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539B1 - 직동 피스톤을 구비한 분배 용기 - Google Patents

직동 피스톤을 구비한 분배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539B1
KR970002539B1 KR1019900001486A KR900001486A KR970002539B1 KR 970002539 B1 KR970002539 B1 KR 970002539B1 KR 1019900001486 A KR1019900001486 A KR 1019900001486A KR 900001486 A KR900001486 A KR 900001486A KR 970002539 B1 KR970002539 B1 KR 970002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mechanism
rod
reservoir
dispensing container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568A (ko
Inventor
장-루이 제레
Original Assignee
로 레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 레알 filed Critical 로 레알
Publication of KR900012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5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7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n axial action, e.g. by push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8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 rotating action, e.g. effected by a screw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직동 피스톤을 구비한 분배 용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분배 용기의 부분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분배 용기의 부분 종축 방향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Ⅲ-Ⅲ에 따른 횡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선 Ⅳ-Ⅳ에 따른 횡단면도.
제5도와 6도는 각각 단부의 누름 버튼이 도시되어 있지 않은 구동 기구의 사시도 및 평면도.
제7도와 8도는 각각 제6도의 선 Ⅶ-Ⅶ과 선 Ⅷ-Ⅷ에 따른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102b : 튜우브 본체 2a : 결합 부분
2b : 튜우브 요소 3 : 제품
4 : 저장기 5 : 분배 구멍
7, 107 : 봉 8, 108 : 구동기구
9 : 누름버튼 17, 141 : 어깨부
21 : 종방향 평평한 부분 22 : 노치
23 : 측방향 브랜치 24 : 링
25 : 디스크 27 : 슬리트
28 : 탄성 부분 29a, 29b : 전방래치, 후방래치
30a, 30b, 31a, 31b : 브레이싱 브리지 2, 102b : 튜우브체
3, 103 : 제품 7, 107 : 봉
104 : 저장기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조절되는 직동 운동되는 피스톤에 의하여 저장기내에서 조금씩 밀려지는 제품, 특히 소형의 단단한 또는 페이스트 제품을 위한 분배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장치는 피부에 바르거나 또는 벗겨지게 되는 메이크업 제품, 예를 들어 피부 치료제와 화장품, 특히 립스틱, 몰딩되거나 콤팩화한 파우더, 고약, 스틱, 또는 페이스트 에멀죤 또는 점성액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한 형태의 분배 용기들은 이미 시판되고 있다. 이들 분배 용기에 있어서, 분배 구멍의 방향으로 분배되는 제품을 밀어주는 피스톤은 이 제품을 포함하는 저장기에 결합된 고정 너트와 함께 작용하는 나사봉의 단부상에 설치된다. 나사봉은 분배용기의 누름 버튼상의 사용자의 작동을 약간의 각을 이루는 크기의 회전으로 전환시키는 구동기구에 의하여 회전 변위된다. 상기한 고정 너트와 함께 작용하는 나사봉의 회전은 저장기에 대해 봉을 직동 운동으로 전환되게 하고, 그 직동 운동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며, 한편으로 봉의 회전이 작을 수록, 다른 한편으로는 봉의 나사 핏치가 작을수록 작아진다. 분배 용기의 누름 버튼상의 각각의 작용을 위하여 수십 mm의 직동 운동을 제공하여야 하며, 이러한 거리는 제품을 분배하기 위해 아주 만족스러운 거리이다. 특히, 액체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이러한 형태의 분배 용기는 프랑스 특허 제2,555,471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누름 버튼과 피스톤 사이에 있는 구동기구는 그 구동기구의 조립하는 곤란성 뿐만 아니라 그것을 구성하는 다수의 부품수 및 부분적으로 그 부품의 몰딩의 복잡성 때문에 매우 고가이다. 이러한 구동기구의 기능은 불가역적인데, 피스톤이 저장기 분배 구멍 근처에 도달할때 저장기를 다시 채우기 위해 뒤로 움직이게 할 수는 없으며, 그것을 역으로 하는 유일한 방법은 그 너트에서 뒤로 나사봉을 나삽하는 것이지만, 사용자가 그것을 생각할 수는 없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분배 용기의 구동기구는 사용 후 버리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그 비용은 분배될 제품으로 채워진 분배 용기의 원가를 상당히 상승시킨다.
