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898Y1 -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898Y1
KR970001898Y1 KR2019940014592U KR19940014592U KR970001898Y1 KR 970001898 Y1 KR970001898 Y1 KR 970001898Y1 KR 2019940014592 U KR2019940014592 U KR 2019940014592U KR 19940014592 U KR19940014592 U KR 19940014592U KR 970001898 Y1 KR970001898 Y1 KR 9700018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unit
charging
input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45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429U (ko
Inventor
김헌재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45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898Y1/ko
Publication of KR960003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8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8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01L29/866Zener 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원공급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모니터에 사용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작용되는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부 20 : 충전부
30 : 구동부 40 : 스위칭부
50 : 출력부 T : 트랜스포머
R1, RS, R21 : 저항 C1, C21, CS, C2 : 콘덴서
Q21,Q1 : 트랜지스터 ZDS : 제너 다이오드
D1 : 다이오드 BD : 브리지 다이오드
본 고안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입력되는 교류 전원에 의해 트랜스 포머가 여자되는 시간을 최소로 줄임으로써, 모니터가 정상동작될 때까지 도달되는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모니터에 사용되는 전원 공급장치는 콘덴서(C1) 및 브리지 다이오드(BD)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을 직류화시킨 후 정형시키는 입력부(1)와,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전압을 충전시키는 충전부(2)와, 그 충전부(2)의 충전이 완료된 후 그 충전된 전압에 의해 펄스폭 변조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부(3)와, 트랜지스터(Q1)로 구성되어 구동부(3)에서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칭부(4)와, 스위칭부(4)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1차측 코일에 전류가 흘러 상기 입력되는 전압이 2차측 코일로 여자되는 트랜스포머(T)와 다이오드(D1)및 콘덴서(C2)으로 구성되어 그 트랜스포머(T)의 여자된 전압이 정형되어 부하에 인가시키는 출력부(5)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부(2)는 입력되는 교류전압의 돌입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저항(Rs)와, 그 저항(Rs)의 출력전압을 충전하는 콘덴서(Cs)와, 콘덴서(Cs)의 충전전압의 역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제너다이오드(ZDs)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우선, 교류전원(AC)이 입력되면, 브리지 다이오드(BD)와 콘덴서(C1)를 통해 정류 및 평활된다.
또한, 입럭되는 교류전원(AC)은 저항(Rs)을 통하여 충전부(2)의 콘덴서(Cs)에 충전된다. 그때, 그 충전되는 시간은 저항(Rs) 및 콘덴서(Cs)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콘덴서(Cs)의 충전이 완료된 후 그 충전된 전압은 구동부(3)에 인가되어 펄스폭 변조신호가 출력되고, 펄스폭 변조신호는 스위칭부(4)의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1)의 턴온에 의해 트랜스포머(T)의 1차측 코일에 전류가 흐르고,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코일에 여자된 전압은 출력부(5)의 다이오드(D1)및 콘덴서(C1)에 의해 정형된 후 부하에 인가된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에서는 통상 90V 정도의 교류전원이 입력되면, 충전부(2)의 콘덴서(Cs)에 의해 충전되는 전압은 약 12V가 되는데, 그충전전압이 12V에 도달되는 시간은 약 4초 내지 5초가 걸리게 되고, 그 시간 동안에는 모니터가 동작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저항(Rs)이 크면 콘덴서(Cs)의 충전시간이 길어지고, 저항(Rs)이 작으면, 예를 들어 264V 에서 열이 발생하여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 공급장치의 충전부의 충전되는 시간을 최소로 줄여, 모니터의 전원 스위치가 턴온된 후 정상동작에 도달되는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전원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시키는 입력부와, 입력되는 교류전원에 의해 전하를 충전시키는 충전부와, 그 충전부의 충전이 완료된 후 그 충전된 전압에 의해 펄스폭 변조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1차측 코일에 전류가 흘러 상기 입력되는 전압이 2차측 코일로 여자되는 트랜스포머와, 그 트랜스포머의 여자된 전압을 정형시켜 부하에 인가시키는 출력부로 구성된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가 입력부의 출력 전압의 돌입 전류를 제거시키는 제1저항과, 상기 제1저항의 출력 전압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정류시키는 콘덴서와, 입력되는 교류전압을 강하시키기 위한 제2저항과, 상기 제2저항을 통해 전압 강하된 전압에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스위칭에 의해 전압이 충전되는 콘덴서와, 그 콘덴서의 역전류를 방지시키는 제너다이오드로 구성된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모니터의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덴서(C1) 및 브리지 다이오드(BD)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을 정류 및 평활시키는 입력부(10)와, 교류전원(AC)을 입력받아 전압을 충전시키는 충전부(20)와, 그 충전부(20)의 충전이 완료된 후 그 충전된 전압에 의해 펄스폭 변조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부(30)와, 트랜지스터(Q1) 로 구성되어 구동부(30)에서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칭부(40)와, 스위칭부(40)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1차측 코일에 전류가 흘러 상기 입력되는 전압이 2차측 코일로 여자되는 트랜스포머(T)와,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2)으로 구성되어 그 트랜스포머(T)의 여자된 전압이 정형되어 부하에 인가시키는 출력부(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충전부(20)는 입력부(10)의 출력 전압의 돌입전류를 제거시키는 저항(Rs)과, 상기 저항(Rs)의 출력 전압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정류시키는 콘덴서(C21)와, 그 콘덴서(D21)의 충전이 완료되면, 그 충전 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Q21)와, 상기 트랜지스터(Q21)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입력전압이 충전되는 콘덴서(Cs)와, 그 콘덴서(Cs)의 역전류를 방지시키는 제너 다이오드(ZDs)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우선, 교류 전원(AC)이 입력되면, 교류전원(AC)이 입력부(10)의 브리지 다이오드(BD)와 콘덴서(C1)에 의해 정류 및 평활된다.
