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227Y1 -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227Y1
KR970000227Y1 KR2019940028466U KR19940028466U KR970000227Y1 KR 970000227 Y1 KR970000227 Y1 KR 970000227Y1 KR 2019940028466 U KR2019940028466 U KR 2019940028466U KR 19940028466 U KR19940028466 U KR 19940028466U KR 970000227 Y1 KR970000227 Y1 KR 9700002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armrest
door
plate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84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937U (ko
Inventor
마홍진
Original Assignee
마홍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홍진 filed Critical 마홍진
Priority to KR20199400284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227Y1/ko
Publication of KR9600139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9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2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227Y1/ko

Links

Landscapes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장치가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장치의 팔걸이부 높이를 조절하는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제4도의 (a)(b)는 도어의 내측 두께에 따라 도어 걸이부의 길이를 가변시킨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단면도.
제5도는 팔걸이부의 저면에 설치되는 간격 유지판의 걸림상태를 보인 요부 절취 확대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 장치가 자동차의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팔걸이부 2 : 높이 조절부
3 : 도어 걸이부 4 : 간격 유지판
5 : 도어본체 7 : 유리
11 : 팔 받침체 12 : 지지판
13 : 쿠션재 14 : 소음방지구
21 : 탄성 걸고리 22 : 가이드 레일
23 : 통공 24 : 걸림편
31 : 판체 32 : 고정판
41 : 고정홈 111 : 함체
112 : 뚜껑체 113 : 받침편
114 : 걸림돌기 121 : 걸림홈
122 : 가이드 레일 311 : 돌기
321 : 마찰돌기
본 고안은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석 및 조수석의 도어내측에 간단히 설치하여 필요시 운전자의 왼팔 또는 조수석 탑승자의 오른팔을 편안하게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에는 그 대부분 팔걸이 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았고, 일부 고급승용차에는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의 사이 또는 뒷좌석의 중앙부에만 팔걸이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따라서, 운전자 또는 운전석 뒷자리의 탑승자는 자동차의 주행중 또는 정차중에 자신들의 오른팔을, 또 조수석 및 뒷좌석의 오른쪽 탑승자는 왼팔을 각각 상기 팔걸이에 올려놓고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은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들의 두팔중 어느 일측팔만 걸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측의 팔은 계속해서 자신들의 다리등에 올려 놓고 있어야만 되어 불편한 자세가 지속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동차를 타고 주변경치가 수려한 곳을 지날시 대부분의 탑승자들은 창문측으로 다가앉아 경치를 구성하게 되는데, 이때 도어측에는 팔걸이가 없으므로 도어의 내측을 적절히 잡고 밖을 내다보게 되어 그, 자세의 불편함으로 인해 여행중 피곤함을 쉽게 느끼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내측에 착탈이 가능함과 동시에 그 길이의 가변이 가능한 팔걸이구를 설치하여 필요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들이 왼팔 또는 오른팔을 편안히 올려놓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팔이 걸려지는 부분을 뚜껑체가 개폐 가능한 속빈 함체로 형성하여 비교적 소형의 물품들을 보관하고 다니다가 필요시 손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팔걸이 부분의 함체내에 수납된 물건들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를 보조 팔걸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팔 받침체(11)의 배변으로 돌출된 지지판(12)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수개의 걸림홈(1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는 한쌍의 ㄷ자형 가이드 레일(122)이 형성되며, 팔 받침체(11)의 바닥면 양측부에 길이 방향으로는 한쌍의 ㄴ자형 받침편(113)이 형성되고 이 받침편(113) 사이에는 걸림돌기(114)가 돌출 형성되어 사람의 팔이 직접적으로 얹혀지는 ㄴ자형 팔 걸이부(1)와; 저면 중앙에 상기 팔 걸이부(1)의 걸림홈(121)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탄성 걸고리(21)가 돌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22)에 끼워저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가이드홈(22)이 소정길이 만큼 형성되며, 후방을 향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상단부의 배면에는 도어 걸이부(3)의 단부가 출입되는 통공(23)과 걸림편(24)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팔걸이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2)와; 상기 높이 조절부(2)의 통공(23)에 끼워져 걸림편(24)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돌기(311)가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판체(31)와, 상기 판체(31)의 상단부에서 거의 직각되게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도어본체(5)와 유리(7)사이에 끼워지는 고정판(32)을 구비하고 도어본체(5)의 내측 두께에 따라 높이 조절부(2)에 끼워지는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걸이부(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팔 걸이부(1)이 받침편(113) 사이에는 소정 면적을 갖고 간격유지판(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간격 유지판(4)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14)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수개의 고정홈(41)이 형성된다.
