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128B1 - 전기 연결자용 이동식 패널 장착부 - Google Patents

전기 연결자용 이동식 패널 장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128B1
KR970000128B1 KR1019890007860A KR890007860A KR970000128B1 KR 970000128 B1 KR970000128 B1 KR 970000128B1 KR 1019890007860 A KR1019890007860 A KR 1019890007860A KR 890007860 A KR890007860 A KR 890007860A KR 970000128 B1 KR970000128 B1 KR 970000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panel
mounting
cantilevered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7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067A (ko
Inventor
오거스트 모스퀘라 렌
아놀드 자릿 웨인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루이스 에이.헥트 filed Critical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0000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연결자용 이동식 패널 장착부
제1도는 본 발명의 이동식 패널 장착부를 갖는 전기 연결자의 확대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연결자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한 연결자의 정면도.
제4a도는 패널내의 장착 개구부 부근에 있는 연결자의 이동식 패널 장착부의 평면도.
제4b도는 제4a도의 선 4b-4b를 따라 취한 횡간 단면도.
제5a도는 장착 개구부내로 더욱 전진된 연결자의 이동식 패널 장착부를 나타내는 제4a도와 유사한 평면도.
제5b도는 제5a도의 선 5b-5b를 따라 취한 횡간 단면도.
제6a도는 패널의 장착 개구부내로 더욱 전진된 연결자의 이동식 패널 장착부를 나타내는 제5a도 및 제5b도와 유사한 이동식 패널 장착부의 평면도.
제6b도는 제6a도의 선 6b-6b를 따라 취한 횡간 단면도.
제7a도는 패널에 관하여 완전히 장착된 위치에 있는 이동식 패널 장작부의 평면도.
제7b도는 제7a도의 선 7b-7b를 따라 취한 횡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기연결자 12 : 하우징
14 : 장착 플랜지 16 : 플러그 부분
18 : 수납 공동 20,22 : 안내부
24 : 패널 장착부 26,28 : 래치 구조물
30,60 : 하부 아암 32 : 후방 인접 표면
35 : 장착 개구부 36,66 : 상부 아암
42 : 궁형 표면 44 : 선두캠 표면
46,47 : 체결아암 50,80 : 후미캠표면
52,82 : 패널계합표면
전기 연결자 대향되고 합치가능한 메일 및 피메일(male and female)전기 연결자 반편들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반편은 비전도성 또는 절연성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내의 고정적으로 장착된 최소한 1개의 전기 단자로 구성된다. 전기 전도체 또는 도선(wire lead)은 하우징내에 장착된 단자들에 결합되고 또 변형이 제거된 연결부를 성형하기 위해 하우징 자체에 기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전기 연결자의 최소한 반편의 비전도성 하우징은 전형적으로 패널(panel)에 장착될 수 있다. 드로어 연결자(drawer connector)와 같은 많은 연결자들은 연결자 박편들에 장착된 일조의 패널을 포함하는 상기 박편들을 다른 반편을 향한 최소한 하나의 반편의 이동에 의해 서로 합치될 수 있다.
비전도성 하우징들은 전형적으로 적당한 플래스틱 재료로 성형되고 바람직하게는 일체로 성형된 플래스틱 구조물을 마련한다. 대향되고 합치가능한 연결자 하우징들은 전형적으로 적당한 안내 구조물들을 포함하여 2개의 합치가능한 연결자 반편들을 합치된 전기 연결위치로 안내한다. 연결자 하우징들의 상기 초기의 기계적인 배열을 돕기 위해, 최소한 1개의 연결자 반편 및 전형적으로 메일 연결자 반편에는 패널에의 이동식 장착부가 제공된다.
전기 연결자들은 이동식으로 장착하기 위해 많은 형태의 장착 부재들이 제공되었다. 마땅히 복잡한 구조를 갖는 1개의 상기 이동식 장착 조립체는 1987년 3월 3일자로 Blair 등에게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4,647,130호에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647,130호에 기재된 드로어 연결자는 내부에 타원형의 탄성중합 삽입체를 갖는 확대된 플랜지 개구부를 구성된다. 연결자내의 개구부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스크루우(screw)가 연결자를 패널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러므로, 타원형 삽입체의 주축의 방향 내에서의 이동이 수행되어질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647,130호에 기재된 이동식 연결자는 상기 연결자가 조립되어야 하는 다수의 분리된 부분품들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동이 타원형 삽입체의 장축에 평행한 이동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4,647,130호에 기재된 연결자는 이동식 장착부 조립체에 사용되는 다수의 부분들의 분해에 의해서만 패널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특정의 선행 연결자들은 연결자 하우징 및 장착장치 모두를 성형하는 바람직한 목적을 일체성 플래스틱 구조물로서 인식한다. 상기 형태의 연결자들은 패널과 대면 접촉(face to face contact)하면서 장착되기 위한 대체로 평면인 장착 플랜지를 포함한다. 장착 페그(peg)는 연결자 하우징의 장착 플랜지로부터 대체로 직각으로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와 일체로 된다. 상기 선행 연결자의 장착 페그는 연결자의 장착 플랜지에 대체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대칭 평면을 갖는 2개의 대체로 대칭되는 격설 반편들에 의해 마련되어 장착 페그의 각각의 반편들이 서로 약간 격설되도록 한다. 상기 구조에서, 선형 연결자의 페그 반편들은 캔틸레버(cantilever)되고 서로를 향하여 약간 편향(deflect)될 수 있다. 장착 플랜지로부터 격리된 선행 장착 페그의 단부는 확대되고 패널내의 대응 개구부보다 약간 큰 단면 크기를 마련했다. 선행 장착 페그의 상기 확대된 단부를 적당히 테이퍼되거나 램프로되어 선행 장착 페그의 패널내의 개구부를 향한 이동이 페그 반편들을 서로 향하여 편향시켜 확대된 헤드가 패널내의 개구부를 관통하여 통과하는 것을 허가할 수 있도록 한다. 선행 장착 페그의 개구부내로의 충분한 삽입후에, 확대된 헤드는 패널의 대향 측면을 통과하고 압압된 페그 반편들은 상기 반편들의 초기위치로 복귀하며 확대된 헤드는 연결자를 패널에 유지한다. 상기에 설명한 선행 페그들은 연결자를 패널에 유지하는데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상기 선행 장착 페그들의 구조는 대체적으로 연결자를 패널에 장착하기 위해 요구되는 많은 양의 힘을 필요로 하고 연결자의 패널로부터 제거시 대응되는 정도의 난이도 또는 더큰 난이도를 갖는다.
