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429B1 - 이앙기 - Google Patents

이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429B1
KR970001429B1 KR1019940000322A KR19940000322A KR970001429B1 KR 970001429 B1 KR970001429 B1 KR 970001429B1 KR 1019940000322 A KR1019940000322 A KR 1019940000322A KR 19940000322 A KR19940000322 A KR 19940000322A KR 970001429 B1 KR970001429 B1 KR 970001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her
box
hair
arm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0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005A (ko
Inventor
히로가즈 나카
시로오 아사노
Original Assignee
이세키 노오키 가부시키가이샤
호리에 유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 노오키 가부시키가이샤, 호리에 유키지 filed Critical 이세키 노오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18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앙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이앙기의 전체 측면도이다.
제2도는 이식부의 측면도이다.
제3도는 이식부의 평면도이다.
제4도는 이식부 중앙부의 평면도이다.
제5도는 이식부 측면부의 평면도이다.
제6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A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제7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B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제8도는 모상자 이송장치의 측면도이다.
제9도는 제8도에 있어서의 C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제10도는 모 이송동작의 설명도의 1이다.
제11도는 모 이송동작의 설명의 2이다.
제12도는 모 이송동작의 설명도의 3이다.
제13도는 수동 모 이송동작의 동작설명도의 1이다.
제14도는 수동 모 이송동작의 동작설명 2이다.
제15도는 수동 모 이송동작의 동작설명도의 3이다.
제16도는 이식부 주요부의 측면도이다.
제17도는 전동케이스 등의 단면도의 1이다.
제18도는 전동케이스 등의 단면도의 2이다.
제19도는 모 압출장치의 측면부의 단면도이다.
제20도는 모 받아 넘기는 장치와 모 떨어뜨리는 장치의 측면부의 단면도이다.
제21도는 모 홀더와 모 빼기 암의 배면도이다.
제22도는 모 빼기 암 및 모 두드리는 암의 취부부의 단면도이다.
제23도는 이식장치의 측면도이다.
제24도는 이식장치의 단면도이다.
제25도는 이식장치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26도는 모 받아 넘기는 캠의 설명도이다.
제27도는 각 작동부의 작동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챠트이다.
제28도는 모 상자의 평면도이다.
제29도는 제28도에 있어서의 D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제30도는 육묘 포트의 확대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앙기 2 : 본기
3 : 이식부 4 : 시비장치
5 : 평행링크장치 10 : 전동케이스
12 : 이식장치 14 : 모 상자 이송대
15 : 모 상자 자동 이송장치 16 : 모 압출장치
17 : 모 받아 넘기기 장치 18 : 모 떨어뜨리는 장치
19 : 모 반송 벨트 300 : 모 상자
310 : 모
본 발명은 모(苗)를 모 상자마다 장전하도록 한 이앙기(移秧機)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포트를 나란히 설치한 모 상자에 육묘한 모를 모 상자마다 이식부에 장전하여 그 모 상자에서 포트모를 꺼내면서 모내기를 행하도록 구성한 이앙기가 있다. 이 종류의 이앙기에 사용하는 모 상자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며 이 모 상자를 소정 형상, 예를 들면 대략 U자상의 반송경로를 따라 반송하면서 그 반송경로의 안쪽에서 모 상자의 포트로부터 모를 밀어내어 이것을 이식레버의 모 수취 위치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앙기의 이식부에는 모 수취 위치에 모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모 상자를 소정의 반송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모 상자 이송대, 상기 반송경로의 안쪽에서 모 상자로부터 모를 밀어내는 모압출장치, 모를 1그루씩 이식레버의 모 수취 위치로 반송하는 모 반송 벨트, 상기 모 압출 장치에 의하여 모 상자로부터 밀어내어진 모를 상기 모 반송벨트의 위에 옮겨 바꾸는 모 받아 넘기는 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으나 이들 각 장치를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것이 이앙기 전체의 구성상 중요한 과제로 되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하였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이앙기는 모를 모 상자마다 장전하도록 한 이앙기에 있어서, 모 상자를 측면에서보아 대략 U자상의 반송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모 상자 이송대와, 그 반송경로의 안쪽에서 모 상자로부터 모를 밀어내는 모압출 장치와, 이를 1그루씩 이식레버의 모 수취 위치로 반송하는 모반송 벨트와, 상기 모 압출 장치에 의하여 모 상로부터 밀어내진 모를 상기 모 반송벨트위에 옮겨바꾸는 모 받아 넘기는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모 반송 벨트를 상기 모 상자 이송대의 밑쪽에 평면에서 보아 겹치는 상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앙기는 모 상자 이송대의 밑쪽 평면에서 보아 겹치도록 모 반송 벨트를 설치함으로써 기체의 전장을 짧게 할 수가 있다. 또 그것에 따라 이식레버를 앞쪽으로 편재한 위치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여 기체의 중량 밸런스가 양호하게 된다.
제1도는 내지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이앙기(1)는 4륜 주행차량인 본기(2)에 여섯줄 심기의 이식부(3)와 시비장치(4)가 장착되어 있으며, 전체가 승용형 시비이앙기(乘用型 施肥移秧機)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식부(3)는 본기(2)의 후부에 설치한 평행링크장치(5)에 취부되며, 본기(2)에 대하여 승강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평행링크장치(5)는 유압실린더(6)에 의하여 상하동(上下東)된다.
이식부(3)는 모 상자마다 모를 장전하는 방식으로서, 전동케이스(10)등으로 구성되는 플레임에 모내기줄수 개로 나누어진 이식장치(12)와, 그 이식장치의 모 수취 위치에 모를 1그루씩 공급하기 위한 모 공급용의 각 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모 공급용의 각 장치란 모 상자 이송대(14), 그 모 상자 이송대에 설치한 모 상자 자동 이송장치(15), 모 상자 이송대(14)의 모 압출 위치에서 모 상자로부터 모를 밀어내는 모 압출장치(16), 그 모 압출장치에 의하여 밀어내어진 모를 후기(後記)하는 모 반송 벨트(19)로 받아 넘기는 모 수도장치(17), 그 모 받아 넘기는 장치를 보조하는 모 떨어뜨리는 장치(18), 상기 모 받아 넘기는 장치(17)로부터 받은 모를 이식장치(12)의 모 수취 위치로 반송하는 모 반송 벨트(19)등이다.
