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210B1 - 정렬 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붐 - Google Patents

정렬 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210B1
KR970002210B1 KR1019920014201A KR920014201A KR970002210B1 KR 970002210 B1 KR970002210 B1 KR 970002210B1 KR 1019920014201 A KR1019920014201 A KR 1019920014201A KR 920014201 A KR920014201 A KR 920014201A KR 970002210 B1 KR970002210 B1 KR 970002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rod
housing
assembly
alignm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4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897A (ko
Inventor
이이 헐 윌리엄
디이 바아쌀로우 헨리
Original Assignee
키드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케이쓰 아아르 시몬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드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케이쓰 아아르 시몬즈 filed Critical 키드 인더스트리이즈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930005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2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66C23/702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with a jib extension boo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정렬 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붐
제1도는 접혀진 위치에서 붐 부분의 돌출 부분상의 작동 위치로 이동 가능한 접혀질 수 있는 측부 지브, 즉 붐 연장부를 가진 신축가능한 크레인 붐의 평면도.
제2도는 붐 연장부가 붐 부분의 돌출 조립체에 부분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적인 확대 평면도.
제3도는 붐 연장부가 붐 부분의 돌출 조립체에 부분적으로 연결되고, 돌출 부분내에 설치된 하나의 받침대 조립체와 다른 붐 부분상에 설치된 다른 받침대 조립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정렬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핀을 수용하는 핀 연결 구멍들을 정렬시키기 위한 받침대 조림체들의 작동을 도시한 제3도와 유사한 측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선 6-6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에 도시된 정렬 장치의 확대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선 8-8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9도는 제7도의 선 9-9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렬 장치 2 : 크레인 붐
3 : 붐 연장부 4 : 돌출 조립체
8, 9 : 축 11,13c : 핀
12, 13 : 받침대 조립체 12a, 13a : 봉
12b, 18 : 하우징 12c :보어
124 : 볼트 15, 16 : 유압 실린더.
본 발명은 정렬 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붐(crane boom)에 관한 것이다.
신축가능한 붐 부분을 가진 크레인 붐의 작동 범위를 연장시키기 위해, 1974년 1월 15일자의 미합중국 특허 제3,785,505호 및 1984년 11월 20일자의 미합중국 특허 제4,483,447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부 붐 부분의 돌출 조립체 또는 인접한 후방 붐 부분에 연결되는 접혀질 수 있는 측부 지브(jib) 즉, 붐 연장부가 제공된다.
붐 연장부를 신축가능한 붐의 측면상의 접혀진 위치로부터, 상기 붐 연장부가 붐의 길이방향 축선과 정렬되어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작동 위치로 이동시킬 때, 상기 붐 연장부는 붐 부분의 돌출 조립체의 일측면에 선회가 능하게 연결된 후 회전하여 돌출 조립체의 타측면에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은, 붐 연장부의 단부와 상부 붐 부분의 돌출 조립체에 제공된 정렬된 구멍을 통하여 연장되는 복수개의 핀에 의해 달성된다.
제조 공차로 인해, 핀 연결 구멍들 사이에 오정렬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핀을 삽입하기가 될가능하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그 삽입을 어렵게 한다. 종래에는, 협동하는 구멍들을 정렬시켜서 핀을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크레인 작동자가 붐 부분의 돌출 부분과 부분적으로 연결된 붐 연장부를 하강시켜 붐 연장부의 바깥쪽 단부를 지지 스탠드 또는 지면에 결합시키고, 상기 스탠드 또는 지면에 대한 붐 연장부의 힘을 이용하여 붐을 더욱 하강시킴으로써, 구멍을 적절하게 정렬시켜 연결 핀을 삽입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어렵고 시간 소비가 과다하게 된다.
