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890Y1 - 단열커버 - Google Patents

단열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890Y1
KR970000890Y1 KR2019930012005U KR930012005U KR970000890Y1 KR 970000890 Y1 KR970000890 Y1 KR 970000890Y1 KR 2019930012005 U KR2019930012005 U KR 2019930012005U KR 930012005 U KR930012005 U KR 930012005U KR 970000890 Y1 KR970000890 Y1 KR 9700008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heat insulating
heat insulation
insulation cover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20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066U (ko
Inventor
겐스께 미조부찌
가즈오 미무라
Original Assignee
후루까와 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도모마쓰 겐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까와 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도모마쓰 겐고 filed Critical 후루까와 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400080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0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8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8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0Bandages or covers for the protection of the insulation, e.g. against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 or against mechanical dam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단열커버
제1도(a)는 본 고안에 대한 단열커버의 1실시예의 사시도.
제1도(b)는 그 주요부의 확대사시도.
제2도(a)는 제1도에 도시한 단열커버의 단면도.
제2도(b)는 본 고안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단열커버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단열커버의 1예의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단열커버의 다른예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열커버 11 : 간극부
14 : 단열성 성형체 16 : 외장재
18 : 연장부 20 : 단열성 성형체의 측가장자리
22 : 접착제층 24 : 이형필름
30 : 잉여폭부분 40 : 노출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외장재를 갖는 단열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장재의 접착제층상에 박리가 용이한 이형필름을 피착시켜서, 단열커버를 피단열체에 부착할때에 접착제층에서 이형필름을 재빨리 박리하여 부착에 필요한 접착제층을 노출할 수 있도록 개량된 단열커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단열커버는 피단열체, 예컨대 저온유체 또는 고온유체가 흐르는 파이프의 주위를 덮어서 단열하여 외부로부터 열의 유입, 및 유출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형이 된 단열재이다. 단열커버는 통상, 단열재를 중공통영상 또는 판상등의 소망의 형상으로 성형한 단열성 성형체와, 그 단열성 성형체의 외면에 피착된 외장재로 구성되어 있다. 외장재는 주위의 환경으로부터 단열성 성형체(斷熱性成形體)를 보호하기 위해, 예컨대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피착된 보호용 시트이다.
중공통상의 단열커버는 주로 파이프의 단열용으로 사용되어, 판상의 단열커버는 다른 형상의 피단열체, 예컨대 상자상의 피단열체의 주위를 그 외형에 따라서 덮어서 단열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또 복잡한 외형의 피단열체를 단열하기 위해 그 외형에 함치할 수 있는 윤곽으로 성형된 단열커버를 사용하는 일도 있다.
그런데 단열커버를 피단열체에 부착한후, 단열커버가 피단열체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단열커버의 주위를 테이프등의 결속구로 두루 감을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단열커버의 외장재는 단열성 성형체를 덮어서 단열성 성형체를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단열성 성형체를 위로부터 두루 감아서 피단열체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결속구의 기능을 갖출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속구의 기능을 다하기 위해 예컨대 단열성 성형체가 판을 통모양으로 감은 중공통상체인 경우, 외장재는 단열성 성형체의 둘레방향의 한쪽의 측가장자리를 넘어서 둘레방향으로 뻗은 연장부를 가지며 그 연장부의 성형체 피착측외면에는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다.
피단열체의 파이프를 둘러싸도록 하여 통상의 단열커버를 부착한후, 단열성 성형체에 피착하고 있는 외장재의 외표면에 접착제층을 개재시켜서 외장재의 연장부를 겹쳐서 가압하여 접착시킨다.
접착제층에 의한 와장재의 접착작업을 행하기까지 접착제층을 격리보호하기 위해 접착제층에는 이형필름이 피착되어 있다. 단열성 성형체상에 피착한 외장재의 외표면에 외장재의 연장부를 접착하여 결속구로서 기능시키는데는 우선 이형필름을 접착제층에서 박리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단열커버는 종래부터 단열공사의 시공현장, 예컨대 건물의 난냉방 설비공사등의 시공현장에서 사용되는 예가 많고, 그 때문에 단열커버의 현장에서의 사용의 편리, 특히 신속하게 단열커버를 피단열체에 부착할 수 있는 작업성은 단열커버의 설계, 제작상에서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 되어 왔다.
