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445B1 -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 Google Patents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445B1
KR970002445B1 KR1019930008203A KR930008203A KR970002445B1 KR 970002445 B1 KR970002445 B1 KR 970002445B1 KR 1019930008203 A KR1019930008203 A KR 1019930008203A KR 930008203 A KR930008203 A KR 930008203A KR 970002445 B1 KR970002445 B1 KR 970002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terminal
housing
contact member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8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4230A (ko
Inventor
베르토 도미니끄
디. 캐클릭 제리
웨 텍 얍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 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 헥트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30024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4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8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unter-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제1도는 도시의 목적으로 접촉 부재 하나를 하우징에서 제거시킨 상태의 본 발명을 구현한 전기 접속기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의 방향에서 본 하나의 접촉 부재의 부분 입면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의 접촉 부재에 비하여 변형된 형태의 접촉 부재의 사시도.
제4도는 단자를 제거한 상태에서 제1도의 4-4선을 따라 절취한 접속기 하우징의 수직 단면도.
제5도는 단자를 제거한 상태에서 제1도의 5-5선을 따라 본 제4도와 유사한 접속기 하우징의 수직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전기 접속기가 편평 가요성 케이블에 표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7a도는 제1도의 전기 접속기가 인쇄 회로 기판의 저부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7b도는 결합 헤더 구성 부품이 기판의 상부에 삽입되기 직전의 제7a도의 인쇄 회로 기판의 사시도.
제8도는 제1도의 전기 접속기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형태의 접속기 구성 부품을 수용하기 위하여 변형된 형태의 제1도의 전기 접속기 분해 사시도.
제9도는 도시의 목적으로 3개의 접촉 부재를 접속기 하우징으로부터 제거한 상태의 본 발명의 개념을 구현하는 다른 실시 예로서의 전기 접속기의 사시도.
제10도는 제5도와 유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
제11도는 도시의 목적으로 하우징으로부터 하나의 단자를 제거한 상태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의 실시예의 수직 단면도로서 제10도의 유사도.
제13도는 제12도의 13-13선의 방향으로 본 접촉 부재 중 하나의 입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기 접속기 12, 152 : 절연 하우징
22 : 관통 홀(단자 수용 통로) 24 : 하우징 슬롯
26 : 하우징 홈 28, 154 : 접촉 부재
34 : 몸체부 36 : 꼬리부(장착부)
38 : 접촉 단부[핀(단자)수용 단부] 38a, 42 : 접촉 단부 아암
38b : 돌출텝(말단 단부) 40 : 단자 삽입 축
156 : 단자수용 공동 166 : 접촉 아암
본 발명은 전기 접속기에 관한 기술, 특히 독특한 접촉부의 구조와 접속기내에 접촉부가 장착되는 배열에 의하여 낮은 프로파일을 가지는 전기 접속기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접촉 부재를 장착하고 접촉 부재의 접촉부와 접속되는 결합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다수의 통로를 가지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는 종래의 전기 접속기의 구조는 상당히 다양하다. 통상 형태의 접촉 부재는 절연 하우징의 통로로 삽입되는 결합 단자와 접속되도록 형성된 부분 또는 단부를 가지는 스탬프 성형된 금속판 부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특성을 가진 접속기 구조의 문제점 중 하나는 주로 다양한 전자 장비의 점증하는 소형화 추세에 의하여 발생한다. 소형화되는 전자 장비에 사용되는 전기 접속기는 이에 따라 소형화되는 한편, 스탬프 성형된 접촉 부재는 그 장점 때문에 계속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화 추세의 예를 컴퓨터 디스크 드라이브 분야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분야에서는 양 반대 방향으로 상당한 접촉력을 가지고 결합 단자를 수용하는 다기능 접속기를 포함하여 상당히 프로파일이 낮은 전기 접속기 가 필요하다. 이러한 전기 접속기의 접촉 피치(간극) 역시 작아지고 있으므로 접속기의 전반적 설계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매우 낮은 프로파일과 매우 작은 피치를 가진 접속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롭고 개선된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구조로서, 특히 신규의 접촉부 및 하우징 형상을 포함하는 접속기 구조를 제공함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낮은 프로파일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기 접속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우징은 저 프로파일 방향으로 결합 단자 부재를 수용하게끔 단자 삽입 축을 정 하는 단자 수용 통로를 가진다. 하우징이 낮은 프로파일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측벽의 길이가 짧아진다.
하우징에는 다수의 스탬프 성형된 금속판 접촉 부재가 장착되는데, 접촉 부재는 단자 수용 통로 내에 위치한 접촉 단부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한 단자 단부를 가진다. 접촉 부재의 접촉 단부는 접속기 하우징 측벽 상의 슬롯을 통하여 삽입된다.