붐 연장부와 상부 붐 부분의 돌출 조립체 사이의 핀 연결 구멍을 정렬시키는데 필요한 힘을 제공하도록 본 발명의 정렬 장치가 고안되었다. 이러한 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크레인 작동자에 의해 이용되는 지면에 대한 힘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붐 연장부를 붐 부분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붐 연장부 정렬 장치는 붐 부분의 돌출 부분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 제1받침대 조립체와, 다른 붐 부분에 설치된 제2받침대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붐 부분들은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므로, 제1및 제2받침대 조립체가 결합하여 제1받침대 조립체가 붐 연장부의 일 단부에 대해 힘을 가하도록 하므로써, 붐 연장부와 붐 부분 사이의 핀 연결 구멍을 정렬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 및 배치 상태로써, 신축가능한 실린더의 후퇴력과 붐 부분과 관련 받침대 조립체 사이의 상대적인 신축 이동이 핀 구멍이 정렬을 용이하게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정렬 장치 (1)는 붐 부분(5)의 돌출 조립체 (4)에 연결되도록 작동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절철 가능한 측부 지브(jib), 즉, 붐 연장부(3)를 가진 신축 가능한 멀티 섹션 크레인 붐(2)에 이용되는데 적합하게 되어 있고, 상기 붐 연장부(3)는 돌출 조립체 (4)의 한쪽의 연결부(6)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후 회전하여 상기 돌출 조립체(4)의 다른쪽 연결부(7)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6,7)는 제2도 및 제3도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도면에 있어서 돌출 조립체(4)는 수직으로 이격된 수평 축(8,9)을 포함하며, 상기 축에는 케이블 도르래(10)가 부착된다. 돌출 조립체의 축(8,9)의 양단부(8a,9a)는 평평하게 되어 있으며 구멍(8b,9b)을 가지고 있다. 붐 연장부(3)는 4개의 구석 지주 (corner strut) (3a)를 포함하는 트러스 타입이고, 상기 지주의 각각의 끝에는 핀(11)이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 조립체의 축의 구멍 (8b,9b)과 정렬될 수 있는 구멍(3c)을 가진 분기 아암(3b)이 설치되어 붐 연장부(3)와 돌출 조립체(4) 사이에 U자형 연결부를 제공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 연장부(3)를 접혀진 위치로부터 이동시킬 때, 붐 연장부를 돌출 조립체 (4)에 선회가능하게 연결하여 상기 붐 연장부를 연결부(7)에서 돌출 조립체와의 연결부 주위로 선회시키기 위하여 상부 및 하부 U자형 연결이 연결부(6)에서 용이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또한, 붐 연장부(3)를 돌출 조립체 (4)에 부분적으로 연결시키므로써 연결부(7)에서 상부의 U자형 연결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지만, 붐 연장부의 중량과 제조 공차로 인하여 분기 아암(3b)의 구멍(3c)이 돌출 조립체축 부분(9a)의 구멍(9b)과 완전하게 정렬될 수 없기 때문에, 연결부(7)에서 하부의 U자형 연결은 쉽게 달성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부의 U자형 연결부내에 핀(11)을 수용하는 구멍 (3c,9b)을 정렬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정렬 장치 (1)가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정렬 장치(1)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 부분(5)의 돌출 조립체 (4)상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 제1받침대 조립체 (12)와, 멀티섹션 크레인 붐(2)의 다른 붐 부분(14)상에 설치된 제2받침대 조립체 (13)를 포함한다.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돌출 조립체의 붐 부분(5)과, 붐 부분(14)과, 멀티섹션 크레인 붐의 다른 붐 부분은 유압 실린더 (15, 16)에 의해 서로에 대해 신축가능하게 이동할 수 있음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설명을 위해, 상기 정렬 장치(1)는, 기부의 붐 부분(14)과 중간 붐 부분(14a) 사이에 연결된 유압 실린더(16)와 상부의 붐 부분(5)을 중간 부분(14a)에서 연장시키도록 연결된 유압 실린더(15)를 갖는 3-섹션 크레인 붐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된다. 또한, 상기 정렬 장치는 2-섹션 크레인 붐과 3-섹션 이상의 크레인 붐 뿐만 아니라, 공지된 바와 같은 유압 실린더와 조합된 케이블 설비에 의해 신측 가능한 붐 부분이 기부의 봄 부분으로부터 동시에 또는 비례적으로 연장되는 다른 크레인 붐들에서도 작동가능하다.