선행의 장착 페그 연결자를 패널에 장착하기 위해 요구되는 큰 힘은 연결자 또는 패널에 대한 손상의 가능성을 유발하고 유사한 손상 가능성은 패널로부터 연결자를 제거하는 동안에는 존재한다. 그러므로, 선행의 장착 페그 시스템들은 연결자의 패널에 대한 고정적이고 대체로 영구적인 장착을 이루기 위해 설계되고 주로 사용된다.
상기 형태의 선형 장착 페그들에는 대체로 크고 충분한 래칭 견부 직경(latching shoulder diameter) 및 드로어 연결자와 같은 많은 연결자에 요구되는 이동의 양을 제공하기 위한 서로를 향한 장착 페그 단편들의 내부 압축기 제공될 수 없다. 간단히, 상기에 설명한 장착 페그들은 이동을 제공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연결자들을 고정적이고 대체로 영구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현저한 이동을 제공하기 위한 선행의 장착 부재들은 전형적으로 미합중국 특허 제4,647,130호의 구조물과 같은 더많은 복잡한 구조물을 갖는다.
상기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연결자 하우징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는 이동식 패널 장착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널에 용이하게 장착되거나 패널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일체로 성형된 이동식 패널 장착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은 패널의 평면내에 모든 방향으로 큰 정도로 회전 이동될 수 있는 패널 장착부 구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연결자를 패널에 유지하고 구조물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하는 일조의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을 갖는 일체 성형된 이동식 패널 장착부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전기 연결자용의 이동식 패널 장착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패널 장착부는 전기 연결자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고 격리된 전기 연결자와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일체 성형된 정착 구조물로 구성된다. 패널 장착부는 연결자의 접속된니 패널에의 보유를 가능하게 하나 또한 연결자의 패널 평면내에서의 자유로운 회전 이동을 허용한다. 부가적으로, 패널 장착부는 연결자를 패널에 비교적 적은 힘으로 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장착된 연결자를 패널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식 패널 장착부는 최소한 1조의 대향되고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들로 구성되고 각각의 가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은 다수의 독립적으로 편향가능한 캔틸레버된 아암들로 구성된다. 1조의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을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대향 관계로 배설되어 각각의 래치 구조물이 연결자를 패널에 장착하는 도중 다수의 독립적인 캔틸레버식 편향을 경험하도록 한다.
각각의 다중 캔틸레버식 래치 구조물운 전기 연결자 하우징의 일체 부분일수도 있는 장착 플랜지로 구성될 수 있다. 장착 플랜지는 연결자가 장착되는 패널의 평행한 관계로 및/또는 패널과의 대면 접촉 관계로 배설된 대체적인 평면 구조물로 될 수 있다.
하부 아암은 장착 플랜지로부터 캔틸레버된다. 특히 캔틸레버식 하부아암은 장착 플랜지와 일체로 될 수 있고 패널에 대체로 평행하게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패널로부터 격설되어 배설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컨대, 캔틸레버식 하부아암은 대체로 장착 플랜지의 평면에 위치될 수 있지만 하부 아암으로 하여금 장착 플랜지에 관하여 정상적으로 변형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장착 플랜지보다 얇은 구조로 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캔틸레버식 하부 아암은 장착 플랜지가 패널과 대면 접촉하고 있을 때 패널을 향하여 편향될 수 있다.
상부 아암은 장착 플랜지로부터 격리된 하부 아암상의 위치에서 캔틸레버되어 상부 및 하부 아암들이 서로에 관하여 독립적으로 편향되도록 한다. 캔틸레버된 상부 아암은 하부아암과 일체로 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아암에 각도를 이루어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상부 아암은 대체로 전기 연결자가 장착되는 패널내의 장착 개구부를 향하여 연장되기 위해 장착 플랜지에 대해서 대체로 직각으로 될 수 있다. 캔틸레버된 상부 및 하부 아암들의 교차는 대치로 궁형으로, 대향되고 대체적으로 오목 및 볼록인 모서리를 마련할 수 있다. 상부 아암 및 하부 아암 사이의 오목 모서리로부터 연장되는 상부 아암의 표면은 하부 아암으로부터 떨어진 상부 아암상의 위치에서 선두 캠표면을 마련할 수 있다. 선두 캠 표면의 형상은 패널내의 장착 개구부의 형상에 부응하기 위해 선택된다. 특히 선두 캠표면은 내부의 원형의 장착 개구부를 갖는 패널을 위해 대체적으로 볼록의 궁형으로 될 수 있다.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캔틸레버된 상부 아암의 선두캠표면은 초기안내 및 전기 연결자를 패널에 장착하는 도중 다중의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의 편향을 돕는다.
체결 아암은 하부 아암으로 떨어진 상부의 아암의 위치로부터 캔틸레버된다. 캔틸레버 체결 아암은 상부 아암과 일체로 될 수 있고 상기 상부 아암에 궁형의 각을 이루며 배열되어 체결 아암들이 다시 대체로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의 장착 플랜지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한다. 특히, 하부 아암과 체결 아암은 상부 아암의 대향단부들 및 대향 측면들로부터 각을 이루어 연장될 수 있다. 상부 아암 및 체결 아암의 교차부는 또한 대향된 오목 및 볼록 모서리들을 마련한다. 상부 아암 및 체결 아암 사이의 교차부의 볼록 모서리는 바람직하게는 궁형이고 바람직하게는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의 선두 캠 표면의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부분을 마련한다.