상기 팔 걸이부(1)의 팔 받침체(11)는 상면이 개구된 속이빈 함체(111)로 형성되고, 상기 함체(111)의 개구부에는 지지판(12)의 양측에 측지된 힌지(115)를 중심으로 개폐 가능한 뚜껑체(112)가 설치되고, 상기 뚜껑체(112)의 상면에는 팔의 접촉이 부드럽게 하는 쿠션재(13)가 설치되고, 상기 함체(111)의 바닥면에는 소음방지구(14)가 선택적으로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321는 도어 걸이부(3)의 고정판(32) 배면에 돌출 형성되어 소정의 마찰력을 발생시켜 주는 마찰돌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팔 걸리부(1)의 지지판(12) 배면에 형성된 ㄷ자형 가이드 레일(122)이 높이 조절부(2)의 가이드홈(22) 저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상기 높이조절부(2)를 상부로 부터 눌러주게 되면, 상기 팔 걸이부(1)에 높이 조절부(2)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팔 걸이부(1)의 지지판(12) 배면 중앙에는 상부가 직각이 되도록 파여진 톱니형의 걸림홈(121)이 수직방향에 대해 일정간격을 두고 수개가 형성되어 있고, 높이 조절부(2)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걸림홈(121)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탄성 걸고리(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높이 조절부(2)를 팔 걸이부(1)의 지지판(12)에 결합시킬시에는 그의 탄성 걸고리(21)가 톱니형의 걸림홈(121)들에 위해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넘어갈 수 있어 그의 결합이 용이하고, 또 상기 높이 조절부(2)가 원하는 깊이 만큼 팔 걸이부(1)의 지지판(12)이 결합되었다고 인식되어 손을 떼면 그 위치의 걸림홈(121)에 상기 탄성 걸고리(21)가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이 소정위치의 톱니형 걸림홈(121)에 상기 탄성 걸고리(21)가 걸려지면 상기 높이 조절부(2)를 팔 걸이부(1)에 대해 상방향으로 아무리 잡아당긴다 할지라도 빠지지 않게 된다.
즉, 상기 높이 조절부(2)를 팔 걸이부(1)에 대해 상방으로 잡아당기면 그의 탄성 걸고리(21)가 톱니형 걸림형(121)의 단턱부에 걸려져 상호 완벽한 고정상태가 된다.
물론, 상기 높이 조절부(2)의 하단부가 팔 걸이부(1)의 저면까지 완전히 내려간 상태로 결합되어 있지 않았을 경우에는 상기 높이 조절부(2)를 계속해서 하방으로 눌렀을시 탄성 걸고리(21)의 유무와 무관하게 더 내려갈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팔걸이장치의 아세이를 자동차의 도어내측에 설치한 결과 팔 걸이부(1)의 높이가 낮다고 판단되었을시에는(예를 들어 제3도의 실선과 같은 상태) 상기 높이 조절부(2)의 탄성 걸고리(21)를 외측으로 벌려 현위치의 걸림홈(121)으로 부터 이격되도록 한 다음, 상기 팔 걸이부(1)를 아래방향으로 눌러 원하는 위치까지 상기 팔 걸이부(1)가 내려왔을시(예: 제3도의 가상선 위치) 잡고 있던 탄성 걸고리(21)에서 손을 떼면, 상기 탄성 걸고리(21)가 자체의 탄성력으로 원상복귀되므로 수개의 걸림홈(121)중 현지의 위치의 걸림홈(121)에 상기 탄성 걸림홈(21)가 다시 걸려져 팔 걸이부(1)이 높이가 원하는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높이 조절부(2)의 상단 절곡부에는 소정면적을 갖고 휨이 자유로운 판체(31)와, 도어몸체(5) 및 유리(7)사이에 끼워지는 고정판(32)으로 이루어진 도어 걸이부(3)가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높이 조절부(2)의 상단배면부로는 판체(31)의 두께에 대응되는 통공(23)이 형성되도록 걸림편(24)이 형성되어 있고 판체(31)의 배면에는 수개의 돌기(311)가 일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걸이부(3)의 판체(31) 단부를 상기 높이 조절부(2)의 통공(23)을 통해 밀어넣게 되면, 상기 높이 조절부(2)의 절곡부에서 판체(31)가 꺾이면서 삽입되어 상기 높이 조절부(2)의 배면에 판체(31)가 밀착된 상태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판체(31)의 배면에 형성된 돌기(311)는 상측이 직각진 톱니형상을 가지므로 상기 도어 걸리부(3)를 높이 조절부(2)에 결합시킬시에는 그의 돌기(311)가 바형상을 갖는 상기 높이 조절부(2)의 걸림편(24)에 걸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통공(23)을 통과하게 되어 그의 결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 걸이부(3)를 높이 조절부(2)에 조립하던 중 도어본체(5)의 내측두께에 대응되는 길이의 판체(31)가 남았다고 판단되어 누르던 도어 걸이부(3)로 부터 손을 떼면, 그 위치의 돌기(311)가 상기 걸림편(24)의 저단부 제4a도와 같이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 걸이부(3)의 돌기(311)가 상기 높이 조절부(2)의 톱니형 걸림편(24) 저단부에 걸려지면 상기 도어 걸이부(3)를 상방향으로 아무리 잡아당긴다 할지라도 빠지지 않게 되어 그 길이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상기 도어 걸이부(3)를 높이 조절부(2)에 결합한 후, 그의 고정판(32)을 도어본체(5)와 유리(7) 사이에 끼운 결과 높이 조절부(2)로 부터 돌출되어 있는 판체(31)의 길이가 너무 길다고 판단되었을 시에는 상기 도어 걸이부(3)를 계속해서 하방으로 눌러 그 길이를 원하는 길이로 조절하면 된다.