본 발명에서 접촉 부재의 접촉 단부가 하우징의 짧은 측벽 상의 슬롯을 통하여 장착되고, 접촉 단부는 단자 수용 통로를 가로질러 연장된다. 접촉 단부는 일반적으로 평면으로 구성되는데 단자 수용 통로의 단자 삽입 축을 가로질러 위치한 접촉 단부의 평면에는 단자 수용 슬롯이 마련되어 있다.
개시된바와 같이, 각 접촉 부재의 접촉 단부는 단자 수용 슬롯을 형성하는 내측으로 돌출한 말단 단부를 가지는 한 쌍의 아암을 형성하게끔 분리되어 있다. 내측으로 돌출한 단부는 접촉 단부의 평면으로부터 굽어지거나 비틀려 양 방향에서 결합 단자가 각 단자 수용 통로로 삽입될 때 결합 단자와 접속하는 표면 수단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속기의 형상에 있어 접촉 부재의 평면 접촉 단부의 폭이 결합 단자 부재의 피치보다 넓어서 접촉 부재의 접촉 단부의 안정성을 증대시킨다. 따라서, 소정의 열의 단자 수용 통로의 접촉 단부는 일반적으로 각 통로의 단자 삽입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엇갈려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으로 명료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신규하다고 믿어지는 특징들은 특히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기재되어 있다.
우선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12로 표시되고 플라스틱 재질등으로 성형된 단일의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는, 일반적으로 10으로 표시되는 전기 접속기 구성물 혹은 어셈블리로 도시되었다. 하우징의 연장은 상부 벽(14), 하부 벽(16), 한 쌍의 측벽(18) 및 이들을 종단하는 단부 벽(20)에 의하여 정해진다. 하우징은 상부 벽(14)와 하부 벽(16)간을 관통하는 다수의 관통 통로(22)를 가진다 각 관통 통로(22)는 각 통로의 단부에 터이퍼된 유도로(23)을 가진다. 이하에서 접촉 부재에 대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되는 바와같이, 하우징은 각 대향측벽 상에 관통 통로(22)로 삽입되는 적절한 단자 핀 등의 피결합 접촉 부재와 접속하는 일반적으로 28로 표시되는 접촉 부재를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한 슬롯(24)와 홈(26)을 갖는다.
제1도의 하우징(12)의 상부 벽(14)상에 보이는 관통 통로(22)의 어레이를 참조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 접속기는 각각 4개의 통로로 이루어진 2개의 열의 통로를 가지도록 구성되는데, 각 열 내의 통로 간의 피치(간극)은 양방 화살표(30)으로, 다른 열 상의 통로 간의 피치(간극)은 양방 화살표(32)로서 1.Omm 단위로 표시 된다.
계속하여 제1도를 참조하면, 각 접촉 부재(28)은 연장된 몸체부(34), 꼬리단부(36) 및 몸체부의 대향단부의 대향 면 상에 수직으로 돌출한 핀 수용 단부(38)을 포함하는 스탬프 성형된 금속판으로 되어 있다. 각 접촉 부재(28)의 핀 수용 단부(38)은 꼬리 단부(36)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단부 혹은 탭(38b) 를 가지는 한쌍의 아암(38a)로 분기되어 있다.
제l도와 관련하여 제2도를 참조하면, 각 접촉 부재(28)의 핀 수용단부(38)의 아암(38a)에 돌출한 텝 혹은 단부(38b)의 형상이 보다 명확해진다. 이로부터 상기 탭이, 대향 면(38c)가 화살표 40으로 표시된 결합 부재의 삽입 방향과 평행하도록, 몸체부(40)의 방향으로 하방을 향하여 굽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도에 도시된 결합 부재 측은 핀의 삽입 방향은 각 관통 통로(22)의 삽입 축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제2도로부터 결함 핀이 연장된 몸체부(34)의 반대 방향으로부터 핀 수용 단부(38)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있다. 나아가서 돌출 텝(39b)를 몸체부(34)를 향하도록 충분히 굽히고 표면(38c)의 아래목 연부에 둥근 연부(38d)를 만들어 줌으로써 핀 수용 단부(38)이 연장된 몸체부(34)를 따라 삽입되는 핀과 걸림 없이 접속될수 있다. 그 결과 전기 접속기(10)은 각 통로의 양 방향에서 삽입되는 결합 부재를 접속시킬 수 있는 상방 또는 하방 접속기로 사용될 수 있다.