사용하는 모 상자는 제28도 내지 제30도에 도시하는 구조로서 가요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재료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즉, 모 상자(300)는 상부에 개구(開口)하는 육묘포트(301), ...기 종횡으로 정열상태로 나란히 되어 있으며, 각 포트의 저부(底部)에 3개의 방사상(放射狀) 슬릿(302)을 가지는 모 압출구멍(30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모 압출구멍(303)은 물빼기도 겸하고 있다. 징변방향을 종(縱), 그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으로 하면 종방향에 대하여는 포트간격이 일정 피치(P)이며, 횡방향에 대하여는 중앙부에 포트와 포트의 간격이 넓게된 경계부(306)가 설치되며, 그 양쪽에 횡 1열당 같은 수씩(예를 들면 7개씩)포트가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대상(帶狀)의 경계부(306)를 사이에 두고 육묘포트가 좌우 2그룹으로 나누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모 상자의 좌우 연부(緣部)는 안내용의 귀부(耳部)(307)로 되어 있으며, 그 귀부에 포트 종방향의 피치(p)와 같은 피치로 평면에서 보아 4각형의 클릭홀(click hole)(308)이 형성되어 있다. 귀부(307)의 선단부(309)는 거의 직각으로 하향으로 굴곡되어 있다. 모 상자(300)는 전체가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후 및 좌우방향의 가요성을 가진다. 포트(301), ...내의 바닥에 흙을 넣고 파종하여 일정한 크기의 성묘(310)가 될 때까지 육성한다. 이하, 이식부(3)의 각 부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 상자 이송대(14)는 모 상자 재치부(載置部)(21)와 모 상자 반송부(22)와 빈 상자 수납부(23)로 이루어진다. 모 상자 재치부(21)는 상하2단 구조로서, 상단의 모 상자 재치부 21(A) 및 하단의 모 상자 재치부 21(B)는 다같이 앞부분이 상위가 되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으며 각각의 후단부에서 서로 합류하고 있다. 그리고 이 합류부(26)에서 모 상자 반송부(22)의 시단(始端)에 접속하고 있다. 모 상자 반송부(22)는 측면에서 보아 대략 U자상을 나타내며 그 U자의 뒤쪽의 단부가 시단으로, U자의 앞쪽의 단부가 후단으로 되어 있다. 빈 상자 수납주(23)는 모 상자 반송부(22)의 종단부의 전방에 설치되고 빈 상자를 복수개 겹쳐쌓아 보지할 수가 있는 스페이스를 가진다.
모 상자의 흐름에 대하여 기술하면, 모 상자 재치부(21)에 얹혀져 있는 모 상자(300)가 모 상자 반송부(22)를 시단쪽으로부터 종단쪽으로 보내지고, 모 상자 반송부(22)의 종단부로부터 방출된 모 상자가 빈상자 수납부(23)로 회수된다. 이 모 상자의 반송은 자동 모 상자 이송장치(15)에 의하여 행하여지며, 모 상자는 상기 1피치(P)씩 간헐적으로 이동한다. 반송도중 모 상자 반송부(22)의 하부에 설치한 모 압출위치(27)에서 모 상자 내의 포트모가 모 압출장치(16)에 의하여 뒤쪽으로 밀려 나온다. 모 상자(300)는 가요성을 가지므로 곡선상의 반송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하 모 상자 재치부의 합류부(26)에는 후술하는 분류기구(分流機構)가 설치되어 있으며, 처음은 하단의 모 상자 재치부 21(B)의 모상자를 모 상자 반송부(21)로 보내고, 하단의 모 상자 재치부 21(B)의 모 상자가 없어지면 상단의 모 상자 재치부 21(A)의 모 상자를 모 상자 반송부(22)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제6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A화살표에서 본 도면으로서, 모 상자 반송부(22)의 공급쪽 부분은 저판(底板)(44)의 연부(44a)와 누름금구(45)로 모 상자의 귀부(307)를 협지한 상태에서 모 상자(300)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누름금구(45)의 하부에는 상하로 긴 장방형의 개구부(45a)가 형성되어 있다.
제7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B화살표에서 본 도면이다. 모 상자 반송부(22)의 되돌아오는 쪽 부분은 모상자의 상면을 따라 좌우 1쌍의 받는 파이프(48),(48)와, 모 상자의 경계부(306)의 이면쪽에 끼우는 안내파이프(49)와를 구비하며, 양파이프(48,48)(49)로 모 상자를 협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하는 것과 같이, 좌우 1쌍의 받는 파이프(48,48)는 그 종단부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그 연결부(48a)는 중앙부가 밑쪽으로 잘룩한 형상으로 되어있고, 또 이 연결부(48a)의 잘룩해진 것에 대응하여 안내파이프(49)의 종단부부근(49a)은 받은 파이프곁에 붙어 굴곡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모 상자 반송부(22)의 종단으로부터 방출되는 직전의 모 상자(300)(X)는 도시하는 것과 같이, 밑에하게 되도록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부려진다. 이와 같이 하면 모 상자(300)(X)의 전후 방향의 강성이 높게 됨으로 방향에 모 상자가 이송방향(전후방향)으로 필요이상으로 꺾어 구부러지지 않게 되어 빈상자 수납부(23)에 잘 회수될 수 있는 것이다.
