정된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멈춤지지대(30)와 칸막이 지지대(20)(20')의 사이에는 유압식 완충수단(50)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유압식 완충수단(50)은 전기한 충격흡수수단(40)(40')에 비하여 더욱 강력한 완충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가장 후측에 위치하는 유압식 완충수단(50)으로부터 전기한 칸막이 지지대(20)(20')에 작용하는 충돌 에너지를 최종적으로 흡수하여 완화시키게 된다.
이에, 차량의 충돌로 인한 충격에너지가 상기 선행의 칸막이 지지대(20)(20')에 최초 전달되면서 상기의 칸막이 지지대(20)(20')가 후퇴하게 되면 후퇴과정에서 확장완충관 및 완충패드 등으로 이루어진 충격흡수수단(40)(40')에 의해 1차적인 완충작용을 수행하게 되고, 앞쪽 충격흡수수단(40)(40')의 압축량 이상의 밀림이 발생하는 순간 후측 칸막이 지지대(20)(20')의 후퇴 및 이들 사이의 충격흡수수단(40)(40')이 변형 및 압축되면서 2차 완충 작용을 수행하는 등 단계적인 완충 작용을 수행하는 하는 것이고, 끝단의 유압식 완충수단(50) 및 멈춤지지대(30)에 이르러 최종적인 완충 작용과 동시에 차량의 정지가 일어나, 차량의 충돌에너지는 충돌 초기부터 점진적으로 감소하면서 차량 내 탑승자의 안전한 보호 및 차량의 파손에 대한 최소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가이드패널(60)(60')은 상기 칸막이 지지대(20)(20')의 패널고정부(22)(22')를 통해 복수 분할된 가이드패널(60)(60')의 끝단부가 서로 중첩된 상태로 볼트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차량의 충돌에너지에 의해 상기 칸막이 지지대(20)(20')가 순차적으로 뒤로 밀리는 과정에서 상기의 가이드패널(60)(60') 역시 순차적으로 뒤로 밀리면서 서로 중첩되는 것이고, 이러한 가이드패널(60)(60')은 밀착고정구(70)와 가압스프링(80)을 통해 강력하게 가압 체결되어 있어 상호 간의 가압력에 따른 슬립 저항 및 간섭 마찰로 인해 상기 가이드패널(60)(60')에서도 추가의 완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가이드패널(60)(60')은 단순히 볼트 등을 이용하여 칸막이 지지대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고정볼트가 느슨해지게 되면 뒤로 밀리는 가이드패널(60)(60') 간의 간섭 저항이 거의 없어 추가의 완충 작용을 기대할 수 없을 것이고, 단순히 볼트를 강력하게 고정시켜 놓을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패널(60)(60')이 뒤로 밀리지 않고 볼트 결합부에서 절곡이 발생하거나 찢기는 등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이드패널(60)(60')을 가압스프링(80)을 통해 일정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받으며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충돌에너지에 의해 후퇴하는 가이드패널(60)(60')은 밀착고정구(70)와의 슬립 저항으로 인해 상기 칸막이 지지대(20)(20')의 후퇴 작용을 방해하게 되므로 결국 더욱 향상된 완충효과 및 더욱 강력한 충돌에너지에 대한 저항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의 가이드패널(60)(60')은 횡방향으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칸막이 지지대(20)(20')의 패널고정부(22)(22')에 밀착되게 한 수평면(61)과, 상기 수평면(61)의 상,하에 배치되는 절곡경사면(62)(62')이 상,하로 반복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각각의 수평면(61)에는 일측의 체결공(63)과 타측의 슬릿안내공(6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의 가이드패널(60)(60')은 절곡경사면(62)(62')과 수평면(61)이 횡방향으로 반복하여 절곡 형성됨에 따라 차량의 충돌 방향에 대한 강력한 물리적 강성을 갖게 되는 것은 물론 상,하로 반복하여 형성된 수평면(61) 및 체결공(63)을 이용하여 상기 칸막이 지지대(20)(20')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밀착고정구(70)는 전기한 가이드패널(60)(60')의 수평면(61)과 대응하는 수평바닥면(71)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바닥면(71)으로부터 상기 절곡경사면(62)(62')과 일치하는 경사각을 갖는 경사측면(72)을 구비한 사각 보울(Bowl) 형태를 갖고 있는 것이며, 상기 수평바닥면(71)에는 별도 구비의 체결볼트(9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고정공(73)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차량 충격완화장치에 있어 가장 앞쪽에 위치하는 칸막이 지지대(20)(20')로부터 순차적으로 가이드패널(60)(60')을 결합하되, 도 5 및 도 6의 도시와 같이 가이드패널(60)(60')의 수평면(61)에 형성된 체결공(63)과 일치하는 위치에 상기 