제3도는 일반적으로 제28'로 표시되는 접촉 부재의 한 변형된 형태를 도시하는데, 이는 접촉 부재(28)과 마찬가지로 연장된 몸체 부(34), 꼬리 단부(36) 및 핀 수용 단부(38)를 포함하지만, 대향면(44)가 해당 접촉부 수용 통로(22) 내에 드러나도록 접촉 단부(38)의 아암(42)가 비틀려 있다. 아암(42)가 비틀려 있는 목적은 제1도 및 제2도의 접촉 부재(28)의 텝(38b)가 굽어있는 목적과 동일한 것으로서 피 결합 단자 부재가 걸림이나 흠집이 생김 없이 상하방에서 전기 접속기(10)내로 삽입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필요한 경우에 굽은 형태의 탭(38b)와 비틀린 형태의 아암(42)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도와 관련하여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 이상에서 간극(30 및 32)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접촉부 수용 통로(22)의 근접한 피치를 유지하면서 접촉 부재(28)이 충분한 크기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접속기 하우징(12)의 대향 측벽(18) 상에 접촉 부재(28)을 수용하기 위하여 엇갈려 배치된 슬롯(24) 및 이에 따른 홈(26)이 마련되어 있음을 알수 있다.
특히 제1도의 측벽(18)상에 슬롯(24) 및 이에 따른 홈(26)이 엇갈려 상하층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4도는 상층 슬롯의 위치를 도시하며, 제5도는 하층 슬롯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1도의 두 접촉부 수용 통로(22)의 열은 각기 4개의 접촉부 수용 통로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하우징의 각 면의 각 통로 열은 2개 상층 슬롯과 2개 하층 슬롯을 가진다.
엇갈린 배열로 2층의 슬롯을 제공함에 따라, 접촉 부재(28)의 분기된 핀 수용 단부(38)은 슬롯과 접촉단부가 단일 열 상에 있고 접촉 부재가 동일한 1.Omm의 피치를 가질 때 보다 확장 폭으로 제조될 수 있다. 폭이 넓은 핀 수용 단부를 사용함에 따라 더욱 크고 따라서 제조하기 용이한 접촉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더우기 큰 접촉 부재는 견고성이 큰 뿐 아니라 결합 핀 부재에 대한 접촉력을 결정하는 능력이 크다.
접촉 부재의 아암(38a)를 포함하는 핀 수용 단부(38)은 제1, 2, 4 및 5도에 도시된 단자 삽입 축(40)에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한 핀 수용 개구를 형성하는 하방으로 굽은 텝(38b)와, 아암을 가진 접촉 부재의 일반적으로 평면인 부분을 형성한다.
접촉 부재의 접촉 단부(38)의 아암(38a; 제4도의 42)는 접촉 부재를 하우징의 슬롯내에 안전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슬롯(24)의 측면 연부를 따라 하우징(20)의 플라스틱 재질로 파고드는 외향으로 돌출한 돌기(46)을 포함한다. 접촉 부재(28)을 관통 통로(22) 및 결합 축과 수직인 슬롯(24)를 통하여 하우징(12)내로 삽입시킴으로써, 결함 과정중에 접촉 부재를 저지하는 힘이 거의 발생하지 앓는다. 즉 돌기(46) 및 플라스틱 하우징(12)는 삽입 및 분리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저항력을 작용하지 않는다.
하우징(12)의 대향 측벽(18) 상의 홈(26)은 슬롯(24)와 통해 있어 접촉 부재(28)의 몸체부를 수용하는데,이 경우 몸체부의 외향 표면을 일반적으로 측벽(18)의 외부 표면과 같은 높이의 면을 이룬다. 그럼으로써 본 접속기는 인쇄 회로 기판상에 보다 작은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속기 양면상의 접촉 부재의 꼬리 단부(36)은 아래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속기 장착 표면과 일반적으로 동일 면을 이룬다. 결과적으로 상층의 슬롯으로 삽입되는 접촉 부재의 몸체부가 하층의 슬롯으로 삽입되는 접촉 부재의 몸체부보다 길다.
필요한 경우에는 꼬리 단부는 표면에 장착되기 보다 인쇄 회로 기판상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제6도 및 제7a도는 이상에서 제1도 내지 제5도에 관련하여 설명된 전기 접속기의 몇가지 사용예를 보여준다. 제6도를 참조하면 도시된 전기 접속기가 일반적으로 58로 표시되고 케이블의 종 방향으로 배선된다. 수의 도전 스트림(50)을 포함하는 편평 가요성 케이블 상에 장착되어 있다. 접속기(10)은 편평 가요성 케이블 상에 위치하고 접촉 부재(28)의 꼬리 단부(36)은 공지의 표면 장착 공정을 통하여 단자 스트립에 도전성을 가지게 부착된다. 그러나 접속기는 화살표(40)으로 표시된 바와같이 단자 수용 통로(24)로 삽입되는 단자 핀 등의 결합 단자부재를 수용할 태세를 갖추게 된다. 전기 접속기는 이러한 방법으로 결합 단자 부재 혹은 핀을 편평 가요성 케이블(48)의 도전 스트립(50)에 효과적으로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물론, 편평 가요성 케이블에 구멍이 없기 때문에 제6도 상의 접속기는 한 방향으로의 접속만이 가능하다.