이들 불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1988년 4월 15일자로 제출된 프랑스 특허출원 제88-05026호에서는, 지지부 또는 너트인 나사봉이 조금씩 회전 변위를 가능하게 하는 구동기구의 지지체가 이 지지체에 대하여 저장부를 탈착 가능하게 하는 저장기에 일체식으로 부착되는 수단을 구비하며, 또, 나사봉과 협력된 너트는 이 너트의 섹터가 함께 지지체상의 너트의 고정을 확실히 해주는 가요성 부위에 의하여 함께 유지되도록 하면서 나사선 내경부의 전체 높이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직경 평면을 따라 슬리트가 형성되도록 되며, 또, 상기 저장기는 탈착 가능한 저장기가 지지체에 부착되어 있을때 그 구동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나사봉 둘레에 너트의 섹터의 스퀴징을 확실히 하기 위해 너트와 지지체의 해당되는 절두원추체 베어링을 눌러주는 절두원추체 베어링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체에 의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은, 연속적으로 몇개의 저장기로부터 제품을 분배하기 위해 같은 구동기구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구동기구 자체는 프랑스 특허 제2,555,471호에서 설명된 형태와 같은데, 즉, 상기한 이유로 인해 본질적으로 매우 고가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부내에 새 보충물을 재충전시키기 위하여 그 구동기구의 지지체에 나사봉을 귀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저장기가 호환성이 있으며, 복잡한 구동기구를 보다 간단한 구동기구로 대체하여 분배 용기의 전체적인 가격을 감소시키고, 또, 산업적으로 이용하기에 더 용이한 상기 형태의 분배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봉에 위치한 한 세트의 톱니 형태가 있는 두개의 래칭 부위에 의해 협력하도록 하나의 부품으로 봉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기구를 제공하고, 이 구동기구의 탄성 부분은 두개의 래칭부위들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상기 구동기구의 탄성 부위는 이 구동기구를 그 제품을 분배하기 위한 위치에서 저장기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누름 버튼의 형태로 만들어진 누름버튼과 연관된 운동부로 분리하고, 상기 탄성 부분은 정상 위치로의 귀환을 보장해준다. 저장기 자체는 일단 분배가 완료되면 그 분배 용기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 봉은 완전히 돌출된 위치에 있게 된다. 초기의 위치로 귀환시키기 위해서 구동기구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고, 분배를 위해 초기의 위치로 용이하게 수축되는 구동기구에 대하여 새로운 위치에서 봉을 배치하도록 누름버튼을 피봇하게 설치하여야 하는데, 그 이유는 래칭 부위가 한 세트의 봉의 톱니 모양 부분에 더 이상 마주보지 않기 때문이며, 오히려 봉 자체의 회전이 억제되는 한편, 평평한 부위도 더 이상 마주 향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임의의 횡단면 원통형인 저장기에 포함된 제품의 분배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 제품은 분배하는 구멍과 저장기 안에서 직동 변위되는 피스톤 사이에 있으며, 이 피스톤은 저장기와 연관된 요소상에 위치되고 피스톤을 작동시키고 제품을 디스펜싱하기 위하여 변위될 수 있는 직동 운동 장치상에서 사용자의 작용에 의하여 조절되는 구동기구에 의하여 조금씩 변위되는 봉의 단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분배 용기는 첫번째로 구동기구가 저장기와 관련하여 움직일 수 있는 운동부와 저장부와 관련하여 고정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되고 그리고 움직일 수 있는 고정부와 운동부는 탄성 부분에 의하여 분리되고, 조정 장치는 그 구동기구의 운동부와 직동되게 단단히 결합되어 있으며, 그리고 사용자에 의한 작동 후에 정지 위치로 움직여지도록 탄성 부분의 회복 작용을 받게 된다. 두번째로, 본 발명의 분배 용기에서 봉은 요소와 관련하여 회전 가능하게 되며, 그리고 직동 구동되도록 래칭 수단에 의해 구동기구와 함께 작용하는 노치 시스템을 포함하며, 봉 둘레에 회전함에 의하여 구동기구는 래치 수단이 노치 시스템과 함께 작용하는 결합 위치나 또는 봉이 그 구동기구와 관련하여 자유롭게 되어 탈착되는 분리 위치를 가질 수 있다.
우선적으로 래치 수단은 탄성 부분의 어느 한 측면상에 위치한 두개의 래치를 구비하는데, 래치들 중의 하나는 구동기구의 운동부상에 위치되며, 그리고 다른 하나는 고정부상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봉은 축에 평행으로 래치 수단이 구동기구의 해제된 위치에 놓이는 적어도 하나의 매끄러운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봉은 축에 관련하여 대칭으로 배치된 두개의 종방향 플랫, 그리고 상기 플랫 사이에 배치되고, 그리고 래치 수단과 함께 협력되는 두개의 노치를 구비하는데, 두개의 노치가 구동되는 방향은 구동 기구의 운동부로부터 고정부로의 이동을 야기한다. 구동기구의 각각의 래치는 봉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노치와 협력되는 두개의 캐치부를 구비한다.
이와 달리, 두개의 노치의 핏치는 서로 다르며, 또 각 래치는 단일개의 캐치부를 구비하고, 두개의 캐치부는 봉의 같은 측면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동일 노치와 협력된다.
바람직하게는, 누름버튼은 구동기구의 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저장기는 조립된 요소로부터 분리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누름버튼을 갖춘 요소는 튜우브 본체이고, 이것의 한 단부는 저장기 또는 그것을 둘러싸는 튜우브형 결합 부분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이 본체는 누름버튼에 의하여 저장기에 대향된 단부에서 폐쇄된다.
이 경우에 누름버튼은 튜우브 본체에서 활주될 수 있는 누름버튼이며, 그리고 운동부의 자유 단부의 하나에 의해 상기 구동기구는 누름버튼의 하부에 놓이며, 한편 그 대향 단부에 의해서는 구동기구는 튜우브 본체의 어깨부에 놓인다. 그 어깨부는 그 제품을 분배하기 위하여 봉의 활주를 가능하게 하지만 봉의 회전을 방지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기구는 가용성 플라스틱 재료의 몰딩에 의하여 몰딩에 주조된 케이지로 구동되고, 두개의 측방향 브랜치로 구성되는데, 이 브랜치의 중간 부분을 탄성 부분으로 형성되도록 브랜치의 평면에서 주름이 잡혀있고, 측방향 브랜치는 한 단부에서는 누름버튼의 하부와 접촉하고, 그리고 누름버튼과 구동기구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해 누름버튼상에 위치된 수단에 보충적인 수단을 갖는 링에 연결되고, 그리고 다른 단부에서는 어깨부와 접촉하고 있고, 그리고 봉의 활주를 가능하게 하고 봉에 대하여 그 구동기구의 추축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리트가 있는 디스크에 연결되어 있다.
