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1711Y1 - 과전류 차단회로 - Google Patents

과전류 차단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1711Y1
KR0111711Y1 KR2019940018058U KR19940018058U KR0111711Y1 KR 0111711 Y1 KR0111711 Y1 KR 0111711Y1 KR 2019940018058 U KR2019940018058 U KR 2019940018058U KR 19940018058 U KR19940018058 U KR 19940018058U KR 0111711 Y1 KR0111711 Y1 KR 01117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home appliance
transformer
transistor
over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8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453U (ko
Inventor
최재홍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40018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1711Y1/ko
Publication of KR9600064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4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17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17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4Voltage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이 과전류로 인가될 때 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종래에는 퓨우즈(Fuse)에 의해 과전류 유입을 차단하였기 때문에 과전류가 흐른 후에는 퓨우즈를 갈아 끼워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1도와 같이 가전기기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인력라인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에서 유기 전압을 발생시키는 트랜스(T)를 구성하고, 상기 트랜스(T)의 2차측 코일(L2)에서 유기되는 유기 전압을 충방전시키는 콘덴서(C1)및 저항(R1)을 구성하며, 상기 충방전 레벨에 따라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1)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역구동에 연동하여 트리거되어 가전기기(1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트라이악(TRAIC)으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과전류 차단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전기기 T : 트랜스(Trans)
D1∼D2: 다이오드 R1∼R2: 저항(Resistance)
C1∼C2: 콘덴서(Condenser) Q1: 트랜지스터(Transistor)
TRAIC : 트라이악 L1∼L2: 코일
본 고안은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이 과전류로 인가될 때 이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차단회로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기기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사무처리용 기기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교류 전원이나 직류 전원을 동작 전원으로 공급받아 동작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 성분중에는 언제나 일정 레벨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고 변전소나 전송 선로의 이상에 따라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가 있다.
또한 천재지변에 의해 전송 선로에 흐르던 전류가 갑자기 큰 레벨로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여 가전기기를 파괴시키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전류가 가전기기에 공급되어 가전기기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정에 전원이 유입되는 배전반이나 가전기기 자체에 퓨우즈(Fuse)를 연결하여 가정에 유입되는 전류가 과전류중일 경우에는 배전반에서 가정에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기기의 망실을 방지하고, 배전반까지 정상적인 레벨의 전류가 유입되어졌으나 배전반 후단의 이상으로 과전류가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경우에는 가전기기의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 전단에 구성된 퓨우즈가 용단되어 가전기기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그러나 과전류에 의해 배전반에 구성된 퓨우즈나 가전기기에 구성된 퓨우즈가 단선되는 경우에 사용되는 배전반과 가전기기의 내부를 확인하여 단선된 퓨우즈를 갈아 끼워야 가전기기가 정상 동작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가전기기의 기술이 고도해지고 가전기기에서 사용하는 전류의 세기가 정밀해짐에 따라 가전기기에는 전류를 정전류/정전압으로 유지시켜 공급해야만 가전기기가 정상동작을 하며 전류 레벨에 이상이 발생하면 가전기기가 오동작 하거나 파손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결점은 IC를 사용하는 가전기기에서 더욱 심해 IC내부에서 필요한 정격 전류 이상의 전류를 공급되며 IC가 파손되어 IC가 가전기기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지 못하기 때문에 가전기기가 실질적인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가 정상 레벨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공급 전류를 가전기기에 공급하여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가 정상 레벨에 비해 큰 레벨이면 공급전류를 차단하여 가전기기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과전류 차단 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 과전류 차단회로는 입력 라인을 통하여 유입되는 교류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가전기기를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입력라인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에서 유기 전압을 발생시키는 트랜스와, 상기 트랜스의 2차측 코일에서 유기되는 유기 전압에 따라 충방전 동작하는 콘덴서 및 저항과, 상기 충방 전압 레벨에 따라 턴온/턴 오프 동작하는 트랜지스터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동작 상태에 따라 트니거되어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트라이악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1도에서와 같이 입력 교류 전원이 트랜스(T)의 1차측 코일(L1)을 통하여 가전기기(10)의 입력단에 입력되어짐과 함께 트라이악(TRAIC)을 거쳐 가전기기(10)의 입력단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트랜스(T)의 2차측 코일(L2)의 일단이 교류 전원 입력단의 일측에 연결되고 2차측 코일(L2)의 일단은 순방향 다이오드(D1)와 저항(R1)을 거쳐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특에 연결되어짐과 함께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를 거쳐 교류 전원 입력단에 연결된다.
트랜스(T)의 1차측 출력이 인가되면 순방향 다이오드(D2)의 출력은 에미터측이 교류 전원 입력단에 연결된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에 저항(R2)을 통하여 인가되어짐과 아울러 콘덴서(C2)를 거쳐 교류 전원 입력단과 트라이악(TRAIC)의 입력단 사이에 인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류 전원 입력단에 교류 전원을 인가하고 가전기기(10)를 동작시키면 공급된 교류 전원에 의해 가전기기(10)가 동작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입력된 교류 전원은 가전기기(10)에 공급되어 가전기기(10)를 동작시킴과 아울러 트랜스(T)의 1차측 코일(L1)을 흐르면서 트랜스(T)의 2차측 코일(L2)으로부터 유기 전압을 발생시키게 된다.
트랜스(T)의 2차측 코일(L2)에서 발생한 유기 전압은 저항(R1)과 콘덴서(C1)에 충방전되면서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인가되어 트랜지스터(Q1)의 콘덴서 측에 인가된 입력 교류 전원이 트라이악(TRAIC)의 게이트 트리거 신호를 공급하므로 가전기기(1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입력 교류 전원의 전류 세기에 따라 살펴보면 입력 교류 전원의 전류 세기가 정상적인 전류의 세기이거나 정상 전류 세기보다 낮은 세기로 가전기기(10)에 공급되면 트랜스(T)의 2차측 코일(L2)에서 발생하는 유기 전압의 전류 세기 역시 낮은 세기로 유기하여 저항(R1)과 콘덴서(C1)에 의해 충방전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로우레벨로 인가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1)가 턴오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트랜스(T)의 1차측 코일(L1)로부터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정류되어 저항(R2)에 인가된 입력 전원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측에서 에미터측으로 흐르지 못하고 트라이악(TRAIC)의 게이트에 트리거 신호로 공급되어 트라이악(TRAIC)이 턴온상태를 유지함으로 입력 교류 전원이 가전기기(10)에 이가되어 가전기기(10)가 정상 동작을 하게 된다.
입력 교류 전원의 전류의 세기가 정상적인 전류의 세기에 비해 센 전류의 세기로 가전기기에 공급되면 트랜스(T)의 2차측 코일(L2)에서 발생하는 유기 전압의 전류의 세기가 정상시보다 높은 세기로 유기되어 저항(R1)과 콘덴서(C1)에 의해 충방전되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측에 하이레벨로 인가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Q1)가 턴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트랜스(T)의 1차측 코일(L1)로부터 다이오드(D2)를 통하여 정류되어 저항(R2)에 인가된 교류 전원이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측으로부터 에미터 측으로 흘러 트라이악(TRAIC)의 게이트에 트리거 신호가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트라이악(TRAIC)이 턴 오프상태를 유지함으로 과전류 성분을 가진 입력 교류 전원이 가전기기(10)에 공급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전기기 교류 전원을 공급하는 입력라인으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에서 유기전압을 발생시키는 트랜스를 구성하고, 상기 트랜스의 2차측 코일에서 유기되는 유기 전압을 충방전시키는 콘덴서 및 저항을 구성하며 상기 충방전 레벨에 따라 동작하는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트랜지스터의 역구동에 연동하여 트리거되어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교류전원을 공급/차단하는 트라이악을 구성함으로써 가전기기에 공급되는 과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입력 라인을 통하여 유입되는 교류 전원에 의해 구동하는 가전기기(10)를 갖는 것에 있어서, 상기 입력 라인으로부터 인가도는 교류 전원에서 유기 전압을 발생시키는 트랜스(T)와, 상기 트랜스(T)의 2차측 코일(L2)에서 유기되는 유기 전압에 따라 충방전 동작하는 콘덴서(C1) 및 저항(R1)과, 상기 충방전 전압 레벨에 따라 턴 온/턴 오프 동작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동작 상태에 따라 트리거되어 가전기기(10)에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트라이악(TRAIC)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1차측 코일(L1)과 2차측 코일(L2) 사이에 권선수비가 L1〉〉L2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전류 차단회로.
KR2019940018058U 1994-07-21 1994-07-21 과전류 차단회로 KR01117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8058U KR0111711Y1 (ko) 1994-07-21 1994-07-21 과전류 차단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8058U KR0111711Y1 (ko) 1994-07-21 1994-07-21 과전류 차단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453U KR960006453U (ko) 1996-02-17
KR0111711Y1 true KR0111711Y1 (ko) 1998-04-07