제7a도는 저부 표면에 회로 트레이스(54)를 가진 인계 회로 기판을 도시한다.
전기 접속기(10)은 접촉 부재(28)의 꼬리 단부(36)이 회로 트레이스(54)에 납땜등에 의하여 전기 접속되어 인쇄 회로 기판상에 장착된다. 그럼으로써 전기 접속기는 인쇄 회로 기판의 상방 혹은 하우징방으로부터 단자 수용 통로(22)내고 삽입되는 적절한 결합 단자 부재를 수용하여 핀을 인쇄 회로 기판상의 회로 트래이스(54)에 전기 접속시킬 수 있다.
제7b도는 통로(22) 및 축(40)과 정렬되어 일반적으로 60으로 표시되는 피접속 헤더부의 단자 핀(58)을 관통하여 삽입할 수 있는 구멍(56)을 가진 인쇄 회로 기판(52)의 상부를 도시한다.
제8도는 일반적으로 62로 표시되는 변형된 형태의 전기 접속기(10)을 도시한다. 제1도 상의 전기 접속기(10)에 관련하여 설명된 구성 부품에 해당하는 제8도상의 구성 부품에 제1도와 동일한 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절연 하우징(12)는 하우징의 중앙을 관통하는 확대된 슬롯 혹은 개구(64)를 포함하고 단자 수용 통로(22)가 슬롯(64) 내에 개방되도록 변형되었다. 접촉 부재(28)의 단자 수용 단부(38)을 역시 개개의 단자 수용통로(22)를 가로질러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속기(62)의 변형된 구성은 일반적으로 72로 표시되는 결할되는 접속기 구성 부품의 T자형 삽입 하우징(70)에 장착되는 다수의 결합 단자 부재(68)의 필그(leg; 66)을 수용하도록 설계되었다. 하우징(70)은 전기 접속기(62)의 확대된 슬롯(64)에 삽입되는 복수 레그 혹은 플랜지(74)를 포함한다. T자형 하우징(70)의 횡 혹은 상부 플랜지 부(76)은 접속시 접속기(62)의 하우징(12)의 상부벽(14) 위에 놓이게 되고 멈춤 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접속기 구성 부품(72)큰 화살표(78)로 표시된 바와같이 플랜지(74)가 슬롯(64)에, 레그(66)이 단자 수용 통로(22)에 삽입되어 전기 접속기와 결합한다. 표면 장착 꼬리(79)는 구성 부품(72)를 인쇄 회로 기판 혹은 편평 가요성 케이블 혹은 다른 전기 구성 부품에 표면 장착시켜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1도 내지 제8도에 관련하여 계속되는 전기 접속기(10 및 62)에 관한 설명프로부터 접속기가 매우 낮은 프로파일을 가진다는 점, 즉 결합 단자 부재의 삽입 방향으로 매우 낮은 높이를 가진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환언하면, 이는 단자 수용 통로(22)의 길이가 상당히 짧다는 것을 의미한다. 접촉 부재(28 및 28')의 일반적으로 평면인 핀 수용 단부(38)를 단자 수용 통로(22)를 가로지르고 단자 삽입 축(40)에 일반적으로 수직인 평면 상에 배치시킴으로써 낮은 프로파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접촉 부재의 핀 수용 단부가 짧은 측벽을 통하여 절연 하우징 내로 삽입되며, 나아가서 접촉 부재의 접촉 단부를 상이한 층에 엇갈려 배치함으로써 피치에 비하여서 상대적으로 큰 핀 수용 단부를 사용하면서 결합 단자 부재 간의 작은 피치를 얻을 수 있다.
제9도는, 일반적으로 80으로 표시되고, 전기 접속기(10)에 구현된 발명의 일반적 원리를 이용한 전기 접속기를 도시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접속기의 낮은 프로파일이 접속기의 수평 방향의 두께를 얇게 하여 차지하는 기판의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특히 전기 접속기(80)은 일반적으로 82로 표시되고, 상부 벽(84), 하부 벽(86), 대향측벽(88a 및 88b) 및 단부 벽(90)을 가지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한다. 또한 단자 삽입 축(94)를 따라 하우징 내로 삽입되는 적절한 결합 단자 부재 혹은 핀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통로(92)가 마련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벽(84 및 86)은 접촉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엇갈려 배열된 슬롯(96)과 홈(98)을 가진다. 상부 접촉 부재는 일반적으로 100과 101로 표시되고 하부 접촉 부재는 일반적으로 102와 103으로 표시된다.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접촉 부재(100 내지 103)의 접촉 단부(104)가 삽입축(94)의 간극으로 표현되는 수용 통로 간의 간극 즉 피치 보다 넓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제3도 및 제5도의 접촉 부재(28 및 28')와 마찬가지로, 접촉 부재(100 및 101)은 편평 가요성 케이블 또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의 전기 접촉부와 표면 접속하기 위한 동일 평면 꼬리 단부(108)에서 종단되는 연장된 몸체부를 포함한다. 하우징(82)의 상부 벽(84) 상의 슬롯(6)으로 삽입될 수 있은 핀 수용 단부(104)는 분기되어 제2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같이 결합 핀 부재와 접속되는 면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부러져 내측으로 돌출된 말단 단부 혹은 텝(112)를 가지는 한 쌍의 아암을 형성한다.
