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705215A - 가속 센서(Beschleunigungssensor) - Google Patents

가속 센서(Beschleunigungs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705215A
KR960705215A KR1019960701948A KR19960701948A KR960705215A KR 960705215 A KR960705215 A KR 960705215A KR 1019960701948 A KR1019960701948 A KR 1019960701948A KR 19960701948 A KR19960701948 A KR 19960701948A KR 960705215 A KR960705215 A KR 960705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sensor
sensor element
contact
sensor according
contac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1393B1 (ko
Inventor
보엠 헤드베르트
고에벨 울리히
쉬미히 프란쯔
호페 게랄트
페우흐트 롤란트
호에벨 알베르트-안드레아스
찌에겐바인 보토
마이호에퍼 베른트
Original Assignee
랄프 홀거 베렌스 · 쥐르겐 프리드만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랄프 홀거 베렌스 · 쥐르겐 프리드만,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랄프 홀거 베렌스 · 쥐르겐 프리드만
Publication of KR960705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5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1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13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09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y piezoelectric pick-u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5/00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 G01P15/0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 G01P15/08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 G01P15/09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y piezoelectric pick-up
    • G01P15/0922Measuring acceleration; Measuring deceleration; Measuring shock, i.e. sudden change of acceleration by making use of inertia forces using solid seismic masses with conversion into electric or magnetic values by piezoelectric pick-up of the bending or flexing mode typ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8Material parameters
    • G01N2291/02827Elastic parameters, strength or fo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2Piezoelectric device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82Resistor making
    • Y10T29/49103Strain gauge mak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essure Sen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전 센서 소자를 갖춘 가속 센서로서, 압전 소자는 늘어진 진도체로서 수용 모듈내에 지지되고 압전 소자의 전극은 평가 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형식의 가속 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용 모듈(24)이 센서 소자(12)의 기계적인 고정과 전기적인 콘택트를 동시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속 센서(Beschleunigungssensor)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가속 센서의 개략적인 투시도.

Claims (13)

  1. 압전 센서 소자를 가준 가속 센서로서, 압전 소자는 늘어진 진동체로서 수용 모듈내에 지지되고 압전 소자의 전극은 평가 회로에 접속되어 있는 형식의 가속 센서에 있어서, 상기 수용 모듈(24)이 센서 소자(12)의 기계적인 고정과 전기적인 콘텍트를 동시에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2. 제1항에 있이서, 상기 수용 모듈(24)은 도전성 재료로 형성되고 평가 회고(82)와 접속되는 별개의 2개의 지지 수단(26,28)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26,28)은 센서 소자(12)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26,28)은 각각 2개의 콘택트 영역(40,44)을 갖춘 늘어진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콘택트 영역중의 제1의 콘택트 영역(40,40')은 센서 소자(12)의 전극(20,22)과 접속이 가능하고 제2의 콘택트 영역(44,44')은 평가 회로(82)와 접속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콘택트 영역(40,40')은 센서 소자(12)의 기계적인 고정도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콘택트 영역(40)은 도전성의 부착 수단(42)의 개재 접 속의 아래에서 전극(20,22)에 당접되는 접촉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42)은 납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수단(42)은 도전성의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콘택트 영역(44)은 지지수단(26,28)의 단면(34)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34)은 지지기판(80) 위의 도전성의 접속 수단(88,90)과 같??느 도체선로 위에 설치되어 있고, 도전성 접속 수단(88,90)은 평가 회로(82)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이서, 상기 지지 수단(26,28)은 센서 소자(12)를 클립 형상으로 꼭 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소자(12)는 제1의 콘택트 영역(40)을 넘어서 자유롭게 변위가 가능한 늘어진 바아(4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소자(12)는 제1의 콘택트 영역(40)을 넘어서 양쪽에 자유롭게 변위가 가능한 늘어진 바아(4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속 센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701948A 1994-08-09 1995-07-20 가속센서및센서제조방법 KR1003513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428124.2 1994-08-09
DE4428124A DE4428124B4 (de) 1994-08-09 1994-08-09 Beschleunigungssensor
PCT/DE1995/000953 WO1996005515A1 (de) 1994-08-09 1995-07-20 Beschleunigungssens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5215A true KR960705215A (ko) 1996-10-09
KR100351393B1 KR100351393B1 (ko) 2002-12-26