구동기구의 이들 두개의 브랜치는, 바람직하게는 구동기구의 고정부 및 운동부 중간 부분에 배치된 브레이싱 브리지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상세한 내용에 따르면, 튜우브 본체는 구동기구의 고정부의 중심 조정 수단을 구비한다. 저장기 또는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튜우브형의 결합 부분은 나삽이나 래칭에 의하여 튜우브 본체에 대해 조립되어 있다. 저장기나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튜우브형의 결합 부분과 튜우브 본체는 서로의 연장부에 설치된다.
제1도에는, 함께 나삽되어 결합되는 결합 부분(2a)과 튜우브 요소(2b)로 된 기다란 튜우브 본체(2)를 구비하는 전체 분배 용기(1)를 도시하였다.
결합 부분(2a)은 튜우브형 결합 부분으로서 씨스(sheath)로 구성되며, 분배될 제품(3)은 저장기(4)에 수용된다. 제품(3)은 분배구멍(5)과 피스톤(6)사이에서 저장기(4)에 배치된다. 피스톤은 저장기(4)에서 구동기구(8)에 의하여 조절되는 톱니형 봉(7)을 사용하여 직동에 의하여 조금씩 변위되며, 봉(7)과 구동기구(8)는 본체(2)의 부분(2b)에 수용된다. 구동기구(8)는 분배 장치의 튜우브 본체로 구성된 튜우브 부분(2b)의 단부에 설치된 누름버튼(9)에 일체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결합 부분(2a)은 그 결합 부분의 중앙선에 대하여 비스듬한 평면에 위치된 자유 단부(2c)의 방향으로 외면으로부터 약간 테이퍼를 이루는 연장된 튜우브형 요소이다. 결합 부분(2a)의 내부 도관은 저장기(4)를 수용하고, 이것은 원통형이고, 또 비스듬한 단부(2c)에 대향된 단부(2d)로부터 얼마간의 거리를 두고 외면을 향하여 단벽(10)을 갖는다. 상기 단벽은 나선형 램프의 형태로 되어 있다. 단벽(10)과 단부(2d) 사이에 그리고 근처에서, 결합 부분(2a)은 나사부(11)를 포함하며, 그 역할은 이후에 설명된다.
저장기(4)는 중공의 실린더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그 자유 단부(4a)는 중앙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으며, 그리고 결합 부분의 단부(2c)를 포함하는 평행하게 위치되고 그 조립 위치에서 약간 돌출하여 있다. 결합부분(2a)과 저장기(4)의 정확한 배향은 저장기가 자유 단부(4a)에 대향된 단부에서 나선형 단벽(10)이 보완된 외부 비드(12)를 구비한다는 사실에 의하여 보장된다. 더욱이 본체(2)의 결합 부분(2a)을 넘어 돌출하는 저장기(4)의 결합 부분은 제품이 피부에 직접 적용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털과 같은 재료나 스폰지 재료 또는 펠트로 라이닝되도록 되어 있다. 반유체로 된 물질을 분배하려는 경우에 있어서, 저장기(4)로부터 돌출된 결합 부분은 위와 같은 목적으로 짧은 중공의 센터 펀치가 장치되어 있도록 하였다.
피스톤(6)은 제품(3)에 놓여있는 앞 평면(6a)과 봉(7)의 적합화된 형상의 단부(7a)를 수용하도록 된 절두원추체의 축 공동부(13)를 구비하는 뒷면(6b)으로 구성되어 있다. 필요하다면, 밀봉되는 방식으로 저장기(4)안에서 미끄럼 운동되도록 피스톤(6)에는 공기 배출을 위한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있고, 상기 구멍은 사용위치에 따라 봉의 단부(7a)에 의해 막혀지도록 되어 있다.
튜우브 본체(2)의 튜우브 요소(2b) 결합 부품(2a)과 협동하기 위한 단부의 근처에서 중심부를 향해 직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된 환형의 단벽(14)과 결합 부분(2a)의 내경 나사와 나사 결합되도록 외경 나사(16)를 포함하는 목부분(15)을 형성한다. 그리고 단벽(14)의 위치에서 튜우브 요소(2b)는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봉(7)의 중심 통로(18)가 통과하는 내부의 환형 어깨부(17)를 포함한다. 이후에 설명되는 봉(7)의 특별한 형상을 고려하여 어깨부(17)는 이 봉(7)이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제품(3)이 분배될 때 봉의 진행을 허용하기 위해 통로(18)를 형성하는 가장자리와 봉(7) 부분 사이에 얼마만큼의 간극이 있다. 더욱이, 목 부분(15)과 관련하여 어깨부(17)의 뒤에서 본체(2b)는 구동기구(8)의 중심 조정 원통 부분으로 형성한 환형의 비드(19)를 갖춘다. 최종적으로, 단부(2e)상에서 본체는 누름버튼(9)을 유지하도록 하는 환형의 내부프렌지를 포함한다.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봉(7)은 위에서 볼때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 한 단부(7a)를 포함한 기다란 평면 요소로 구성된다. 대향 단부상에서 봉(7)은, 이 봉의 중간선에 수직인 평면으로 배치되고, 그 축이 그것과 일치하는 디스크 형상의 플레이트(7b)를 구비한다. 이 플레이트(7b)는 봉(7)이 수축할때 분배가 끝날 때 멈춤부로서의 역할을 하며, 그리고 봉(7)의 이동 제한 장치로서의 역할을 한다. 봉(7)은 두개의 대향된 평평한 부분(21)을 포함하며 매끄럽게 되어 있는 단부(7a)와 플레이트(7b)를 결합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두개의 대향된 나머지 면에서는 그 두께에 따라 제조된 노치(22)가 있으며, 각각의 노치는 플레이트(7b)를 향해 리쎄스가 되어 있는 비스듬한 벽 부분(22a)과 봉(7)의 축에 수직인 벽(22b)으로 형성된다.
