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9096Y1 -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9096Y1
KR200159096Y1 KR2019970009867U KR19970009867U KR200159096Y1 KR 200159096 Y1 KR200159096 Y1 KR 200159096Y1 KR 2019970009867 U KR2019970009867 U KR 2019970009867U KR 19970009867 U KR19970009867 U KR 19970009867U KR 200159096 Y1 KR200159096 Y1 KR 200159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witch
rectifier
arc welde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635U (ko
Inventor
조형기
Original Assignee
조형기
한삼기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형기, 한삼기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형기
Priority to KR2019970009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9096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6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6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9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90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Landscapes

  • Generation Of Surge Voltage And Current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 Rectifi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아크용접기에 전원을 투입할 때 발생하는 돌입전류를 방지하는 아아크 용접기의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아아크 용접기의 전원장치는 정류부를 통하여 평활용콘덴서에 전원이 투입될 때 과도한 돌입전류가 발생하여 정류부 및 아아크용접기의 입력전원용차단기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교류전원을 주개폐기를 통해 입력받아 정류하는 정류부 및 그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콘덴서와, 상기 평활된 직류전압을 구동전압으로 인가받아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평활된 직류전압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고주파교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변압기를 통해 출력하는 인버터부로 구성된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에 있어서, 기동스위치에 연동하는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1 스위치를 통해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보조개폐기와, 상기 보조개폐기를 통해 교류전원을 공급받은후 전류흐름을 제한하여 상기 정류부에 공급하는 제한저항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주개폐기가 동작될 때 상기 제한저항과의 전류흐름을 차단하는 보조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정류부 및 입력전원용 차단기에 돌입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
본 고안은 아아크용접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돌입전류에 의한 정류부 및 차단기의 손상을 방지하도록한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아아크용접기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입력전원용차단기(10)와; 3상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주개폐기(11)와; 상기 주개폐기(11)를 동작시키는 전원을 스위칭동작에 의하여 인가하는 스위치(12)와; 상기 주개폐기(11)에 의하여 3상 교류전원을 인가받아 정류하는 정류부(13)와; 상기 정류부(13)로부터 정류된 전원을 인가받아 평활시키는 평활용콘덴서(14)와; 상기 평활용콘덴서(14)에서 평활된 직류를 입력받아 고주파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부(16)와; 상기 인버터부(16)로부터 고주파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용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변압기(17)와; 상기 변압기(17)에서 변환된 전원을 정류하고 리액터(18)를 통하여 용접기의 부속장치인 전극으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다이오드(D2), (D3)와; 상기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로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주개폐기(11)는 교류전원을 스위치(12)의 스위칭에 의해 인가받아 동작하여 3상 교류전원을 정류부(13)에 인가한다.
상기 정류부(13)는 3상 교류전원을 정류하여 전원을 출력하고, 이 정류된 전원은 평활용콘덴서(14)에서 평활되어 직류전원으로 출력된다.
상기 평활용콘덴서(14)에서 평활된 직류전원은 인버터부(16)에서 고주파교류전원으로 변환되어 출력됨과 아울러 제어부(15)를 기동시킨다.
변압기(17)는 상기 인버터부(16)로부터 고주파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용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전원은 다이오드(D2), (D3)를 통해 정류되고 리액터(18)에서 안정화되어 용접에 필요한 직류전원으로 전극에 인가된다.
도 2는 종래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에서 전원투입시에 정류부(13)에 발생하는 전류의 파형도로서, 3상 교류전원이 정류부(13)를 통해 평활용콘덴서(14)에 인가되는 순간 정류부(13)에 흐르는 전류는 제한없이 무한대까지 상승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종래 장치는 전원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면 정류부를 통하여 평활용 콘덴서에 전원이 투입될 때 과도한 돌입전류가 발생하여 정류부 및 입력전원용차단기를 손상시킬 뿐아니라 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아크용접기 전원장치의 입력단에 보조개폐기와 제한저항을 삽입하여 전원투입시 정류부 및 용접기의 입력전원용 차단기에 돌입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 아아크용접기의 전원회로도.
제2도는 도 1에 따른 전원투입시 정류부의 전류파형도.
제3도은 본 고안 아아크용접기의 전원회로도.
제4도는 제3도에 따른 전원투입시 정류부의 전류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주개폐기 23 : 정류부
24 : 평활용콘덴서 27 : 변압기
28 : 리액터 29 : 보조개폐기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는 입력전원용차단기, 주개폐기, 스위치, 정류부, 평활용콘덴서, 인버터부, 변압기, 다이오드, 리액터 및 제어부로 이루어진 아아크용접기 전원장치에 있어서, 교류전원을 동시에 스위칭하는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1 스위치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교류전원을 제한저항을 통하여 정류부에 인가하는 보조개폐기와; 주개폐기가 동작할 때 상기 제한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보조접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정류부 및 용접기의 입력전원용 차단기에 돌입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관하여 일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전원용차단기(20), 주개폐기(21), 스위치(22), 정류부(23), 평활용콘덴서(24), 인버터부(26), 변압기(17), 다이오드(D22), (D23), 리액터(28) 및 제어부(25)로 이루어진 아아크용접기 전원장치에 있어서, 스위칭동작에 의하여 교류전원을 공급하는 제 1 스위치(30)와; 상기 제 1 스위치(30)를 통해 교류전원을 코일에 인가받아 동작하여 교류전원을 제한저항(R1)을 통하여 정류부(23)에 인가하는 보조개폐기(29)와; 상기 제어부(25)의 제어를 받아 주개폐기(21)가 동작할 때 상기 저한저항(R1)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는 보조접점(C)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교류전원은 스위치(30)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보조개폐기(29)의 코일에 인가되어 보조개폐기(29)를 동작시킨다.
이때, 스위치(22)는 상기 스위치(30)와 연동하여 동작한다.
이에따라 교류전원이 상기 보조개폐기(29)를 통한후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는 제한저항(R1)을 통하게 되므로 그 제한저항(R1)을 통해 미소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때, 정류부(23)는 상기 미소전류를 입력받아 정류하여 전원을 출력하고, 이 정류된 전원은 평활용콘덴서(24)에서 충전되어, 그 충전전압이 소정 전압이상으로 될때 제어부(25)가 기동된다.
따라서, 이때 제어부(25)는 주개폐기(21)의 코일에 교류전원이 흐르게 제어하여 그 주개폐기(21)를 동작시킨다.
이에따라, 3상 교류전원이 주개폐기(21)를 통해 정류부(23)에 공급되어 직류전원으로 정류되고 평활용콘덴서(24)에서 평활되며, 이 직류전원은 인버터부(26)에서 고주파교류전원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인버터부(26)로부터 고주파교류전원을 입력받은 변압기(27)는 이 고주파교류전원을 용접에 필요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이 변환된 전원은 다이오드(D2), (D3)를 통하여 직류전원으로 정류되어 리액터(28)를 통하면서 안정되어 용접에 필요한 직류전원을 전극에 공급한다.
이때, 평활용콘덴서(24)는 충분히 충전되어 있기 때문에 돌입전류가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제한저항(R1)에 흐르는 불필요한 전력소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주개폐기(21)의 보조접점(C1)을 이용하여 주개폐기(21)의 동작시 제한저항(R1)에 투입되는 전류를 차단한다.
그리고, 아아크용접기의 사용이 끝나면 연동하는 스위치(22)(30)를 차단하여 주개폐기(21)와 보조개폐기(29)의 코일 동작전원을 차단하면 아아크용접기의 입력전원공급이 차단된다.
도 4도는 전원투입시의 정류부(23)의 전류파형도로서, 정류부(23) 및 용접기 입력전원용차단기에 과도한 전류가 인가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아아크용접기의 전원투입시 정류부에서 발생되는 돌입전류를 제한저항에 의해 공급하여 정류부 및 입력전원용차단기의 손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고의 위험성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교류전원을 주개폐기를 통해 입력받아 정류하는 정류부 및 그 정류된 전압을 평활하는 콘덴서와, 상기 평활된 직류전압을 구동전압으로 인가받아 전체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평활된 직류전압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고주파교류전원으로 변환한 후 변압기를 통해 출력하는 인버터부로 구성된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에 있어서, 기동스위치에 연동하는 제 1 스위치와, 상기 제 1 스위치를 통해 교류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보조개폐기와, 상기 보조개폐기를 통해 교류전원을 공급받은후 전류흐름을 제한하여 상기 정류부에 공급하는 제한저항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주개폐기가 동작될 때 상기 제한저항과의 전류흐름을 차단하는 보조접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
KR2019970009867U 1997-05-03 1997-05-03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 KR200159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867U KR200159096Y1 (ko) 1997-05-03 1997-05-03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867U KR200159096Y1 (ko) 1997-05-03 1997-05-03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635U KR19980065635U (ko) 1998-12-05
KR200159096Y1 true KR200159096Y1 (ko) 1999-10-15

