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742B1 - 에어백 보호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디퓨져 장치,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및 에어백 모듈 조립체 - Google Patents

에어백 보호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디퓨져 장치,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및 에어백 모듈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742B1
KR970001742B1 KR1019930023660A KR930023660A KR970001742B1 KR 970001742 B1 KR970001742 B1 KR 970001742B1 KR 1019930023660 A KR1019930023660 A KR 1019930023660A KR 930023660 A KR930023660 A KR 930023660A KR 970001742 B1 KR970001742 B1 KR 970001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diffuser
face member
gas flow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4012A (ko
Inventor
디. 로즈 래리
엘. 로리첸 도날드
제이. 라벤베르그 마이크
에이. 톰슨 마크
제이. 그린 데이비드
알. 데이비스 테리
Original Assignee
모르톤 인터내셔날, 인코오포레이티드
제럴드 켄트. 화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르톤 인터내셔날, 인코오포레이티드, 제럴드 켄트. 화이트 filed Critical 모르톤 인터내셔날, 인코오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40014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4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7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7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 B60R21/2171Inflation fluid source retainers, e.g. reaction canisters; Connection of bags, covers, diffusers or inflation fluid sources therewith or together specially adapted for elongated cylindrical or bottle-like inflators with a symmetry axis perpendicular to the main direction of bag deployment, e.g. extruded reaction cani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1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with means other than bag structure to diffuse or guide inflation fl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에어백 보호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디퓨져 장치,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및 에어백 모듈 조립체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라서 에어백 모듈 조립체를 도시한 부분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선2-2를 따라 절취해서 조립된 에어백 모듈 조립체를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에어백(제3a도)과 디퓨져(제3b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의 개략적인 분해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라서 에어백 모듈 조립체(제4b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반응 하우징안으로의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제4a도)의 삽입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따른 디퓨져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따른 디퓨져 장치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디퓨져 장치의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따른 디퓨져 장치의 평면도.
제9도는 제8도의 디퓨져 장치의 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를 따른 디퓨져 장치의 정부 앵글(top angle)로부터의 사시도.
제11도는 제10도의 디퓨져 장치의 저부 앵글(botton angle)로부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에어백 모듈 조립체 12 :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14 : 에어백 16 : 디퓨져
20 : 팽창기 24 : 반응하우징
52 : 면 부재 60a,60b : 가로측면
64a,64b : 세로측면 67 : 외주연부
73 : 채널부분 85 : 배플
본 발명은 차량탑승자의 자동 보호 시스템 관한 것으로, 특히 디퓨져 장치 및 그와 함께 상기 팽창가능한 보호시스템에 사용되는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작동자에 의해 조정할 필요없이 비전개 상태로부터 전개상태로 자동작동하는 안전 보호 시스템, 즉 자동보호시스템, 특히 팽창가능한 백 또는 쿠션(cushion)을 포함하는 보호시스템 및 차량에의 상기 시스템의 사용은 자동보호시스템의 사용이 미합중국의 승인을 받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많은 토론의 주제가 되었다.
차량이 충돌때와 같이 갑작스런 감속에 직면하게 될 때 가스에 의해 팽창된 쿠션 또는 백(즉, 에어백)을 사용하여 차량 탑승자를 보호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에어백이라는 용어는 전개시에 백을 충전시키는 급속한 배출 가스가 공기(air)가 아니고 비활성가스(즉, 질소)이기 때문에 잘못된 표현중의 하나이다. 상기의 시스템에 있어서, 에어백은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팽창되지 않고 접혀진 상태로 수용되어 있다. 긴급한 상황시에, 가스가 팽창기로부터 배출되어서 에어백을 급속히 팽창시킨다. 팽창시에, 에어백은 충돌이 일어날 때 차량 탑승자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약 45∼60milliseconds 이하에서 팽창되도록 설계된다.
차량용 팽창가능한 보호시스템은 차량의 본체 및/또는 프레임에 장착되거나 그에 대해 위치된 복수의 충돌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자동차의 갑작스런 감속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후에, 센서는 에어백을 전개시키도록 차량의 승객실내에 위치된 에어백 모듈 또는 조립체에 신호를 보낸다. 일반적으로, 운전자 보호용으로 제공된 에어백(즉, 운전석 에어백)은 차량의 스티어링 칼럼(steering column)안에 위치된 저장실에 장착된다. 반면에, 앞좌석 승객 보호용 에어백(즉, 승객석 에어백)은 차량의 계기판 내에 장착된다.
대표적인 에어백 보호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반응 캔(can) 또는 보다 간략하게 캔으로 언급되는 외부 반응 하우징 또는 캐니스터(canister)를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을 사용한다. 반응캔은 에어백 팽창기 또는 보다 간략하게 팽창기 또는 선택적으로 발생기로서 언급되는 것을 포함하는 에어백 모듈 시스템의 다른 구성 부품을 지지하거나 구비하는 역할을 한다. 팽창기는 작동시에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하여 가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시스템에 사용된 팽창기는 꽃불형태(pyrotechnic)나 하이브리드 형태(hybrid)중 하나의 형태를 갖는다. 꽃불형태의 팽창기는 일반적으로 작동시에 에어백을 팽창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가스를 발생시키는 가스 발생재료를 포함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꽃불 형태의 팽창기에 의해 생성된 팽창가스는 팽창기의 길이를 따라 방출 포트(port)나 개구부로부터 방출된다. 대조적으로, 가연성 꽃불재료의 본체를 구비한 하이브리드 형태의 팽창기는 적절한 작동시에 팽창기로부터 추진되는 저장된 압축가스를 주 팽창가스로서 포함한다. 압축가스의 저장과 연관된 물리적 현상의 결과로서, 이런 압축가스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기는 원통형 형태를 갖는다. 더욱이, 상기 원통형 가스 저장 용기로부터의 가스 배출은 원통형 용기의 일단부에만 있는 개구부나 방출포트를 통해 일어난다. 그러나 적절한 백의 전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 용기로부터 에어백 내로의 가스의 방출이 아주 균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표적인 에어백/팽창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균일한 방출은 팽창기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에어백의 가스 입구 개구부의 길이를 따라 전개백으로 가스를 비교적 균일하게 방출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백은 균일하게 전개되고, 저장 용기의 단지 일단부로부터만 가스를 방출하는 것에 의해 생기는 백이 비스듬하게 전개되는 위험을 방지해준다.
에어백의 전개 및 팽창시에, 반응 하우징 캐니스터는 생성된 에어백 전개력을 차량에 흡수시키거나 재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응 하우징은 팽창되지 않고 접혀진 상태로 있는 에어백이 위치되는 입구가 개방된 캐니스터이다. 선행 기술 장치에 있어서, 에어백은 통상적으로 팽창기에 대해서나 반응 하우징 자체에 부착된다. 그런 부착의 결과로서, 반응 하우징은 백 전개시에 생성되고 백 전개와 연관된 힘으로 인해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들어, 에어백이 팽창될 때, 애어백의 개구부의 외주부는 하우징에 대해 외부로 밀려져서, 종종 하우징의 변형을 일으킨다. 이들 반응 하우징에 갖춰진 입구가 개구된 형상 때문에, 상기 변형은 일반적으로 종모양의 개구(bell-mouthing)라고 일컬어진다.
그런 변형을 일으키지 못하게 하고, 에어백의 가스 입구 개구부의 외주부가 하우징에 대해 외부로 이동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종래의 에어백 장치들은 다양 조처를 강구하게 되었다.