상부 아암으로부터 떨어진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의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비선형의 구조로 된다. 예컨대, 체결 아암의 단부는 캔틸레버된 상부 아암에 대체적인 평행배열로 배설된다. 상기 구조의 결과로, 상부 아암으로부터 떨어진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의 부분은 후미 캠표면을 마련할 수 있다.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을 따른 후미 캠표면은 대체로 궁형으로 될 수 있고, 본 발명의 래치 구조물상에 배설되어 래치 구조물이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장착 개구부를 관통하도록 될 때 다중 캔틸레버된 편향부를 파생할 수 있도록 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부 아암 및 상기 상부 아암으로부터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에 의해 마련되는 최대 횡간 단면 크기는 패널내의 장착 개구부의 횡간 단면 크기보다 약간 크게 될 수 있다.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의 극단부는 전기 연결자가 장착될 수 있는 패널의 평면에 대체로 평행한 패널 계합표면을 마련한다.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의 길이는 상기 체결 아암의 단부에 있는 패널 계합 표면이 장착 플랜지로부터 격설되도록 설정된다. 특히, 패널 계합 표면 및 장착 플랜지 사이의 거리는 전기 연결자가 장착되는 패널 두께의 함수이다. 대부분의 실시예들에서, 장착 플랜지 및 체결 아암의 패널 계합 표면사이의 거리는 전기 연결자가 계합되는 패널의 두께보다 약간 크도록 될 수 있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식 패널 장착부는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최소한 1조의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들로 구성된다. 각조의 래치 구조물은 상기 구조물의 최소한 상부 아암과 하부 아암이 대체로 평행 격설 평면에 위치되록 배설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각조의 래치 구조물들은 서로에 관하여 대체로 대향으로 방위될 수 있다. 그러므로, 1개의 래치 구조물의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은 제1방향에서 다수의 장착 플랜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고 조를 이루는 다른 래치 구조물의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과 대체로 대향된 방향에서 다시 장착 플랜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특히, 각조의 체결 아암들은 평행 평면내에 위치될 수 있다. 특히, 각 조의 체결 아암들은 평행 평면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래치 구조물들은 격리된 패널 장착 개구부를 계합하기 위해 배설될 수 있고 예컨대, 연결자의 대향 단부들에 배설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대치 구조물들은 요구되는 이동의 형태에 따라 동일한 또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조에 있는 2개의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들의 상태 배치는 상기 구조물들의 2개의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들에 의해 마련된 최대 횡간 단면 크기가 패널의 장착 개구부내의 대응 크기를 초과하도록 설정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조에 있는 2개의 래치 구조물은 다중 캔틸레버된 편향을 겪게되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장착 개구부를 관통하여 통과할 수 있다.
1조의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로 구성된는 상기에 설명한 이동식 패널 장착부는 단지 1조의 래치 구조물을 패널 내의 장착 개부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캔틸레버된 상부 아암 및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 사이의 각각의 교차부에 대체로 인접하여 배설되는 선두 캠표면은 초기에는 래치 구조물들을 장착 개구부에 관하여 중심 배열되도록 안내한다. 장착 개구부를 향한 래치구조물의 연속적인 이동은 각각의 캔틸레버된 체결아암상의 후미 캠표면을 패널과 접촉하도록 한다. 패널 및 후미 캠표면 사이의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힘은 각각의 래치 구조물의 캔틸레버된 아암들내에 독립적인 다중 편향을 유발한다. 그러나, 래치 구조물들은 대체로 상기 구조물의 초기 위치로 압압적으로 복귀된다.
상기에 지적한 바와 같이, 각각의 조에 있는 각도상에서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들에 의해 마련된 최대 횡간 단면 크기는 장착 개구부의 횡간-단면 크기보다 크다. 결과적으로, 각각의 체결 아암들의 패널 계합 표면은 패널의 표면을 계합하여 전기 연결자를 패널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 그러나, 조를 이루고 있는 2개의 캔틸레버된 상부 아암들에 의해 마련된 최대 횡간단면 크기는 장착 개구부의 횡간 단면 크기보다 현저히 작게된다. 결과적으로, 대체적인 회전 이동은 패널의 평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수행되어 질수 있다.
1조의 래치 구조물에 의해 장착된 전기 연결자는 단지 래치 구조물들의 체결 아암들을 서로를 향하여 압압함에 의해 충분히 캔틸레버된 편향부가 체결 아암들로 하여금 패널내의 장착개구부를 관통하여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패널로부터 정상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본 발명의 이동식 패널 장착부를 포함하는 전기 연결자(10)은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다. 연결자(10)은 패널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패널에의 장착은 제1도 내지 제3도에는 도시되지 않으나 후에 도시되고 상세히 설명한다. 특히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연결자(10)은 대체적인 평면 패널에 장착 가능한 드로어형 연결자 조립체가 메일 반편이고 상기 메일 반편은 또한 패널에 장착 가능한 대응되는 피메일 드로어형 연결자 반편과 합치(mateable)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이동식 패널 장착부는 드로어형 연결자와는 다른 연결자내로 포함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알수 있다.