제1 및 제2받침대 조립체 (12, 13)들의 구조가 제6도 및 제7도에 상세하게 도시되는데, 제1받침대 조립체(12)는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브라켓(17)에 의해 돌출 조립체(4)의 측면(4a)상에 고정되어 장착된 원통형 하우징(12b)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 봉(12a)을 포함한다. 상기 봉(12a)은, 너트(12e)와 결합되는 볼트(12d)를 수용하도록 나선이 형성된 보어(12c)를 갖는다. 볼트(124)의 헤드(12f)는 봉(12a)의 단부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축방향 위치 또는 길이 조정은 보어(12c)내의 볼트(12d)를 회전시키고 상기 너트(12e)를 보어(12c)의 단면상에 위치된 지지 와셔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위치를 고정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볼트(12d)의 조정과 그 조정된 위치에 볼트의 고정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봉(12a)의 반대측 단부에는 편평한 부분(12g)이 제공되며, 이에 의해 렌치와 같은 다른 공구를 사용하여 볼트(12d)와 너트(12e)를 회전시킬 동안 상기 편평한 부분(12g)상에 다른 렌치를 끼워 붐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봉(12a)의 다른쪽 단부에는 확대된 헤드 부분(12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헤드 부분은 상기 봉을 하우징 (12b)내에 보유시키는 작용을 하는데 이것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하부의 U자형 연결부의 분기 아암(3b)에 강제로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
제2받침대 조립체 (13)는 제3도 및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 부분(14)의 칼라(collar : 20)의 지지 부분(19)에 연결정되어 고정되는 하우징(18)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 봉(13a)을 포함한다. 상기 봉(13a)에는, 제거가능한 핀(13c)을 수용하도록 하우징(18)의 측벽 내에 제공된 구멍(18a)과 정렬가능한 구멍 (13b)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18) 내에서의 봉(13a)의 위치는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후퇴 위치로부터 제4도, 제5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연장 위치까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봉(13a)외 단부에는 하우징 (18)의 단부연과 결합가능한 정지핀(13d)이 제공되며, 봉(13a)의 반대측 단부에는 제1받침대 조립체(12)의 볼트 헤드(12f)와 결합가능한 확대된 헤두 부분(13e)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정렬 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6)에서 상부 및 하부의 U자형 연결이 이루어진 후에, 하부의 U자형 연결부의 구멍 (3c,9b)이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되지 않은 채로 있을 동안, 붐 연장부(3)는 그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작동 위치주위로 회전되며, 연결부(7)에서는 상부의 U자형 연결이 이루어진다. 그후, 유압 실린더 (15)와 같은 붐 연장 수단에 의해 붐 부분(5)을 약간 연장시킴으로써 봄의 돌출 조립체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 연장된다. 그후, 핀(13c)을 봉(13a)에서 제거하여, 하우징의 구멍(18a)과 봉(13a)의 구멍(13b)을 정렬시키도록 봉(13a)을 전방으로 미끄럼이동시킨 후에 봉 (13a)을 하우징 (18)내에 확조하게 고정시키도록 핀(13c)을 정렬된 구멍(13b, 18a)을 통해 삽입함으로써, 봉(13a)이 제3도에 도시된 후퇴된 위치로부터 제4도에 도시된 연장된 위치로 이동된다. 그후, 유압 실린더(15)를 후퇴시킴으로써 후퇴된 조립체를 가진 붐 부분(5)은 천천히 후퇴되며, 그결과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 헤드(12f)와 봉(13a)의 헤드 부분(13e)이 결합하게 된다. 상기 붐이 계속하여 후퇴되면, 붕(12a)의 헤드 부분(12h)이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기 아암(3b)의 하부다리와 결합하게 되어, 분기 아암(3b)이 점선 위치에서 실선 위치로 전방으로 밀려지게 됨으로써, 구멍 (3c,9b)이 핀(11)을 수용하도록 정렬된다. 이어서, 하부의 핀(11)이 정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붐 부분(5)이 연장되어, 볼트 헤드(12f)를 봉의 헤드 부분(13e)과의 접촉 상태로부터 벗어나게 한다. 핀(13c)이 봉 및 하우징의 정렬된 구멍들에서 제거되고, 봉(13a)이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핀(13c)을 구멍(13b)을 통해 하우징(18)의 후방으로 재삽입함으로써 정위치에 고정된다.