자동 모 상자 이송장치(15)는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50은 자동이송레버로서, 누름금구(45)의 객부(45a)에 삽입되어 모 상자의 클릭홀(308)의 하부벽면에 걸리는 자동이송 클릭(51)을 가진다. 이 자동 이동레버(50)는 요동암(53)의 선단부에 설치한 롤러축(54)에 토크스피링(55)을 개재하여 모 상자 경로쪽으로 힘이 가하여진 상태로 취부되어 있고 요동아암(53)이 지축(57)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함에 따라 상하동하도록 되어 있다. 자동이송 레버(50)가 하한위치에 있을 때 이동이송클릭(51)이 모 압출 위치(27)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요동암(53)은 모 이송로드(58)를 개재하여 구동된다. 60은 제지레버로서, 상기 개구부(45a)에 삽입되어 모 상자의 클릭홀(308)의 상부벽면에 거는 제지클릭(61)을 갖는다. 이 제지레버(60)는 지지축(62)에 화동자재로 축지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상기 롤러축(54)에 슬라이드 자유로이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요동암(53)이 위로 움직이면 제지레버(60)의 하부가 오른쪽으로 눌리어 제지클릭(61)이 클릭홀(308)로부터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더욱 제지레버(60)가 일정이상 눌리면 이것이 자동이송레버(50)의 계합편(係合片)(50a)에 걸리어 자동이송클릭(51)도 클릭홀(308)로 부터 떨어진다. 또 65는 판스프링 브레이크로서, 훅크부(65a)가 클릭홀(308)에 걸림으로써 모 상자가 자중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10도 내지 제12도에 기초하여 모 이송동작을 설명한다.
제10도는 요동암(53)이 밑으로 요동한 상태를 나타내며 자동이송레버(50)의 자동이송클릭(51) 및 제지레버(60)의 제지클릭(61)이 개구부(45a)에 끼워져 있으며, 제지클릭(61)에 의하여 모 상자의 클릭홀(308)의 상부벽면(초기 상태의 경우는 모상자의하단면)을 받아내어 모 상자(300)의 정지상태로 보지되어 있다.
제11도는 요동암(53)이 위로 요동한 상태를 나타내며 자동이송레버(50)가 위로 움직임으로써 자동이송클릭(51)이 클릭홀(308)의 상부벽면에 따라 슬라이딩하여 자동이송클릭(51)이 클릭홀(308)로부터 밀려나옴과 동시에, 롤러축(54)에 눌리어 제지레버(60)의 하부가 뒤쪽으로 회동하여 제지클릭(61)도 클릭홀(308)로부터 빠져나온다. 판스프링 브레이크(65)의 작용에 의하여 모 상자(300)는 그대로의 위치에 보지된다.
제11도의 상태에서 요동암(53)이 하향으로 회동하면, 제12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자동이송레버(50)의 자동이송클릭(51)이 클릭홀(309)에 끼워진다. 이 시점에서는 아직 제지레버(60)의 제지클릭(61)은 클릭홀(308)로 부터 떨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더욱 요동암(53)이 회동함으로써 자동이송클릭(51)이 클릭홀(308)의 하부벽면을 눌러 밑으로 내리어 모 상자(300)를 1피치(P)만큼 반송한다. 또한 상부의 모 상자는 자중으로 낙하한다. 요동암(53)이 하사점(下死点)까지 회동하면 롤러축(54)에 의한 규제가 해제되어 제지클릭(61)이 클릭홀(308)에 끼워져 제10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모 상자 이송대(14)는 상기 자동모 상자 이송장치(15)와는 별개로 수동 모 상자 이동장치(69)를 구비하고 있다. 제8도 및 제9도에 있어서의 70은 수동이송레버로서, 상기 자동이송클릭(51)과 같은 수동이송클릭(71)을 가지며, 수동레버(73)의 중간부에 설치한 롤러축(74)에 토크스프링(75)을 끼워 모 상자 반송경로쪽으로 힘이 가하여진 상태로 취부되어 있다. 평상시는 수동이송레버(70)가 제8도에서 표시하는 정위치에 있으며, 모 상자가 1피치(P) 이동하는 주기로 수동이송클릭(71)이 모 상자의 클릭홀(308)에 끼워지는 상태와 수동이송클릭(71)이 클릭홀(308)로부터 밀려나오는 상태로 요동하고 있다. 수동레버(73)를 제13도에서 도시하는 범위내에서 왕복동시키면 수동레버(73)가 하향으로 회동 할 때에 수동이송클릭(71)이 클릭홀(308)의하부벽면을 눌러 밑으로 내려 모 상자(300)를 1피치(P)씩 이송방향으로 반송한다. 또한 수동레버(73)를 정위치보다도 조금 위로 움직이면 롤러축(74)이 제지레버(60)의 상부(60a)를 누름으로써 제지레버(60)가 왼쪽으로 회동하는 제지클릭(61)이 클릭홀(308)로부터 빠지므로 수동 모 상자 이동장치(69)에 의한 모 상자의 반송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동레버를 제14도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위로 움직여 수동이송클릭(71)을 계지편(71a)에 걸리게 하면 제지레버(60)가 자동이송레버(50)의 걸림부(50a)에 걸리어 자동이송레버(50)를 뒤쪽으로 회동시키므로 자동이송레버(50)의 자동이송클릭(51)도 클릭홀(308)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되어 모 상자가 자유낙하하도록 된다.
상기 수동 이송레버(70)는 모 상자 장전시에 있어서 모 상자의 낙하방지 스토퍼를 겸하고 있다. 76은 지지축(77)에 회동자유로이 지지된 스토퍼암으로서, 그 선단 굴곡부(76a)가 수동이송레버(70)의 측면부에 형성된 돌기(突起)(70a)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스토퍼암(76)은 모 상자의 구부(307)가 통하는 경로상에 설치되어있으며 스프링(78)에 의하여 모 상자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하여져 있다. 반송 경로상에 모 상자(300)가 있을때는 모 상자(300)에 눌리어 스토퍼암(76)이 제15도에 있어서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있으며, 수동이송레버(70)는 프리이다. 그러나 반송경로상에 모 상자가 없어지면 스프링(78)이 수축력에 의하여 스토퍼암(76)이 제15도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회동하여 선단굴곡부(76a)와 돌기(70a)가 걸리기 때문에 수동이송레버(70)의 동작이 구속된다. 이 때문에 모 상자 이송대(14)의 모 상자가 비었을 때 모 상자(300)를 장전하면 모 상자(300)는 수동이송레버(70)의 수동이송클릭(71)으로 일단 받아 내어 보지된다. 이렇게 하여 두면 모 상자 장전시 모 상자가 모 상자 반송부(22)의 하부까지 급격히 하락하여 모나 모 상자 이송장치(15)에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동레버(73)를 조작하여 수동이송레버(70)를 조금 들어올리면 스토퍼암의 선단굴곡부(76a)와 돌기(70a)의 걸린 것이 떨어져 수동이송레버(70)가 프리로 되므로 보지되어있는 모 상자가 낙하 가능하게 된다. 모 상자가 낙하함으로써 스토퍼암(76)은 눌리어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된다.