밀착고정구(70)를 결합하고, 상기 칸막이 지지대(20)(20')의 패널고정부(22)(22') 내측으로는 가압스프링(80)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밀착고정구(70)와 가이드패널(60)(60') 및 가압스프링(80)을 관통하도록 체결볼트(90)를 삽입하고, 상기 체결볼트(90)의 돌출 끝단에 체결너트(91)를 나사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가압스프링(80)은 체결너트(91)의 회전량에 따라 압축량을 달리하면서 상기 가이드패널(60)(60')이 칸막이 지지대(20)(20')의 측부에 밀착되게 하는 힘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가이드패널(60)(60')의 수평면(61)과 절곡경사면(62)(62')에 면접촉되어 있는 밀착고정구(70)는 상기 가이드패널(60)(60')과 체결볼트(90)의 결합부에 대한 보강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패널(60)(60')과 밀착고정구(70)의 상호 밀착 고정력이 증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로 인해 상기 칸막이 지지대(20)(20')가 가이드레일(10)(10')을 따라 뒤로 밀리게 되면 양측의 가이드패널(60)(60') 역시 앞쪽 끝단이 상기 칸막이 지지대(20)(20')에 체결볼트(9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칸막이 지지대(20)(20')와 함께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가장 앞쪽의 칸막이 지지대(20)(20') 및 가이드패널(60)(60')이 후퇴를 하게 되면 도 7 및 도 8의 결합 상태를 갖고 있는 제2 및 제3의 칸막이 지지대(20)(20')와 가이드패널(60)(60')은 단계적으로 순차 후퇴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인데, 상기 가이드패널(60)(60')의 경우 앞쪽에 위치한 가이드패널(60)(60')의 후측 끝단부가 제2의 칸막이 지지대(20)(20')에 결합된 제2의 가이드패널(60)(60')의 앞쪽 단부와 함께 중첩 상태로 조립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및 제3 칸막이 지지대(20)(20')의 패널고정부(22)(22')에는 각기 순차적으로 가이드패널(60)(60')의 앞쪽 체결공(63)을 통해 결합 고정되는 것이고, 앞쪽에 배치된 가이드패널(60)(60')은 후측단은 후측의 가이드패널(60)(60') 앞쪽 외면에 슬릿안내공(64)을 이용하여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들 가이드패널(60)(60')의 전,후측단을 동시에 중첩 결합하되, 상기 체결볼트(90)에 밀착고정구(70)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90)가 앞쪽 가이드패널(60)(60')의 슬릿안내공(64)과 뒤쪽 가이드패널(60)(60')의 체결공(63) 및 칸막이 지지대(20)(20')의 관통공(21)(21')으로 순차적으로 관통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관통공(21)(21')을 통해 패널고정부(22)(22')의 내측으로 돌출된 체결볼트(90)의 단부에 별도 구비의 가압스프링(80)을 삽입한 상태에서 체결너트(91)를 나사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체결너트(91)의 회전량에 따라 상기 가압스프링(80)은 압축되면서 상기 밀착고정구(70)가 가이드패널(60)(60')의 결합 단부를 지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밀착고정구(70)의 가압력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상기 가압스프링(80)이 압축되면서 상대적으로 앞쪽에 위치한 가이드패널(60)(60')이 슬릿안내공(64)을 통해 자연스럽게 후퇴를 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 같은 가이드패널(60)(60')의 후퇴과정에서도 상기의 밀착고정구(70)는 가압스프링(80)의 탄발력에 의해 가이드패널(60)(60')의 외면에 대한 지속적인 압박을 가하므로 결국 상기의 가이드패널(60)(60')은 결합부에서의 상호 슬립 마찰로 인해 자체의 강력한 후퇴 저항력을 받으며 뒤로 밀리는 것이고, 이러한 슬립 마찰 및 저항력은 더욱 고속에서의 충돌 또는 고중량체의 충격에도 차량 충격완화장치의 완충 효과가 충실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의 가이드패널(60)(60')을 후퇴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에 비하여 더욱 강력한 힘이 작용하여야 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패널(60)(60')이 일정한 방향으로 후퇴 및 중첩되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더욱 고속인 상태에서의 충돌 또는 고도의 중량체가 충돌하더라도 강력한 충돌에너지를 효과적으로 완화시켜 탑승자 보호는 물론 차량의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볼트(90)에 대한 체결너트(91)의 회전량 조절을 통해 상기 가압스프링(80)의 압축량이 