이러한 견지에서 종래로부터 단열커버의 구성에 관하여 이형필름을 외장재에서 재빨리 박리하여 접착제층을 노출시키는 연구가 시행되었다.
예컨대 제3도는 종래의 단열커버의 1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도에 있어서 단열커버는 판을 원통상으로 감은 중공원통체에 단열재를 성형하여 이룬 단열성 성형체(14)와 그 외면상 전면에 피착된 PVC(폴리염화비닐)제 시트의 외장재(16)로 구성되어 있다.
외장재(16)는 단열성 성형체(14)의 둘레방향의 한쪽의 측가장자리(20)를 넘어서 바깥쪽으로 뻗게 하여, 연장부(18)를 형성하고 있다. 연장부(18)의 단열성 성형체 피착측면의 전면에는 접착제층(22)이 형성되고, 다시 그위에 이형지(24)가 피착되어 있다.
이형지(24)의 접착제층(22)에서의 박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형지(24)는 연장부(18)의 끝가장자리(26)에서 더 바깥쪽으로 연장설치되어 있는 연설(延設) 부분(28)을 갖추어 이형지(24)를 박리하기 위해 손가락등으로 집는 협지부로서 그 연설부분(28)을 기능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 종래의 단열커버의 다른예로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중공원통상의 단열커버가 일본국 실개소 54-126255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4도에 있어서 이형지(24)는 외장재(16)의 연장부(18)의 단열성 성형체 피착측면의 접착제층(22)(도시하지 않음)상에 치착이 되어 있고, 또 이형지(24)는 제3도에 도시한 단열커버와는 다르며, 이형지(24)를 박리하기 위해 손가락등으로 집는 협지부로서 길이 방향의 양끝부분에 연설부분(29)을 각각 갖추고 있다.
그러나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종래의 단열커버에서는 이 이형지를 외장재의 연장부에서 박리하므로써 다음에 설명한 바와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종래의 제3도에 도시한 단열커버에 있어서, 이형지(24)를 연장부(18)에서 박리하는데는 한쪽의 손으로 이형지(24)의 연설부분(28)을 협지하였다고 하여도, 또 한쪽의 엽지부를 연장부(18)측에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를 위해서는 예컨대 우선 이형지(24)와 연장부(18)의 끝부분(26)과의 사이에 손가락의 손톱, 또는 나이프, 드라이버의 날등의 박판을 끼워 넣어서 그 사이를 약간 가르고, 이어서 연장부(18)의 끝부분(26)을 집어서 이형지(24)에서 조금씩 벗기어 그곳에 협지부분을 만들어내고 그후 만들어낸 연장부(18)의 협지부분과 이형지(24)의 연설부분(28)을 양쪽의 손으로 각각 협지하여 떼어냄으로서 이형지(24)를 연장부(18)에서 박리하는 것과 같은 방법을 취하지 않을 수 없었다. 또 이형지(24)에서 벗기어 연장부(18)에 만들어낸 협지부분이 작고 협지하기 힘들다는 문제도 있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단열공사시공의 작업원에 있어서 세심한 주의와 수고를 요하는 귀찮은 손잡업이며, 또한 기구를 사용하는 일반의 작업원이 여하간 작업상의 안전, 손상방지를 위하여 손장갑을 끼고 작업할때 손장갑을 낀 상태로 박리작업을 하는 것은 우선 무리이며 보통은 그때마다 손장갑을 벗고 맨손으로 이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이 이형지의 박리는 번잡스럽고 수고를 요하는 능률이 나쁜 작업이었다.
다시 말하면 이형지와 외장재의 연장부와의 사이를 갈라 끌어 당겨 떼어서 연장부에 협지부분을 확보하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고 하면 이형지에 미리 연설부분을 설치하여 협지부를 준비하여 둔다는 구성 자체가 소기의 효과르 발휘하지 않았다고 말할 수 있다.