하부의 U자형 연결부에서 구멍(3c,9b)의 오정렬의 가능성으로 인하여, 핀(11)이 삽입된 후에도 계속해서 오정렬되어, 핀이 구멍들내에 구속될 수 있다. 따라서, 붐 연장부(3)가 접혀지는 위치로 선회될 때, 핀(11)의 제거를 촉진시키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받침대 조립체 (12,13)가 작동되어 구멍 (3c,9b)을 재정렬시킨다.
붐 연장부(30)를 접기 위해서는, 돌출 조립체(4)와 상부의 붐 부분(5)이 약간 연장된다. 핀(13c)이 봉(13a)에서 제거된 다음에, 봉이 그 최전방 위치로 미끄럼이동되고, 상기 핀(13c)은 하우징(18)과 봉(13a)의 정렬된 구멍 (18a,13b)을 통해 삽입되므로써 정위치에 고정된다. 다음, 붐 부분(5)이 완전히 후퇴되고, 왼쪽 하부의 핀(11)을 해제시키도록 아암(3b)이 봉(12a)의 헤드 부분(12h)과 접촉하고 볼트 헤드(12f)가 확대된 헤드 부분(13e)과 접촉함에 따라, 핀이 제거된다. 그후에, 붐 부분(5)이 재차 약간 연장된다. 핀(13c)이 제거되며, 봉(13a)이 그의 최후방 위치로 미끄럼 이동되고, 핀(13c)을 재삽입함으로써 제3도의 후퇴된 위치에 고정된다.
그후, 붐이 완전히 후퇴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상부의 핀(11)이 제거되고 붐 연장부가 붐의 측면상의 접혀진 위치를 향해 회전되며 통상의 접힘 과정들이 진행된다.
상술한 바에 의해 본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정렬 장치는 기존의 크레일 붐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신축가능한 붐 실린더의 후퇴력을 이용하므로써 종래의 것보다 더욱 빠르게 붐 연장부를 돌출 조립체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음을 인식해야 한다.

Claims (8)

  1. 신축가능하고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붐 부분(5,14)과, 접혀진 위치에서 작업 위치로 회전가능하며 상하부의 U자형 연결부에 의해 상기 붐 부분(5)상의 돌출 조립체 (4)에 연결될 수 있는 절첩가능한 측부의 붐 연장부(3)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U자형 연결부는 구멍 (8b,9b)이 있는 돌출 조립체의 축 부분(8a,9a)상에 삽입 될 수 있고 구멍 (3c)이 있는 붐 연장부(3)의 분기 아암(3b)을 포함하는 크레인 붐(2)에 있어서, 상기 돌출 조립체의 붐 부분(5)과 다른 붐 부분(14)사이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정렬 장치(1)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 조립체의 봄 부분(5)과 다른 붐 부분(14)사이에서의 신축가능한 상대적인 이동에 따라 상기 붐 연장부(3)는 상기 정렬 장치(1)와 결합되고, 이에 의해 분기 아암(3b)의 구멍(3c)이 돌출 조립체의 축부분(9a)의 구멍(9b)과 정렬되고 정렬된 구멍(3c,9b)을 통하여 상기 핀(11)의 삽입이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장치(1)는 상기 돌출 조립체의 붐 부분(5)에 설치된 제1받참대 조립체(12)의 상기 크레인 붐(2)의 다른 붐 부분(14)에 설치된 제2받침대 조립체(1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받침대 조립체(12, 13)는 상기 구멍 (3c,9b)의 정렬중에 서로 접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받침대 조립체(12)는 상기 돌출 조립체(4)의 일 측면 상에 고정된 하우징(12b) 과 상기 하우징(12b)내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봉(12a)을 포함하며, 상기 봉(12a)은 상기 제2받침대 조립체(13)에 접촉가능하며 상기 하우징(12b)에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일 단부 부분(12f)과 상기 하우징(12b)에서 바깥쪽으로 연장하며 상기 붐 연장부(3)상의 분기 아암(3b)과 접촉가능한 타단부 부분(12h)을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봉(12a)의 일 단부 부분(121)은 상기 봉내에 제공되고 나사홈이 형성된 보어(12c)와, 상기 보어(12c)내에 나사 결합되어 설치되고 그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볼트(124)와, 상기 일 단부 부분(12f)과 상기 하우징(12b)의 단부면 사이에서 볼트(12d)상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봉(12a)에서의 볼트(12d)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하는 너트(12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받침대 조립체 (13)가 상기 다른 붐 부분(14)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하우징(18)과, 상기 하우징(18)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설치된 