가감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상기 밀착고정구(70)에 의한 가이드패널(60)(60')의 밀착 고정력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저속 도로에서는 가압스프링(80)의 압축량이 적게 설정하여 가이드패널(60)(60')이 상대적으로 쉽게 후퇴할 수 있도록 하고, 고속도로에서는 가압스프링(80)의 압축량이 크게 설정하여 가이드패널(60)(60')이 후퇴가 상대적으로 어렵게 이루어지도록 조절함에 따라 완충 효과를 설치 위치 및 설치 상황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가이드패널(60)(60')과 밀착고정구(70) 간의 상호 슬립 저항력을 가일층 향상시키기 위해 도 9의 도시와 같이 밀착고정구(70)의 외면 전체에 연질 탄력재로 된 저항커버(10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저항커버(100)의 일측 선단에는 상기 밀착고정구(70)의 끝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수용홈부(101)를 형성함에 따라 상기 밀착고정구(70)에 대한 저항커버(100)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연질 탄력재로 된 저항커버(100)를 갖는 밀착고정구(70)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패널(60)(60')을 결합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패널(60)(60')과 밀착고정구(70) 간의 마찰 저항력이 더욱 강력하게 형성되면서 가이드패널(60)(60') 자체로도 고속 충돌 및 고중량체의 충돌에 대하여 크게 향상된 완충 작용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10' : 가이드레일
20,20' : 칸막이 지지대 21,21' : 관통공
22,22' : 패널고정부
30 : 멈춤지지대
40,40' : 충격흡수수단
50 : 유압식 완충수단
60,60' : 가이드패널 61 : 수평면
62,62' : 절곡경사면 63 : 체결공
64 : 슬릿안내공
70 : 밀착고정구 71 : 수평바닥면
72 : 경사측면 73 : 고정공
80 : 가압스프링
90 : 체결볼트 91 : 체결너트
100 : 저항커버 101 : 수용홈부

Claims (3)

  1. 가이드레일(10)(10')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갖고 상기 가이드레일(10)(1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로 설치된 칸막이 지지대(20)(20')와, 상기 가이드레일(10)(10')의 일단에 고정 설치되는 멈춤지지대(30)와, 칸막이 지지대(20)(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충격흡수수단(40)(40')과, 멈춤지지대(30)와 칸막이 지지대(20)(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유압식 완충수단(50)과, 상기 칸막이 지지대(20)(20')의 양측에 끝단이 서로 중첩되도록 고정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패널(60)(60')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패널(60)(60')은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평면(61)과 절곡경사면(62)(62')이 상,하로 반복되고, 상기 수평면(61)에는 일측 끝단의 체결공(63)과 타측의 슬릿안내공(64)이 형성되며, 상기 칸막이 지지대(20)(20')의 양측부에는 관통공(21)(21')을 갖는 패널고정부(22)(22')를 형성하고, 상기 가이드패널(60)(60')은 서로 이웃한 칸막이 지지대(20)(20')의 패널고정부(22)(22')에 대하여 각 가이드패널(60)(60')의 양측 끝단이 순차적으로 밀착되게 하되, 상기 가이드패널(60)(60')의 외면에는 별도 구비의 밀착고정구(70)가 위치되게 하고, 상기 칸막이 지지대(20)(20')의 패널고정부(22)(22') 내측에는 가압스프링(80)이 위치되게 하여, 상기 밀착고정구(70) 및 가이드패널(60)(60')과 가압스프링(8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삽입되는 체결볼트(90)의 단부에 체결너트(91)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밀착고정구(70)와 가압스프링(80)에 의해 가이드패널(60)(60')이 탄력적으로 밀착 고정되게 한 차량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밀착고정구(70)는 가이드패널(60)(60')의 수평면(61)과 절곡경사면(62)(62')에 대응하여 밀착되게 한 수평바닥면(71)과 경사측면(72)을 갖는 사각 보울(Bowl) 형태로 구성되고, 중앙에는 체결볼트(90)를 삽입하기 위한 고정공(73)이 관통 형성되게 하되,