특히, 제5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구동기구(8)는 서로 평행하게 한 단부에서 링(24)에 연결되며, 그리고 다른 단부에서 링(24)에 평행하게 디스크(25)에 연결되는 두개의 축방향 브랜치(23)를 포함하는 기다란 케이지를 형성한다. 브랜치(23)는 링(24)과 디스크(25)가 직경 방향으로 대향되어 결합되도록 연결된다. 링(24)은 외면에 면하고, 그리고 두개의 브랜치(23) 사이의 벽에 형성되는 리쎄스(26)를 구비한다. 이 리쎄스의 역할은 다음에 나타내었다. 디스크(25)는 상기 디스크(25)의 반경보다 깊이가 크고 평평한 부분(21)의 폭보다 약간 더 큰 폭을 갖도록 디스크(25)의 직경 라인에 따라 만들어진 U자형의 슬릿(27)을 포함한다. 브랜치(23)는 두개의 브랜치(23)를 포함하는 평면에 형성된 아코디온 절첩과 같은 가요성의 압축되는 중간부(28)를 포함한다. 이들 가요성 부분(28)의 어느 한 측부상에서, 브랜치(23)는 한쌍의 대향된 래치, 즉, 분배를 위한 위치에서 봉(7)에 마주보는 노치(22)와 연결하여 캐치부로써의 기능을 하는 후방 래치(29a)와 전방 래치(29b)를 포함한다.
브랜치(23) 사이의 횡방향 보강 링크는 각각 링(24)과 캐치부(29a) 사이에서, 그리고 캐치부(29b)와 슬릿디스크(25) 사이에 위치되는 두개의 후방의 브레이싱 브리지(30a-31a)(bracing bridges)와 두개의 전방 브레이싱 브리지(30b-31b)에 의하여 확보하게 된다. 제5도의 견지에서 보면, 브리지(31a)(31b)들은 서로 연관되어 봉(7)의 위에 배치되고, 또, 브리지(31a)(31b)들은 그 아래에 배치된다. 모든 것을 조합해 볼때 그것들은 봉(7)이 변위될 수 있는 크래이들(cradle)을 형성한다.
상술한 구동기구(8)는 가요성 부분(28)을 만들기 위해 비교적 가요성이 있는 플라스틱 재료를 몰딩하여 모두 일체식으로 제조된 부분으로 구성되고, 몰드 죠인트는 두개의 브랜치(23)의 중간 평면에 있다. 누름버튼(9)은 하부(33)에 결합되는 측방향 가장자리(32)로 구성된다. 상기 가장자리(32)는 자유 단부(32)로부터 일정 거리로 떨어져 있는 사각형의 단벽(34)과 누름버튼(9)과 몸체(2b)를 단단히 결합하기 위해 비드(20)와 연결되는 외부비드(35)를 갖춘다. 상기 누름버튼(9)은 구동기구(8)의 브랜치(23)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도에 나타낸 위치로 정상적으로 눌려진다. 링(24)은 항상 누름버튼(9)의 바닥(33)에 놓여 있다. 단벽(34)이 본체(2b)의 단부(2e)에 접촉되어 정지할 때까지 분배될 제품의 양에 의해, 예를 들어 톱니 봉(7)의 한 노치(22)에 해당하는 0.5밀리미터 내지 5밀리미터의 순으로 거리를 두고 누름 버튼을 눌러준다. 더욱이, 하부(33)는 누름버튼(9)에 의하여 구동기구(8)의 회전 구동하도록 구동기구(8)의 링(24)의 리쎄스(26)와 협력하는 돌기부(36)를 포함한다.
초기의 분배 용기(1)의 초기 조립은 다음과 같다.
본체(2b)에 있어서, 구동기구(8)는 미리 봉(7)이 갖추어져 있으며, 봉(7)의 치형부는 캐취부(29a)(29b)와 맞물려 있다. 이 구동기구는 본체(2b)의 단부(2e)를 통해 도입된다. 다음에, 누름버튼(9)은 힘을 가해 래칭하여 이 단부(2e)상에 있게 된다. 다음에, 저장기(4), 이것과 연관된 피스톤(6), 및 씨쓰(2a)로 구성되는 서브어셈블리는 본체(2b)상에 나삽된다.