상기 스프링(78)이 유동가능하기 끼워져 있는로드(80)는 연결부재(81)에 의하여 요동암(53)과 연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요동암(53)이 위로 요동할 때, 즉 자동이송클릭(51) 및 제지클릭(61)이 클릭홀(308)로부터 떨어졌을 때 스프링(78)이 눌려 오그라들어 스토퍼암(76)에 가하여 지는 힘이 증대하도록 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모 이송의 직전에 자동이송클릭(51) 및 제지클릭(61)이 클릭홀(308)로부터 떨어졌을 때 모 상자(300)는 판스프링 브레이크(65)에 의하여 보지되도록 되어 있으나 윗쪽의 모 상자의 중량이 걸리면 판스프링 브레이크(65)만으로는 지지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이때에 스토퍼암(76)이 윗쪽의 모 상자가 밑으로 움직이려고 하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크로서 작용하여 판스프링브레이크(65)를 보좌하는 것이다.
또 스토퍼암(76)은 상기 분류기구(分流機構)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즉, 상하 모 상자 재치부의 합류부(合流部)(26)에 전환스토퍼(90)가 회동자유로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전환스토퍼와 스토퍼암(76)이 연결로드(91)로 연결되어 있다. 스토퍼암(76)이 제15도에 있어서의 쇄선의 위치에 있을 때는 전환스토퍼(90)도 쇄선의 위치에 있으며 상단의 모 재치부 21(A)의 모 상자반송경로가 닫힌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처음은 하단의 모 상자 재치부 21(B)에 얹혀져 있는 모 상자(300)가 모 상자 반송부(22)에 공급된다. 하단의 모 상자 얹는 부(21)(B)의 모 상자가 공급이 끝나고 모 상자(300)의 최후미가 스토퍼암(76)을 통과하면 스토퍼암(76)에 연동하여 전환스토퍼(90)가 실선의 위치까지 회동하여 상기 모 상자 반송경로가 개방되므로 상단의 모 상자 재치부 21(A)에 얹혀져 있는 모 상자가 모 상자 반송부(22)에 공급되도록 된다.
낙하방지 스토퍼인 수동이송레버(70)와 모 압출 위치(27)의 사이에 모 상자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스위치(93)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검출결과는 예를들면 센터 마스코트의 모 감소램프(94) 등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모 감소램프(94)가 점등하면 작업을 정지하여 모 상자 재치부(21)에 새 모 상자를 보급함과 동시에 빈 상자 수납부(23)에 적재되어 있는 빈상자를 제거한다. 본 실시예의 위치에 감지스위치(93)를 설치해 두면 모가 완전히 없어지기 전에 모를 보급할 수가 있으므로 모내기의 모가 부족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수동이송레버(70)가 스토퍼로서 가능하고 있을 때 감지스위치(93)가 모 감소를 감지하므로 보급한 모 상자가 수동이송레버(70)에 일단 받아내도록 되어 충격 등에 의한 모 상자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모 압출 장치(16)는 상기 모 상자 이송대(14)의 모 압출장치(27)에 위치하는 모 상자로부터 모를 옆 한줄 분씩 뒤쪽으로 밀어내는 소정본수(도시예에서는 14본)의모 압출핀(100), ...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모 압출핀(100), ...을 취부한 취부부재(101)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모 압출로드(102),(102)를 기어케이스(105)내의 모 압출기구(106)(제19도 참조)에서 전후로 왕복동작시켜 모 압출핀(100), ...이 뒤쪽으로 돌출할 때에 그 모 압출핀이 모 상자의 모 압출구멍(303)에 삽입하여 포트(301)내의 모를 뒤쪽으로 밀어내도록 되어 있다.
모 압출기구(106)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후술하는 모 압출구동축(203)에 취부한 선형(扇形)기어(109)와 소경(小經)기어(110)가 치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대경기어(111)와 모 압출로드(102)에 취부한 랙(112)이 맞물리어 있으며 모 압출구동축(203)이 간헐적으로 반복회동하고 그 운동이 왕복동작으로 변환되어 모 압출로드(102)에 전달된다. 또한 스트로크 규제용으로서 선형기어(109)에 형성한 원호상의 긴구멍(114)에 스토퍼핀(115)이 유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모 받아 넘기는 장치(17)는 제20도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어케이스(120)와, 그 기어케이스의 전후에 설치한지지축(121a),(122a)에 베이스부가 지지된 좌우각 1쌍의 링크(121),(121),(122),(122)와, 그 1쌍의 링크의 선단부에 연결축(121b),(121b),(122b),(122b)에 의하여 연결된 연결부재(123),(123)와로 평행링크 장치를 구성하고, 좌우의 연결부재(123),(123)와 일체로 된 뒤쪽에서 보아 아치상의 브라켓(124),(124)의사이에 모 홀더(125)가 걸쳐 설치되어 있다. 모 홀더(125)에는 모(310)의 상토(床土)부분(310a)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저부가 원형으로 요부(凹部)(125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모 홀더(125)는 그 좌우양단부로부터 뒤쪽으로 돌출설치한 취부부재(125)(125b)에 의하여 브라켓(124),(124)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평면에서 보아 뒤쪽이 개방된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앞쪽의 링크(121)의 지지축(121a)은 상기 자동 모 상자 이송장치(15)의 요동암지축(57)과 동일축이다. 환언하면 지지축(121a)의 한쪽의 돌출 단부를 이용하여 요동암(53)이 취부되어 있다고 말할 수가 있다.