연결자(10)은 단일 성형된 비전도성 플래스틱 하우징(12)로 구성된다. 표준 강도 및 전기적인 비전도성 요구조건에 부가하여, 플래스틱은 압압적으로 편향가능한 탄성을 지녀야 한다. 예컨대, 나일론으로 충진된 13% 유리가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우징(12)는 대체적 평면인 장착 플랜지(14)로 구성되고 상기 플랜지는 연결자(10)이 장착되는 대체적인 평면 패널과 대체로 대면 접촉하면서 위치되기 위한 것이다. 패널에는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장착 개구부들이 제공된다. 상기에 지적한 바와 같이, 연결자(10)는 드로어형 연결자 조립체의 메일 반편이고 그러므로 하우징(12)는 전방으로 돌출한 플러그 부분(16)으로 구성되며 상기 플러그 부분(16)은 피메일 연결자(도시안됨)의 대응부분을 계합하기 위해 크기가 결정되고 형상된다. 플러그 부분(16)에는 그 내부에 성형되고 전기 전도성 단자(도시안됨)을 체결적으로 계합하기 형성되는 단자 수납 공동(18)이 마련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된 드로어형 연결자와 같은 많은 연결자들은 대체적인 블라인드 메이팅(blind mating)을 겪게되고 상기 블라인드 메이팅에서 정확한 초기의 기계적인 정렬은 보장될 수 없다. 비교적 취약한 단자들을 메일 연결자(10) 및 대응되는 피메일 연결자에 기계적이고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전에 타당한 기계 정렬을 수행하는 것을 돕기 위해, 하우징(12)에는 전방으로 돌출한 안내부(20) 및 (22)가 제공되고 상기 안내부는 피메일 연결자(도시안됨)상의 대응 구조물과 협력하기 위해 형상되고 위치된다. 특히, 피메일 연결자에는 전방으로 돌출한 시라우드(shroud)가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시라우드는 전방으로 돌출한 안내부(20) 및 (22)를 기계적으로 계합하여 연결자 반대편들을 서로 적당히 배열시킨다.
연결자 반편들의 초기의 기계적인 배열을 더욱 돕기 위해,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메일 연결자(10)의 단일 성형된 하우징(12)에는 1조의 이동식 패널 장착부들이 제공되고 상기 장착부들(24)는 대체로 서로 동일하다. 특히, 각각의 이동식 패널 장착부는 하우징(12)와 단일하게 성형되고 장착 플랜지(14)로부터 대체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이동식 패널 장착부(24)는 연결자(10)을 패널에 체결적으로 그러나 분리가능한게 고정하기 위해, 그러나 또한 대체로 패널의 평면내에서 패널에 관한 연결자(10)의 회전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작동되어질 수 있다. 연결자(10)의 패널에 관한 상기 이동식 회전은 또한 연결자(10)의 대응 연결자 반편과의 초기 기계 배열을 원조하여 연결자가 장착되는 많은 상기 패널이 처해지는 대체적인 블라인드 메이팅을 보완한다.
이동식 패널 장착부(24)는 1조의 대향되고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26) 및 (28)에 의해 마련된다. 각각의 래치 구조물(26) 및 (28)은 단일 구조로 되어 있고 장착 플랜지(22)로부터 단일적으로 연장된다.
제1의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26)은 하우징(12)의 장착 플랜지(14)로부터 캔틸레버된 하부 아암(30)으로 구성된다. 특히, 제4a도 및 제4b도에 명확히 도시한 바와 같이, 캔틸레버된 하부 아암과 장착 플랜지(14)의 두께(b)보다 작은 두께(a)를 갖는다.
부가적으로, 하부 아암(30)은 대체로 작동 플랜지(14)의 후방 표면(32)와 배열된다. 그러므로, 캔틸레버된 하부 아암(30)은 장착 플랜지(14)에 관하여 상기 플랜지(14)의 후방 인접 표면(32)로부터 멀어지면서 정상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그러나, 초기의 압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캔틸레버된 하부 아암(30)은 장착 플랜지(14)의 평면내에 위치하고 상기 평면에 대체로 평행하게 되며 그러므로, 하우징(12)가 장착되는 제4b도의 평면 패널(34)에 대체로 평행하게 된다. 특히, 캔틸레버된 하부 아암(30)은 대체로 2.0mm(0.080inch)의 두께(a)를 가질수 있고 장착 플랜지(14)는 3.9mm(0.150inch)의 두께(b)를 가질 수 있다.
상부 아암(36)은 장착 플랜지(14)로부터 떨어진 하부 아암(30)의 단부로부터 캔틸레버된다. 특히, 캔틸레버된 상부 아암(36)은 캔틸레버된 하부 아암(30)에 대체로 직각으로 상기 하부 아암과 단일적으로 배열된다. 하부 아암(30) 및 상부 아암(36)에 의해 마련되는 평면은 장착 플랜지(14)에 의해 마련되는 평면에 대체로 직각이다. 상부 아암(36)은 패널(34)내의 장착 개구부(35)의 직경보다 현저히 작은 두께(c)를 갖는다. 예컨대, 상부 아암(36)은 2.3mm(0.090inch)의 두께를 가질 수 있고 장착 개구부(35)는 대체로 7.0mm(0.280inch)의 직경을 마련할 수 있다. 상부 아암의 길이는 하우징(12)가 장착되는 패널에 두께에 의해서 그리고 하부 아암(30)에 관하여 상부 아암(36)에 요구되는 편향의 양에 의해서 최소한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캔틸레버된 하부 아암(30) 및 상부 아암(36)의 교차부는 내부 또는 오목 모서리(38) 및 외부 또는 볼록 모서리(40)을 마련한다. 오목 모서리(38)로부터 연장되는 캔틸레버된 상부 아암(36)의 표면(42)는 대체로 궁형으로 형태되어 패널(34)내의 장착 개구부(35)의 대체적인 원형 형상에 부응한다. 특히, 곡선 표면(42)는 캔틸레버된 상부 아암(36)에 대체로 평행한 축돌레를 따라 궁형 형상으로 연장된다. 상부 아암(36)은 또한 상부 아암(36)의 하부 아암(30)에의 캔틸레버 연결부로부터 떨어진 상기 상부 아암의 단부에서 궁형의 선두 캠표면(44)를 포함한다. 선두캠표면(44)의 만곡부(curvature)는 하부 아암(30) 및 상부 아암(36)에 의해 마련된 평면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연장되는 축둘레로 연장된다. 후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선두캠표면(44)는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26)의 패널(34)내의 장착 개구부(35)에 관한 초기 정렬에 기여할 수 있다.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26)은 또한 체결 아암(46)으로 구성되고 상기 아암(46)은 하부 아암(30)으로부터 떨어져 상부 아암(36)의 단부로부터 캔틸레버되고 상기 단부에 각도를 이루어 정렬된다. 제2도 및 제3도에 가장 명확히 도시한 바와 같이,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46)은 하부 아암(30) 및 상부 아암(36)에 의해 마련된 평면내의 대체로 배설되고 상기 평면은 상기에 설명한 바와같이, 장착 플랜지(14)의 평면에 대체로 직각으로 된다. 그러나, 제4b도에 가장 명확히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아암(30) 및 체결 아암(46)은 상부 아암(36)의 대체로 대향된 종방향 측면도로부터 연장된다.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46)은 상부 아암(36)에 각도상으로 정렬되어 장착 플랜지(14)로부터 떨어진 상부 아암(36)의 단부로부터 장착 플랜지(14)를 향하여 대체로 반대로 연장된다. 특히, 체결 아암(46)은 대체로 30°인 각(d)로 상부 아암(36)을 교차한다. 캔틸레버된 상부 및 체결 아암(36) 및 (46)의 교차부에 의해 마련되는 볼록 또는 외부 모서리는 선두캠표면(44)의 연속적인 궁형 연장부를 효과적으로 마련한다.