제4도에 도시한 종래의 단열커버에 있어서도 이형지(24)의 연설부분(29)과 연장부(18)와의 관계는 제3도에 도시한 단열커버에 있어서의 관계와 같으므로 이형지의 박리에 관하여는 제3도의 단열커버에 대하여 상기한 문제와 마찬가지의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제4도의 단열커버에서는 정척의 단열커버의 길이방향 끝부분에만 연설부분(29)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중에서 절단하여 짧은 크기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형지의 연설부분(29)이 그 부분의 단열커버에는 존재하지 않은 것이 되어서 그 부분의 단열커버에서는 박리작업이 더욱 곤란하였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단열커버를 사용하여 단열공사를 시공하고 있는 현실의 시공현장에서는 이형지의 박리가 용이하지 않고 그 때문에 단열커버 부착의 작업성이 나쁘게 되어 작업능률도 낮았다.
이상의 종래의 단열커버의 사용상의 문제점에 감안하여, 본 고안은 일반의 작업원 특히 손장갑을 끼고 작업하고 있는 작업원이라도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개량된 이형필름을 갖춘 단열커버를 제공할 수가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종래의 단열커버에 있어서, 이형필름을 외장재의 연장부에서 벗기기 힘든 원인은 한쪽의 협지부는 이형지의 연설부분에 준비되어 있으나 또 한쪽의 협지부는 미리 준비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연장부를 벗기어 그것에 또 한쪽의 협지부를 만들지 않으면 안되는 것, 다시 만든 또 한쪽의 협지부가 작아서 협지하기 힘든 것을 본 고안자는 발견하였다.
그래서 본 고안자는 이형필름의 연설부분을 연장부의 기단부측에 설치하여 한쪽의 협지부로 하고 또 한쪽의 협지부로서의 연장부의 기단부, 즉 단열커버 본체를 파지함으로써 외장재의 연장부의 선단부에서 기단부로 향하는 종래의 이형필름의 박리진행방향과는 전반대로 연장부의 기단부에서 전단부로 향하는 방향으로 이형필름을 박리하여 가는 것에 착안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착안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관한 단열커버는 단열성 성형체와 그 단열성 성형체의 외면에 피착되고, 또한 단열성 성형체의 하나의 측가장자리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연장부를 가지는 외장재로 되어 연장부의 성형체 피착측의 면에는 접착제층이 형성이 되어, 다시 그 접착제층상에 박리가 가능한 이형필름이 피착되어 있는 단열커버에 있어서, 이형필름이 접착제층의 폭보다도 넓은 폭을 가지며 쌍방의 폭의 차에 의해서 생긴 잉여부분을 단열성 성형체측으로 뻗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에 관한 단열커버에서 사용하는 달열성 성형체는 종래의 단열성 성형체와는 크게 다른 것은 아니고 단열성이 높고, 굴곡성 및 탄력성이 풍부한 발포폴리에틸렌, 발포폴리우레탄폼, 발포폴리세트렌, 유리섬유 등을 사용한 소망의 형상의 성형체, 예컨대 중공원통상, 판상의 단열성 성형체이다.
외장재는 단열성 성형체의 보호를 위해 그 외면에 피착되는 유연한 비투수성 시트재로서 종래부터 상용되고 있는 PVC 등의 합성수지제 시트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형필름은 외장재의 연장부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실제의 접착시까지 격리보호하기 위해 접착제층상에 피착하는 필름으로서, 종이제조에도 합성수지제의 필름이라도 좋다. 알맞게는 이형필름의 접착제층 피착측의 면은 박리성을 좋게 하기 위해 엔보스되어 있다.
이형필름의 상기 잉여폭부분의 폭은 협지할 수 있는 정도의 폭이면 충분하며 손가락으로 협지하는지, 협지공구를 사용하여 협지하는가에 따라서도 다르나 적어도 1mm 바람직하게는 5mm 이상의 폭이라면 현장에서 지장없이 협지할수 있다.
더욱이 단열성 성형체의 측연부에서의 이형필름의 잉여부분의 뻗은 방향은 박리작업에 지장이 없는한 특히 제약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잉여폭부분이 외장재의 연장부에 피착하고 있는 이형필름의 본체부분을 향하여 되접어져서 쌍방의 이룬 각도가 0° 내지 120°의 범위가 되도록 한다. 그것에 따라서 잉여폭부분을 협지하여 박리할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 잉여폭부분은 단열성 성형체의 상기 측가장자리부분에 연설하여 뻗게 할 필요는 없고 손가락등으로 협지하여 이형필름을 박리할 수 있는 한 이형필름의 강도에 대응하여 단속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작용]
본 고안에서는 외장재의 연장부에 형성된 접착제층의 폭보다도 넓은 폭을 가지는 이형필름의 쌍방의 폭의 차에 의해 생긴 잉여폭부분을 단열성 성형체의 측가장자리부분으로 뻗게 하여 한쪽의 협지부로서 기능시켜서 단열커버 본체를 또 한편의 협지부로서 기능시키고 있다.