기어케이스(120)내에는 압력축(126)에 끼워 장착한 대경의 구동기어(127)와 상기 지지축(121a)(121a)에 끼워 장착한 소경의 종동(從動)기어(128)(129)가 내장되어 있다. 양 종동기어(128)(129)의기어비는 같은 것으로 한다. 입력축(126)의 케이스 밖으로 돌출하는 부분에 종동암(131)이 취부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모 받아 넘기는 구동축(201)에 추부한 구동암(132)과 상기 종동암(131)이 연결로드(133)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20도중의 135, 136은 링크(121)의 상하회동범위를 규제하는 스토퍼이고, 137은 연결로드(133)에 넣어 만든 완충용 스프링이다.
입력축(126)이 소정각도씩 정역 반복회동하여 그것에 의하여 좌우 각 1쌍의 링크(121)(121),(122)(122)가 상하로 요동하여 모 홀더(125)가 제20도에 있어서의 모수취(苗受取)위치(E)와 모 해방위치(F-G)의 사이를 이동한다. 입력축(126)으로부터 양 지지축(121a)(122a)에는 증속(增速)하여 전동되므로 종동암(131)의 작동각에 비하여 양 링크(121)(122)의 작동각은 크게 된다. 또 양 링크(121)(122)가 같이 구동되므로 연결부재(123)가 링크(121),(122)와 평행으로 되는 순간도 동작이 무리없이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모 홀더(125)가 F-G의 중간점에 있을 때 링크(121)(122)의 회동지점인 지지축(121a)(122a)의 바로 밑에 연결축(121b)(122b)이 위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모 홀더(125)가 F-G 사이를 거의 수평으로 앞쪽으로이동하는 것으로 된다.
모 떨어뜨리는 장치(18)는 모 빼는 암(140)과 모 두둘기는 암(141)을 가진다. 모 빼는 암(140)은 지지축(142)에 고정하여 설치되며 그 후단부가 수직으로 굴곡한 소정수의 모 빼기부(140a), ...로 분기되어 있다. 이 모 빼기부(140a), ...의 하부는 모 홀더(125)의 요부(凹部)(125a), ...에 대응하는 뒤쪽에서 보아 원형의 형상을하고 있다. 모 두들기는 암(141)도 후부가 소정수로 분기하고, 그 후단부는 수평으로 굴곡한 모 두들기는 부(141a), ...로 되어 있다. 모 두들기는 암(141)은 지지축(142)에 회동자유로이 취부되어 있으며 그 모 두들기는 암에 고착한 작동암(144)을 모들기는 캠(145)과 되돌리는 스프링(146)으로 요동시킴으로써 모 두들기는 암(141)이 상하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평상시는 모 두들기는 암(141)이위로 올라간 위치에 있으며 작동암(144)의 롤러(147)가 모 두들기는 캠(145)의 요부(凹部)(145a)에 끼워넣으면 스프링(146)의 작용으로 작동암(144)이 당겨올려져 모 두들기는 암(141)이 순간적으로 밑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모 두들기는 암(141)이 밑으로 이동한 상태 일때도 모 두들기는 암은 모 홀더(125)의 경로상에 침입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모 홀더(125)가 모수취 위치(E)에 있을 때 상기 모 압출장치(16)에 의하여 모 상자로부터 모가 밀려나와그 모가 모 홀더(125)가 각 요부(凹部)(125a), ...로 밀려들어간다. 모 홀더(125)의 뒤쪽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잎(310b)이 긴 모드 모 홀더(125)로 보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모를 보지한 그대로 모 홀더(125)가 해방위치(F-G)까지 회동한다. 모 홀더(125)가 F점에서 G점으로 이동할 때, 모 빼기암의 모 빼기부(140a), ...가 모 홀더의요부 125a...에 삽입하고 그 요부에 보지되어 있는 모가 상대적으로 뒤쪽으로 뽑혀진다. 상술과 같이 모 홀더(125)는 F-G사이를 거의 수평으로 앞쪽으로 이동하므로 모 빼기부(140a) , ...가 요부(125a), ...에 직선적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되어 모 홀더(125)로부터의 모 빼기가 양호하게 행하여진다. 더욱 모 홀더(125)가 G점에 도달하면 모 두들기는 암(141)이 밑으로 이동하여 요부(125a), ...로부터 밀려나온 모를 모 반송 벨트(19)(19)의 위에 두들겨 떨어뜨린다. 이와같이 모 빼기암(144)과 모 두들기는 암(141)을 별체로 하여 두면, 모 두드릴 때 모가 암에 부착하는 일이 없이 모가 확실하게 모 반송벨트(19)에 의 위에 떨어뜨려진다.
상기와 같이 평행링크 장치에 의한 회전력을 직접이용하여 모 홀더(125)로부터 모를 빼내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모 배기가 확실하여 행하여진다. 또 모 홀더(125)를 회동시킨다고 하는 하나의 동작으로 상위에 위치하는 모 수위위치(E)로부터 하위에 위치하는 모 해방위치(F-G) 로의 모의 반송과, 모 홀더(125)로부터의 모 빼기를 행하게 함으로써 모 받아 넘기는 장치(17)의구조가 간단하다.
모 반송밸트(19)는 인접하는 3줄(L.R)끼리가 1조로 되어 있으며 이들 1쌍의 모 반송벨트(19)(L,R)는 서로 좌우대칭형으로 되어 있다. 모 반송벨트(19)는 1쌍의 롤러(150)(151)에 평행하게 걸리어 있으며 구동롤러(150)가 소정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벨트가 항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모 받아 넘기는 장치(17)로부터 받아 넘겨지는 14개의 모는 7개씩 좌우의 반 반송벨트(19)(L,R)의 상면에 얹혀진다. 그 모를 모반송 벨트(19)(L,R)가 바깥쪽으로 반송하여 이식장치(12)의 모 수취장치(T1)에 순차 모를 1개씩 공급한다. 또 모 수취장치(T1)의 밑쪽에는 이식장치(12)에 의한 모내기시에 모를 들판까지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53)가설치되어 있다.
