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884Y1 - 미러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미러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884Y1
KR970001884Y1 KR2019930028900U KR930028900U KR970001884Y1 KR 970001884 Y1 KR970001884 Y1 KR 970001884Y1 KR 2019930028900 U KR2019930028900 U KR 2019930028900U KR 930028900 U KR930028900 U KR 930028900U KR 970001884 Y1 KR970001884 Y1 KR 970001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pair
support
supports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8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997U (ko
Inventor
정진민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filed Critical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28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884Y1/ko
Publication of KR9500219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9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8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9Mounting or support of component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unting And Adjusting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러고정장치
제1도는 종래의 미러고정장치를 도시한 일부절제 분리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미러고정장치를 도시한 일부절제 분리사시도.
제4도 (a)(b)는 제3도의 A부와 B부의 결합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미러(Mirror) 12, 13 : 한쌍의 지지대
12a, 13a :결합홈 12b, 13b : 지지돌기
14, 15 : 한쌍의 판스프링
본 고안은 미러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밀을 요하는 화상형성장치 또는 광픽업 등에 사용되는 미러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나 복사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 또는 광픽업 등에 사용되는 미러는, 설치각도에 따라 광의 반사각도가 민감하게 변하게 되므로 광을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반사시키기 위해서는 미러의 고정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안정되게 고정시켜야 한다.
종래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미러(1)의 일측이 결합되는 결합홈(2a)(3a)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2a)(3a)의 일측면에 미러(1)를 지지하는 2개의 지지돌기(2b)(3b)가 소정간격을 둔 채 형성된 한쌍의 지지대(2)(3)와, 한쌍의 지지대(2)(3)의 결합홈(2a)(3a)과 이에 결할되는 미러(1) 사이에 개재되어 미러(1)를 지지돌기(2b)(3b)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한쌍의 판스프링(4)(5)을 사용하여 미러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미러고정장치는, 미러(1)의 양측이 한쌍의 지지대(2)(3)에 2개씩 형성된 4개의 지지돌기(2b)(3b)에 의해 4점지지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미러의 고정상태가 불안정하여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미러의 고정위치가 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물체를 지지하기 위한 최소의 지지점은 물리학상 3점이면 가능하고, 3점 이상인 경우에는 완전한 평면이 아닌 이상 뭍체와 접촉되지 않는 점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미러와 접촉되지 않은 지지돌기와 미러 사이의 캡에 의해 미러가 유동되어 미러의 조정위치가 변하게 됨에 따라 광을 원하는 위치로 정확하게 반사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러의 고정상태가 안정되도록 개량된 미러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결합홈을 가지고 미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쌍의 지지대의 결합홈에 각각 개재되며 미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판스프링을 구비하여 된 미러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지대중 어느 하나의 결합홈 일측면에 상기 미러를 지지하는 2개의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지지대중 나머지 하나의 결합홈 일측면에 상기 미러를 지지하는 1개의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이들에 의해 미러가 3점지지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미러의 지지상태가 안정되어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미러의 고정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과 작용효과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미러고정장치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한쌍의 지지대(12)(13)에 미러(11)의 양측이 각각 결합되는 결합홈(12a)(13a)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12a)(13a)의 일측면에는 미러(11)를 지지하는 지지돌기(12b)(13b)가 각각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돌기(12b)(13b)는 한쌍의 지지대(12)(13)중 일측 지지대(12)의 결합홈(12a)일측면에 소정간격을 둔 채 2개 형성되고, 타측 지지대(13)의 결합홈(13a) 일측면에 1개 형성된다.
그리고, 한쌍의 지지대(12)13)의 결합홈(12a)(13a)에는 이에 결합된 미러(11)를 지지돌기(12b)(13b) 쪽으로 탄성바이어스시킴으로써 미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판스프링(14)(15)이 각각 개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쌍의 지지대(12)(13)가 기기의 본체와 별도로 형성되어 있으나 기기의 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미러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이 미러를 고정시키게 된다.
먼저 한쌍의 지지대(12)(13)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12a)(13a)에 미러(11)의 양측을 삽입하여 미러(11)의 일측면을 결합홈(12a)(13a)의 일측면에 형성된 지지돌기(12b)(13b)에 지지시킨다.
그리고 한쌍의 판스프링(14)(15)을 결합홈(12a)(13a)과 이에 삽입된 미러(11)의 타측면 사이에 개재시켜 미러(11)를 지지돌기(12b)(13b)쪽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킴으로써 미러(11)의 양측을 한쌍의 지지대(12)(13)에 탄력적으로 지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돌기(12b)(13b)가 한쌍의 지지대(12)(13)중 일측 지지대(12)의 결합홈(12a)에 2개 형성되고, 타측 지지대(13)의 결합홈(13a)에 1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에 의해 미러(11)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점지지 방식으로 지지되게 됨에 따라 미러의 지지상태가 안정되게 된다.
따라서 최초 고정된 위치에서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미러의 고정위치가 변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미러고정장치에 의하면, 미러가 3개의 지지돌기에 의해 3점 지지 방식으로 고정되게 됨에 따라 미러의 고정상태가 안정되어 외부로 부터의 충격 등에 의해 미러의 최초 조정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결합홈을 가지고 미러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는 한쌍의 지지대와, 상기 한쌍의 지지대의 결합홈에 각각 개재되며 미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판스프링을 구비하여 된 미러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지지대중 어느 하나의 결합홈 일측면에 상기 미러를 지지하는 2개의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한쌍의 지지대중 나머지 하나의 결합홈 일측면에 상기 미러를 지지하는 1개의 지지돌기가 형성되어, 이들에 의해 미러가 3점지지 방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고정장치.
KR2019930028900U 1993-12-21 1993-12-21 미러고정장치 KR970001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8900U KR970001884Y1 (ko) 1993-12-21 1993-12-21 미러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8900U KR970001884Y1 (ko) 1993-12-21 1993-12-21 미러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997U KR950021997U (ko) 1995-07-28
KR970001884Y1 true KR970001884Y1 (ko) 1997-03-17

Family

ID=1937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8900U KR970001884Y1 (ko) 1993-12-21 1993-12-21 미러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8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997U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1763A (en) Optical device
KR970001884Y1 (ko) 미러고정장치
JPH03233423A (ja) 走査光学系のレンズ支持構造
US5493453A (en) Apparatus for installing a curved mirror used in a scanning optical system
JP2001356259A (ja) 帯板状部材の取付調整機構
JP2727572B2 (ja) 光走査装置
JP3194242B2 (ja) レーザ走査光学系
JPH04282606A (ja) レーザビーム走査光学装置
JPS63273821A (ja) 光学装置
JPH0588064A (ja) 光学素子の支持装置
JPH07318776A (ja) 走査光学系のレンズ支持構造
JP2002303812A (ja) 光学素子取付装置
JPH0654011U (ja) レンズの取り付け構造
JPH10160960A (ja) 光モジュール
JP2546556Y2 (ja) 光走査ユニット
JPS6318532A (ja) 光学的信号読出装置
JPS63273823A (ja) レ−ザ走査系
JPS63273817A (ja) レ−ザ走査系
JPS63273822A (ja) レ−ザ走査系
JPH05127106A (ja) レーザビーム走査光学装置
JPH07318837A (ja) 走査光学装置
JP3612476B2 (ja) Ccdの取付構造およびその構造が採用された画像読取装置
JPH0758909A (ja) イメージ読取装置の結像装置
KR960005487A (ko) 반사경
JPS59205783A (ja) 光帰還型半導体レ−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