실제로, 종모양의 개구는 보다 큰 두께 및/또는 강도를 가진 금속을 사용하여 반응 하우징을 제작함으로써 감소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두꺼운 금속의 사용으로 인해 하우징의 전체 무게가 증가할 수 있다. 물론, 차량의 무게가 차량의 연비(fuel mileage)상에서 갖는 영향 때문에 무게의 최소화는 현대의 차량 설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관심사이다. 보다 강한 형태의 구조물 재료를 사용하여 반응 하우징을 제작하는 대안은 구조물의 보다 강한 재료가 보다 많은 재료비가 들게하고 그로인해 상기 안전 보호시스템과 연관 비용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항상 실직적인 것은 아니다.
1990년 7월 17일자로 로리첸(Lauritzen)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941,678호에는 상기 종모양의 개구를 방지하는 설계를 갖는 경량의 하우징 캐니스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조립체는 백내부의 입구에 테더스트랩(tether strap)을 포함하는데, 그 테더 스트랩은 반응 캐니스터의 하중을 제한하면서 횡으로 위치된다. 이 테더 스트랩은 백의 전개시에 캐니스터의 입구에서 확산력을 유지한다. 이러한 것으로 인해 캐니스터의 입구에 보다 가벼운 영역을 사용할 수 있고 캐니스터의 측부를 따른 보강 플랜지의 필요성을 제거시켰는데, 상기 보강 플랜지는 바람직하지 못하게도 조립체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것이었다. 조립체안에 백을 유지시키는 것에 대하여 상기 특허에 개시되어 있는데, 반응 캐니스터 본체 벽들의 각각의 내부측부에 형성된 노치들이 팽창가능한 백의 가스 입구 개구부에 형성된 연속한 부착 링을 유지하기 위해 백 유지용 링 선반을 형성한다는 것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5,131,680호에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팽창기가 개시되어 있는데, 그것은 디퓨져를 포함한다. 개시된 팽창기 조립체는 원통형 캐니스터, 원통형 디퓨져 및, 용기의 일단부에 체결된 매니포울드 조립체를 포함한다. 디퓨져는 용기보다 큰 지름을 가져서 용기와 매니포울드 조립체 둘다를 에워싸도록 장착된다. 또한, 가스가 에어백내로 진행하도록 하는 개구부를 구비한 디퓨져는 내니포율드 조립체의 전체길이와 용기의 길이중 주요부분을 연장한다. 이런 디퓨져가 용기와 매니포울드 조립체를 에워싸고 작동시에 가해지는 응력을 견딜 수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상기 디퓨져는 요구되는 것보다 부피가 크고 무겁다.
더우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어백 유지 및/또는 에어백으로의 팽창가스의 전달에 관하 미합중국 특허들이 많이 있다.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 제4,986,569호에는 에어백내의 채널(channel)안에 배치된 금속 봉의 장착을 위해 외주연부 플랜지상에 쇼올더(shoulder)를 갖는 캐니스터를 포함하는 에어백 부착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캐니스터의 연부 플랜지는 캐니스터상에 에어백을 유지시키기 위해 봉에 대해 접혀져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5,069,480호에는 팽창가능한 필로우(pillow) 또는 에어백이 부착되고 반응 하우징 조립체에 체결된 필로우 테이너를 구비한 필로우 또는 에어백 조립체를 포함한 에어백 리테이너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다. 가스발생기에 의해 공급된 가스는 작동시에 리테이너 안에 제공된 개구부를 통해 에어백 또는 필로우 안으로 흐를 것이다. 에어백은 에어백의 단부에 대하여 꿰매어진 V자형 헴(hem)에 의해 리테이너에 부착된다. 헴과 에어백이 전방쪽으로 이동할 때, V자형 헴의 개방측부는 리테이너의 원주상 연부와 맞물려서 에워싼다.
또한 , 연속한 가요성 탄성 지지부재가 노즐 배출구 주위에 형성된 홈안의 위치에서 백의 연부 부분을 지지하고 탱크와 노즐이 설상체(tongue) 및 홈 조인트를 통해 함께 연결되어 있으면서, 압력이 가스 탱크로부터 팽창가능한 백까지 전달되게 하는 노즐의 사용을 특정한 미합중국 특허 제3,708,181호; 팽창가능한 보호 장치의 하우징에 에어백의 연부를 체결하기 위해 클램핑 링의 사용을 개시한 미합중국 특허 제4,111,457호; 특정하게 설계된 하우징의 독립적인 세 개의 가스 발생제 함유 체임버들의 각각을 덮기 위해 천공된 디퓨져의 사용을 개시한 미합중국 특허 제4,136,894호; 가스발생제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원통형부재를 에워싼 에어백의 개방 단부를 구비한 속이 빈 원통형 부재를 개시한 미합중국 특허 제5,062,664호 및; 스크린형 부재가 하우징안에 접혀진 에어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에어백 모듈 구조물 및 조립기술을 개시한 미합중국 특허 제5,058,919호들이 있다.
그러나, 종모양의 개구와 균일한 가스분배 및 백 전개의 문제점에 대한 낮은 무게 및 낮은 비용의 해결책이 아직까지도 요구되고 있다.
실제적으로, 상기 팽창가능한 보호 장치의 구성부품(특히, 팽창가능한 에어백 및 하우징)은 스크류, 리벳 또는 볼트와 같은 선택된 파스너에 의해 함께 연결되어 유지된다. 예를들어, 선택된 파스너는 함께 고정되기 위한 각각의 부품들에 미리 형성된 파스너 구멍을 통과한다. 불행하게도, 이들 팽창가능한 보호 유닛의 조립체에서 종종 당하게 되는 문제점은 함께 고정되기 위한 각각의 부품들의 소정의 적절한 파스너 구멍을 정렬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다. 또한 백 전개시에 발생된 응력의 점하중을 피하기 위하여, 캐니스터와 금속 유지용 플랜지 또는 에어백 가스 입구 개구부에 대해 위치된 금속링 사이에서와 같은 두 개의 하중지탱 재료(즉, 금속)들 사이에 백을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체내에 백을 체결하거나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방식으로, 백의 직물내의 파스너 구멍에서 또는 파스너 구멍에 대하여 백 전개 응력의 바람직하지 못한 하중은 감소되고 바람직하게는 방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정은 반응캐니스터 지체를 통해 이루어지며, 그로인해 캐니스터, 백 및 금속 유지용 플랜지 또는 금속링이 상기 고정에 의해 모두 함께 동시에 고정되기 때문에 조립공정이 간단해진다. 불행하게도, 비교적 유연한 백 재료내에 있는 파스너 구멍들이 캐니스터 및/또는 유지용 플랜지 안의 파스너 구멍들에 대해 쉽게 대치되려 하기 때문에 캐니스터, 백 및 유지용 플랜지 내의 파스너 구멍들을 동시에 적절하게 정렬시키는 것이 어렵다. 결과적으로, 조립 작업자는 파스너 구멍들이 적절하게 정렬되도록 노력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작업자는 캐니스터 및 유지용 플랜지내의 파스너 구멍들과 백내의 파스너 구멍들을 재정렬시키기 위하여 작업하고 있는 모든 것을 엄추어야 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것은 조립공정을 느리게 하며 비용도 증가시킨다. 더우기, 적절한 파스너 구멍의 정렬을 재실행하기 위해 사람의 조정이 필요하다는 것은 완전히 자동화된 조립공정의 완성을 달성하지 못하게 한다.
그러므로, 에어백내의 파스너 구멍들이 인접부재들내의 파스너 구멍들과 정렬되어 유지되게 하고 유지용 기구가 자동화된 생산 및 조립에 손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비교적 간단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백 부착물 및 유지용 기구가 요구된다.