이식장치(12)는 측면에서보아 원형의 로터리케이스(160)와, 그 로터리의케이스에 설치한 1쌍의 주걱모양의 이식레버(161),(161)를 구비하여 된다. 로터리케이스(160)의 내부구조는 제24도 및 제25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되어 있다. 도면에 있어서 163은 전동케이스(10)의후단부에 지지된 이식장치 취부축으로서, 이 이식장치 추부축의 선단부에 키(164)에 의하여 고정메탈(165)이 끼워져 장착되고, 또한, 이 고정메탈에 로터리 케이스 하우징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로터리 케이스(160)는 이식장치 취부축(163)과 일체로 회전한다. 이식장치 취부축(163)의주위에는 환상의 가이드홈(168a)을 가진 이식레버 작동캠(168)이 끼워져 있다. 이 캠(168)은 베어링(169)에 의하여 하우징(166)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로움과 동시에 전동케이스(10)에 고착한 고정플레이트(170)에 클릭(168b)에 의하여 일체화되어 있다. 캠(168)의 가이드홈(168a)에는 1쌍의 롤러(172),(172)가 끼워져 있다. 이들 롤러(172)는 지지축(173)의 주위에 회전자유로이 끼워져 있는 암(174)에 취부되어 있다. 또 암(174)에는 기어(17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기어(175)는 이식레버 취부축(177)에 취부한 기어(178)가 맞물리어 있다. 이식레버(161)는 이식레버 취부축(177)에 코터핀(179)으로 고정상태로 취부되어 있다.
이식장치 취부축(163)이 소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이것과 일체로 된 로터리 케이스(160)도 회전하여 이식레버(161)가 폐궤적(閉軌跡)(T)(제23도 참조)을 그리면서 이동한다. 이때 롤러(172),(172)가 이식레버 작동캠(168)의 가이드홈(168a)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암(174)이 요동하고, 그 요동이 기어(175),(178)를 통하여 이식레버 취부축(177)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이식레버(161)는 이동중 미묘하게 그 각도를 변화시킨다. 즉, 모스취위치(T1)를 통과할 때는 수평 상태로 되어 있으며, 모 반송 벨트(19)에 의하여 모스취위치(T1)에 공급된모(310)와 평행으로 된다. 그리고 로터리 케이스(160)에 대하여 그대로의 자세를 보지한 채 밑으로 회동하여 가이드플레이트(153)안을 통과하여 모를 이식위치(T2)로 안내한다. 이식후, 이식레버(161)가 로 리케이스(16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앞쪽으로 회동하도록 자세를 변화시킴으로써 절대적으로는 이식레버(161)가 바로 위로 뽑혀지는 것과 같이 동작하기 때문에 이식레버(161)와 모의 분리가 무리없이 행하여짐과 동시에 이식한 모(310)의 자세가 흐트러지지 않는다.
전동케이스(10)는 2줄씩이 공유하는 합계 3개의 미션케이스(180), ...를 구비하고, 이들 각 미션케이스의 후단부는 통상(筒狀)하우징(181)으로 연결되며 더욱 그 통상 하우징으로부터 합계 8개의 이식장치전동용 체인케이스(182), ...가 후방으로 연설되어 있다. 입력부(10b)는 본체부(10a)와는 별체로 되어 있으며 본기(2)로부터 전동되는 입력축(185)의 회전동력이 우선 입력부(10b)에 입력되고 그 동력이 그 입력부에서 주축(186)에 의하여 본체부(10a)의 각 미션케이스(180), ...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전동케이스(10)의 내부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제17도, 제18도 참조).
입력부(10b)는 1쌍의 베벨기어(190)(191)에 의하여 입력축(185)으로부터 주축(186)으로 전동하는 있지만 이곳에는 안전클러치가 설치되어 있다. 즉, 기어(190)는 입력축(185)에 회전자재로 끼워져 있고 입력축(185)과 기어(190)는 클러치체(192)를 개재하여 전동(傳動)결합되어 있다. 이 클러치체(192)는 입력축(185)에 대하여 슬라이드 자유롭고 스프링(193)에 의하여 클러치체(192)를 기어(190)쪽에 압압함으로써 양자의 전동클릭(190a)(192a)이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부하가 일정 이상으로 되면 프링(193)의 누르는 힘에 대항하여 클러치체(192)가 기어(190)로부터 떨어져 전동이 정지된다. 스프링(193)을 받고 있는 통체(195)를 클러치체(19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시프터(196)로 비켜놓으면 부하의 크기에 관계없이 전동이 정지된다. 또 베벨기어(191)의 키홈(191a)의 길이가 키(198)의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으며, 그 베벨기어를 주축(186)에 대하여 소정의 범위내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입력부(10b) 를 본체부(10a)로부터 독립시킴으로써,그 입력부를 주축(186)에 따라 위치가 달라지도록 함과 동시에 그 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으며 본기(2)에서 입력축(185)에의 전동계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본기쪽의 PTO축의 위치가 다른 기종에 대하여도 이 입력부(10a)를 공용할 수가 있다.
또 안전클러치가 단체 유닛으로 되어 있으므로 토크설정의 조정이나 테스트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실제의 사용할 때에는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하여 입력부(10b)를 중앙의 미션케이스(180)(C)에 고정볼트(188)로 고정해둔다. 이 입력부(10b)의 착탈은 용이하다.
미션케이스(180)내에는 주축(186)의 바깥에 그 주축으로부터 전동되어 상시 일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캠축(200)과, 그 캠축에서 캠구동되어 간헐적으로 반복회전하는 모 받아넘기는 구동축(201), 모 상자 이송구동축(202) 및 모 압출구동축(203)이 지지되어 있다. 제17도에 있어서의 205는 모 받아 넘기는 캠, 206는 그것에 맞닿은 롤러, 207은 모 이송캠, 208은 이 모 이송 캠에 맞닿는 롤러, 209는 모 압출캠, 210은 모 압출캠에 맞닿은 롤러이다. 또 케이스외에 출돌하는 캠축(200)의 한족으 단부에는 상기 모 두들기는 캠(145)이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모 받아 넘기는 구동축(201)에는 모 받아 넘기는 장치(17)를 구동하는 상기 모 받아 넘기는 구동암(132)이 취부되어 있다. 모 이송 구동축(202)에는 선단부를 상기 모 이송로드(58)에 연결시킨 모이송 구동암(211)이 취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요동암(53)의 지축(57)은 링크(121)의 지지축(121a) 과 공통으로 되어 있다.