또한, 입력되는 교류전원(AC)은 저항(R2)를 통해 13V를 유지하면서 트랜지스터(Q21)의 베이스에 입력되므로 트랜지스터(Q21)가 온되고, 이에 따라 저항(Rs)과 트랜지스터(Q21)를 통해 콘덴서(C21)에 12V가 충전된다. 그때 콘덴서(Cs)의 충전된 전압은 제너 다이오드(ZDs)에 의해 역방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콘덴서(Cs)의 충전이 완료된 후 그 충전된 전압(여기서는 12V)은 구동부(30)에 인가되어 펄스폭 변조신호가 출력되고, 그 펄스폭 변조신호에 의해 스위칭부(40)의 트랜지스터(Q1)가 턴온된다.
그리고, 트랜지스터(Q1)의 턴온되기 때문에 트랜스포머(T)의 그 1차측 코일에 전류가 흐르고, 트랜스포머(T)의 2차측 코일에 여자된 전압은 출력부(50)의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1)에 의해 정형된 후 부하에 인가된다.
상기에서 90V교류 전원이 입력될 때, 교류전원(AC)이 저항(Rs)과 트랜지스터(Q21)의 베이스측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21)가 턴온되는데, 이때 저항 (Rs)과 트랜지스터(Q21)를 통해 콘덴서(Cs)에 충전되는 시간은 약 1.5초가 걸린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워 스위치 온시 교류전원이 충전부에 충전되는 시간을 최소로 줄임으로써, 모니터가 정상동작될 때까지 도달되는 시간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정류 및 평활시키는 입력부와, 그 입력되는 교류전압을 충전시키는 충전부와, 그 충전부의 충전이 완료된 후 그 충전된 전압에 의해 펄스폭 변조신호를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펄스폭 변조신호에 의해 스위칭되는 스위칭부와, 스위칭부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1차측 코일에 전류가 흘러 상기 입력되는 전압이 2차측 코일로 여자되는 트랜스포머와, 그 트랜스포머의 여자된 전압이 정형되어 부하에 인가시키는 출력부로 구성된 전원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가 입력부의 출력전압의 돌입전류를 제거시키는 제1저항과, 상기 제1저항의 출력전압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정류시키는 콘덴서와, 입력되는 교류전압을 강하시키기 위한 제2저항과, 상기 제2저항을 통해 강하된 전압에 의해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상태에 의해 전압이 충전되는 콘덴서와, 그 콘덴서의 역전류를 방지시키는 제너다이오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장치.
KR2019940014592U 1994-06-22 1994-06-22 전원공급장치 KR9700018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592U KR970001898Y1 (ko) 1994-06-22 1994-06-22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4592U KR970001898Y1 (ko) 1994-06-22 1994-06-22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429U KR960003429U (ko) 1996-01-22
KR970001898Y1 true KR970001898Y1 (ko) 1997-03-17

Family

ID=19386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4592U KR970001898Y1 (ko) 1994-06-22 1994-06-22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89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429U (ko) 199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68435A (en) Converter
JP2001025243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5341279A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providing reduced power loss upon termination of operation of a starting power supply circuit
JP3492882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970001898Y1 (ko) 전원공급장치
JP4030349B2 (ja) 電源回路
JP4006920B2 (ja) アーク溶接機またはプラズマ切断機
JP3475415B2 (ja) Dc−dcコンバータ
JPH03872Y2 (ko)
KR900010460Y1 (ko) 전력공급기의 제어회로전용 전원회로
KR20030005785A (ko) 스너버 회로
JP2000350460A (ja) 電源装置
JP3822480B2 (ja) 電源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
KR970002432Y1 (ko) 스위칭모드 전원공급기
JP3281052B2 (ja) 電源回路
KR0128665Y1 (ko) 전원공급장치의 출력회로
JP2629585B2 (ja) 突入電流抑制回路
JPH05285730A (ja) 放電加工装置
KR200159096Y1 (ko)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
KR970001897Y1 (ko) 220v 전원 공급회로
JP3270934B2 (ja) インバータ回路
KR890000287Y1 (ko) 전원제어용 집적회로의 발열방지회로
JP4823607B2 (ja) 直流安定化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JPH08308225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10295077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