에어백 팽창기들은 일반적으로 상술된 꽃불형태의 경우에 있어서 작동시에 팽창기내에 함유된 가스 발생 재료를 점화시키는 전기적으로 작동가능한 점화기를 그들과 함께 연결했다. 가스 발생 반응이 높은 발열 반응이기 때문에, 많은 양의 열이 가스 발생 공정동안에 생긴다. 물론, 이런 열과 사람과의 접촉, 즉 열에 의한 직접 접촉으로 인해 가열된 표면과의 직접 또는 간접적인 접촉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팽창기에 의한 고온가스와 에어백의 접촉은 그 자체가 에어백에 손상을 일으켜서 에어백을 제대로 작동시킬 수 없게 할 수 있다. 예를들어, 단시간내에 즉시 작동이 일어나도록 에어백이 팽창기에 인접해 포장되어 있는 설계에 있어서, 팽창기는 높은 속도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가스를 배출할 수 있으며, 그로인해 가스들은 에어백의 내부면에 비교적 작은 면적에 직접 충돌하고, 에어백 그 자체는 태워져서 생긴 구멍들과 같이 어떤 형태의 손상을 당할 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적절한 역할 수행을 못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에어백의 전개를 위한 원인(즉, 차량에 의한 충돌)을 통해서나 백 전개 공정 자체를 통해 차량의 탑승자에게 해를 주지 않고 백 전개 공정동안 발생된 열의 안전한 분산을 포함하여 에어백 전개를 할 수 있게 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더우기, 에어백 모듈 조립체의 크기 및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은 연비나 차량의 외형에 해로운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다양한 종류 및 유형의 차량안에 상기 조립체를 장착시키는 것을 손쉽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또한, 생산을 손쉽게 하고 생산품의 품질검사를 하도록 하는 조립체 설계는 현대 세계의 경쟁적인 경제추세에 비춰볼 때 중요한 측면이다.
그러므로, 용이한 조립, 가벼운 중량, 작고 비교적 값싼 에어백 모듈 조립체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개선된 디퓨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인 목적은 상술된 하나 이사의 문제점을 극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목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면부재, 외부플랜지 및 에어백의 구꺼운 연부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채널부분을 구비한 디퓨져 장치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면부재는 종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으며, 그 길이에 대해 형성된 외주연부와, 그 외주연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일체형으로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고 있다. 외부플랜지는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각을 이루며 배치되고 그것에 대향하여 위치된다. 채널부분은 측벽 및 대향적으로 위치되고 각도를 이루며 배치된 외부플랜지를 연결시킨다. 디퓨져 장치는 가스가 면부재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면부재 안에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가스 유동 진행 수단을 포함한다. 더욱이, 면부재의 종방향 길이는 면부재를 통한 가스 유동의 방향에 대해 수직이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외부플랜지와 에어백의 두꺼운 연부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채널부분을 갖춘 디퓨져 장치는 면부재를 통한 가스유동의 방향에 대해 수직인 종방향 길이를 구비하고 각이진 단면을 구비한 면부재를 추가로 포함한다. 면부재는 또한 상부면, 하부면, 적어도 두 개의 대향하는 가로측면, 및, 적어도 두 개의 대향하는 세로측면을 구비하는데, 외주연부는 상기 가로측면과 세로측면에 대해 형성된다. 면부재는 외주연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일체형으로 형성된 측면을 포함하고, 또한 (a) 가스가 면부재를 통해 흐를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구멍들과 (b) 면부재의 하부면 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플(baffle)을 구비한 가스 유동 진행 수단을 포함한다. 배플 배열형태는 면부재(결국, 디퓨져 장치)를 통해 가스 유동의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하기 위한 팽창가능한 에어백 보호시스템에 사용하는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subassembly)를 포함한다. 서브조립체는 상술된 바와같은 디퓨져와, 개구부에 두꺼운 연부를 갖는 팽창가능한 에어백을 포함한다. 팽창가능한 에어백의 두꺼운 연부는 디퓨져의 채널부분에 의해 결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된 에어백 서브조립체, 백을 팽창시키기 위한 수단, 에어백 서브조립체와 백 팽창수단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차량안에 하우징을 고정시키시 위한 수단을 구비한 에어백 모듈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 및 도면과 연관하여 서술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따라서, 본원에 서술된 특별히 제작되고 설계된 디퓨져 장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안에 사용된다. 디퓨져 장치는 그 자체의 명칭이 나타내듯이 소정의 가스 확산을 촉진시키는 것 외에도, (1) 모듈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것, (2) 조립체 안에 백을 적절하게 유지시키는 것, (3) 차량 탑승자에 의한 접촉 및 에어백의 표면으로부터 고온 팽창기 표면의 바람직한 분리를 유지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디퓨져 장치는 반응 캐니스터의 종모양의 개구를 제어하여 반응 캐니스터가 완전하게 되도록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밴(van), 픽업 트럭(pick-up truck), 및 특히 자동차를 포함한 차량용 승객석 에어백 모듈 조립체에 관하여 하기에 서술되었지만, 본 발명은 운전석 조립체를 포함한 차량용 에어백 모듈 조립체들의 다른 형태 또는 종류 뿐만아니라 예를들어 비행기를 포함한 탈것의 다른 형태의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잘 알 것이다. 차량에 있어서, 승객석 에어백이 운전석 조립체에 사용된 것보다 크다는 크기의 차이를 포함하여, 승객석과 운전석의 에어백 모듈 조립체 사이의 일반적인 물리학적 차이로 인해 본 발명이 승객석 에어백 모듈 조립체에 특히 유용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우선 제1도를 보면, 에어백 모듈 조립체(10)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에어백 모듈 조립체(10)은 자체적으로 포함된 유닛이고, 그것의 주요 구성부품은 접혀져 있는 에어백(14)와 디퓨져(16)의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12), 충돌센서(도시생략)와 팽창기를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링/연결부(21)을 구비한 가스발생기 또는 팽창기(20), 및 에어백 모듈 조립체(22)들을 포함한다.
밀봉체(22)는 일반적으로 반응 캐니스터 또는 캔(24)로서 도시된 반응 하우징 조립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가 특별한 재료로 제작된 반응 캐니스터와 연관하여 사용하도록 제한되지는 않았지만, 조립체의 비용 및 중량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고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반응 캐니스터들은 강(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주조나 사출성형된 형상으로 제작된다. 또한, 성형된 플라스틱과 같은 기타 적합한 재료를 사용하여 반응 캐니스터를 제작하는 것이 고려된다는 것을 알 것이다.