제4a도는 도어의 내측두께가 비교적 얇았을 시의 도어 걸이부(3)와 높이 조절부(2)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제4b도는 도어의 내측두께가 비교적 두꺼워 판체(31)가 길게 돌출된 상태에서의 도어 걸이부(3)와 높이 조절부(2)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한편, 상기 도어 걸이부(3)의 판체(31) 상단부에는 상기 판체(31)에 대해 거의 직각되는 고정판(3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고정판(32)을 도어본체(5)와 유리(7) 사이에 끼워넣어 줌므로써 팔걸이장치 전체가 이 고정판 (32)에 의해 지탱되어 제6도와 같이 도어에 설치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32)의 배면에는 마찰돌기(321)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유리(7) 사이에 설치된 방진부재와의 사이에서 비교적 강한 마찰력이 발생되어 팔걸이장치 아세이가 도어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유동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어의 내측은 모두 일직선상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므로 팔걸이장치 아세이를 도어에 설치하였을시 팔 걸이부(1)와 도어의 내벽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같이 팔 걸이부(1)와 도어의 내벽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면, 사람의 팔이 상기 팔 걸이부(1)의 팔 받침체(11)에 올려졌을시 그 중량에 의해 높이 조절부(2) 또는 도어 걸이부(3)등의 일부가 휘어져 팔 걸이부(1)의 팔 받침체(11)가 도어의 내벽과 직각상태를 이루지 못하여 팔이 팔 받침체(11)로 부터 미끄러져 떨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이를 방지키 위해 상기 팔 걸이부(1)의 팔 받침체(11)의 바닥면 양측부에는 한쌍의 ㄴ자형 받침편(113)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이 받침편(113) 사이에는 한쌍의 걸림돌기(114)를 한줄로 돌출 형성하여 주고, 받침편(113)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소정면적의 간격 유지판(4) 상면에는 상기 걸림돌기(114)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수개의 고정홈(41)이 형성하여 주었다.
이때, 상기 간격 유지판(4)의 고정홈(41)은 전방이 직각진 톱니형상을 갖도록 형성하여 주므로서, 상기 간격 유지판(4)의 단부를 상기 팔 걸이부(1)의 받침편(113) 전방부에 위치시켜 후방부를 향해 밀어 넣을시 팔 받침체(11)의 저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14)가 상기 간격 유지판(4)의 슬라이딩을 제지하지 못하여 원활히 결합되고, 간격 유지판(4)을 전방부로 잡아 당길시에는 상기 걸림돌기(114)가 제5도와 같이 고정홈(41)에 걸려져 간격유지판(4)이 빠지지 않게 된다.
상기의 간격 유지판(4)은 그 내단부가 도어의 내벽에 닿아 팔 걸이부(1)의 팔 받침체(11)가 도어의 내벽에 대해 직각이 될 때까지 밀어 주면된다.
