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471Y1 - 전기보온 밥솥의 뚜껑과 힌지스프링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전기보온 밥솥의 뚜껑과 힌지스프링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471Y1
KR970000471Y1 KR2019930004526U KR930004526U KR970000471Y1 KR 970000471 Y1 KR970000471 Y1 KR 970000471Y1 KR 2019930004526 U KR2019930004526 U KR 2019930004526U KR 930004526 U KR930004526 U KR 930004526U KR 970000471 Y1 KR970000471 Y1 KR 9700004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hinge spring
pin
hole
electric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4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1901U (ko
Inventor
손영현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4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471Y1/ko
Publication of KR94002190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190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4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4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보온 밥솥의 뚜껑과 힌지스프링의 취부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밥통몸체 2 : 뚜껑
3 : 힌지스프링 4 : 권회부
5 : 걸고리 6 : 양단
21 : 핀삽지부 23 : 지지벽
24 : 괘지공
본 고안은 전기보온 밥솥의 몸체로부터 분리되는 뚜껑에 힌지스프링을 설치함에 있어서 뚜껑의 상태 일측에 괘지공이 형성된 지지벽과 편삽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치 않고서도 힌지스프링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취부시킬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보온 밥솥몸체는 외피와 내피에 다열재를 삽착하여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이와 같은 내피의 바닥면에는 히터가 내장된 열판을 설치하며 쌀과 물이 담겨지는 내솥이 놓여지도록 한후 열판의 가열에 의하여 내솥의 쌀이 취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몸체상탄 일측에는 절첩되는 힌지에 의해 뚜껑이 개폐되도록 연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뚜껑에는 단열재 및 상태, 패킹, 속뚜껑 등이 차례로 결합된 것으로서 주로 몸체와 내솥을 효과적으로 밀폐토록하여 추사 및 보온이 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개폐용 버튼을 눌르면 훅크가 해정됨에 따라 뚜껑을 열수있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개폐용 버튼을 눌렀을때 뚜껑이 보온밥솥 몸체로 부터 저절로 열려서 들어올려 지도록 하려면 힌지부에 스프링을 설치하여야만 되는데 종래에는 힌지스프링 설치시에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였는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구성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 별도의 브라켓을 생산 구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구비된 브라겟을 뚜껑의 상태 일측에 스크류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해 조립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이 까다롭고 인력소모가 많은데 비해 생산성이 낮은 폐단이 있으며,
둘째 ; 상기와 같이 번거로운 작업성으로 인해 힌지용 스프링을 조립하는데 따른 작업시간이 오래 걸려서 인건비 지출이 많고 별도의 브라켓을 생산하는데 따른 생산비가 추가되므로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폐단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치 않고 전기 보온밥솥의 뚜껑 저면에 결합되는 상테 일측에 힌지스프링 고정용 축삽지부와 지지벽을 일체로 형성하며 힌지스프링을 용이하게 고정 할수있는 취부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으로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밥솥몸체(1)로부터 분리되는 뚜껑(2)에 권회부(4)양측으로 걸고리(5)와 양단(6)이 대향 돌출되는 힌지스프링(3)을 설치하되 뚜껑(2)의 상테(20)일측으로 핀공(22)이 형성된 핀삽지부(21)와 괘지공(24)이 형성된 지지벽(23)을 일체로 형성한후 힌지스프링(3)의 양단(6)은 괘지공(24)에 끼우고 권회부(4)는 핀공(22)이 형성된 핀삽지부(21)에 핀(25)으로 핀설하여 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7)은 뚜껑(2)의 개폐버튼이고, (8)은 밥솥몸체(1)에 형성된 삽지홈이며, (9)는 흰지스프링(3)의 고리(5)를 걸여주는 걸림돌기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고안은 제1도 및 제2도에서와 같이 뚜껑(2)의 상테(20)일측에 일페로 사출 형성된 지지벽(23)의 괘지공(24)에 힌지스프링(3) 후미의 양단(6)을 먼저끼워 삽지시킨 다음 힌지스프링(3)의 권회부(4)는 지지벽(23)의 핀삽지부(21)에 형성된 핀공(22)과 일치시켜 핀(25)을 축설하게 되면 걸고리(5)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힌지스프링(3)이 견고하게 조립되는 것이고, 그후 상테(20)의 상부로 뚜껑(2)을 결합하면 힌지스프링(3)과 뚜껑(2)의 결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결합되는 본 고안은 뚜껑(2)의 외부로 돌출된 힌지스프링(3)의 걸고리(5)를 밥솥몸체(1)의 삽지홈(8)에 끼우고 뚜껑(2)을 밥솥몸체(1)에 닫으면 걸고리(5)가 삽지홈(8)의 내벽에 돌설된 걸림돌기(9)에 걸리면서 힌지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다.