제작동안에, 완성된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12)는 하나의 유닛으로서 바람직하게 조립되고,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서술되겠지만, 반응 하우징(24)에 안전하게 고정된다. 반응 캐니스터(24)의 외부(25)에는 차량의 계기판안의 모듈(10)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 설치 브래킷(26),(28)이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반응 하우징은 승객석 모듈 설치에 사용되는 계기판과 같은 차량의 적절한 협력부분이나 운전석 모듈 설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티어링 휠에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반응 하우징 외부에는 브래킷, 플랜지 또는 바아(bar)와 같은 추가의 적절한 부착수단이 특별한 설치에 필요할때 차량에 모듈을 부착하는 것을 손쉽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또한, 몇가지 특별한 설치를 위해서 반응 하우징 자체가 어떤 보충 부착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 설치하기에 적합한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에어백 모듈 조립체의 일부분으로서 또는 분리되어서 덮개나 문(도시생략)이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그런 덮개나 문은 일반적으로 캐니스터를 밀폐시키기 위해 설계된다. 실질적으로, 그런 문들은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으로 덮힌 금속기판 또는 스티어링 휠(운전석 조립체에 적용하는 경우)이나 계기판(승객석에 적용하는 경우)의 외부 표면 재료와 어울리거나 유사하도록 선택된 다른 재료의 덮개층으로 제작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하우징(24)는 제1부재(3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는 롤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각각 제1 및 제2측부 패널(31a),(31b)로 도시된 측부패널(31)을 포함한다. 또한, 반응 하우징 조립체(24)는 각각 제1 및 제2단부 판(32),(34)를 포함한다. 반응 하우징(24)의 조립시에, 제1부재(30)과 단부판(32),(34)는 개구된 입구(36)을 형성하도록 결합해 있다. 입구(36)은 직사각형 형상이지만, 둥근형, 타원형, 및 정사각형과 같은 다른 형상들이 본 발명에서 벗어나지 않고 특별한 설치를 충족시킬 수 있을 때 적절히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측부 패널(31A),(31B) 각각은 하나 이상의 파스너 구멍(38)을 서로 이격시켜 포함하며, 그런 파스너 구멍들을 조립 공정에서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하기에 더욱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1단부판(32)는 가스발생기/팽창기(20)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관통 개구부(40)을 포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팽창기들은 일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 실린더 형상의 팽창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제1단부판(32)의 관통개구부(40)은 일반적으로 원형 형상일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따라서 단부판의 개구부의 형태가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팽창기에 적합하게 적절히 변경될 수도 있다. 도시된 팽창기(20)은 가늘고 긴 원통형 형태를 갖고, 제1 및 제2단부판(32),(34) 사이에 반응 하우징 조립체(24)안에 유지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부판(32)안에 제공된 원형 개구부(40)외에도 키이형 슬롯(keyed slot)의 보다 작은 개구부(42)가 제2단부판(34)에 제공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같이, 플랜지(44)는 팽창기(20)의 제1단부(46)위에 제공되며 나사식 키이형 스터드(stud)는 팽창기(20)의 제2단부에 제공된다. 제1단부판(32)안의 개구부(40)은 팽창기(20)이 개구부내에 꼭 맞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유사하게, 제2단부판(34)안의 키이형 개구부(42)는 팽창기(20)의 제2단부(50)위에 스터드(48)을 꼭 맞게 수용하는 크기를 갖는다. 물론, 확실한 부착을 간단하고 쉽게 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스터드의 사용이 팽창기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 바람직하지만, 팽창기를 고정시키기 위한 기타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 있고 실제로 본 발명의 실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3도 및 제4도를 보면, 에어백 모듈 조립체(10)은 디퓨져(16)과 팽창가능한 에어백(14)를 구비하는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12)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시 제1도를 보면, 도시된 바와같이 디퓨져(16)은 반응 캐니스터(24)안의 직사각형의 입구 개구부(36)과 일치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다양한 형상의 캐니스터 입구 개구부에 따라 필요한 다른 형상들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존재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아야 한다.
제5도 내지 제11도에는 디퓨져를 보다 명확하게 도시하였으며, 이때 유사한 특징부들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했으며 개별적인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을 것이다. 디퓨져(16)은 상부면(54), 하부면(56), 두 개의 대향하는 가로측면(60A),(60B), 두 개의 대향하는 세로측면(60A),(60B), 종방향 길이부(66), 가로 및 세로측면(60),(64)에 대해 형성된 외주연부(67) 및 측벽(68A),(68B)로 도시된 일체형 측벽(68)을 구비한 면부재(52)를 포함한다. 각각의 측벽(68A),(68B)는 각각 바닥부(69A),(69B)로 도시된 바닥부(69)를 갖는다. 측벽(68A),(68B)는 각각 세로측면(64A),(64B)에서 외주연부(67)에 대하여 위치한다.
면부재(52)는 가스 유동 진행 수단을 포함하고, 그것에 의해 면부재를 통한(즉, 디퓨져 장치를 통한) 에어백으로의 가스의 유동이 백이 팽창될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가스 유동 진행 수단은 가스가 면부재(52)를 통해 하부면(56)으로부터 상부면(54)까지 유동할 수 있도록 면부재(52)를 관통한(즉, 디퓨져 장치(16)을 관통한) 다수의 구멍(7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면부재(52)의 종방향 길이(66)은 디퓨져(16)을 통한 가스 유동의 진행에 수직이다.
디퓨져(16)은 또한 각각 측벽(68A),(68B)에 대해 각을 이루며 배치되고 대향하여 위치된 외부플랜지(72A),(72B)로 도시된 외부플랜지(72)와, 채널부분(73A),(73B)로 도시된 채널부분(73)을 포함한다. 실질적으로, 디퓨져의 채널부분의 휨을 제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채널부분(73)을 따라 휨선 천공부(7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도, 구성 또는 슬롯과 같은 휨선 천공부는 채널부분(73)의 외부플랜지(72)측면쪽으로 중심이 벗어나 위치되기 때문에, 채널은 본원에 서술된 바와같이 클림핑(crimping)한후에 단면이 원형으로 존재한다. 상기 휨선 천공부들은 디퓨져의 제작에 사용되는 시트 재료를 적절히 천공시킴으로써 쉽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휨선 천공부들은 디퓨져의 외부플랜지(72)와 측벽(68)을 함께 클림핑하거나 압축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서술될 것이지만, 그런 것은 조립 공정 동안에 바람직하게 행해진다.
외부플랜지(72)는 정부연부(78A),(78B)로 도시된 정부연부(78)과 바닥부연부(80A),(80B)로 도시된 대향하는 바닥부연부(80)을 형성한다. 채널부분(73)은 서로 대향하는 제1 및 제2연부(82),(84)를 각각 구비하는데, 제1연부(82)는 측벽(68)의 바닥부(69)에 접하고 제2연부(84)는 외부플랜지(72)의 바닥부연부(80)에 접한다. 구멍들을 구비한 디퓨저의 가스유동진행 수단은 가스 유동의 진행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2∼5개)의 배플(85)를 포함한다. 상기 배플된 디퓨져들이 임의의 형태의 팽창기와 연관하여 사용될 수 있는 반면에, 배플된 디퓨져들은 상술된 바와같은 단지 일단부로부터만 저장가스를 배출하는 하이브리드형 팽창기들과 연관하여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런 사용에 있어서, 배플은 디퓨져를 통한 바람직하지 못한 가스 유동 채널링(channeling)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그것을 수정하지 않으면 채널링은 바람직하지 못한 비대칭적인 백 전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의 폭넓은 실시에 있어서, 디퓨져들은 배플을 구비한 상태나 구비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도 내지 제4도는 배플을 구비한지 않은 디퓨져를 도시한 것이며, 제5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디퓨져 실시예는 모두 임의의 형상의 배플을 구비하고 있다.
측벽(60A),(60B) 및 외부플랜지(72A),(72B)는 각각 하나 이상의 파스너 구멍(86),(88)을 서로 이격시켜 포함하며, 그 파스너 구멍들은 하우징 측부 패널(31A),(31B)의 파스너 구멍(38)에 대응하여 이격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디퓨져는 연성의 시트 재료(전형적으로 강 또는 알루미늄 같은 금속 시트 재료)로부터 제작되는데, (성형 또는 사출성형됨), 특히 비교적 큰 구조적인 강도와 사용의 간편함 및 아주 낮은 비용 등으로 인해 저탄소강과 같은강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디푸져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제작될 수 있는데, 즉, 디퓨져는 어떤 형태의 팽창기들을 구비한 모듈에서도 인식될 수 있듯이, 약 1000°F 이하의 온도와 같이 상기 팽창가능한 보호시스템과 연관된 사용 조건하에서 견딜 수 있고 적절히 작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제작 방법에 있어서, 강이나 알루미늄 시트와 같이 선택된 제작 재료의 단일의 평평한 패턴이 사용되고, 금속시트를 선택적으로 휘고 적절하게 절단 또는 천공함으로써 디퓨져 장치의 최종 형태가 만들어진다.