주축(186)으로부터 캠축(200)에는 기어(212),(213)에 의하여 전동되나 이 개소에는 이식클러치가 설치되어 있다. 즉, 기어(212)가 일체 형서되어 있는 기어통(214)은 주축(186)에 회전자유로이 끼워져 있으며, 그 기어통의 외주부에 클러치체(216)가 회전불능 또한 슬라이드 자유로이 끼워져 있으며, 그 클러치체의 클릭(216a)(217a)에 의하여 전동 연결되는 클릭통(217)이 주축(186)에 끼워 장차되어 있다. 클러치체(216)는 테이퍼면(216b)을 가지며 이 테이퍼면(216D)에 클러치핀(218)을 눌러 맞닿게 하며 클러치체(216)가 클릭통(217)으로부터 떨어져 클러치가 끊긴다. 이대 클러치체(216)가 소정의 각도로 된 시점에서 크러치가 끊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자동 모 상자 이동장치(15), 모 압출장치(16), 모받아 넘기느 장치(17) 및 모 떨어뜨리는 장치(18)는 2줄 단위로 클러치가 연결되고 단락되도록 있으며, 클러치를 끊은 경우에 이들 각 장치가 정위치에서 정지된다.
통상 하우징(181)내에는 2줄씩으로 공용하는 합계 3본의 이식구동축(220), ...이 지지되어 있으며, 각각의 이식구동축(220), ...이 주축(186)으로부터 별개로 전동되어 있다. 각 이식구동축(220)의 양단부는 이식장치 전동용 체인케이스(182),(182)의 베이스부에 위치한다. 한편, 체인케이스(182),(182)의 후단부에는 상기 이식장치 취부축(163)(163)이 지지되어 있으며, 이식구동축(220)의 양단부에 취부한 스프로킷 휠(221)(221)과 이식장치 취부축(163)(163)에 취부한 스프로킷 휠(222)(222)의 사이에 체인(223)(223)이 팽팽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이식구동축(220)는 이것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한 2줄분의 모 반송 벨트 구동롤러축(225)(225)에 베벨기어(226)(226)(227)(227)을 끼워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이식구동축(220)으로부터 구동롤러축(225)으로 직접전동하도록 해두면 이식장치(12)와 모 반송벨트(19)의 동작 타이밍의 어긋남이 적게되며, 이식정도(精度)를 유지함에있어 적합하다.
주축(186)으로부터 이식구동축(220)에는 상기 기어통(214)에 일체형성한 기어(229)와 이식구동축(220)에 고정한 기어(230)에 의하여 전동되므로 이식장치(12) 및 모 반송벨트(19)도 2줄 단위로 클러치가 연결되고 단락되도록 되어 있으며, 클러치를 끊은 경우 이들 각장치는 정위치에서 정지된다.
제16도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미션케이스(180), ...는 모 상자 이송대(14)보다 앞쪽으로 편재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미션케이스로부터 뒤쪽으로 향하여 모 공급용 장치(15)(16)(17)(18)(19) 및 이식장치(12)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부재를 각 위치에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모 반송벨트(19)가 모 상자 이송대(14)의 밑쪽으로 잠입시켜져 배치되어 있으며, 그것에 의하여 이식장치(12)의 위치를 앞쪽으로 편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제 전장이 짧게 됨과 동시에 이식부(3)의 중심이 비교적 앞쪽으로 위치하도록 되며, 중량밸런스가 좋다. 또 상기 각 장치의 전동용 부재가 하나의 전동케이스(10)내에 들어있으므로(입력부(10b)는 제외)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게 되며 부품수를 감소기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식장치(12)오 모 공급용 각 장치(15)(16)(17)(18)(19)의 동작 타이밍을 타임챠트로 나타내면 제27도와 같이 된다. 이 도면은 아래의 것을 의미하고 있다.
(1) 「모 수취 위치」 (a1-a7)는 심는 레버(161)가 모 수취 위치(T1)를 통과하는 타이밍을 나타낸다.
(2)「심는 레버 정지위치」 (b1-b7)는 이식 클러치를 끊었을 때 이식장치(12)가 정지하는 타이밍이며, 심는레버(161)는 모 수취 위치(T1)를 조금 지난 위치에서 정지한다.
(3) 「모 상자 이송」은 자동 이송 클럭(51)의 동작을 나타내며 C1에서 상향동작을 개시하며, C2에서 모 상자와의 걸림이 떨어지기 시작하고, C3에서 상향동작이 정지하며, C4에서 하향동작을 개시하고, C5에서 하향동작이 정지한다. 이송클릭(51)이 하향동작할 때 모 상자를 1피치 이동시킨다.
(4) 「모 압출」에 관하여는 d1-d2사이에서 모 압출핀(100)이 돌출하며, d2-d3사이에서 모 압출핀(100)이 후퇴한다.
(5) 「모 받아 넘김」은 모 받아 넘기는 암(111)의 동작을 나타내며, e1-e3사이에서 모 반송 방향으로 회동하며, e3-e4사이는 정지하고 e4-e5에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회동한다. 단, 모 반송방향으로 회동할 때 전반(e1-e2)은 속도가 빠르고 후반(e2-e3)은 느리게 되어 있다. 이것은 모 떨어 뜨리는 자이(18)에 의한 모빼기 및 모 두드리는 것이 확실하게 행하여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속도조정을 행하기 위하여 모 받아 넘기는 캠(205)의 형상이 제26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되어 있다. 즉 속도를 빠르게 하는 부분(e1-e2)은 캠경의 변화를 급격히 하고, 속도를 느리게 하는 부분(e2-e3)은 캠경의 변화를 느리게 하고 있다. 동 도면에 있어서의 O1은 캠의 회전중심 O2는 e1-e2의 원호중심, O3는 e2-e3의 원호중심이다.