봉(13a)과, 상기 하우징(18)과 봉(13a)의 측벽에 제공된 정렬가능한 구멍(18a,13b)과, 상기 봉(13a)을 상기 하우징(18)내에 고정하여 설치하도록 상기 구멍(18a,13b)을 통해 삽입가능한 핀(13c)을 포함하며, 상기 봉(13a)은 상기 제1받침대 조립체(12)와 접촉하도록 상기 하우징(18)에서 축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연장하는 단부 부분 (13e)을 갖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정렬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봉(12a)의 타단부 부분은 헤드 부분(12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8)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상기 봉(13a)의 단부 부분은 확대된 헤드부분(13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 연장부(3)상의 분기 아암(3b)은 정렬장치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렬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붐.
KR1019920014201A 1991-09-13 1992-08-07 정렬 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붐 KR9700022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759,675 1991-09-13
US07/759,675 US5111945A (en) 1991-09-13 1991-09-13 Boom extension alignme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897A KR930005897A (ko) 1993-04-20
KR970002210B1 true KR970002210B1 (ko) 1997-02-25

Family

ID=2505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4201A KR970002210B1 (ko) 1991-09-13 1992-08-07 정렬 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붐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111945A (ko)
EP (1) EP0540805B1 (ko)
JP (1) JPH0688758B2 (ko)
KR (1) KR970002210B1 (ko)
AU (1) AU642823B2 (ko)
CA (1) CA2061817C (ko)
DE (1) DE69200096T2 (ko)
ES (1) ES2052396T3 (ko)
MX (1) MX920236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3805A (en) * 1995-02-28 1997-10-07 National Crane Corporation Jib pin alignment jack assembly
DE69727719T2 (de) * 1996-03-04 2005-01-13 Manitowoc Crane Companies, Inc., Reno Aushängbare Verbindung zum Falten eines Wippauslegers
US6131750A (en) * 1997-05-28 2000-10-17 Link-Belt Construction Equipment Co Connection system for boom extension
EP1542903B1 (en) * 2002-07-22 2015-05-20 MonoSolRX, LLC Packaging and dispensing of rapid dissolve dosage form
US7337912B1 (en) 2007-02-08 2008-03-04 Manitowoc Crane Companies, Inc. Automatically deployable boom extension and method of deploying same
US20080197094A1 (en) * 2007-02-20 2008-08-21 Bond Anthony E Aerial lift including a stowable jim boom and stowable work platform
JP5117786B2 (ja) * 2007-08-10 2013-01-16 株式会社タダノ ジブ付クレーン
US7878346B1 (en) 2008-08-25 2011-02-01 Link-Belt Construction Equipment Co., L.P., Lllp Adaptable boom extension for a mobile crane having a telescoping boom
JP5248952B2 (ja) * 2008-08-29 2013-07-31 株式会社タダノ ジブ付きクレーン車のジブ格納装置
CN101723259B (zh) * 2009-12-30 2012-07-18 安徽柳工起重机有限公司 汽车起重机副臂安装装置
DE102015001619B4 (de) * 2015-02-09 2021-03-04 Liebherr-Werk Ehingen Gmbh Auslegersystem für einen Mobilkran sowie Mobilkran
JP6531448B2 (ja) * 2015-03-20 2019-06-19 株式会社タダノ ジブ連結構造