분배 용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먼저, 분배 용기(1)는 제1도에서와 같이 점유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구동기구(8)는 누름버튼(9)의 하부(33)와 그리고 누름버튼(9)의 스커트(32)에 의하여 후방으로 안내되면서 환형 비드(19)에 의하여 앞에서 중심을 잡는 어깨부(17) 사이에 연장된다. 사용자가 본체(2b)의 뒤에 멈추어지도록 누름버튼(9)에 압력을 가할때 링(24)과 가요 부분(28) 사이의 구동기구(8)의 뒷부분은 제1도의 관점에서 보아 우측으로 전진하고, 이 뒤부분은 구동기구(8)의 운동부(8b)로 구성되어 있다. 가요 부분(28)은 아코디온 방식으로 절첩되며, 또 봉(7)은 해당 노치(22)의 면부(22b)에 대해 노형 있는 봉(7)에 지지되어 있는 후방 캐치부(29a)에 의하여 저장기(4)를 향해 구동된다. 반면에, 해당하는 노치(22)의 경사면에 놓여있는 전방 캐치부(29b)는 들어올려져서 바로 후방을 향해 다음의 노치(22) 안으로 떨어진다.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일정량 전진한 봉(7)은 선택하여 피부에 바르는 제품(3)이 일정량으로 가장자리 부분(4e)으로부터의 출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한편, 사용자는 누름버튼(9) 상에서의 압력을 완화시켜 압력이 누름버튼(9)상에서 가해질때, 아코디온 방식으로 절첩되는 가요부분(28)이 제1도에 나타낸 처음 위치로 복귀되지만, 이번에는 전방 캐치부(29b)가 노치(22)의 면(22b)에 대하여 브레이싱되어 몸체(2)에 대해 봉(7)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며, 한편, 후방 캐치부(29a)는 경사면(22a) 위로 슬라이딩되어 바로 후방을 향해 다음 노치(22) 안으로 떨어진다. 분배 용기(1)는 누름버튼(9)의 재작동에 의하여 다음의 계량된 양을 분배하도록 하게 된다. 브레이싱 브리지(30a)와 결착되어 있는 플레이트(7b)를 위치시키는 것은 봉(7)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게 된다.
이와 달리,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구동기구(8)의 케이지는 브랜치(23)의 하나에만 캐치부(29a)(29b)를 갖는다. 봉(7)의 면의 하나에 위치된 래치의 노치의 핏치는 이 봉의 대향면상에 위치된 래치의 노치(22)의 핏치의 두배가 된다. 노치의 하나 또는 다른 것이 캐치부(29a)(29b)와 협력하도록 되어 있는가에 의거하여, 이것은 정상적으로 조금씩 이동을 하게 되는 구동기구를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신속 이동 구동기구는 저장기(4)로부터의 제품의 두배의 분량을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 구동기구의 케이지에 대하여 180도로 봉(7)이 추축 회전하도록 하여 누름버튼(9)이 작동될 때마다 사용자 자신이 분배되는 제품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리하여 노치(22)의 하나 또는 다른 것이 캐치부(29a)(29b)와 선택적으로 협력하게 된다. 두 노치의 서로 다른 핏치를 포함하는 이러한 형태의 봉(7)은 서로 다른 제품, 특히 서로 다른 양을 분배하는 제품을 사용하기 위한 형태의 톱니가 있는 봉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단지 예를 든다면, 1 : 2의 비율로 두개의 노치의 간격에 대해 어떤 워낳는 값이 주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원에서 나타낸 두개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저장기(4)는 호환성이 있으며, 저장기(4)안에 포함된 모든 제품(3)이 분배되었을때 봉(7)은 귀환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그 처음의 위치에서 다시 시작하게 된다. 그 순간에, 사용자는 누름버튼(9)을 1/4 회전만큼 회전하고, 구동기구(8)는 리쎄스(26)와의 돌출부(36)의 협력 때문에 회전 구동되며, 어깨부(17)에서의 회전이 멈춰지는 노치(7)는 제8도에서 점과 선으로 나타낸 위치에서 구동기구(8)에 관련하여 위치된다. 결합 부분(2a)이 나사를 빼서 분리하면 뒤를 향해 봉(7)을 미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캐치부(29a)(29b)가 이 봉(7)의 평평한 부분(21)에 접촉하도록 봉(7)의 방향이 정해지기 때문이다. 봉(7)은 플레이트(76)가 누름버튼(9)의 하부(33)에 대해 멈출 때까지 뒤에까지 밀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빈 저장기(4)를 사용하기 위하여 결합 부분(2a)에 대하여 자유 단부(4a)를 피봇시키면, 사용자는 나사(11)를 갖는 결합 부분(2a)에서 단부(4a)와 연결하여, 또 나선형 부분(10)을 서로 일치시키도록 피봇시켜서 연관된 피스톤(6)에 따라서 제품(3)이 분배되도록 채워지는 새로운 저장기(4)를 위치시킨다. 부분(2a)(2b)은 함께 나삽될 필요가 있으며, 본체(2b)에 대하여 누름버튼(9)의 1/4 회전만큼의 새로운 회전이 캐치부(29a)(29b)로 하여금 노치(22)에 들어가도록 허용한 후에 새로운 사용 분배를 위한 분배 용기(1)가 사용 준비된다. 분배는 이렇게 하여 즉시 시작된다. 분배를 분리된 위치로 유지시키는 것(누름 버튼이 다시 1/4 회전하기 전에)은 예를 들어 손가방 안에 그 분배 용기를 갖고 다니게 하는데 사용되는 안전대책인 것이다.
제2도와 제4도에서 보면, 하우징(102)의 앞부분이나 결합 부분(102a)이 제1구현예의 저장기에 대하여 대조물인 튜우브형 요소(104)로 구성되어 분배 용기(101)가 달리 나타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뒷부분에서 이 요소(104)는 요소(104)보다 직경이 더 크고, 또 환형 어깨부(138)에 의하여 결합된 터미널 스커트(137)를 포함한다. 이 터미널 스커트(137)는 환형 그루브(139)를 포함하며, 그 역할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하우징(102)의 몸체(102b)는 그 몸체(102b)에 속하는 목부분(140)에 의하여 결합하는 부분(102a)과 협력하도록 된 그 부분에서 끝난다. 목부분(140)은 제1구현예의 어깨부(17)에 상당하며, 또 조립된 위치에서 봉(107)이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어깨부(141)를 형성한다.