그러나, 접촉 부재(100)은 긴 레그부(114)를 가지고 접촉 부재(101)은 짧은 레그부(116)을 가지는데,각 레그부는 각 몸체부(106)의 꼬리 단부(108)의 대향 단부에서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 단부(104)는 꼬리 단부(108) 쪽을 향하여 레그부(114 및 116)과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돌출하도록 굽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접촉 부재(100 및 101)의 구성에 있어서 접촉 단부(104)는 엇갈려 배열된 슬롯 내로 삽입될 수 있는데, 이 때 레그부(114 및 116)은 해당 홈(98)에 수용되고 몸체부(106)은 하우징(82)의 측벽(88b)를 따라 118과 같이 하방으로 연장되고 꼬리부(108)은 편평 가요성 케이블 혹은 인쇄 회로 기판 등 적절한 전기 구성 부품의 적절한 단자 스트립, 회로 트래이스 등과 표면 접속하기 위하여 하우징의 하부에서 외향으로 돌출된다.
접촉 부재(102 및 103)은 하우징(82)의 하부 벽(86) 상의, 상부 벽(84)의 슬롯 및 홈과 대칭 형상인, 유사한 슬롯(96) 및 홈(98)로 삽입될 수 있다. 접촉 부재(102 및 103)은 접촉 부재(100 및 101)과 유사하다. 접촉 부재(100 및 101)의 몸체부(106)과 꼬리부(108)이 완전히 제거되었고 레그부(114 및 116)의 말단 단부가 제9도의 표면 장착 텝(120)을 형성하도록 연장되고 성형되어 있다. 이 텝은 접촉 부재(100 및 101)의 꼬리단부(108)과 함께 단자 스트림 혹은 회로 트레이스 등의 적절한 접촉부에 납땜등의 방법으로 표면 접속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에 있어, 몸체부(106)이 측면(88b)을 따라 연장되어 있으므로 접속기(82)는 단지 한 방향에서 삽입되는 핀과 결합할 수 있다. 접촉 부재(103)은 텝(120)이 정렬되도록 하기 위하여 표면 장착 텝(120)이 더 길다는 점을 제외하고 접촉 부재(102)와 동일하다. 이는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납땜 접합부를 용이하게 검사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제9도는, 예를 들어 단자 텝(120)의 납땜 접합부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검사할 수 있게끔, 하우징(82)의 측벽의 기저 연부를 따라 122와 같이 삭감된 영역 흑은 노치가 생기도록 하우징이 주조된 특징을 도시한다.
제1도의 접속기는 접촉 부재(28)의 상층 열을 제거하여 접속기의 높이가 상당히 낮아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접촉 부재(28)의 핀 수용 단부(38)은 두 평면이 아니라 하나의 평면상에 놓이게 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연장된 몸체(34)도 동일한 길이를 가지게 된다. 제10도는 변형된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제10도를 제5도와 비교할 때 높이의 감소가 특히 두드러진다. 접속기(134)를 인쇄 회로 기판(도시되지 않음) 상에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32)로부터 연장된 돌출부(130)이 제공될 수 있다.
제11도 내지 제13도에는 일반적으로 150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었다. 제1도의 전기 접속기(10) 및 제10도의 전기 접속치(134)에 관련하여 설명된 부품에 대응하는 제1도 내지 제14도 상의 부품에는 동일한 번호가 주어졌다. 접속기(150)은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모울드된 152로 표시된 단일 절연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52)는 새로운 단자를 수용하도록 접촉 단자(154)를 수용하는 부분이 변형된 것을 제외하고 접속기(10)의 하우징(12)와 유사하다. 특허 하우징(152)는 하우징의 측벽(18)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는 피메일 단자수용 공동(156)을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 리브(158)이 상기 공동(156)의 바닥 표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리브는 접속기가 조립되는 동안에 공동 내로 단자(154)를 유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램프(ramp)형의 도입부(160)을 포함하다. 또한 하우징은 포스트(163)으로부터 돌출하며 단자(166)을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152)내에 고정시키는 리브(162)를 포함한다. 단자(154)가 하우징 공동(156)내로 삽입된 후에 포스트(163)은 단자를 소정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열 스테이킹에 의하여 변형된다. 제11도에 도시된 왼쪽의 단자와 그에 관련된 리브(162) 및 포스트 부분(163)은 소정 위치에 열스테이크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실제로는 하나 이상의 단자가 동시에 열 스테이크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열 스테이크킹 없이 단지 단자(154)와 리브(162) 사이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소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접촉 부재(154)는 스템프 성형된 금속판 부품으로서 꼬리부(36), 상기 꼬리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된 기저부(164) 및 상기 기저부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166)을 포함한다. 상기 아암은 기저부(164)와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제1부분(168)과 제1부분과 수직으로 일체로서 형성되는 제2부분(170)을 포함한다.