본 고안에서는 단열커버 본체를 또다른 한쪽의 협지부로 하고 있으므로, 종래의 단열커버에 있어서 외장재의 연장부에 만들어낸 협지부분에 비하여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잡기가 용이한 협지부를 실현하고 있다.
이 잉여폭부분을 한쪽손의 손가락등으로 집고 다른쪽 손으로 단열커버 자체를 지지하면, 외장재 연장부의 기단에 있어서 이형필름과 외장재 연장부와의 사이에서 박리의 진행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자연적으로 금이 생겨, 양쪽손으로 떼내도록 잡아당기면 박리는 연장부의 기단에서 선단으로 진행하여 이형필름이 연장부의 접착제층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빠르게 박리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손톱 혹은 칼등의 박편을 이형필름과 연장부와의 사이에 집어넣어서 그 사이를 가르고, 이형필름과 연장부와의 각각에 협지부분을 만들어내는 것과 같은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실시예)
이하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의거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관한 단열커버의 1실시예의 사시도로서 제1도(a)는 전체 사시도이며, 제1도(b)는 접착제층에 입힌 이형필름의 확대사시도이다.
제2도 (a)는 제1도 (a)에 도시한 화살표시로 본 X-X에서의 단열커버 단면도이다.
또한 상기한 제3도에 도시하는 종래의 단열커버와 동일기능을 가지는 부품에는 제3와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도에 도시한 단열커버는 파이프용의 단열커버(10)로서, 길이방향에 간격부(12)를 갖도록 플레이트를 감은 형상의 솔빈원통으로 형성된 단열성 성형체(14)와, 단열성 성형체(14)의 외면상 전체면에 피착된 PVC제의 얇은 시트형상 외장재(16)로 구성되어 있다.
단열커버(10)를 피단열체인 파이프에 부착시킬 때에는 그 간격부(12)의 간격을 확대하여 파이프주위를 단열성 성형체(14)로 에워싸도록 하여 파이프에 따라 단열커버(10)를 부착시킨다.
외장재(16)의 연장부(18)는 단열성 성형체(14)의 둘레방향 한쪽의 측가장자리(20)를 넘어서 바깥쪽으로 약간 되접어 꺾은 것과 같은 모양으로 단열성 성형체(14)의 측가장자리(20)에 따라 길이방향에 연속하여 뻗어 있다.
또한 연장부(18)는 반드시 되접어 꺾는 것과 같은 형상으로 뻗어 있을 필요는 없고, 박리작업등에 지장이 없는 한 어느쪽 방향으로 뻗어 있도록 특별한 문제는 없으며, 가령 측가장자리(20)의 위치에서의 대략 접선방향으로 뻗어 있어도 무방하다.
연장부(18)의 단열성 성형체(14) 피착측면의 대략 전체면에 접착제의 도포층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층(22)이 설정되어 있다.
또한 그 접착제층(22)상에는 그 전체면에 걸쳐서 이형지(離型紙)(24)가 피착되어 있다.
이형지(24)는 단열성 성형체(14)의 둘레방향에 접착제층(22)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쌍방의 폭의 차이에 의해 발생된 잉여폭부분(30)을 접착제층(22)을 넘어서 단열성 성형체(14)의 측가장자리(20)에 뻗게 하고 있다.
이형지(24)의 잉여폭부분(30)은 본 실시예에서는 약 7mm의 폭을 가지며, 또한 단열성 성형체(14)의 측가장자리(20)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잉여폭부분은 손가락등에 의한 협지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연장부(18)에 피착되어 있는 이형지(24) 본체쪽에 되접어 꺾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형지(24) 본체와 되접어진 잉여폭부분(30)하고는 약 50°의 협각(挾角)을 이무려, 또한 이형지(24)의 접착제층(22) 측면에는 박리성을 양호하게 하기 위하여 미소한 凹부를 무수히 형성한 엠보스무늬가 떠오르게 되어 있다.