    상기 밀착고정구(70)에는 가이드패널(60)(60')과 맞닿는 일측면에 연질 탄력재로 된 저항커버(100)를 결합 형성하고, 상기의 저항커버(100)는 밀착고정구(70)의 일측면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하며, 상기 저항커버(100)의 끝단부에는 수용홈부(101)을 형성하여 상기 밀착고정구(70)의 단부가 수용홈부(101)의 내측으로 삽입 계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90004607A 2019-01-14 2019-01-14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2276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07A KR102227635B1 (ko) 2019-01-14 2019-01-14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07A KR102227635B1 (ko) 2019-01-14 2019-01-14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069A KR20200088069A (ko) 2020-07-22
KR102227635B1 true KR102227635B1 (ko) 2021-03-16

Family

ID=71893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607A KR102227635B1 (ko) 2019-01-14 2019-01-14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6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30B1 (ko) * 2009-01-29 2009-06-15 우신그린산업(주) 차량 충돌충격 흡수완화장치
KR101890208B1 (ko) * 2018-04-05 2018-08-21 (주)미래로드셋 복합 완충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364Y1 (ko) 2001-12-19 2002-04-10 (주)오, 이, 디 교차로 진입도로의 차량 충돌 완충장치
KR200390564Y1 (ko) 2005-04-25 2005-07-21 김경애 차량 충돌 완충장치
KR20080095371A (ko) * 2007-04-24 2008-10-29 김영길 충격흡수 가드레일
KR20150098393A (ko) * 2014-02-20 2015-08-28 홍민정 충격에너지 흡수장치
KR20170085800A (ko) 2016-01-15 2017-07-25 강승구 차량 충돌 충격 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630B1 (ko) * 2009-01-29 2009-06-15 우신그린산업(주) 차량 충돌충격 흡수완화장치
KR101890208B1 (ko) * 2018-04-05 2018-08-21 (주)미래로드셋 복합 완충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069A (ko) 202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2013B2 (ja) 衝撃吸収装置
EP1527233B1 (en) Vehicular impact absorbing apparatus having cushion pins
CN108699790B (zh) 碰撞衰减器以及包括此类碰撞衰减器的车辆、拖车和防护轨
US10006179B2 (en) Crash cushion
KR100765954B1 (ko) 차량충돌 복원형 충격흡수완화장치
KR101658915B1 (ko) 도로안전시설용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298946B1 (ko) 개선된 구조의 전방지지대 후퇴 저항수단을 갖는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100439B1 (ko) 전방지지대의 후퇴 저항수단이 구비된 차량 충격흡수장치
US7481600B2 (en) Energy absorbing wall system and method of use
CN212175612U (zh) 车行道双向缓冲防撞护栏
KR20170085800A (ko) 차량 충돌 충격 흡수장치
KR101890208B1 (ko) 복합 완충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20190000626A (ko) 도로안전시설용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2082861B1 (ko) 칸막이 지지대의 후퇴 저항수단이 구비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1847463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KR102227635B1 (ko) 충돌 슬립에 대한 가이드패널의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1267446B1 (ko) 가드레일 전방부의 차량 충돌시 충격흡수장치
KR102189073B1 (ko) 칸막이 지지대의 충돌 슬립에 대한 가변 저항수단을 구비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1379607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KR101230449B1 (ko) 도로 안전 방호대
KR20090005914A (ko) 충격흡수장치용 가이드레일장치
KR200287801Y1 (ko) 가이드레일의 충격흡수 및 간격부재
KR200252858Y1 (ko) 고무판과 슬립 파이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도로시설물
KR20230081864A (ko) 도로 충격 흡수시설
KR20060072726A (ko) 방호 울타리의 충격완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