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864Y1 - 입력단 과전압 보호회로 - Google Patents

입력단 과전압 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864Y1
KR970001864Y1 KR2019930015972U KR930015972U KR970001864Y1 KR 970001864 Y1 KR970001864 Y1 KR 970001864Y1 KR 2019930015972 U KR2019930015972 U KR 2019930015972U KR 930015972 U KR930015972 U KR 930015972U KR 970001864 Y1 KR970001864 Y1 KR 9700018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terminal
voltage
rela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5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7433U (ko
Inventor
조정환
Original Assignee
조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환 filed Critical 조정환
Priority to KR20199300159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864Y1/ko
Publication of KR9500074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74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8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864Y1/ko

Links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Protection Of Static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입력단 과전압 보호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과전압 보호회로의 전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y : 릴레이 R1 : 부하회로
D1 : 다이오드 C1 : 콘덴서
Q1 : 싸이리스터(scr) DA1 : 다이악
R1 내지 R3 : 저항
본 고안은 전원 회로에 있어서, 전원 입력단에 과전압이 인가될 때에 부하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입력단 과전압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 회로에서는 입력단에 배전선의 오결선이나 변압기의 이상 등으로 과전압이 인가될 시에 보호장치가 없어 전원전압을 인가받는 부하회로 내의 부품의 손상이나 기기의 파괴를 초래하게 된다. 특히 전자부품을 많이 사용하는 회로에서는 대부분의 전자부품들이 휴즈가 끊어지기 전에 먼저 파괴되므로 과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전자회로는 치명적인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배전선로의 오결선이나 변압기의 이상 등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전원 입력단에 과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회로를 차단하여 전자부품 및 기기를 보호해주는 입력단 과전압 보호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원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입력전압을 분압하는 분압수단과, 전원 입력 일단에 연결되어 입력전원 전압을 반파정류하는 반파정류 수단과, 상기 반파정류수단의 반파 정류출력을 저항(R1)을 통해 구동코일로 입력받고 공통단자(CO)는 전원입력 일단에 연결되고 노말클로즈(NC:ORMAL CLOSE) 단자는 부하회로(RL)의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고 노말오픈(NO:ORMAL OPEN)단자는 개방되어 있는 릴레이(Ry)와, 상기 릴레이(Ry)의 구동코일에 병렬로 연결된 콘덴서(C1)와, 상기 릴레이(RY)의 구동코일을 통해 반파정류된 전류를 입력받고 제어단은 상기 분압수단으로부터 분압된 전원전압을 입력받는 싸이리스터(Q1)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입력단 과전압 보호회로의 전체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은 본 고안인 과전압 보호회로, RL은 부하회로, Ry는 릴레이, D1은 다이오드, C1은 콘덴서, Q1은 싸이리스터(SCR), DA1은 다이악, Rl 내지 R3는 저항을 각각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원(AC)의 입력단과 부하회로(RL)의 사이에 설치되어, 입력전압이 임의의 설정치 이상의 과전압이 인가될 경우 이를 차단해주는데 세부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직렬로 연결되되 전원 입력단에는 병렬로 연결되어 입력전압을 분압하는 분압저항(R2,R3)과, 전원 입력 일단에 애노우드가 연결되어 입력전원 전압을 반파정류하는 다이오드(D1)와, 상기 다이오드(D1)의 반파 정류출력을 저항(R1)을 퉁해 구동코일로 입력받고 공통단자(CO)는 전원입력 일단에 연결되고 노말 클로즈(NC:ORMAL CLOSE)단자는 부하회로(RL)의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고 노말 오픈(NO:ORMAL OPEN)단자는 개방되어 있는 릴레이(Ry)와 상기 릴레이(Ry)의 구동코일에 병렬로 연결된 콘덴서(C1)와, 상기 릴레이(RY)의 구동코일을 통한 반파정류된 전류를 입력받고 제어단은 다이악(DA1)을 통해 상기 분압저항(R2,R3)의 연결점에 연결된 싸이리스터(Q1)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과전압 차단 동작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규정에 맞는 정상적인 전압(AC)이 전원 입력단에 인가되면 전원 전압은 릴레이(Ry)의 공통단자(CO)와 노말 클로즈(NC)단자를 거쳐 부하회로에 인가되어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해진다.
이때, 분압저항(R2,R3)에 의해 분압된 전압은 소정치 이하이므로 다이악 (DA1)을 거쳐 싸이리스터(Q1)의 제어단에 가해지더라도 싸이리스터의 구동전압이 되지 못하므로, 릴레이(Ry)의 구동코일에는 전류가 흐르지 못하여 릴레이(Ry)는 구동하지 않는다.
그런데, 입력전압이 배전선의 오결선이나, 변압기의 이상 등으로 임의로 설정한 설정치 이상의 과전압으로서 인가될 경우, 분압저항(R2,R3)을 통해 부압된 전압은 일정 크기 이상이 되어 다이악(DA1)을 통해 싸이리스터(Q1)의 제어단에 인가되므로 상기 싸이리스터(Q1)이 온(ON)되게 된다.
상기 싸이리스터(Q1)은 온 되면, 다이오드(D1)에 의해 반파전류된 전류가 저항(R1) → 릴레이 구동코일 → 싸이리스터(Q1)를 통해 흐르므로 릴레이(Ry)가 구동하여 공통단자(CO)와 노말오픈단자(NO)가 연결되므로 공퉁단자(CO)를 통해 부하회로(RL)에 인가되던 전압은 차단되게 된다.
이러한 부하회로(RL)로는 전압차단은 과전압이 인가되어 릴레이(Ry)를 구동시키는 동안 계속되며, 입력단의 전압이 정상으로 복귀되면 릴레이(Ry)의 구동이 멈춰져 다시 정상전압이 노말 클로즈(NC)단자를 통해 정상적으로 인가되므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 없이 회로가 자동으로 정상복원된다.
한편, 릴레이(Ry)의 특성에 맞는 전압과 전류가 인가되도록 저항(R1)을 이용하여 릴레이(Ry)의 내부 코일저항과의 비를 맞추는 것이 중요한데, 이는 저항(R1)과 릴레이(Ry)내부 코일저항과의 비가 맞지 않으면 싸이리스터(Q1)의 제어단에 트리거가 이루어져 싸이리스터(Q1)가 온(ON)된다 해도 릴레이(Ry)외 내부코일의 자기력이 약해서 가동철편을 이동시켜 노말 클로즈 단자의 접점을 개방할 수 없으므로 릴레이(Ry)는 공통단자와 노말 클로즈 단자가 단락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되어 전원(AC)입력을 차단할 수 없기 때문이다.
릴레이(Ry)의 내부 코일에 병렬로 연결된 콘덴서(C1)는 다이오드(D1)를 통해 반파 정류된 맥류 전압을 평활하여 릴레이(Ry)의 동작을 안정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콘덴서(C1)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릴레이(Ry)가 온 시에 떨림 현상이 생기고 접점의 불량을 가져오며, 오동작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회로의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과전압 인가에 따른 차단동작이 확실하여 이상상태의 원인이 제거될 경우 즉시 복귀되어 신뢰성과 실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전원(AC)입력이 이상상태로 인하여 임의 설정치 이상과 과전압이 인가될 경우 입력전원을 차단하는 과전압 보호회로에 있어서, 전원 입력단에 병렬로 연결되어 입력전압을 분압하는 분압수단과, 전원 입력 일단에 연결되어 입력전원 전압을 반파정류하는 반파정류 수단과, 상기 반파정류 수단의 반파 정류출력을 저항(R1)을 통해 구동코일에 입력받고 공통단자(CO)는 전원입력 일단에 연결되고 노말 클로즈(NO:ORMAL CLOSE)단자는 부하회로(RL)의 전원 입력단에 연결되고 노말 오픈(NO:ORMAL OPEN)단자는 개방되어 있는 릴레이(Ry)와, 상기 릴레이(Ry)의 구동코일에 병렬로 연결된 콘덴서(C1)와, 상기 릴레이(Ry)의 구동코일을 통해 반파정류된 전류를 입력받고 제어단은 상기 분압수단으로부터 분압된 전원전압을 입력받는 싸이리스터(Q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단 과전압 보호회로.
KR2019930015972U 1993-08-18 1993-08-18 입력단 과전압 보호회로 KR9700018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972U KR970001864Y1 (ko) 1993-08-18 1993-08-18 입력단 과전압 보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5972U KR970001864Y1 (ko) 1993-08-18 1993-08-18 입력단 과전압 보호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433U KR950007433U (ko) 1995-03-21
KR970001864Y1 true KR970001864Y1 (ko) 1997-03-17