제3도 및 제4도에 명백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백(14)는 그것의 입구 개구부(92)에 대해 두꺼운 연부(90)을 갖는다. 두꺼운 백 연부의 다양한 방식들이 있을 수 있고, 그것들은 예를 들어 두꺼운 연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그 자체에 대해 에어백을 간단히 접는 것과 비이드(bead) 재료(93)이 위치된 루프 또는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에어백의 가스 입구 개구부를 에워싸는 것을 포함한다. 물론 연부를 두껍게 하는 또다른 수단이 본 발명의 실시로 부터 벗어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지만, 비이드 재료가 위치된 루프를 형성하기 위해 백 가스입구 개구부를 에워싸는 것은 두껍게 하는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디퓨져의 채널부분과 확실하게 결합하게 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두껍게 하는 수단으로서 바람직하다. 더우기, 비이드 재료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특히, 사출성형된 열가소성 재료)과 같은 폭넓은 재료로 적합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비이드 재료는 에어백의 가스입구 개구부에 꿰매어진 루프 또는 채널 전체에 연속한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한 비이드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백 전개시에 수반되는 응력을 보다 동등하게 분배시킬 수 있고 그런 응력의 바람직하지 못한 점하중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비이드 재료는 특별한 사용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이드 재료는 바아 또는 봉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디퓨져의 채널부분과 결합을 촉진시키기에 적합한 원형 또는 타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서 사용하기 위한 비이드 재료의 다른 예로서, 사출성형된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것같은 펜더 웰트(fender welt)형상의 조각을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에어백의 두꺼운 연부(90)은 하나 이상의 파스너 구멍(94)를 이격시켜 포함하고, 그 파스너 구멍들은 디퓨져의 면부재 측벽의 파스너 구멍(86),(88)과 하우징 측부 패널(31A),(31B)의 파스너 구멍(38)에 대응하여 이격되어 있다.
조립 공정은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해질 수 있다. 제3a도 및 제 3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개구부(92)를 구비하고 비이드 재료(93)을 갖는 두꺼운 연부(90)을 구비한 에어백(13)은 디퓨져 장치(16)에 삽입되어서, 디퓨져(16)의 채널부분(73)은 에어백(14)의 두꺼운 연부(90)(특히, 제4a도에 도시된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12)를 형성하기 위해 비이드 재료(93)을 통해 두꺼워진 부분)과 결합한다. 디퓨져의 채널부분(73)은 에어백(14)의 두꺼워진 연부(90)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확대된 부분이다. 제7도 및 제9도에 파단선으로 도시되고 제3도에서 진행화살표에 의해 도시된 바와같이, 비이드 재료를 구비한 두꺼운 백 연부(90)을 디퓨져 채널부(73)에 삽입한 후, 측벽(68)과 외부플랜지는 압축되거나 함께 클림프되어서 그 사이에 백(14)를 포획하여 고정켜서, 추가의 파스너를 첨가시키거나 첨가시키지 않고 에어백 모듈 조립체로 나중에 들어가기 위한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를 형성한다.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백이 디퓨져 장치에 함께 연결되어 접하도록 클림프 고정된 에어백은 디퓨져가 유연한 백에 소정의 추가 구조물을 제공하기 때문에 조작이 용이하고 조립도 간단할 수 있다. 즉, 그런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의 형성으로 인해, 그 서브조립체는 비교적 견고한 디퓨져 장치에 의해 조작될 수 있고, 그로인해 다양한 자동화된 조작 단계들의 사용을 촉진시킨다. 예를 들어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에 있어서, 비교적 견고한 디퓨져 장치는 자동식 에어백 접는 기기에 대해 부착 지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유연한 에어백 재료를 부착하려는 것과 비교해서, 상기 에어백 접는 기기에 대해 비교적 견고한 디퓨져 장치를 부착하는 것이 훨씬 쉽다. 그래서, 상기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는 자동식 백접는 기기의 사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에어백 모듈 조립체 공정내에서 보다 많은 자동화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더우기, 상기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의 이용으로 인해 그런 서브조립체 있어서 접혀진 백은 모듈로 위치되기전 및 종래의 모듈 조립체에서와 같이 반응실에 부착되기전에 쉽게 검사될 수 있기 때문에 검사공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그런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의 형성으로 인해, 1.적절한 에어백 모듈조립체의 제작을 위한 다른 위치나 나중시간에 2. 다른 종류의 팽창기나 반응기 캐니스터를 갖는 다른 에어백 모듈 조립체(즉, 모듈조립체)를 위해서, 상기 서브조립체의 사용을 허용함으로써 생산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제로, 파스너들은 최종 모듈안의 반응 하우징에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뿐만 아니라 반응 하우징에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수 있다.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뿐만 아니라 반응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하는 특히 바람직한 고정수단은 제2도 및 제4b도에 자세히 도시되어있다. 이들 도면들은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12)를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비이드 재료(93)을 구비한 두꺼운 백 연부(90)는 디퓨져 채널부분(73)내에 삽입되고 디퓨져(16)의 측벽(68)과 외부플랜지(72)는 각각 함께 클림프된다. 디퓨져(16)의 외부플랜지(72) 와 측벽(68)의 파스너 구멍(86),(88)과 에어백의 두꺼운 연부(90)의 파스너(94)와의 초기 정렬후 및 측벽(68)과 외부프랜지(72)의 적절한 클림핑시에, 클림프 유지된 백은 서브조립체(12)가 반응 하우징 캐니스터(24)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적절히 정렬한 파스너 구멍(94),(86),(88)을 구비한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12)안에 유지되며, 그로인해 하우징 측부 패널(31A),(31B)의 파스너 구멍(38)도 디퓨져(16)과 에어백(14)의 파스너 구멍들과 정렬된다. 그후에는, 조립체를 추가로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정렬된 파스너 구멍(38),(86),(88)을 통해 선택된 파스너(96)을 위치시키는 간단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수 있는 파스너들로는 리벳 및 스크류 파스너들이 있다. 사용하기 위한 파스너들의 적절한 선택에 있어서, 실시에서 리벳 파스너를 이용하는 설계는 파스너 구멍들이 비교적 정확하게 절단되는 것과 고정될 부품내의 파스너 구멍들이 비교적 정확하게 정렬되어야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그러므로, 그런 고정에 있어서, 리벳에 대향하는 종래의 스크류의 사용이 고정될 재료내에(즉, 나사식 베어링 재료와 스크류 헤드 사이에 고정될 재료내에) 특대의 파스너 구멍들을 사용함으로써 조립공정을 용이하게 한다. 특대의 파스너 구멍을 사용함으로써 함께 고정될 부품내의 파스너 구멍들의 정렬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스크류들은 큰 크기의 리벳들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 또한,종래의 스크류 파스너들은 일반적으로 대응하는 리벳 파스너들 보다 큰 클램프 하중을 제공한다. 불행하게도, 종래의 스크류 파스너들은 에어백 전개와 연관되어, 높은 응력에서 사용될때의 조립후에 보다 쉽게 느슨해지는 경향이 있다.
스웨이징 스크류(swaging screw)는 본 발명의 실시에서 특히 잘 이용하기 위한 파스너의 일형태이다. 스웨이징 스크류 파스너는 삽입시에 파스너 구멍안으로 끼워지는 나선부를 형성하고 있다.(스웨이징 공정은 스크류 장착토크 80% 이상의 제거 토크를 생성한다.)상기 나선부의 형성은 종래의 나선부 절단 스크류 파스너를 사용할 때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재료의 일반적인 제거와는 반대로, 나선부가 삽입되는 재료(즉, 금속)의 변위 또는 신장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파스너들이 차량의 팽창가능한 보호시스템의 구성부품과 연관하여 사용되기 때문에, 나선부 절단 스크류 파스너의 사용은 바람직하지 못하고 쉽게 제거되지 않는 미세 금속 충전을 형성시킬 수 있다. 대조적으로, 상술된 바와같이 상기 금속 충전은 일반적으로 스웨이징스크류 파스너에 의해서 형성되지 않는다. 스웨이징 스크류 파스너를 사용함으로써, 디퓨져의 면부재의 측벽내의 파스너 구멍들은 제작공정동안 간단한 사출성형은 상기 구멍형성이 세공제어(tooling control)에 크게 이바지하기 때문에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수단일 것이다.