그루브(140)는 홈(139)과 협력하도록 된 밀폐링(142)을 포함한다. 목부분은 한 단부에서 다른 단부로 종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143)은 제4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또 하우징(102)의 두개의 부분(102a)(102b)을 단단히 연결하는 래칭 조작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저장기(104)와 관련된 피스톤(106)은 저장기(104)의 내부 도관에서 피스톤(106)의 완전히 된 슬라이딩을 확실히 해주기 위하여 주변의 밀폐 비드(106c)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피스톤(6)과 동일하다.
그렇지 않으면, 분배 용기(101)로 구성되는 요소들은 제1도의 디스펜서(1)와 동일하고, 또 여기에서 그것들이 각각의 경우에 도면부호 100만큼 상승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제1의 구현예의 유사한 요소를 선정하는데 사용되는 것과 같은 도면부호로 그것들이 식별된다. 따라서, 분배 용기(101)의 작용은 분배 용기(1)의 그것에 모든 점에서 동일하다.
상기 실시예들은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방법으로 수정될 수도 있다.

Claims (17)

  1. 한 단부에 제공된 분배구멍(5)과 저장기(4) 내에서의 직동 운동을 위해 설치된 가동 피스톤(6)을 구비한 제품(3) 저장용 원통형 저장기(4)와, 상기 피스톤에 접속되는 한 단부를 갖춘 봉을 구비한 구동기구(8)를 포함하는 제품 분배 용기로서, 상기 구동기구(8)가 상기 가동 피스톤(6)에 연결된 한 단부를 갖는 봉(7)을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구(8)는 상기 봉을 조금씩 변위시키기 위해 누름버튼(9)을 작동할때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누름버튼(9)이 상기 구동기구(8)와 연관된 튜우브 부분상에서 지지되는 분배 용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8)은 상기 저장기(4)에 연관되어 고정되는 고정부(8a)와 상기 저장기(4)에 연관되어 이동될 수 있는 운동부(8b)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8a)와 운동부(8b)는 탄성부분(28)에 의하여 연결되고, 상기 누름버튼(9)은 운동부와 직동 운동되도록 결합되고, 사용자가 작동한 후에는 정지 위치로 이동되도록 탄성 부분이 복귀 작용을 하며, 튜우브 부분(2b)에 대하여 상기 봉(7)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한 어깨부(17)가 갖춰져 있으며, 상기 봉(7)과 상기 구동기구(8)가 이 구동기구(8)로부터 상기 봉까지의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전방래치(29a), 후방래치(29b)와 노치 수단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전방 래치(29a)와 후방 래치(29b)가 회전시에 노치 수단과 결합되는 맞물림 위치와 상기 구동기구(8)와 연관되어 상기 전방 래치(29a)와 후방 래치(29b)가 해제되는 풀림 위치로 결합 및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래치(29a), 후방 래치(29b)가 탄성 부위(28)의 어느 한 측부상에 위치되며, 상기 전방 래치(29a)는 구동기구(8)의 운동부(8b)상에 위치되며, 상기 후방 래치(29b)는 고정부상에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봉(7)(107)은 축에 평행하게 전방 래치(29a), 후방 래치(29b)가 구동기구(8)(108)의 분리된 위치에 있게되는 적어도 하나의 아주 매끄러운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봉(7)(107)은 축에 대하여 대향되어 있는 두개의 종방향 플레이트(21)와 이들 사이에 있으며, 전방 래치(29a), 후방 래치(29b)와 협력하는 두 부분의 노치(22)를 포함하며, 두 부분의 노치가 구동되는 방향이 운동부(8b)로부터 구동기구(8)의 고정부(8a)로 이동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전방 래치(29a), 후방 래치(29b)가 봉(7)(107)에 대하여 대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 노치(22)의 하나와 협력되는 두 부분의 캐치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22)의 핏치가 서로 다르고, 그리고 각각의 전방 래치(29a), 후방 래치(29b)가 단일 캐치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두개의 캐치부가 봉(7)(107)의 동일 측면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같은 노치(22)와 협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누름버튼(9)이 구동기구의 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저장기(4)(104)가 조립된 튜우브 부분(2b)(102b)에서 분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튜우브 부분이 튜우브 본체이고, 이것의 한 단부가 부착을 위해 둘러싸는 저장기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을 포함하는데, 상기의 본체가 누름버튼(9)에 의하여 저장기에 대향된 단부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누름버튼(9)이 튜우브 본체(2b)(102b)에서 미끄럼 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어깨부(17)(141)가 제품(3)(103)을 분배하기 위해 봉(7)(107)의 미끄럼 운동을 가능하게 하지만 봉의 회전 운동을 방지하는 통로를 한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8)는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의 몰딩에 의하여 주조된 케이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구동기구(8)의 중간 부위는 상기 탄성 부분(28)을 형성하도록 상기 브랜치(23)의 평면에서 주름잡혀 있는 두개의 측방향 브랜치(23)로 구성되고, 상기 측방향 브랜치는 일단부에서 누름버튼(9)과 접촉하고, 그리고 상기 누름버튼(9)과 구동기구(8)를 회전 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해 누름버튼상에 위치되는 수단에 보충적인 수단을 갖춘 링(24)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때 다른 단부에서는 어깨부(17)(141)와 접촉하고 있고, 그리고 봉(7)(107)의 미끄럼 운동과 봉에 대한 구동기구(8)(108)의 추측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슬리트(27)가 갖추어져 있는 디스크(2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두개의 상기 브랜치가 구동기구의 고정부 및 운동부(8a,8b)의 중간 부분에 있는 브레이싱 브리지(30a)(30b)(31a)(31b)에 의하여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4. 제13항에 있어서, 튜우브 본체(2b)(102b)가 구동기구의 고정부 중심 조정 비트(19)(1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저장기(104)가 나사 결합에 의하여 튜우브 본체(2b)(102b)에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저장기(4)가 래칭에 의하여 튜우브 본체(2b)(102b)에 대해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저장기(104)와 튜우브 본체(2b)(102b)가 서로의 연장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 용기.