Family

ID=652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1948A KR100351393B1 (ko) 1994-08-09 1995-07-20 가속센서및센서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34107A (ko)
JP (1) JP3466197B2 (ko)
KR (1) KR100351393B1 (ko)
DE (1) DE4428124B4 (ko)
FR (1) FR2723641B1 (ko)
WO (1) WO19960055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7786B2 (ja) * 1996-09-02 2001-03-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加速度センサ
US6050144A (en) 1997-06-04 2000-04-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cceleration sensor
DE19736247A1 (de) * 1997-08-20 1999-02-25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Bauteil mit einem Körper aus einem spröden Werkstoff
US6336365B1 (en) * 1999-08-24 2002-01-08 Personal Electronic Devices, Inc. Low-cost accelerometer
DE19745311C1 (de) * 1997-10-14 1999-07-01 Telefunken Microelectron Piezoelektrischer Biegesensor-Beschleunigungsaufnehmer
JP2000002714A (ja) * 1998-04-13 2000-0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圧電型加速度センサ、加速度検出方法、および圧電型加速度センサの製造方法
JP2001349900A (ja) * 1999-12-28 2001-12-21 Fujitsu Ltd 加速度センサ及び加速度センサ装置
JP4059322B2 (ja) * 2004-10-19 2008-03-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圧電アクチュエータ、これを用いた撮像素子移動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4706924B2 (ja) * 2005-03-29 2011-06-22 株式会社デンソー 歩行者検知システム
JP4692546B2 (ja) * 2006-05-15 2011-06-0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加速度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0025591A1 (de) * 2010-06-29 2011-12-29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Sensorträger sowie Sensormodul insbesondere zum Einsatz in einem Kraftfahrzeugvorortsteuergerät
JP6042308B2 (ja) 2013-10-29 2016-12-1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衝突判定装置
FR3016300B1 (fr) * 2014-01-15 2016-01-01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a coque deformable comprenant un circuit interne piezoelectriqu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6371A1 (de) * 1978-10-25 1980-05-08 Bosch Gmbh Robert Beschleunigungsaufnehmer zum ausloesen von sicherheitseinrichtungen
JP3091766B2 (ja) * 1990-02-14 2000-09-25 エンデブコ・コーポレーション 表面取付け型圧電セラミツク式加速度計及びその製造方法
KR930009516B1 (ko) * 1990-04-27 1993-10-0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진동검출기 및 그의 고유진동주파수 조정방법
JPH049721A (ja) * 1990-04-27 1992-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振動検出器
DE4135369A1 (de) * 1991-10-26 1993-05-13 Bosch Gmbh Robert Testbarer piezoelektrischer beschleunigungssensor
DE69226519T2 (de) * 1991-12-23 1999-02-04 Atochem North America Elf Beschleunigungsmesser mit mehreren schwingungsty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23641A1 (fr) 1996-02-16
US5734107A (en) 1998-03-31
KR100351393B1 (ko) 2002-12-26
WO1996005515A1 (de) 1996-02-22
JP3466197B2 (ja) 2003-11-10
DE4428124A1 (de) 1996-02-15
FR2723641B1 (fr) 1998-03-06
JPH09504115A (ja) 1997-04-22
DE4428124B4 (de)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705215A (ko) 가속 센서(Beschleunigungssensor)
KR920017301A (ko) 전기부품용 소케트에 있어서의 접촉부
KR870006824A (ko) 전극 부품을 표면 장착하기 위한 안전형 리드 구조체
KR920005827A (ko) 기판상의 회로 장착 방법 및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회로기판
KR840000080A (ko) 혼성집적회로부품 및 그 부착방법
KR920003567A (ko) 반도체장치
KR910020972A (ko) 전기통신케이블용 콘넥터구조
ATE448480T1 (de) Biosensoren mit porösen chromatographischen membranen
KR970060468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880003362A (ko) 압전 스위치
KR960030541A (ko) 탄성 표면파 장치
KR930702800A (ko) 절연체 본체 및 가요성 회로
KR920019014A (ko) 기판의 전기적 접속 구조
KR970008742A (ko) 양극성 보호 장치
CA2173357A1 (en) Electrical assembly
KR900002394A (ko) 전기 램프
KR950002104A (ko) 스트립 라인 필터
KR970078798A (ko) 납단자를 수지로 도포한 전자 부품
EP0823782A3 (en) Piezoelectric component
KR980006558A (ko) 압전 트랜스포머
KR870008386A (ko) 혼성 집적회로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제조에 사용하는 리드 프레임
KR890013464A (ko) 공기질량 측정장치
KR910002046A (ko) 바이패스편을 가지는 콘택트
KR890015057A (ko) 액정표시장치
KR850004682A (ko) 적외선 방사검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