체결 아암(46)은 대체로 곡면으로 되고 상부 아암(36)에 대체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단부 부분(48)로 구성된다. 체결 아암(46)의 상기 곡면 부분(48)은 볼록한 후미캠표면(50)을 마련하고 상기 캠표면(50)은 패널내의 개구부에 근접하여 패널(34)를 계합하여 이후에 설명하고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26)내에 편향을 유발하게 된다. 후미캠표면(50)의 극단부는 상부 아암(36)에 대체로 평행하다. 상부 아암(36)의 표면(42) 및 상기 표면(42)에 평행한 후미캠표면(50)의 부분 사이의 최대 거리는 크기(e)로 도시되어 있고 장착 개구부(35)의 직경보다 크게 된다. 예컨대, 거리(e)는 연결자가 7.0mm(0.280inch) 직경의 장착 개구부를 갖는 패널(34)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대체로 7.9mm(0.31inch)로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 거리(e) 및 장착 개구부(35) 사이의 차이는 0.74mm 내지 0.89mm(0.025 내지 0.035inch)이다. 상기 구조의 결과로,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46)은 래치 구조물이 장착 개구부(35)를 관통하여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캔틸레버된 상부 아암(36)에 관하여 편향되어져야 한다.
체결 아암(46)의 극단부는 패널 계합 표면(52)를 마련하고 상기 표면 장착 플랜지(14)의 상부 표면(33)에 대체로 평행하고 상기 표면(33)으로부터 격설된다. 특히, 장착 플랜지(14)의 패널 계합 표면(52) 및 상부표면(33) 사이의 거리(f)는 패널(34)의 두께(g)보다 약간 크다. 그러므로, 패널(34)는 체결 아암(46)의 패널 계합 표면(52) 및 장착 플랜지(14)의 전방으로 인접한 표면(33)의 중간에서 체결적으로 그러나 분리가능하게 계합된다.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26)의 상기에 정의된 구조는 그 내부의 다양한 캔틸레버된 부재들의 다수의 독립적인 편향들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체결 아암(46)은 캔틸레버된 상부 아암(36)에 관하여 편향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캔틸레버된 상부 및 하부 아암(36) 및 (30)은 서로에 관하여 편향가능하다. 최종적으로, 캔틸레버된 하부 아암(30)은 장착 플랜지(14)에 관하여 편향될 수 있다.
제2의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28)은 상기에 설명한 제1의 래치 구조물(26)과 대체로 동일하지만 상기 구조물(26)에 관하여 대체로 반전된다. 특히, 제2의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28)은 하부 아암(60)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아암(60)은 장착 플랜지(14)와 단일로 되고 상기 플랜지(14)로부터 캔틸레버되면 상기 플랜지의 평면내에 대체로 배설된다. 상부 아암(66)은 장착 플랜지(14)로부터 떨어진 하부 아암(60)의 단부로부터 캔틸레버된다. 체결 아암(76)은 하부 아암(60)으로부터 떨어진 상부 아암(66)의 단부로부터 각도상으로 연장되어 대체로 다시 장착 플랜지(14)를 향하여 연장된다. 캔틸레버된 하부 아암(60), 상부 아암(66) 및 체결 아암(76)은 모두 제2도 및 제3도에 가장 명확히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 구조물(26)의 평면에 평행하고 약간 격설된 동일 평면상에 대체로 위치한다. 부가적으로, 제1 및 제2래치(26) 및 (28)의 상부 아암(36) 및 (66)은 서로에 대해 대체로 평행하고 각각의 래치 구조물의 평면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평면의 대향 측면들상에 대체로 배설된다. 상기 구조로부터, 래치 구조물(26) 및 (28)은 함께 패널(34)내의 장착 개구부(35)의의 직경을 대체로 초과하는 주 횡간단면 크기(h)를 마련한다. 그러나, 2개의 상부 아암(36) 및 (66)에 의해 마련된 소 횡간단면 크기(i)는 장착 개구부(35)의 직경보다 작다.
래치 구조물들(26) 및 (28)의 패널(34)와의 계합을 안내하는 순서 단계들은 제4a도 내지 제7b도에 도시한다. 제4a도 및 제4b도를 참조하면, 제1래치 구조물(26)의 선두캠표면(44) 및 제2래치 구조물(28)의 대응되는 선두캠표면은 초기에는 장착 개구부(35)에 관련하여 비교적 중심 위치에 래치 구조물(26,28)을 안내할 수 있다. 하우징(12)의 패널(34)을 향한 계속되는 이동은 체결 아암(46) 및 (76)의 후미캠표면(50) 및 (80)을 각각 장착 개구부(35)에 근접한 패널(34)이 부분들과 접촉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5a도 및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패널(34)를 향한 연속적인 이동은 캔틸레버된 상부 아암들(36) 및 (66)이 하부 아암(30,60)에 관하여 편향되도록 하고 또한 캔틸레버된 하부 아암들(30) 및 (60)이 장착 플랜지(14)에 관하여 편향되도록 할 수 있다. 제5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래치 구조물(26)의 하부 및 상부 아암(30) 및 (36)의 편향은 대체로 반시계 방향으로 제2래치 구조물(28)의 하부 및 상부 아암(60) 및 (66)의 편향을 대체로 시계방향이다.