(6) 「모 두들김」은 모 두들기는 암(141)의 동작을 나타내며 f1-f2사이에서 하향으로 동작하며, f2-f3사이는 하동위치(下動位置)에서 정지하고 f3-f4사이에서 상향으로 동작한다. 모 두들기는 암의 하향동작은 스프링(145)에 의하여 행하여 지므로 그 속도가 빠르다. 또 모 두들기는 암(141)이 하동위치에 정지중에 모 홀더(125)가 본 상태로 복귀를 개시하나 상술과 같이 모 두들기는 암(141)은 모 홀더(125)의 경로상에 침입하고 있지 않으므로 양자가 접촉하는 일은 없다.
이식부(3)의 밑쪽에는 정지용(整地用)의 플로트로서 좌우중심부에 위치하는 센터플로트(250)(C)와 본기(2)의 뒷바퀴의 뒤쪽에 위치하는 사이드 프로트(250)(L,R)가 설치되어 있다. 각 플로트(250)(L,C,R)는 앞부분이 넓고 뒷부분은 좁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뒷부분의 좌우 양쪽부에 모 이식용의 홈을 성혈하는 작구기(作溝器)(251), ...가 취부되어 있다. 플로트(250)(L,C,R)는 전동케이스(10)에 상하로 회동자유로이 설치된 지지레버(252)의후단부에 지지핀(도시생략)에 의해 추착(樞着)있음과 동시에 앞부분이 확축(擴縮)링크(225)에 의하여 매달려 있으며, 무논면(水田面)의 요철에 따라 앞부분이 상하동하도록 되어 있다.
센터플로트(250)(C)는 무논면 높이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그 센터플로트의 상하동에 의거하여 상기 유압실린더(6)제어용의 유압밸브(257)의 수풀(spool)이 교체되어 이식부(3)가 무논면에 대하여 일정높이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 때문에 모의 모내기 깊이를 항시 일정하게 보지한다. 상기 플로트 지지레버(252)를 회동시켜 각플로트의 지지높이를 바꿈으로써 모의 모내기 깊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시비장치(施肥奬置)(4)는 비료를 저장하는 호퍼(260)와, 그 호퍼 내의 비료를 밑쪽으로 차례로 내보내는 조출기(操出器)(261)와, 그 조출기에서 차례로 내보내어진 비료를 모 이식용 홈에 안내하는 시비파이프(262)를 구비하고 있다. 시비파이프(262)는 조출기로부터 빈 상자 회수부의 하면부 및 모 상자 이송대(14)의 전면부를 따라 밑쪽으로 뻗고, 더욱 모 상자 이송대(14)의 하단부와 전동케이스(10)의 사이를 통하여 뒤쪽으로 뻗으며, 그 비료토출구(263)가 상기 작구기(251)의 안쪽에서 들판으로 향하고 있다.
모내기 작업에 있어서 이식부(3)를 제1도에 도시하는 작업위치까지 하강시켜 본기(2)를 발진시키면 이식부(3) 및 시비장치(4)가 구동되고, 진행에 따라 들판에 형성되는 모 이식용의 홈에 비료가 공급됨과 동시에 그 직후에 모가 이식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이앙기는 모 상자 이송대의 하방에 평면에서 보아서 겹치도록 모 반송베트를 배치함으로써 기체의 전장(全長)을 줄일 수 있음과 동시에 기체의 중량밸런스를 좋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모를 모 상자마다 장전하도록 한 이앙기에 있어서, 모 상자를 측면에서 보아 대략 U자상의 반송경로를 따라 반송하는 모 상자 이송대와 , 그 반송경로의 안쪽에서 모 상자로부터 모를 밀어내는 모 압출장치와, 모를 1그루씩 이식레버의 모 수취 위치로 반송하는 모 반송벨트와, 상기 모 압출 장치에 의하여 모 상자로부터 밀려나온 모를 상기 모 반송 벨트의 위에 옮겨 바꾸는 모 받아 넘기는 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모 반송벨트를 상기 모 상자 이송대의 밑쪽에 평면에서 보아서 겹치는 상태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앙기.
KR1019940000322A 1993-01-21 1994-01-10 이앙기 KR970001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6124 1993-01-21
JP5026124A JP3050460B2 (ja) 1993-01-21 1993-01-21 田植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005A KR940018005A (ko) 1994-08-16
KR970001429B1 true KR970001429B1 (ko) 1997-02-06

Family

ID=1218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0322A KR970001429B1 (ko) 1993-01-21 1994-01-10 이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50460B2 (ko)
KR (1) KR9700014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643213B (zh) * 2024-01-25 2024-04-05 海诚人居环境建设(云南)集团有限公司 一种人工湿地水生植物栽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50460B2 (ja) 2000-06-12
KR940018005A (ko) 1994-08-16
JPH0723638A (ja) 199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6546T2 (de) Kontinuirliche Beutelfüllmachine mit einer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leeren Beuteln und einer Vorrichtung zum Abführen von gefüllten Beuteln
KR970001429B1 (ko) 이앙기
JP3304913B2 (ja) ポット苗の植付部
JP3147047B2 (ja) 苗植機
JP3306960B2 (ja) 苗植機
JP3309511B2 (ja) 苗移植機
KR100540921B1 (ko) 모종이식기
JP3151499B2 (ja) 移植機の苗植付装置
JPH08289621A (ja) 野菜移植機
JPH1175432A (ja) 移植機の苗トレイ送り装置
JPH08298823A (ja) 苗移植機
JP2001157507A (ja) 移植機
JP3582272B2 (ja) 苗移植機
JP3220883B2 (ja) 田植機
JP2004154146A (ja) 苗植機
JP3427434B2 (ja) 移植機
JP2639631B2 (ja) 移植機の植付装置
JPH1070932A (ja) 乗用型苗植機
JP3341375B2 (ja) 苗移植機
JPS60237902A (ja) 移植機の移植苗継送装置
JPH07184419A (ja) 野菜移植機の苗株取出方法
JPH10150812A (ja) 苗植機
JP2006141361A (ja) 移植機
JPH0534812U (ja) 移植機の植付装置
JP2000209911A (ja) 苗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4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