이때 본 고안은 양단(6)이 후미에 형성된 지지벽(23)의 괘지공(24)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스프링(3)의 권회부(4)가 핀삽지부(21)에 핀설되어 있으므로 걸고리(5)가 밥솥몸체(1)의 삽지홈(8)속에서 힌지역활을 할때(뚜껑(2)이 밥솥몸체(1)로부터 개폐될때) 힌지스프링(3)이 유통될 우려가 없고 힌지스프링(3)의 탄발력을 효과적으로 유지시켜 주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힌지스프링(3)을 뚜껑(2)의 상테(20)에 취부하기 위해 핀공(22)이 천공된 핀삽지부(21)와 괘지공(24)이 천공된 지지벽(23)을 상테(20)와 일체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브라켓을 생산한 후 뚜껑의 상테에 스크류 조립하는 번거로움을 피할수 있어 생산공정과 조립시간이 상당히 단축되는 것으로서 작업성이 뛰어나서 생산성 향상과 원가절감을 이룰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밥솥몸체(1)로부터 분리되는 뚜껑(2)에 권회부(4)양측으로 걸고리(5)와 양단(6)이 대향 돌출되는 힌지스프링(3)을 설치하되 뚜껑(2)의 상테(20)일측으로 핀공(22)이 형성된 핀삽지부(21)와 괘지공(24)이 형성된 지지벽(23)을 일체로 형성한 후 힌지스프링(3)의 양단(6)은 괘지공(24)에 끼우고 권회부(4)는 핀공(22)이 형성된 핀삽지부(21)에 핀설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보온밥솥의 뚜껑과 힌지스프링의 취부구조.
KR2019930004526U 1993-03-25 1993-03-25 전기보온 밥솥의 뚜껑과 힌지스프링의 취부구조 KR9700004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526U KR970000471Y1 (ko) 1993-03-25 1993-03-25 전기보온 밥솥의 뚜껑과 힌지스프링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4526U KR970000471Y1 (ko) 1993-03-25 1993-03-25 전기보온 밥솥의 뚜껑과 힌지스프링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901U KR940021901U (ko) 1994-10-19
KR970000471Y1 true KR970000471Y1 (ko) 1997-01-24

Family

ID=19352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4526U KR970000471Y1 (ko) 1993-03-25 1993-03-25 전기보온 밥솥의 뚜껑과 힌지스프링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4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89873B1 (fr) * 1999-02-19 2001-04-06 Seb Sa Couvercle d'appareil de cuiss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1901U (ko) 1994-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471Y1 (ko) 전기보온 밥솥의 뚜껑과 힌지스프링의 취부구조
JP3168963B2 (ja) 電気炊飯器
JPS59211B2 (ja) 電気調理器
CN205083290U (zh) 家用电器开盖及保温盖防漏装结构和家用电器
RU2000104085A (ru) Крышка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AU1760200A (en) A lid for a cooking appliance
JPH0865851A (ja) コンセントの防水構造
CN212165618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JPH0516984Y2 (ko)
JPH0515859Y2 (ko)
JPH0748188Y2 (ja) 電気炊飯器
JPH0422087B2 (ko)
CN214548975U (zh) 一种三明治机
JP2534877Y2 (ja) 自動開放蓋体のヒンジスプリング掛止構造
CN209846942U (zh) 盖体及具有其的烹饪器具
JP3137533B2 (ja) 加熱容器の蓋体
JPH0543714Y2 (ko)
JPS5830507Y2 (ja) 炊飯ジヤ−
JP3296199B2 (ja) 炊飯器
KR200210570Y1 (ko) 보일러용 컨트롤박스 결합구조
JPS5835136Y2 (ja) 底蓋の結合装置
JP2553854Y2 (ja) 炊飯器
JPS5830506Y2 (ja) 炊飯ジヤ−のヒンジ部構造
KR200343083Y1 (ko) 전기보온밥통의 뚜껑 히터용 전원선 연결구조
JPH0752664Y2 (ja) 自動開放蓋体の制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