하우징(12)를 패널(34)를 향하여 더욱 전진시키면, 상부 아암들(33,66) 및 하부 아암들(30,60)의 상기에 설명한 편향은 계속되고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들(46,76)의 각각의 상부 아암들(36) 및 (66)에 관한 편향을 또한 발생시킨다. 체결 아안들(46) 및 (76)의 상기 편향은 장착 개구부(35)의 상대 직경과 제1래치 구조물(26)상의 표면들(42) 및 (50) 사이에서 마련되는 더 큰 최대 크기(e), 제2래치 구조물(28)상의 대응 크기에 의해 필요되어진다.
하우징(12)를 패널(34)를 향하여 더욱 이동시키면, 래치 구조물(26) 및 (28)의 패널 계합 표면(52) 및 (82)는 각각 장착 개구부(35)의 공간(clear)내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제7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치 구조물(26) 및 (28)은 상기 구조물의 압압되지 않고 편향되지 않은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상태에서, 패널(34)는 장착 플랜지(14)의 전방표면(33) 및 체결 아암들(46) 및 (76)의 패널 계합 표면(52) 및 (82)의 중간에 체결적으로 계합된다. 상기에 지적한 바와 같이, 그리고 제7b도에 명확히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아암(36) 및 (66)은 장착 개구부(35)의 직경보다 현저히 작은 조합된 소 횡간단면 크기(i)를 마련한다. 그러므로, 패널(34)에 관한 하우징(12)의 회전 이동의 대체적인 양은 패널(34)에 대체로 평행한 평면내에서 가능하게 된다. 거리(e)가 장착 개구부(35)의 직경을 초과하기 때문에 하우징(12)는 상기 이동의 극범위에서 조차도 패널(34)에 효과적으로 보유된다.
하우징(12)가 제7b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패널(34)에 체결적으로 보유되더라도,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26) 및 (28)은 패널(34)로부터의 하우징(12)의 선택적인 격리를 정상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특히, 체결아암(46) 및 (76)을 충분한 압력으로 서로를 향하여 압압하여 체결 아암(46) 및 (76)을 상부 아암(36) 및 (66)에 관하여 편향시킬 수 있다. 상부 아암(36,66) 및 하부 아암(30,60)의 대응 편향들과 조합되는 상기 편향은 각각의 래치 구조물(26) 및 (28)이 장착 개구부(35)를 관통하여 통과하도록 한다.
요약하여 언급하면, 이동식 패널 장착 구조물은 하우징의 패널에 대한 고정 장착을 수행하기 위해 그리고 동시에 하우징과 패널 사이의 바람직한 이동을 수행하기 위해 전기 연결자 하우징과 단일하게 성형될 수 있다. 이동식 패널 장착부는 제1 및 제2의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들로 구성된다. 각각의 래치 구조물은 연결자 하우징의 장착 플랜지로부터 캔틸레버된 하부 아암으로 구성된다. 상부 아암 장착 플랜지로부터 떨어진 하부 아암의 단부로부터 캔틸레버된다. 체결 아암은 하부 아암으로부터 떨어진 상부 아암의 단부로부터 캔틸레버되어 하부 아암, 상부 아암 및 체결 아암이 모두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동일 평면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또한, 캔틸레버된 하부 아암 및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은 상부 아암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각도를 이루며 연장된다. 체결 아암의 극단부는 하우징의 장착 플랜지로부터 격설된 패널 계합 표면을 마련하여 패널이 상기 패널 계합 표면 및 장착 플랜지 사이에서 체결적이고 분리가능하게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상부 아암 및 상부 아암으로부터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에 의해 마련되는 최대 횡간단면 크기를 바람직하게는 래치 구조물의 삽입이 가능한 장착 개구부의 최대 횡간단면 크기를 초과한다. 그러므로,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은 상부 아암에 관하여 편향되어 장착 개구부를 관통하여 통과하여야 한다. 제1 및 제2의 다중 캔틸레버된 래치 구조물들은 서로에 관하여 대향적으로 위치된다.
그러므로, 다수의 독립적인 캔틸레버된 편향부들은 래치 구조물들을 패널의 장착 개구부를 관통하여 삽입하기 위해 요구된다. 완전히 삽입되면, 래치 구조물들은 상기 구조물들의 초기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서 압압적으로 복귀되어 패널이 체결 아암들의 패널 계합 단부들 및 장착 플랜지의 전방 인접 표면들 사이에 체결적으로 보유되도록 된다. 상부 아암들은 장착 플랜지의 최대 횡간단면 크기보다 현저히 작은 횡간단면 크기를 갖는다. 그러므로 하우징이 패널상에 고정적으로 보유되지만 상기 하우징 및 패널 사이의 상대적인 이동은 가능하게된다. 하우징은 손으로 또는 다른 방법으로 패널 계합 표면이 장착 개구부를 빠져 나오기에 충분한 정도로 래치 구조물들을 편향시킨에 의해 선택적으로 패널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되었으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로 한정되는 본 발명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수행되어질 수 있다. 예컨대, 캔틸레버된 상부 아암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으로 되지 않을 수 있고 대칭 평면의 대향 측면들에 접촉하지 아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캔틸레버된 체결 아암들은 상부 및 하부의 캔틸레버된 아암들과 정확히 동일한 평면에 위치되지 않을 수 있다. 부가적으로, 상기에 설명한 매우 만족할만한 실시예가 전기 연결자 하우징들과의 단일 래치 구조물을 나타내기는 하지만, 연결자 하우징 및 패널의 모두에 있는 장착 개구부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격리된 연결부재들을 제공하는 것도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래치 구조물은 격리된 패널 개구부를 계합하기 위해 배설될 수 있고 요구되는 이동의 형태에 따라 대체로 동일한 방향 또는 다른 방향으로 방위되어질 수 있다.