바람직하게도, 에어백은 디퓨져와 덮게 사이에 비팽창된 접힌 형태로 저장되고, 그후에 백은 가스발생기의 작동시에 백으로 진행되는 가스에 대응하여 전개하고 팽창한다. 에어백은 충돌사고시에 차량의 탑승자를 보호하고 탑승자와 상호 작용하기 위해 하중을 분배하고 에너지를 흡수하는 구조물의 형태를 취한다.
실시에 있어서, 에어백은 나일론 6 또는 나일론 6,6과 같은 폴리아미드 섬유 또는 코팅되거나 비코팅된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직조 재료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는 임의의 특별한 공정이나 임의의 특별한 재료로 제작된 에어백의 사용에 국한 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일반적으로, 디퓨져는 특별한 사용에 필요한 어떠한 형상 및/또는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그 크기는 일반적으로 팽창기의 크기와 그것에 부착된 에어백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제5도, 제6도, 및 제7도, 제8도, 제9도, 제10도 및 제11도는 몇가지 양호한 디퓨져 실시예들을 도시하고있다. 예를 들어, 제5도는 유사한 크기를 갖고 동일하게 이격된 4개의 직사각형 개구부를 구멍(70)으로서 구비한 디퓨져(16)을 도시하고 있다. 대조적으로,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디퓨져(16)은 크기 및 형상이 다른 개구부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이런 디퓨져(16)은(a) 각각 세개씩의 개구부를 갖는 3열로 정렬되면서 가로측면(60A)에 인접한 곳에 2열을 구비한 개구부(104), 및 (c) 4개의 보다 큰 개구부(106)들로 된 두개의 그룹을 포함한다.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디퓨져(16)은 제6도 및 제7도의 디퓨져 와 유사하며 가로측면(60A) 근처에 유사한 크기를 갖는 3개의 작은 원형 개구부(102)의 2열을 포함한다. 제8도 및 제9도의 디퓨져는 3개의 이격된 직사각형 개구부(104)를 구비하지만, 각각 대문자 A,B,C를 첨가하여 나타낸 이들 개부들은 크기 및 형상이 변한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디퓨져(16)은 상술된 디퓨져 실시예와 유사하며, 면부재(52), 외부플랜지(72),채널부분(73)을 포함한다. 이런 디퓨져의 면부재(52)는 각이진 단면을 갖는데, 즉 면부재는 선(122)에서 함께 모이는 두개의 평면 부재(120),(121)를 구비하며, 각각의 평면부재(120),(121)은 하기에 서술되듯이 경사져 있다. 각이진 단면으로된 면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면부재는 디퓨져가 팽창기와 바람직하지 못한 접촉을 하지 않으면서 팽창기에 아주 근접하게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가하학적 형태가 보다 작은 모듈을 제작할 수 있게 한다.
면부재(52)는 구멍으로된 가스 유동 진행수단을 포함하며, 그 가스유동 진행수단은 (a) 두개의 직사각형 개구부(124A),(124B),(b) 가로측면(60A)근처에 있는 4개의 작은 원형 개구부(125)로된 2열 및, (c) 평면 부재(120),(121)에서 함께 연결한 선(122)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천설된 장원형의 개구부(126)을 포함한다.직사각형 객부(124A),(124B)는 각각 배플(85A),(85B)로 도시된 배플을 바로 뒤따른다. 제11도에 분명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배플(85A),(85B)는 각각 연부(130)과 바닥부(132)를 포함한다. 배플 연부(130)은 인접한 측벽(68)에 연결되어 도시되어 있다. 용접 등에 의한 배플과 그와 인접한 측벽과 상기 연결은 작동 및 백 전개시에 일어나듯이 디퓨져 장치가 높은 가스유동률을 받을때 배플에 의해 임의의 운동을 조절하고 제한하는 것을 돕는다. 배플들의 바닥부(132)는 모듈에 사용된 팽창기와 맞추어지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팽창기가 원형 단면을 가지면, 배플의 바닥부는 팽창기의 형상에 대응하는 원호형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런 방식으로 디퓨져 장치는 모듈내의 팽창기에 근접하게 위치되어 배플의 사용을 통해알 수 있는 가스유동 진행의 이점을 잠재적으로 증가 시키고 공간의 필요성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이런 디퓨져 실시예의 면부재(52)는 각각 가로측면(60A),(60B)를 따라 파스너 구멍(86')를 구비한 측벽(68C),(68D)를 포함한다. 또한, 디퓨져의 이런 실시예에는 제1도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서술된 바와 같은 세로측면(64)를 따른 것들에 추가하여, 디퓨져의 가로측면(60)을 따라서 채널부분(73C),(73D)로 도시된 채널부분(73)과 파스너 구멍(88')를 구비하는 이부 플랜지(72C),(72D)로서 도시된 외부플랜지(72)들이 장착되어 있다. 특징물들이 추가 대응하는 파스너 구멍들을 포함하는 가로측면 및 세로측면을 따라 상기 부착/고정 특징물을 사용하는 것은 디퓨져의 가로측면 및 위에서 디퓨져에 대한 에어백의 균일한 밀봉을 확실하게 하고자 할 때 특히 유용하다. 또한, 가로측면 및 세로측면을 따라 부착/고정 특징물을 사용하는 것은 캐니스터의측부 패널 단부판에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를 고정시킴으로써 조립체를 고정시킨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것 같은 디퓨져는 다양한 하이브리드형저장가스 및 연소가능한 가스 팽창기를 포함하여 가스를 일측부 또는 단부로부터 배출하는 팽창기 같이 가스의 방향을 바꿀 필요가 있는 팽창기를 구비한 모듈안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디퓨져는 팽창기의 가스 배출 단부가 가로 단부(60A)쪽으로 있는 하이브리드형 팽창기에 사용될 수 있다.일반적으로, 면부재(52)를 통한 가스유동면적(즉 개구부(70))은 팽창기 배출 포트로부터의 거리가 증가 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런 방식으로 디퓨져의 길이를 따른 가스유동의 보다균일한 분배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디퓨져(16)은 가로측면(60A)에서 가로측면(60B)까지 종방향으로 도시된 것처럼, 각각 배플(85A),(85B)의 바로뒤에 있는 직사각형 개구부(124A),(124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설계는 강 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적합한 재료의 단일의 평평한 패턴으로부터 디퓨져 장치를 만드는데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즉 배플을 형성하는 재료는 배플 및 개구부의 각각의 쌍(즉, 배플(85A)와 개구부(124)의 쌍, 배플(85B)와 개구부(124B)의 쌍)을 동시에 제작할 수 있도록 평평한 패턴으로부터 절단되거나 휘어진 재료일 수 있다. 물론, 필요하다면 상술된 바와같이, 배플 연부(130)은 용접에 의해서와 같이 인접한 측벽(68)에 연결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용접은 디퓨져 장치가 재료의 단일의 평평한 패턴으로부터 형성될 때 배플 연부와 측벽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공간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퓨져 장치는 반응 캔의 정부 패널과 저부 패널 사이에 구속용 타이(tie)를 제공하여서, 종모양의 개구를 조절하고 반응 캔의 완전함을 유지시킨다.이런 형태의 부착에 의해서, 에어백 전개 반응력은 반응 하우징 조립체의 입구 부분에서 제한되고, 그로인해 조립체의 변형을 감소시켜주고 계기판과 같은 차량의 근접하게 이격된 부분들에 대한 손상을 방지해 준다. 상기 디퓨져에 의해서, 조립체의 무게를 크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장점이 달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같이, 에어백의 전개후에 , 팽창기는 아주 고온이다. 디퓨져는 차량 탑승자의 수족과 고온의 팽창기 사이에 장벽으로서 역할을 한다. 더우기, 디퓨져는 전개된 백이 팽창기에 주저 앉지 않게하고 녹지않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디퓨져의 면부재 안의 구멍 또는 개구부들은 당업자에게 분명해지겠지만, 가스유도방향을 제어하고 소정의 백 전개 형태를 가질 수 있도록 제작될 수 있다. 더우기, 본원에 서술된 바와같이, 가스 확산 및 분배는 배플에 의해 도움을 받아서 용이하게 이루어져서 가스의 유동을 진행시킨다.