접착제층(22)의 접착제 및 이형지(24) 모두 그 재질은 종래부터 상용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특유한 것은 아니다.
잉여폭부분(30)을 오른쪽손의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집고, 왼손으로 단열커버(10) 본체를 잡아 잉여폭부분(30)을 제2도 (a)에서 윗쪽으로 잡아 당기면, 이형지(24)는 외장재(16)의 연장부(18) 기단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하여 박리가 진행되고, 연장부(18)에 형성된 접착제층(24)으로부터 가난하게 박리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손톱 혹은 칼등의 박편을 이형지(24)와 외장재(16)의 연장부(18) 사이에 집어넣고 그 사이를 가르고, 연장부(18)에 협지부분을 만들어 낼 필요가 없다.
또 단열커버(10) 본체가 또 다른 한쪽의 협지부로서 기능하므로, 단열커버(10)는 종래의 단열커버에 있어서 외장재의 연장부에 만들어 낸 협지부분에 비하여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잡기 용이한 파지부를 제공하고 있다.
이형지(24)의 잉여폭부분(30)은 단열성 성형체(14)의 측가장자리(20)에 따라 갈이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단열커버(10)를 길이방향의 소망의 어느 위치에서 절단하여도 동일한 형상의 잉여폭부분(30), 즉 협지부가 항상 절단된 단열커버에 구비되어 있게 되며, 절단된 단열커버의 장단에 불구하고 본 고안의 목적인 이형필름의 용이한 재빠른 박리가 실현된다.
또 제2도(b)는 본 고안에 관한 다른 실시예의 단열커버 단면도이다.
이 단열커버는 제2도(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열성 성형체(14)의 측가장자리(20) 일부에 그 단열성 성형체(14)의 길이방향에 따라 외장재(16)가 접착되어 있지 않은 노출부(40)를 남기도록 하여 연장부(18)가 설정된 이외는 제2도(a)와 동일한 구조이다.
제2도(b)의 단열커버에서는 노출부(40)를 가지므로 이형필름(24)의 박리작업능률이 제2도(a)의 단열커버보다도 더욱 향상된다. 즉 이형필름(24)를 박리할때, 잉여폭부분(30)을 한쪽 손가락으로 집고, 다른쪽 손가락으로 노출부(40)를 눌러서 잉여폭부분(30)을 윗쪽으로 잡아 당기면, 측가장자리가 들어올려짐이 없이 소정위치에 지지된 채의 상태로 이형필름(24)를 박리할 수 있으므로 단열커버의 직경크기 또는 이형필름(24)의 박리방향등에 관계없이 극히 용이하게 박리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속빈 원통형상의 단열성 성형체(14)를 가지는 단열커버(10)를 예로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한정됨이 없이 소망의 형상의 단열커버, 예컨대 플레이트형상이 단열커버등에 적용된다.
[고안의 효과]
본 고안에 관한 단열커버에서는 이형필름들이 연장부에 형성된 접착제층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가지며, 쌍방의 폭의 차에 의해 생긴 잉여폭부분을 단열성 성형체측에 뻗게 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잉여폭부분이 한쪽의 협지부로 되고, 단열커버 본체가 다른쪽의 협지부로 되어 새삼스럽게 이형필름 박리싱에 협지부를 만들 필요가 없으며 예컨대 한쪽손으로 잉여폭부분을 잡고 다른쪽손으로 단열커버 본체를 잡으면 간단하게 재빨리 이형필름을 박리할 수 있다.
단열커버 본체가 협지부로서 기능하므로, 본 고안에 관한 단열커버는 종래의 단열커버에 있어서 외장재의 연장부에 만들어 낸 협지부분에 비하여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잡기 쉬운 파지부를 구비하며 그만큼 이형필름의 박리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본 고안에 관한 단열커버는 결과로서 극히 간단한 구성이나, 그것에 의해 종래와 같이 먼저 이형필름과 외장재의 연장부와의 사이에 손톱등을 집어넣어 그 사이를 약간 가르고 이어서 연장부의 끝부를 집어서 이형필름으로부터 조금씩 벗겨 그곳에 협지부를 만들어내고, 그후 연장부의 협지부분과 이형지를 양쪽순으로 각각 협지하여 떼낸다고 하는 번거로운 품이 드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며, 단지 잉여폭부분을 한쪽손으로 협지하고, 다른쪽손으로 단열커버 본체를 잡아 서로 떼어내면 이형필름을 접착제층으로부터 간단히 박리된다고 하는 종래의 단열커버에는 없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낸다.