Claims (8)

  1. 상부에 성형된 이동식 패널 장착장치를 포함하고 2개의 대향 연부들 사이에서 마련되는 폭을 갖는 장착 개구부를 포함하는 패널내에 장착되는 전기 연결기 조립체에 있어서, 패널상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패널에 대체로 평행하게 접하기 위한 전방표면을 갖는 대체로 평면인 장착 플랜지, 및 장착 플랜지의 상기 전방 표면상에 성형되고, 상기 개구부를 관통하여 삽입되기 위해 사용되면서 상기 전방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일조의 격설되고 대체로 평행한 탄성의 2중 캔틸레버된 래치 부재들로 구성되고, 각각의 래치 부재는 상기 장착 플랜지로부터 연장되는 제1아암 및 제1아암에 결합되고 대체로 대향되는 자유단부를 가지면서 상기 장착 플랜지를 향하여 각도를 이루어 굽혀지며 장착 플랜지의 전방표면으로부터 격설되고 외측으로 접한 캠표면을 갖는 제2아암을 포함하고 또한 장착 플랜지의 전방 표면 및 제2아암의 자유단부 사이의 거리가 패널의 두께보다 약간 크며 제2아암상의 캠표면의 자유단부 및 제1아암 사이의 거리가 개구부의 폭보다 훨씬 크게 되는 정상 위치를 가져서 각각의 래치 부재의 개구부내로의 삽입에 따라 캠표면이 래치 부재로 하여금 정상 위치로부터 편향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개구 단부를 계합하게하면서 상기 제2아암은 상기 제1아암에 관하여 이동하여 상기 래치 부재가 개구부를 관통하여 삽입되도록 하고 그 후에 상기 래치 부재는 탄성적으로 상기 정상 위치로 복귀되어 연부들에 근접한 패널의 부분들이 이동식으로 제2아암의 자유단부 및 장착 플랜지의 전방 표면 사이에 포착되고 보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자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패널이 1개의 장착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의 래치 부재들은 서로 인접하여 배설되어 상시 래치 부재들의 제1아암들이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서로에 근접하여 연장되고 각각의 상기 래치 부재의 제2아암들이 대향으로 연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자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패널이 1조의 격설된 장착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하우징은 서로 격설된 제2의 1조의 래치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자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아암이 제1아암에 결합된 상부 부분 및 상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고 상부 부분에 관하여 하방으로 굽혀진 하부 체결 부분을 포함하고 하부 체결 부분은 제2아암의 자유단부를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자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래치 부재내의 체결 부분이 상부 부분에 관하여 편향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자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래치 부재내의 제1아암 및 제2아암이 서로에 관련하여 편상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자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제1아암이 장착 플랜지에 관련하여 편향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자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래치 부재가 대체로 단일 평면내에 위치되고 다중 래치 부재들이 평면들이 대체로 서로 평행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자 조립체.
KR1019890007860A 1988-06-09 1989-06-08 전기 연결자용 이동식 패널 장착부 KR970000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204,481 US4820180A (en) 1988-06-09 1988-06-09 Floating panel mount for electrical connector
US204,481 1988-06-09
US204481 1988-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067A KR900001067A (ko) 1990-01-31
KR970000128B1 true KR970000128B1 (ko) 1997-01-04

Family

ID=22758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7860A KR970000128B1 (ko) 1988-06-09 1989-06-08 전기 연결자용 이동식 패널 장착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20180A (ko)
EP (1) EP0345934A3 (ko)
JP (1) JPH0644501B2 (ko)
KR (1) KR970000128B1 (ko)
BR (1) BR8902683A (ko)
CA (1) CA130187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8951B1 (fr) * 1987-07-28 1994-01-28 Metallo Ste Fse Connecteur pour tubes cathodiques tels que prevus pour la television pourvu d'une semelle telescopique destinee a assurer la protection totale des sorties de contact durant le stockage, le transport et la manutention jusqu'a son insertion aussi bien manuelle qu'automatique dans le circuit imprime
US4943109A (en) * 1988-08-09 1990-07-24 Ford Motor Company Automotive door assembly having a plug-in electrified interior panel
MY107281A (en) * 1989-11-02 1995-10-31 Whitaker Corp Retaining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ors.
US5017151A (en) * 1990-10-05 1991-05-21 Molex Incorporated Floating panel mount for electrical connectors
EP0438280B1 (en) * 1990-01-19 1995-03-22 Molex Incorporated Floating panel mounts for electrical connectors
US4988308A (en) * 1990-01-19 1991-01-29 Molex Incorporated Floating panel mounts for electrical connectors
US5071374A (en) * 1990-09-24 1991-12-10 Molex Incorporated Floatable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component
US5118236A (en) * 1991-03-04 1992-06-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Floating center tapped shoulder screw
JP3025924B2 (ja) * 1991-11-18 2000-03-2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US5211574A (en) * 1992-03-13 1993-05-18 Molex Incorporated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alignment/guide means
FR2716299B1 (fr) * 1994-02-16 1996-04-19 Framatome Connectors France Connecteur flottant à verrouillage temporaire et son application au domaine spatial.