아암(166)은 결합 핀과 접촉하기 위한 하향 돌출 텝(39b)를 포함한다.
상기의 형상에서, 화살표 40으로 표시되는 결합 메일 단자의 삽입 방향과 일반적으로 평행인 대향 표면(38b)가 제공된다. 돌출 텝(38b)를 충분히 하향으로 돌출시키고, 표면(38c)의 하부 연부에 둥근 연부(38b)가 형성되도록 성형함으로써, 핀이 메일 핀 수용 통로(22)의 어느 방향으로 삽입되더라도 돌출 텝(38b)가 결합축을 따라 삽입되는 핀과 걸림없이 결합할 수 있다. 단자(154)가 결합 메일 핀과 결합할 때에, 아암(166)의 제2부분(170)은 핀으로 부터 외향으로 편향된다.
이때 아암(170)의 제1부분(168)은 서로 간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편향되기 보다 기저부(164)에 대하여 비틀리는 경향이 있다. 꼬리부(36)은 공지된 바와같이 표면 장착을 할 수 있도록 성형되는데, 또한 관통 구멍에 장착할 수있도록 성형될 수도 있다. 기저부(164)의 측면 연부(164)에는 단자들을 그 최종 위치에 열 스테이킹 시키기 이전에 단자(154)는 공동(156) 내에 위치시키기 위한 리세스(172)가 제공된다.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된 실시에는 제1도 내지 제9도에 도시된 2중 열을 가진 형태로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2부분은 제3도에 도시되고 참조 번호 42로 표시된 바와같은 방법으로 비틀리게 변형될 수 있다. 이와같이, 비틀림으로써 핀이 단자와 결할시에 걸릴 염려가 더욱 감소한다.
본 발명은 발명의 원리 및 중심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에는 본 발명의 한정이 아닌 하나의 예시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1)

  1. 각각 결합 메일 단자 부재를 수용하는 단자 삽입축을 정하는 다수의 단자 수용 통로를 가지는 절연 하우징 및 각막 상기 통로 내에 배치된 접촉 단부 및 회로 소자에 고정시키기 위한 꼬리부를 가지는 다수의 스탬프 성형된 금속판 피메일 접촉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접속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부 및 하부 벽을 가지고 상기 벽들 사이에 수용 통로가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측벽에 각각의 통로를 연결하는 공동이 마련되고 상기 공동 중의 하나 내로 삽입되는 각각의 접촉 부재의 상기 접촉 단부가 일반적으로 평평 하고 단자 수용 슬롯을 가지며, 접촉 단부의 평면이 해당 단자 수용축에 대하여 횡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접촉 부재가 상기 접촉 단부 및 상기 꼬리부의 사이에 중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부가 접촉 단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을 이루는 한 쌍의 제1이격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부재의 상기 접촉 단부가 한 쌍의 제2이격 아암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2이격 아암이 상기 제1아암 중의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이격 아암이 상기 단자 수용 슬롯을 정하는 내부로 돌출한 말단 단부를 가지며, 상기 내부로 돌출한 단부가 접촉 단부의 평면 밖으로 굽어 결합 단자 부재의 상기 결합축과 평행인 표면 수단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가 접촉 단부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4. 제l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부재의 상기 꼬리부가 그 접촉 부재의 중간부에 대하여 횡으로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5.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 내에 접촉 부재를 위치시키고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및 고정 수단이 상기 하우징 상에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부재 내에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7.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접촉 부재의 상기 접촉 단부가 한 쌍의 제2이격 아암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2이격 아암이 상기 제1이격 아암 중의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이격 아암이 상기 단자 수용 슬롯을 정하는 내부로 돌출한 만단 단부를 가지며, 상기 내부로 돌출한 만단 단부가 접속 단부의 평면 밖으로 굽어 결합 단자 부재의 상기 결합축과 평행한 표면 수단을 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8. 제1항의 있어서, 상기 단자 삽입축이 소정의 피치로 이격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스탬프 성형된 금속판 접촉 부재가 그 접촉 단부가 하우징의 단자수용 통로에 2개 이상의 상이한 레벨로 엇갈려 배치되도록 위치하며, 단자 삽입축에 대하여 수직인 접촉단부의 폭이 상기 피치보다를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접촉 부재가 상기 중간부와 상기 꼬리부 사이에 기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 접촉 부재가 상기 중간부의 상기 제1아암이 상기 기저부에 대하여 비틀린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접촉 부재 및 하우징이 상기 결합 메일 단자 부재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 벽을 통과하여 상기 단자 수용 통로 내로 인입되어 상기 피메일 접촉 부재와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메일 접촉 부재가 상기 중간부와 상기 꼬리부 사이에 기저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메일 접촉 부재가 상기 중간부의 상기 제1아암이 상기 기저부에 대하여 비틀린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기.