KR1019900001486A 1989-02-08 1990-02-08 직동 피스톤을 구비한 분배 용기 KR970002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901612A FR2642623B1 (fr) 1989-02-08 1989-02-08 Distributeur comportant un piston translatable
FR8901612 1989-02-08
FR89|01612| 1989-0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568A KR900012568A (ko) 1990-09-01
KR970002539B1 true KR970002539B1 (ko) 1997-03-06

Family

ID=9378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486A KR970002539B1 (ko) 1989-02-08 1990-02-08 직동 피스톤을 구비한 분배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011317A (ko)
EP (1) EP0382590B1 (ko)
JP (1) JPH0631113B2 (ko)
KR (1) KR970002539B1 (ko)
CA (1) CA2009215C (ko)
DE (1) DE69003405T2 (ko)
ES (1) ES2044457T3 (ko)
FR (1) FR26426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789Y1 (ko) * 2009-06-17 2012-02-20 이-린 차이 전동식 파우더 화장품 도포 장치
KR20140045280A (ko) * 2010-08-11 2014-04-16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노크식 투입 용기
WO2018056699A3 (ko) * 2016-09-22 2018-08-09 펌텍코리아(주) 내부가 이중으로 밀폐되는 에어타이트 립 화장품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64479A1 (fr) * 1990-07-13 1992-01-17 Mitsubishi Pencil Co Conteneur de produit cosmetique solide du type a percussion.
DE4227560C1 (de) * 1992-08-20 1993-11-25 Schwan Stabilo Schwanhaeusser Auftragsgerät mit einer Mine aus einer streichfähigen Masse
US5851079A (en) * 1996-10-25 1998-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implified undirectional twist-up dispensing device with incremental dosing
FR2773959B1 (fr) * 1998-01-26 2000-04-07 Oreal Ensemble de conditionnement et d'application d'un produit pulverulent, liquide ou pateux comportant un piston
JP3081834B2 (ja) * 1998-03-20 2000-08-28 三菱鉛筆株式会社 液体塗布具
DE29805800U1 (de) * 1998-03-31 1998-07-16 H & M Gutberlet Gmbh Kosmetikstift
WO2001007338A1 (fr) * 1999-07-28 2001-02-01 Kabushiki Kaisha Pilot Dispositif de revetement pour matiere solide
KR200230179Y1 (ko) * 2000-12-30 2001-07-03 이종철 겔상 립스틱 용기
ES2257688T3 (es) * 2002-11-18 2006-08-01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Aparato de aplicacion, especialmente aparato de maquillaje.
US20050063766A1 (en) * 2003-06-20 2005-03-24 Frh Development, Inc. Applicator pen
US7086796B2 (en) * 2003-08-01 2006-08-08 Bonne Bell, Inc. Dispensing device
JP3960979B2 (ja) * 2004-02-18 2007-08-15 株式会社トキワ 移動体繰出装置
DE202006007492U1 (de) * 2005-06-24 2006-08-24 Jenner, Günter Verbindungsteil für Applikatoren
DE202006009892U1 (de) * 2006-06-24 2007-11-08 H & M Gutberlet Gmbh Kosmetikprodukt-Austauscheinheit für ein Basis-Stiftmodul eines Kosmetikstifts sowie Set aus einer derartigen Kosmetikprodukt-Austauscheinheit und einer Mehrzahl von Basis-Stiftmodulen
DE202006009893U1 (de) * 2006-06-24 2007-11-08 H & M Gutberlet Gmbh Kosmetikstift
DE202007010681U1 (de) * 2007-08-01 2008-12-11 H. & M. Gutberlet Gmbh Produkt-Austauscheinheit für ein Basis-Stiftmodul insbesondere eines Kosmetikstifts sowie Set aus einer Produkt-Austauscheinheit und einer Mehrzahl von Basis-Stiftmodulen
DE202007015726U1 (de) 2007-11-12 2009-03-26 Schwan-Stabilo Cosmetics Gmbh & Co. Kg Stift
US20100017993A1 (en) * 2008-07-22 2010-01-28 Lychwick Kurt P Rotational scratch-off card surface remover
JP5480566B2 (ja) 2009-08-31 2014-04-23 ローランド株式会社 楽器スタンド用のクランプ
JP5528742B2 (ja) 2009-08-31 2014-06-25 ローランド株式会社 パイプホルダー
KR101433487B1 (ko) * 2009-09-16 2014-08-22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관리 시스템, 장비 및 방법
RU2504316C1 (ru) 2009-12-23 2014-01-20 Колгейт-Палмолив Компани Система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BR112012015742A2 (pt) 2009-12-23 2020-10-06 Colgate-Palmolive Company sistema de cuidado oral
KR101414966B1 (ko) 2009-12-23 2014-07-04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관리 시스템, 키트 및 방법
CN102655787B (zh) 2009-12-23 2015-02-25 高露洁-棕榄公司 口腔护理系统
JP6265742B2 (ja) 2010-11-19 2018-01-24 バイエル・コンシューマー・ケア・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Bayer Consumer Care AG クリック式ペン型アプリケータ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130095833A (ko) 2010-12-15 2013-08-28 콜게이트-파아므올리브캄파니 구강 관리 분배기
FR2975978B1 (fr) * 2011-06-06 2013-06-28 Guerlain Sa Distributeur de produit liquide.