US5393247A (en) * 1994-03-23 1995-02-28 The Whitaker Corporation Component mounting device
US5489219A (en) * 1994-05-24 1996-02-06 The Whitaker Corporation Self-retaining board lock
US5575673A (en) * 1994-07-22 1996-11-19 Molex Incorporated Polarizing and/or floating panel mount for electrical connectors
US5514000A (en) * 1994-07-22 1996-05-07 Molex Incorporated Polarizing and/or floating panel mount for electrical connectors
US5466171A (en) * 1994-09-19 1995-11-14 Molex Incorporated Polarizing system for a blind mating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017233A (en) * 1994-12-14 2000-01-25 Molex Incorporated Floating panel mount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JPH0992406A (ja) * 1995-09-28 1997-04-04 Yazaki Corp 可動コネクタ
JP3140347B2 (ja) * 1995-09-29 2001-03-05 矢崎総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用クリップ
US5772469A (en) * 1996-05-02 1998-06-30 Molex Incorporated Floating panel mounting system for electrical connectors
US6358075B1 (en) * 1998-10-13 2002-03-19 Raytheon Company Mating alignment guide
DE19955317A1 (de) * 1999-11-17 2001-05-31 Delphi Tech Inc Steckverbinder
US6406192B1 (en) * 1999-12-07 2002-06-18 Molex Incorporated Connector assembly floating mount
USD434730S (en) * 2000-05-17 2000-12-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USD434729S (en) * 2000-05-17 2000-12-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DE10140153B4 (de) 2001-08-16 2004-05-06 Agilent Technologies, Inc. (n.d.Ges.d.Staates Delaware), Palo Alto Steckverbindung zum gleichzeitigen Verbinden mehrerer Koaxialkabel
TW200409418A (en) * 2002-05-30 2004-06-01 Heyco Products Inc Connectors for under-cabinet lighting
JPWO2004084360A1 (ja) * 2003-03-20 2006-06-2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接続装置、コネクタユニット、コネクタ、電子機器
JP2006294305A (ja) * 2005-04-06 2006-10-26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の組付け構造
JP2007042529A (ja) * 2005-08-05 2007-02-15 Hitachi Ltd 接続端子及び接続端子の組立体及び接続端子の組み付け方法
US7168978B1 (en) * 2006-04-27 2007-01-3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lide-to-latch panel mount connector
JP4832174B2 (ja) * 2006-06-13 2011-12-07 ナカバヤシ株式会社 収納箱
JP5202973B2 (ja) * 2008-01-30 2013-06-0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保持部材、保持部材が電気回路基板に実装された実装構造、および保持部材を備えた電子部品
US8210861B2 (en) 2010-05-12 2012-07-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assembly having two connectors capable of movement in differing directions
DE102010017361A1 (de) * 2010-06-14 2011-12-15 Phoenix Contact Gmbh & Co. Kg Anbausteckverbinder
TWM438739U (en) * 2012-04-13 2012-10-01 Tyco Electronics Holdings Bermuda No 7 Ltd Connector with a guide portion
JP6382245B2 (ja) * 2016-02-04 2018-08-29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レジスタパネルの取付構造
DE102016209449A1 (de) * 2016-05-31 2017-11-30 Zf Friedrichshafen Ag Strahlschutzelement für Gehäusestecker
DE102018101670B3 (de) * 2018-01-25 2019-04-04 Lumberg Connect Gmbh Steckverbinder mit primärverriegelnden Rastarmen
US20230396007A1 (en) * 2020-11-02 2023-12-07 Molex, Llc Connector holder for bypass connection applications
CN217306878U (zh) * 2021-12-01 2022-08-26 上海峰飞航空科技有限公司 飞行器及其接插件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1522A (en) * 1954-09-27 1955-06-21 Miller Electric Co Electrical plug connector having means to mount it in an apertured panel
US3213189A (en) * 1963-04-02 1965-10-19 United Carr Inc Fastener cap
GB1171724A (en) * 1967-06-15 1969-11-26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US3514743A (en) * 1968-09-23 1970-05-26 Deltrol Corp Socket for plug-in electrical components with snap-in attachment to mounting panel
US3645353A (en) * 1970-04-23 1972-02-29 Gen Motors Corp Control element mounting arrangement
FR2137167B1 (ko) * 1971-05-14 1973-05-11 Socapex
DE2547951A1 (de) * 1975-10-27 1977-05-05 Daut & Rietz Kg Steckerbuchse
US4647130A (en) * 1985-07-30 1987-03-03 Amp Incorporated Mounting means for high durability drawer connector
DD258382B1 (de) * 1987-03-13 1990-08-22 Warnke Umformtech Veb K Verfahren zur antriebssteuerung einer presse und einer transferein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301875C (en) 1992-05-26
EP0345934A3 (en) 1990-09-05
BR8902683A (pt) 1990-01-23
JPH0224983A (ja) 1990-01-26
US4820180A (en) 1989-04-11
EP0345934A2 (en) 1989-12-13
KR900001067A (ko) 1990-01-31
JPH0644501B2 (ja) 1994-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128B1 (ko) 전기 연결자용 이동식 패널 장착부
US9876285B2 (en) Electrical connector contact terminal
US10063006B2 (en) Wire mount electrical connector
US5643009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pivot lock
US5564952A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with blade receiving slots
EP0389955B1 (en) A double locking connector for an electrical terminal
EP0214830B1 (en) Fpc connector
JP2580357B2 (ja) 電気コネクタ
US9509089B2 (en) Electrical connector latch
US9509094B2 (en) Board mount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 opening on bottom wall
US20140342596A1 (en) Electrical Connector Strain Relief
US6709298B2 (en) Insulator coring and contact configuration to prevent pin stubbing in the throat of tuning fork socket connector contacts
US4648678A (en) Electrical connector
US5641308A (en) Electrical connector
EP0775374B1 (en) Connector for an electrical cable
US7232337B1 (en) Connector receptacle assembly
US4439001A (en) IDC Socket connector
EP0657965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terminal retention means
US5057032A (en) Board edge connector
GB2255239A (en) Multiple conductor cable connector with towers.
USRE34430E (en) Floating panel mount for electrical connector
EP0570039B1 (en) Electrical terminal
JPH10116643A (ja) 保持手段を備えた端子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US4449773A (en) Low insertion force connector
JPH02189869A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