KR1019930008203A 1992-05-14 1993-05-13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KR970002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882,782 1992-05-14
US07/882,782 1992-05-14
US07/882,782 US5188535A (en) 1991-11-18 1992-05-14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4230A KR930024230A (ko) 1993-12-22
KR970002445B1 true KR970002445B1 (ko) 1997-03-05

Family

ID=25381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8203A KR970002445B1 (ko) 1992-05-14 1993-05-13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188535A (ko)
EP (1) EP0569893B1 (ko)
JP (1) JP2617159B2 (ko)
KR (1) KR970002445B1 (ko)
DE (1) DE69306463T2 (ko)
SG (1) SG430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50643T1 (de) * 1992-07-17 1996-01-18 Berg Tech Inc Kartenverbinder mit flacher rückseite.
JPH07226268A (ja) * 1993-12-15 1995-08-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US5409406A (en) * 1993-12-17 1995-04-25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for high density electronic assemblies
US5471887A (en) * 1994-02-01 1995-12-05 The Whitaker Corporation Removable sensor assembly
US5709573A (en) * 1994-10-20 1998-01-20 Berg Technology, Inc. Connector for high density electronic assemblies
US5938456A (en) * 1995-04-19 1999-08-17 Methode Electronics, Inc.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US5624269A (en) * 1995-06-07 1997-04-29 Yazaki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terminal for printed circuit board
US5590463A (en) * 1995-07-18 1997-01-07 Elco Corporation Circuit board connectors
US5535513A (en) * 1995-08-25 1996-07-16 The Whitaker Corporation Method for making surface mountable connectors
WO1997022164A1 (en) * 1995-12-11 1997-06-19 The Whitaker Corporation Surface mountable retention bracket for electrical connectors
JPH1032030A (ja) * 1996-07-12 1998-02-03 Amp Japan Ltd 雌端子
US5904581A (en) * 1996-07-17 1999-05-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and device
TW406454B (en) * 1996-10-10 2000-09-21 Berg Tech Inc High density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EP1311031B1 (en) * 1996-10-10 2006-09-20 Fci High density connector
US5906496A (en) * 1996-12-23 1999-05-25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Miniature card edge clip
JPH1140288A (ja) * 1997-07-17 1999-02-12 Nec Corp 表面実装コネクタ
JPH11214089A (ja) * 1998-01-16 1999-08-06 Molex Inc 表面実装コネクタ
US6261107B1 (en) 1998-01-16 2001-07-17 Molex Incorporated Surface mount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 structure
KR100564179B1 (ko) * 1998-01-20 2006-03-29 에프씨아이 깎임 방지 특성을 갖는 접촉자
US6406336B1 (en) * 1998-01-20 2002-06-18 Fci Americas Technology, Inc. Contact with anti-skiving feature
US6064003A (en) * 1998-04-16 2000-05-16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Grommet and connector seal for use with flat flexible cable
TW395603U (en) * 1998-11-10 2000-06-21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al connector
EP1020956A1 (en) * 1999-01-15 2000-07-19 Molex Incorporated Surface mount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 structure
TW443622U (en) * 1999-03-02 2001-06-23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ES2169642B1 (es) * 1999-12-21 2003-11-01 Lear Automotive Eeds Spain Conjunto conector autoalineable
JP3909213B2 (ja) * 2001-02-06 2007-04-25 矢崎総業株式会社 基板用コネクタ
KR100432150B1 (ko) * 2001-10-10 2004-05-24 성신웅 전자회로 조립블록의 소자연결블록
KR100395897B1 (ko) * 2001-12-11 2003-08-27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전기접속용 커넥터 핀 결합구조
US6533591B1 (en) * 2001-12-19 2003-03-1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Method for forming fine pitch contacts and fine pitch contacts obtained thereby
DE102004062879A1 (de) * 2004-12-27 2006-07-06 Lear Corp., Southfield Elektrisches Kontaktelement sowie Kontaktierungseinrichtung mit Kontaktelement
JP4287825B2 (ja) * 2005-01-28 2009-07-0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接続用コネクタ
US20070117268A1 (en) * 2005-11-23 2007-05-24 Baker Hughes, Inc. Ball grid attachment
US7384278B2 (en) * 2006-10-13 2008-06-10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US7431605B2 (en) * 2006-12-06 2008-10-07 J.S.T. Corporation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apparatus
DE102007030920B3 (de) * 2007-07-03 2008-10-23 Erni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CN201130742Y (zh) * 2007-08-24 2008-10-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合