그러한 견지에서, 면부재내의 구멍들은 크기, 형태 및 배열이 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는 특별한 작동방식을 갖는 팽창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국한되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꽃불형 또는 하이브리드형 팽창기들에 의해 적합하게 실시될 수 있다.
물론, 재료의 단일의 평평한 패턴으로부터 디퓨져 장치를 제작한다는 본원의 참조는 완전히 평평한 재료를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참조는 강 또는 알루미늄의 시트와 같은 종래의 시트재료에 대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더우기, 보수의 부품, 조각 또는 재료로부터 디퓨져 장치를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 서술된 것은 단지 이해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 것으로 어떤 제한을 갖지는 않는다. 왜냐하면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사용 및 조건에 따라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변경 및 수정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내에 존재한다.

Claims (24)

  1. 디퓨져 장치로서, 종방향 길이부, 그에 대해 한정된 외주연부 및, 상기 외주연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일체형으로 형성된 측벽을 구비한 면부재;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각을 이루며 배치되고 대향하여 위치된 외부플랜지; 상기 대향하여 위치되고 각을 이루며 배치된 외부플랜지와 상기 측벽을 연결시키며, 에어백의 두꺼운 연부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채널부분 및; 상기 면부재의 종방향 길이부가 상기 면부재를 통한 가스 유동 방향에 수직인 상태이며, 상기 면부재를 통해 가스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면부재안에 다수의 구멍들을 구비하는 가스유동 진행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장치가 연성 금속의 단일의 평평한 패턴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에어백이 승객석 에어백일 때 상기 디퓨져 장치를 승객석 에어백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유동 진행 수단이 상기 면부재의 종방향 길이를 따라 상기 구멍을 통해 가스 유동의 분배를 균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 장치가 하이브리드형 팽창기를 구비한 에어백에 사용되고, 상기 가스 유동 진행수단이 상기 면부재의 하부면 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플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배플이 디퓨져 장치를 통한 가스 유동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와 백을 단일의 조립체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채널부분이 에어백의 두꺼운 연부와 결합한 후에 상기 측벽 및 외부플랜지가 함께 클림프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면부재가 각이진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장치.
  8. 가스의 재방향 설정이 요구되는 팽창기를 갖는 승객석 에어백 모듈 조립체에 사용하기 위해 단일의 평평한 패턴으로부터 제작된 디퓨져 장치로서, 상부면, 하부면, 적어도 두 대의 대향하는 가로측면, 적어도 두 개의 대향하는 세로측면, 상기 가로측면 및 세로측면에 대해 형성된 외주연부, 상기 외주연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일체형으로 형성된 측벽 및 면부재를 통해 가스가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구멍들을 갖는 가스 유동 진행 수단을 구비하는 면부재로서, 그 면부재의 종방향 길이부가 가스유동 방향에 수직이고 상기 가스 유동 진행 수단이 그 하부면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플을 구비하여서 면부재를 통한 가스 유동의 방향을 바꾸어주는 역할을 하는 각이진 단면을 갖는 면부재;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대향하여 위치되고 각을 이루며 배치된 외부플랜지 및; 상기 대향하여 위치되고 각을 이루며 배치된 외부플랜지와 상기 측벽을 연결시키며 에어백의 두꺼운 연부를 결합시키기에 적합한 채널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기가 하이브리드형 팽창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와 백을 단일의 조립체 안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채널부분이 에어백의 두꺼운 연부와 결합한 후에 상기 측벽과 외부플랜지가 함께 클림프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으로 형성된 측벽을 구비한 상기 외주연부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이 적어도 상기 두 개의 대향하는 세로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으로 형성된 측벽을 구비한 상기 외주연부의 상기 적어도 일부분이 적어도 상기 두 개의 대향하는 가로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퓨져 장치.
  13. 차량에 사용하는 팽창가능한 에어백 보호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로서, (a)(ⅰ) 종방향 길이부, 그것에 대해 한정된 외주연부, 및 상기 외주연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일체형으로 형성된 측벽을 갖는 면부재; (ii)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대향하여 위치되고 각을 이루며 배치된 외부플랜지;(iii)상기 대향하여 위치되고 각을 이루며 배치된 외부플랜지를 연결시키고, 에어백의 두꺼운 연부와 결합하기에 적합한 채널부분 및; (ⅳ) 상기 면부재의 종방향 길이부가 상기 면부재를 통한 가스유동 방향에 수직이면서, 상기 면부재를 통해 가스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면부재안에 다수의 구멍들을 갖는 가스 유동 진행수단을 구비한 디퓨져 및;(b)개구부에 상기 디퓨져의 상기 채널부분에 의해 결합된두꺼운 연부를 구비한 팽창가능한 에어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가 하이브리드형 팽창기를 구비한 에어백 모듈 조립체 안에 사용되고, 상기 가스 유동 진행 수단이 상기 면부재의 하부면 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플을 포함하며, 상기 배플이 상기 디퓨져장치를 통한 가스유동의 방향을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와 백을 단일 조립체 안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채널부분이 에어백의 두꺼운 연부와 결합한 후에 상기 측벽과 외부플랜지가 함께 클림프되기에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두꺼운 연부가 비이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드 재료가 상기 에어백의 가스 입구 개구부에 대하여 연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드 재료가 디퓨져의 채널부분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19. 차량에 사용하는 팽창가능한 에어백 보호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에어백 모듈 조립체로서, (a),(i)종방향 길이부, 그것에 대해 한정된 외주연부, 및 상기 외주연부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일체형으로 형성된 측벽을 갖는 면부재; 상기 측벽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해 대향하여 위치되고 각을 이루며 배치된 외부플랜지; 상기 대향하여 위치되고 각을 이루며 배치된 외부플랜지를 연결시키고, 에어백의 두꺼운 연부와 결합 하기에 적합한 채널부분 및; 상기 면부재의 종방향 길이부가 상기 면부재를 통한 가스 유동 방향에 수직이면서, 상기 면부재를 통해 가스가 유동될 수 있도록 상기 면부재안에 다수의 구멍들을 갖는 가스 유동 진행 수단을 구비한 디퓨져 및; (ii) 개구부에 상기 디퓨져의 상기 채널부분에 의해 결합된 두꺼운 연부를 구비한 팽창가능한 에어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b) 백을 팽창시키기위한 수단; (c) 상기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와 상기 팽창수단을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 및; (d) 상기 차량내에 상기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가 상기 면부재의 하부면 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배플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이 면부재의 인접한 측벽에 연결된 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22. 제19항에 있어서, 다수의 파스너를 구비한 고정수단이 상기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두꺼운 연부를 따라 백의 동등한 분배 유지를 연속해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들이 스웨이징 스크류 파스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조립체.