Family

ID=19500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867U KR200159096Y1 (ko) 1997-05-03 1997-05-03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909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635U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0584C (en) Welding power supply with regulated background power supply
US6797922B2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welder
US5218182A (en) Constant current welding power supply with auxilary power source to maintain minimum output current levels
JP3161699B2 (ja) アーク放電利用機器用の直流電源装置
JP3155476B2 (ja) 直流アークスタート補助回路
JP2980827B2 (ja) アーク溶接機
JP3300240B2 (ja) 直流アークスタート回路
KR200159096Y1 (ko) 아아크용접기의 전원장치
JP3369345B2 (ja) スタッド溶接機
US6194681B1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arc-utilizing machine
JPH04261A (ja) 電源装置
JP2573123B2 (ja) 溶接機
JPH05285730A (ja) 放電加工装置
KR100352410B1 (ko) 전자식 티.아이.지 용접 보조 장치
KR950001779B1 (ko) 플라즈마 아크 절단용 전원 장치
KR0160058B1 (ko) 에어 플라즈마 절단기의 주제어장치
KR0126841Y1 (ko) 입력전압 안정화 회로
JPH03275283A (ja) プラズマアーク用電源
KR970001898Y1 (ko) 전원공급장치
KR19980082883A (ko) 티아이지(tig) 용접장치
JP3443176B2 (ja) アーク加工装置
SU1260129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оммутации источника питани сварочной дуги
KR200206495Y1 (ko) 교류티그 용접기
KR20000007851A (ko) 양전원을 갖는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JP2004242492A (ja) モ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1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