JP6113620B2 (ja) * 2012-12-27 2017-04-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シリンジ型噴出容器
WO2016126273A1 (en) 2015-02-02 2016-08-11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system and oral care material dispenser
US10137444B2 (en) 2016-05-11 2018-11-27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Nanoliter pipetting device
WO2018007563A1 (en) * 2016-07-07 2018-01-11 Philip Morris Products S.A. Dispenser device
KR101897961B1 (ko) * 2016-09-22 2018-09-13 펌텍코리아(주) 밀폐력이 향상된 에어타이트 립 화장품 용기
IT201600128903A1 (it) * 2016-12-20 2018-06-20 T A E S R L Contenitore di mine di matite truccanti
KR101912114B1 (ko) * 2017-08-28 2018-10-29 (주)아모레퍼시픽 화장용 도구
JP7471646B2 (ja) * 2020-10-19 2024-04-22 株式会社トキワ 化粧料繰出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493215A (fr) * 1917-12-04 1919-08-02 Louis Schwab Crayon automatique
GB203401A (en) * 1922-06-08 1923-09-10 Robert Brownlow A new or improved pencil
DE598358C (de) * 1932-09-14 1934-06-09 Heinrich Joehnssen Fuellbleistift mit einer die Mine vorschiebenden, unter Federwirkung stehenden zweiseitig gezahnten Zahnstange
GB608084A (en) * 1943-11-25 1948-09-09 Einar Berheim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magazine or propelling lead pencils
US2528839A (en) * 1946-08-07 1950-11-07 John H Mason Mechanical pencil
US2541949A (en) * 1947-05-01 1951-02-13 Warren E Thacker Rouge dispenser and applicator with ratchet operated force feed mechanism
FR991925A (fr) * 1949-08-02 1951-10-11 V B Bompois Et Viard étui pour rouge à lèvre
US2718299A (en) * 1950-06-01 1955-09-20 Verne L Atwater Medicinal dispenser
US2771858A (en) * 1955-09-09 1956-11-27 Francis J Cribbs Mechanical pencil having a push button, step by step feed
EP0094764A3 (en) * 1982-05-13 1984-10-10 Beecham Group Plc Dispenser
US4659327A (en) * 1985-11-26 1987-04-21 Dentsply Research & Development Corp. Multiple dosage syringe
JPS63152687U (ko) * 1987-03-24 1988-10-06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789Y1 (ko) * 2009-06-17 2012-02-20 이-린 차이 전동식 파우더 화장품 도포 장치
KR20140045280A (ko) * 2010-08-11 2014-04-16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노크식 투입 용기
WO2018056699A3 (ko) * 2016-09-22 2018-08-09 펌텍코리아(주) 내부가 이중으로 밀폐되는 에어타이트 립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09215C (fr) 1999-03-23
EP0382590B1 (fr) 1993-09-22
CA2009215A1 (fr) 1990-08-08
DE69003405D1 (de) 1993-10-28
EP0382590A1 (fr) 1990-08-16
JPH0314483A (ja) 1991-01-23
US5011317A (en) 1991-04-30
DE69003405T2 (de) 1994-05-11
ES2044457T3 (es) 1994-01-01
FR2642623A1 (fr) 1990-08-10
JPH0631113B2 (ja) 1994-04-27
FR2642623B1 (fr) 1991-05-03
KR900012568A (ko) 199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539B1 (ko) 직동 피스톤을 구비한 분배 용기
KR960015644B1 (ko) 재충전 가능한 분배장치
KR100574630B1 (ko) 주입 주사기
CA1230028A (en) Dispensing device suitable for use in dispensing predetermined successive quantities of fluid from a reservoir
FI107888B (fi) Jakelulaite ainakin kahden nesteen jakamiseksi
CA2155575C (fr) Instrument doseur, notamment d'injection de liquide medicamenteux
US6513534B1 (en) Hair dye dispenser
US4973318A (en) Disposable syringe
US3358699A (en) Cosmetic storing and dispensing device
US3359992A (en) Cosmetic applicator
US8540124B2 (en) Dispensing pen
US20090254045A1 (en) Device for dispensing an injectable product in doses
RU234216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талкивания жидкого или вязкого продукта
US5085352A (en) Dispenser for discharging material and having relatively rotatable male and female screws
JP6042421B2 (ja) 液体製品ディスペンサ
KR20040004435A (ko) 경사가능한 너트부재를 가진 주사기
US3989392A (en) Dispensing device
EP0353043A2 (en) Adhesives dispenser
EP0332593A2 (en) Dispensing container for a viscous fluid or solidified stick-shaped product, particularly for cosmetics
US11185876B2 (en) Attachment system for mounting a dispensing pump on a vial and associated vial of fluid product
GB2066059A (en) Comb or brush
JP2002531334A (ja) 推進装置
US4917521A (en) Pen type container for correction fluid with daubing function
US2635789A (en) Dispensing device
US3891127A (en) Material applying dispenser having screw actuated fe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