KR1019930023660A 1992-12-18 1993-11-09 에어백 보호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디퓨져 장치,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및 에어백 모듈 조립체 KR9700017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993,277 1992-12-18
US07/993,277 US5470105A (en) 1992-12-18 1992-12-18 Diffuser device and incorporation thereof in a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4012A KR940014012A (ko) 1994-07-16
KR970001742B1 true KR970001742B1 (ko) 1997-02-15

Family

ID=25539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660A KR970001742B1 (ko) 1992-12-18 1993-11-09 에어백 보호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디퓨져 장치,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및 에어백 모듈 조립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470105A (ko)
EP (1) EP0602785B1 (ko)
JP (1) JP2595190B2 (ko)
KR (1) KR970001742B1 (ko)
AU (1) AU4916693A (ko)
CA (1) CA2108590A1 (ko)
DE (1) DE69316727T2 (ko)
MX (1) MX930673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7551A (en) * 1992-12-18 1999-10-19 Autoliv Asp, Inc. Reduced airbag deployment skewness with non-symmetric gas output inflators
US5789827A (en) 1993-05-10 1998-08-04 Sensitron, Inc. Two-wire interface to automobile horn relay circuit
DE4340855C2 (de) * 1993-12-01 1996-05-09 Opel Adam Ag Befestigung eines Luftsackes im Gehäuse eines Airbagmoduls
EP0677433A1 (en) * 1994-04-15 1995-10-18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module and diffuser therefor
JP3020086U (ja) * 1994-07-27 1996-01-19 モートン 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膨張可能な拘束式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US5458364A (en) * 1994-08-22 1995-10-17 Morton International, Inc. Inflator secured in diffuser housing of airbag module assembly by locking end cap
EP0703122A1 (en) * 1994-09-22 1996-03-27 Morton International, Inc. Passenger side air bag module cover attachment arrangement and method
DE4442202C2 (de) * 1994-11-17 1998-10-15 Petri Ag Beifahrer-Airbag-Modul
JPH08295199A (ja) * 1995-03-02 1996-11-12 Nippondenso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5544911A (en) * 1995-07-05 1996-08-13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module diffuser with flange extensions
US5634657A (en) * 1995-11-30 1997-06-03 Morton International, Inc. Elliptical plenum for gas flow control in an automotive airbag system
JP3350333B2 (ja) * 1996-02-06 2002-11-25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5678857A (en) * 1996-02-23 1997-10-21 Morton International, Inc. Assembly and method for the moderation of inflator output
US5613704A (en) * 1996-04-22 1997-03-2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Diffuser structure for clamping an inflator in an air bag module
US5873598A (en) * 1996-08-27 1999-02-23 Toyo Tire & Rubber Co., Ltd. Air bag device
US6392527B1 (en) 1996-09-04 2002-05-21 Sensitron, Inc. Impact detection system
US6236301B1 (en) * 1996-09-04 2001-05-22 Sensitron, Inc. Cantilevered deflection sensing system
DE19650268B4 (de) * 1996-12-04 2006-05-04 Adam Opel Ag Airbagmodul
US5791680A (en) * 1996-12-04 1998-08-11 Autoliv Asp, Inc. Attachment of airbag module assembly protective cover
US5746447A (en) * 1997-01-21 1998-05-05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module
US5775730A (en) * 1997-02-14 1998-07-07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module diffuser
US5752715A (en) * 1997-02-14 1998-05-19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module diffuser
US5788269A (en) * 1997-02-21 1998-08-04 Alliedsignal Inc. Inflator gas diffuser and air cushion retainer
JP4131356B2 (ja) * 1999-07-12 2008-08-13 マツダ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6517110B1 (en) 1999-09-21 2003-02-11 Simula, Inc. Dynamically deployed device shield
US6851704B2 (en) 2002-05-13 2005-02-08 Lear Corporation Air bag assembly
US7097196B2 (en) * 2002-11-27 2006-08-29 Tk Holdings, Inc. Modular airbag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267365B2 (en) 2004-03-10 2007-09-11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Inflator
DE102004022740A1 (de) * 2004-05-07 2005-12-01 Autoliv Development Ab Gassack-Einheit
US7814838B2 (en) 2004-06-28 2010-10-19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7237801B2 (en) 2004-08-31 2007-07-03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US7654565B2 (en) 2005-06-02 2010-02-02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ing system
WO2007005824A2 (en) 2005-06-30 2007-01-11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or
US20070046006A1 (en) * 2005-08-29 2007-03-01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 Gas generator
US7806954B2 (en) 2005-11-01 2010-10-0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or
JP2007302230A (ja) 2006-04-21 2007-11-22 Tk Holdings Inc ガス生成システム
US7731234B2 (en) * 2007-03-06 2010-06-0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with diffuser
US7950691B1 (en) 2007-10-31 2011-05-31 Tk Holdings, Inc. Inflator body with adapter form end
WO2014107505A1 (en) * 2013-01-03 2014-07-10 Key Safety Systems Inc. Airbag module with heat shield
US10913423B2 (en) 2018-09-28 2021-02-09 Autoliv Asp, Inc. Aspirating airbag module assemblies and components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8181A (en) * 1970-08-19 1973-01-02 Ara Inc Construction for safety air cushion system
US4111457A (en) * 1975-12-19 1978-09-05 Bayerische Motoren Werke Ag Inflatable restraining device for motor vehicles
JPS5916980B2 (ja) * 1976-07-29 1984-04-18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ガスバツグ用ガス発生器
US5062664A (en) * 1989-05-11 1991-11-05 Allied-Signal Inc. Air bag assembly
US5069480A (en) * 1989-05-31 1991-12-03 Allied-Signal Inc. Air bag retainer assembly
US4986569A (en) * 1989-06-19 1991-01-22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Airbag attachment system
US4941678A (en) * 1989-06-29 1990-07-17 Morton Thiokol, Inc. Lightweight reaction can for passenger inflators
US5060974A (en) * 1990-04-30 1991-10-29 Oea, Inc. Gas inflator apparatus
US5058919A (en) * 1990-06-15 1991-10-2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construction and assembly technique
GB2247214A (en) * 1990-08-17 1992-02-26 Autoliv Dev Vehicle airbag
GB2246984B (en) * 1990-08-17 1994-11-23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n airbag arrangement
DE9014749U1 (de) * 1990-10-25 1991-02-07 TRW Repa GmbH, 7077 Alfdorf Befestigung eines Gassacks
JPH04169356A (ja) * 1990-10-31 1992-06-17 Nippon Plast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US5131680A (en) * 1991-03-19 1992-07-2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or assembly
DE4109371A1 (de) * 1991-03-22 1992-09-24 Bernd Buedenbender Aus metallblech gefertigter behaelter, insbesondere fass
JPH04353047A (ja) * 1991-05-29 1992-12-08 Toyoda Gosei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ツ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02785A3 (en) 1995-03-01
DE69316727D1 (de) 1998-03-05
EP0602785B1 (en) 1998-01-28
KR940014012A (ko) 1994-07-16
US5470105A (en) 1995-11-28
CA2108590A1 (en) 1994-06-19
JPH06219230A (ja) 1994-08-09
EP0602785A2 (en) 1994-06-22
DE69316727T2 (de) 1998-09-10
JP2595190B2 (ja) 1997-03-26
AU4916693A (en) 1994-06-30
MX9306737A (es) 199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1742B1 (ko) 에어백 보호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디퓨져 장치, 에어백/디퓨져 서브조립체 및 에어백 모듈 조립체
JP2604972B2 (ja) 膨張式クッションを反応容器部材に取付ける装置及び方法
EP1122134B1 (en) Side airbag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7195279B2 (en) Gas flow defl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irbag systems
US5407226A (e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reaction canister
US6161865A (en) Interlocking airbag attachment and module assembly
EP0586131B1 (en) Tethers with tearseams for air bag cushion
US6588793B2 (en) Thin airbag module design for overhead applications
EP0620140B1 (e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reaction canister
US7185912B2 (en) Knee protection airbag device
US6595546B2 (en) Modular airbag inflator system
US5967551A (en) Reduced airbag deployment skewness with non-symmetric gas output inflators
EP1772327B1 (en) Airbag system
US5498024A (en) Inflatable restraint assembly
JP3020086U (ja) 膨張可能な拘束式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US11572030B1 (en) Airbag inflator assembly
EP0677433A1 (en) Airbag module and diffuser therefor
AU660120B2 (e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reaction cani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