상기 팔 걸이부(1)의 받침편(113) 사이에 끼워진 간격 유지판(4)의 내단부가 도어의 내벽에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팔 받침체(11)에 사람의 팔등이 올려져 강한 중력이 작용되어도 상기 간격 유지판(4)은 그의 고정홈(41)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팔 받침체(11)는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팔등이 미끄러져 떨어지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팔 걸이부(1)의 팔 받침체(11)는 통상시 소정물건을 담아 놓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속이빈 함체(111)와, 이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뚜껑체(112)로 형성하여 주므로서, 차내를 지저분하게 하는 비교적 적은 물건등을 수납하고 다니다가 필요시 뚜껑체(112)를 열고 손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뚜껑체(112)를 딱딱한 플라스틱재로 그냥 형성시키면 탑승자들이 이 뚜껑체(112)에 팔을 올려놓았을시 감촉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압박감등을 느낄 수 있으므로 상기 뚜껑체(112)의 상면에는 피혁 및 피혁제품 또는 스폰지등을 이용한 쿠션재(13)를 설치하여 주므로서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체(111)내에는 비교적 딱딱한 재질로 형성된 물건들도 수납할 수 있는데, 이와같은 물건들은 주행중 차체가 흔들리면 함체(111)내에서 이동되어 소음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함체(111)내에는 스폰지와 같은 소음방지구(14)를 설치하여 주는 것이 유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첫째로 도어내측에 착탈이 가능함과 동시에 그 길이의 가변이 가능한 팔걸이구를 설치하여 주므로써 필요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들이 왼팔 또는 오른팔을 편안히 올려놓고 휴식을 취할 수 있고, 둘째로 팔이 걸려지는 부분을 뚜껑체를 구비한 함체로 형성하여 줌으로써 비교적 소형의 물품들을 보관하고 다니다가 필요시 손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고, 셋째로 팔걸이 부분의 함체내에 소음방지구를 설치하여 주므로써 그 내부에 수납된 물건들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팔 받침체(11)의 배면으로 돌출된 지지판(12)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수개의 걸림홈(12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122)이 형성되어 사람의 팔이 직접적으로 얹혀지는 팔걸이부(1)와; 저면 중앙에 상기 팔 걸이부(1)의 걸림홈(121)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탄성 걸고리(21)가 돌출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22)에 끼워져 슬라이딩 되도록 하는 가이드홈(22)이 소정길이 만큼 형성되며, 후방을 향해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상단부의 배면에는 도어 걸이부(3)의 단부가 출입되는 통공(23)과 걸림편(24)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팔걸이의 전체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2)와; 상기 높이 조절부(2)의 통공(23)에 끼워져 걸림편(24)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는 돌기(311)가 소정간격을 두고 돌출 형성된 판체(31)와, 상기 판체(31)의 상단부에서 거의 직각되게 일체로 절곡 형성되어 도어본체(5)와 유리(7)사이에 끼워지는 고정판(32)을 구비하고 도어본체의 내측 두께에 따라 높이 조절부(2)에 끼워지는 길이가 가변되는 도어 걸이부(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 걸이부(1)의 팔 받침체(11)의 바닥면 양측부에서 길이방향으로는 한쌍의 받침편(113)이 형성되고 이 받침편(113) 사이에는 걸림돌기(114)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받침편(113)의 사이에는 상기 걸림돌기(114)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수개의 고정홈(41)이 상면에 형성된 간격 유지판(4)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팔 걸이부(1)의 팔 받침체(11)는 상면이 기구된 속이빈 함체(111)로 형성되고, 상기 함체(111)의 개구부에는 지지판(12)의 양측에 축지된 힌지(115)를 중심으로 개폐 가능한 뚜껑체(112)가 설치되고, 상기 뚜껑체(112)의 상면에는 팔의 접촉이 부드럽게 하는 쿠션재(13)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111)의 바닥면에는 소음방지구(1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
KR2019940028466U 1994-10-29 1994-10-29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 KR9700002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466U KR970000227Y1 (ko) 1994-10-29 1994-10-29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466U KR970000227Y1 (ko) 1994-10-29 1994-10-29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937U KR960013937U (ko) 1996-05-17
KR970000227Y1 true KR970000227Y1 (ko) 1997-01-10

Family

ID=1939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8466U KR970000227Y1 (ko) 1994-10-29 1994-10-29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2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937U (ko) 199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39337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CN110027447A (zh) 车辆座椅
KR970000227Y1 (ko) 자동차의 보조 팔걸이장치
KR102125978B1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ITTO960614A1 (it) Appoggiatesta per sedili di autoveicoli.
EP3696085B1 (en) Headrest assembly with flexible support structure and stretched fabric cover
JP3728794B2 (ja) 大人小児兼用自動車用シート
KR200159427Y1 (ko) 수평조절식 헤드 레스트
KR20200021040A (ko) 익스텐션 틸팅 장치
KR20040043025A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100521684B1 (ko) 자동차의 리어 암레스트
KR0126027Y1 (ko) 리어시트의 가변형 아암 레스트
KR0119411Y1 (ko) 자동차용 컵홀더의 보호덮개 장착구조
KR0123761Y1 (ko) 보조 쿠션을 구비한 차량의 리어 시트
JPH1016707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及びシートベルトの高さ調節機構
KR100194713B1 (ko) 도어 글래스 개폐용 파워 스위치의 전후 조절기구
KR0145971B1 (ko) 헤드레스트의 전,후위치 가변구조
KR0115920Y1 (ko) 승용차 뒷시트의 장물(長物)삽입 구조
JP2725973B2 (ja) レールユニットの保護カバー
JPH0429817Y2 (ko)
KR19990035665A (ko) 콘솔박스를 이용한 높이 조절 가능한 센터 암레스트
KR19980018011U (ko) 시이트 마운팅용 커버
KR200311231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0162558B1 (ko) 버스용 시트구조
KR0135109Y1 (ko) 도어트림의 팔걸이 높이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