TWM373037U (en) * 2009-07-21 2010-01-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CN201667411U (zh) * 2010-03-31 2010-12-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259658B2 (ja) * 2010-08-27 2013-08-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807181B2 (ja) * 2011-02-07 2015-11-1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保持金具、コネクタ接続体およびコネクタ
CN103515758B (zh) * 2012-06-21 2016-03-09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插座连接器
CN203326174U (zh) * 2013-05-09 2013-12-04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US10355386B2 (en) 2015-02-03 2019-07-16 Fci Usa Llc Electrical connector with contact configured for surface mount
US10826219B2 (en) * 2019-03-07 2020-11-03 Xiamen Ghgm Industrial Trade Co., Ltd. Insulated electrical connector formed by one-time injection molding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64620A5 (ko) * 1969-10-03 1971-07-23 Francelco Sa
GB1467382A (en) * 1974-02-17 1977-03-16 Elco Corp Electrical connectors
JPS5133785U (ko) * 1974-09-05 1976-03-12
US4303297A (en) * 1980-03-26 1981-12-01 Eastman Kodak Company Socket structure for electrical components
US4341429A (en) * 1980-10-20 1982-07-27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US4418971A (en) * 1981-08-03 1983-12-06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Electrical keying arrangement
EP0081937B1 (en) * 1981-12-12 1986-04-02 AMP INCORPORATED (a New Jersey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tact receptacle
US4487464A (en) * 1982-09-07 1984-12-11 At&T Bell Laboratories Electrical socket connector construction
US4597625A (en) * 1984-07-25 1986-07-01 North American Specialtie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US4580857A (en) * 1984-10-12 1986-04-08 Gte Communication Systems Corporation Circuit terminating clip
US4917614A (en) * 1987-05-12 1990-04-17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surface mounting onto circuit boards
US4767342A (en) * 1987-12-07 1988-08-30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JPS63212764A (ja) * 1988-01-23 1988-09-05 Yamaha Motor Co Ltd エンジンのキック式始動装置
JPH0515746Y2 (ko) * 1988-03-30 1993-04-26
NL8802678A (nl) * 1988-11-01 1990-06-01 Du Pont Nederland Contactelement en contactelementsamenstel van elektrisch geleidend materiaal, in het bijzonder voor oppervlaktemontagetechniek.
US5145386A (en) * 1991-11-18 1992-09-08 Molex Incorporated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69893A2 (en) 1993-11-18
EP0569893A3 (en) 1993-12-22
JP2617159B2 (ja) 1997-06-04
DE69306463D1 (de) 1997-01-23
KR930024230A (ko) 1993-12-22
US5188535A (en) 1993-02-23
JPH05326058A (ja) 1993-12-10
EP0569893B1 (en) 1996-12-11
DE69306463T2 (de) 1997-06-26
SG43070A1 (en) 199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445B1 (ko)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KR950007430B1 (ko) 저 프로파일 전기 접속기
US5320541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erminals which cooperate with the edge of a circuit board
KR0148608B1 (ko) 개량된 카드 엣지 콘넥터
US7320605B2 (en) Board-to-board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contacts
KR100216612B1 (ko) 매설 단자를 갖춘 전기 커넥터
US5667393A (en) Printed circuit board electrical connector with sealed housing cavity
EP051099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liable terminals
US7097465B1 (en) High density connector with enhanced structure
KR970000291Y1 (ko) 표면 장착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US7658628B2 (en) Card edge connector with a locking projection and a resilient finger
KR970002441B1 (ko) Zif 소켓 및 그 제조방법
KR100192624B1 (ko) 전기 커넥터 단자 및 이를 구비한 전기 커넥터의 제조 방법
JP3746106B2 (ja) 基板用電気コネクタ
EP1058352B1 (en) Electrical connector
KR930022635A (ko) 얇은 표면 장착형 전기 커넥터
US5882212A (en) Connector apparatus for electrically connecting printed circuit boards
JPH10189181A (ja) プラグコネクタ
EP0585731A1 (en) Connecting block
US6827586B2 (en) Low-profile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US6692266B2 (en) Surface-mountable connector with structure permitting to easily check flatness of contact terminals by use of a gauge and the gauge
US5938456A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JP2567484Y2 (ja) コネクタ装置
US6227898B1 (en) Card edge connector with removable rail guide
US5700151A (en) Adjustable height sealed electrical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