US10647552B1 (en) 2015-09-25 2020-05-12 Link-Belt Cranes, L.P., Lllp Fly connection system for a crane boom
CN105271012A (zh) * 2015-09-29 2016-01-27 徐州建机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液压穿销装置
CN106395645B (zh) * 2016-12-02 2018-10-02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风电臂翻转方法及起重机
US10589966B2 (en) 2017-03-02 2020-03-17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Jib coupling system for jib stowage
CN115043337B (zh) * 2022-08-15 2023-08-11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臂架系统、起重机及臂架系统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5505A (en) * 1970-12-15 1974-01-15 Kidde & Co Walter Side stowable jib for crane booms and jib mounting
US3944082A (en) * 1974-12-20 1976-03-16 Harnischfeger Corporation Locking means for relatively movable boom sections of boom of mobile crane
US4141455A (en) * 1977-07-14 1979-02-27 Harnischfeger Corporation Means for storing and connecting jib on telescopic crane boom
US4483447A (en) * 1982-05-26 1984-11-20 Kidde, Inc. Safety mounting for side stowable boom extension or ji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00096T2 (de) 1994-08-04
JPH0688758B2 (ja) 1994-11-09
DE69200096D1 (de) 1994-05-11
US5111945A (en) 1992-05-12
EP0540805B1 (en) 1994-04-06
AU642823B2 (en) 1993-10-28
AU1821692A (en) 1993-03-25
EP0540805A1 (en) 1993-05-12
ES2052396T3 (es) 1994-07-01
JPH05193891A (ja) 1993-08-03
KR930005897A (ko) 1993-04-20
CA2061817C (en) 1995-07-11
MX9202360A (es) 1993-03-01
CA2061817A1 (en) 199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2210B1 (ko) 정렬 장치를 구비한 크레인 붐
US4989692A (en) Multi-purpose extendable and retractable ladder
US20040104192A1 (en) Telescopic boom for a vehicle crane
EP1788167A1 (en) Collapsible platform
CN110949660B (zh) 飞行器起落架组件
US4984755A (en) Aircraft landing gear having wheels that swivel while the landing gear is being retracted
WO1997031857B1 (en) Articulated telescopic boom having slide-through knuckle
US5660121A (en) Folding framework and support legs
EP0965696B1 (en) Detachable front loader
JPH0823243B2 (ja) 入れ子式ブレース組立体
US7225865B2 (en) Apparatus for positioning a tong and drilling rig provided with such an apparatus
EP3406545A1 (en) Radial conveyor with multi-mode wheel assembley
US11716922B2 (en) Agricultural toolbar with wing flex lock
CN111137795B (zh) 负载装卸工具的保持装置及包括此保持装置的液压起重机
US5980217A (en) Portable compressor having support leg with flexible joint
US6685038B1 (en) Extendible boom with locking mechanism having equalizer arrangement
KR0129164B1 (ko) 차량용 잭
CN217676507U (zh) 一种副臂支座及起重机
JPH0211432Y2 (ko)
CN218642335U (zh) 支腿组件及作业机械
US11993495B1 (en) Aerial device
CN113023586B (zh) 副臂中支架和工程车辆
CN219339419U (zh) 一种特种作业车尾部支腿
CA1075958B (en) Folding system for multi-sectional implement
CN116039578A (zh) 一种特种作业车尾部支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