Family

ID=19388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8058U KR0111711Y1 (ko) 1994-07-21 1994-07-21 과전류 차단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171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453U (ko) 199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56365A (en) Solid state power controller leakage current shunt circuit
US10004123B1 (en) Failure detection and alerting circuit for a differential mode surge protection device in an LED driver
CN101517853B (zh) 具有改进的过流保护电路的逆变器及用于其的电源和电子镇流器
US6583997B1 (en) Ultra-wide input range switching power supply for circuit protection devices
EP0593588B1 (en) Circuit protection arrangement
KR0111711Y1 (ko) 과전류 차단회로
US5633773A (en) Overvoltage protection for input/output circuits
EP0392733A2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olid state electric switching arrangements
KR100400835B1 (ko) 부하의 잔류 전류 소거 기능을 구비한 전원 장치
KR910005463B1 (ko) 셔트 다운방식을 이용한 스위칭모드 파워 서플라이 보호회로
CN215934449U (zh) 一种电焊机的过压保护和欠压保护的电路
JP3081478B2 (ja) 低電圧点灯回路
KR200144429Y1 (ko) 과전류 보호회로
SU92478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JP2001145339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SU174474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нагрузки от токовой перегрузки
KR0127156Y1 (ko) 에스엠피에스의 과전류 보호 회로
KR100347174B1 (ko) 스위칭 모드 전원 장치의 보호회로
JP3906438B2 (ja) 過電流過電圧保護回路
KR20010003354A (ko) 전원공급장치의 고전압 입력 차단장치
KR0125022Y1 (ko) 고전압 보호회로
KR950009769Y1 (ko) 단일전원 회로용 전자식 대전류 스위치의 보호회로
KR870000653Y1 (ko) 2전원 회로의 과전압 보호장치
KR980007865A (ko) 전자식 안정기의 과전류 보호회로 및 그 리셋방법
KR19980029144U (ko) 알씨씨회로로 구성되는 오브이피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