본 고안에 관한 단열커버를 사용함으로써 장갑을 끼고 작업하고 있는 작업원도 장갑을 낀채 이형필름을 극히 용이 또한 빠르게 행할 수 있으므로, 그때마다 장갑을 벗고 작업할 필요가 있었던 종래의 단열커버에 비하여 단열커버의 부착작업능률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이형필름의 잉여폭부분을 단열커버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함으로써, 장척의 단열커버를 소망하는 어떤 위치에서 절단하여도 동일형상의 잉여폭부분, 즉 협지부가 항상 절단된 단열커버에 구비되어 있게 되며, 절단된 단열커버의 장단에 불구하고, 본 고안의 목적인 이형필름의 용이하고 재빠른 박리가 실현된다.

Claims (2)

  1. 단열성 성형체(14)와 그 단열성 성형체의 외면에 피착되며 또한 단열성 성형체의 하나의 측가장자리(20)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은 연장부(18)를 가지는 외장재(16)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장부의 상기 성형체 피착측의 면에는 접착제층(22)의 형성되어 다시 그 접착제층상에 박리가능한 이형필름(24)이 피착되어 있는 단열커버에 있어서,상기 이형필름이 상기 접착제층의 폭보다도 넓은 폭을 가지며, 상기 쌍방의 폭의 차에 의해 생긴 잉여폭부분(30)을 상기 단열성 성형체측으로 뻗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커버.
  2. (정정)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성 성형체(14)의 측가장자리(20)의 일부에 그의 단열성 성형체(14)의 길이방향에 따라서 외장재(16)가 접착되어 있지 않는 노출부(40)을 남기도록 하여 연장부(1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커버.
KR2019930012005U 1992-07-13 1993-07-01 단열커버 KR97000089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440792 1992-07-13
JP92-54407 1992-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066U KR940008066U (ko) 1994-04-18
KR970000890Y1 true KR970000890Y1 (ko) 1997-02-12

Family

ID=1296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2005U KR970000890Y1 (ko) 1992-07-13 1993-07-01 단열커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22692U (ko)
KR (1) KR9700008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066U (ko) 1994-04-18
JPH0622692U (ja) 199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391Y1 (ko) 전선인식 테이프 패드
KR100381055B1 (ko) 쌍꺼풀 형성용 테이프 또는 실, 및 그 제조방법
KR950013984B1 (ko) 자체 접착성 보호 막의 도포 방법
WO1996002450A3 (en) Apparatus for applying adhesive tape
JPH02501092A (ja) 剥離補助構造及びその使用法
HU191754B (en) Multi-layer plain form particularly self-adhesive foil, wall-paper, label and matrix respectively surgical or medicinal plaster
EP2285875A1 (en) Releasably adhesive tapes
KR101894654B1 (ko) 이형지 분리가 용이한 양면접착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EP3406681B1 (en) Adhesive tape
JPH09241594A (ja) ロール状粘着テープ
KR970000890Y1 (ko) 단열커버
JP2010053208A (ja) ワイヤーハーネス遮熱用粘着テープ
JPH09111196A (ja) 両面粘着材
JPH0673140U (ja) ロール状粘着テープ
JPS6323730Y2 (ko)
JPH0762307A (ja) 剥離紙付粘着テープ
JPH09238975A (ja) 粘着フィルム
KR20170109658A (ko) 필름을 슬리팅하기 위한 종방향 필라멘트가 구비된 테이프 시스템
JP2901186B1 (ja) 曲面に貼る貼着具とその貼付方法
JPH0912986A (ja) 防水シート
JPS6194084A (ja) 粘着ラベ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92016A (ja) 粘着テープカッター
KR200412669Y1 (ko) 일회용 의료밴드
KR200272694Y1 (ko) 먼지크리너
JP2884233B2 (ja) 両面粘着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3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