Family

ID=1936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5972U KR970001864Y1 (ko) 1993-08-18 1993-08-18 입력단 과전압 보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86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7433U (ko) 199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0441A (en) Circuit for protecting DC powered devices from improper supply voltages
US4396882A (en) Inrush current limiter
US9438101B1 (en) High speed switching solid state relay circuit
US5333105A (en) Transient voltage protector
US5151840A (en) Switch protection circuit
JP2719441B2 (ja) 電源装置
KR970001864Y1 (ko) 입력단 과전압 보호회로
US4181921A (en) Harmonic distortion attenuator
JPH03214067A (ja) 電源装置
JPS6231600B2 (ko)
JP3030156B2 (ja) 過電圧防止回路を有する家庭用降圧装置
JPH02179219A (ja) 電源装置
US3617815A (en) Impedance switching timer
US4062051A (en) Battery spark suppression circuit
KR930001681Y1 (ko) 정전압용 트랜지스터 보호회로
JPH08111161A (ja) 過電圧保護付き漏電遮断器
JPS6211162Y2 (ko)
KR0162600B1 (ko) 유도부하를 갖는 반도체 제조장비의 서지 바이패스 회로
KR890008925Y1 (ko) 대용량 기기의 과전압 방지 회로
KR0111711Y1 (ko) 과전류 차단회로
JPH09285114A (ja) 過電圧保護回路
KR910004023Y1 (ko) 스위칭용 전원(smps)의 과전압 보호회로
JPS6225822A (ja) サ−ジ吸収回路
JP200114533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JPH08275384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