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7357A - 측면 에어백 팽창 장치 - Google Patents

측면 에어백 팽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7357A
KR960017357A KR1019950043063A KR19950043063A KR960017357A KR 960017357 A KR960017357 A KR 960017357A KR 1019950043063 A KR1019950043063 A KR 1019950043063A KR 19950043063 A KR19950043063 A KR 19950043063A KR 960017357 A KR960017357 A KR 960017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ular member
casing
protector
filter
closur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3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0892B1 (ko
Inventor
에스. 헤들리 폴
Original Assignee
제임스 엠 루즈벨트
티알더블유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엠 루즈벨트, 티알더블유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임스 엠 루즈벨트
Publication of KR960017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8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 B60R21/272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release of stored pressurised gas with means for increasing the pressure of the gas just before or during liberation, e.g. hybrid inf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ide panels, e.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에어백 팽창기(14)에 관한 것으로서, 그 팽창기는 개방 단부(52), 폐쇄 단부(44), 다수의 배출 개구부를 가지고 내경이 일정한 원통형 부분(42)을 구비하는 관형 부재(40)를 포함한다. 파열성 폐쇄벽(82)이 배출 개구부(38)와 폐쇄 단부(44) 사이의 축방향 위치에서 관형 부재(40)에 고정된다. 팽창 유체는 폐쇄벽(82)가 폐쇄 단부(44) 사이에서 관형 부재내에 압축저장된다. 관형 부재내의 점화기(100)는 폐쇄벽(82)과 개방 단부(52) 사이의 축방향 위치에서 관형 부재와 동축적으로 연장하는 원통형 케이싱(106)을 포함한다. 점화기(100)의 원형 베이스(102)는 개방 단부(52)를 폐쇄한다.

Description

측면 에어백 팽창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차량 탑승자 보호 장치와, 차량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치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절취하여 도시한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Claims (20)

  1. 중심 종축과, 상기 축을 중심으로한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환형 단부면과, 폐쇄된 단부와, 상기 개방 단부로부터 상기 폐쇄 단부까지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다수의 배출 개구부를 구비한 원통형 부분을 구비하는 긴 관형 부재와, 상기 배출 개구부와 상기 폐쇄 단부 사이의 축방향 위치에서 상기 관형 부재의 원통형 부분내에 지지되고, 상기 관형 부재에 고정되는 파열성 폐쇄벽과, 상기 폐쇄벽과 상기 폐쇄단부 사이에서 상기 관형 부재내에 압축저장되는 다량의 팽창 유체와, 점화되었을 때 상기 폐쇄벽을 파열하는 연소 생성물을 생성하는 발화성 물질을 내장하고 상기 관형 부재의 개방 단부와 상기 폐쇄벽 사이의 축방양 위치에서 상기 관형 부재내에서 연장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 개구부를 통해 외측으로 유동하게끔 상기 팽창 유체를 방출하는 점화기 수단과, 상기 관형 부재의 상기 개방 단부를 폐쇄하는 폐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의 원통형 부분은 내경이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원통형이고 상기 관형 부재내에서 관형부재와 동축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축방향으로는 상기 폐쇄벽에서부터 상기 케이싱까지 연장하고 반경방향으로 상기 케이싱에서부터 상기 배출 개구부까지 연장하는 유체 유동 공간의 경계를 형성하며, 상기 폐쇄벽이 파열되었을 때 상기 팽창유체는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을 통해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생성물은 고온 입자를 포함하며, 상기 팽창 장치는 상기 입자가 상기 배출 개구부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필터 수단은 상기 관형 부재의 원통형 부분과 상기 원통형 케이싱 사이에서 상기 유체 유동 공간내에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관모양의 원통형 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그 필터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여과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여과 개구부는 상기필터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열의 형태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여과 개구부는 상기 각각의 배출 개구부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케이싱은 원형 베이스를 구비한 점화기의 일부로서 상기 베이스로부터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상기 관형 부재의 개방 단부를 폐쇄하는 상기 폐쇄 수단은 상기 관형 부재의 환형 단부면과 겹쳐지는 상기 원형 베이스의 둘레부이며,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은 상기 원형 베이스로부터 상기 폐쇄벽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개구부와 상기 폐쇄 단부 사이의 축방향 위치에서 상기 관형 부재에 동축적으로 밀착 수납되는 환형지지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지지 부재는 상기 관형 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폐쇄벽은 상기지지 부재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지지 부재와 접하는 내측 축방향 단부와 상기 원형 베이스와 접하는 외측 축방향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팽창 가능한 차량 탑승자 보호체와, 상기 팽창유체를 상기배출 개구부로부터 상기 보호체로 유동시켜 상기 보호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반응 캐니스터와, 차량 문에 근접한 차량 좌석과, 상기 보호체가 상기 문과 상기 좌석 사이의 공간으로 팽창되게끔하는 위치에서 상기 보호체를 지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12. 종축, 개방 단부, 폐쇄 단부, 및 다수의 배출 개구부를 구비한 긴 관형 부재와, 상기 배출 개구부와 상기 폐쇄 단부 사이의 축방향 위치에서 상기 관형 부재에 고정된 파열성 폐쇄벽과, 상기 폐쇄벽과 상기 폐쇄단부 사이에서 상기 관형 부재내에 압축 저장되는 다량의 팽창 유체와, 점화되었을 때 상기 폐쇄벽을 파열하는 연소 생성물을 생성하는 발화성 물질을 내장하고 상기 관형 부재의 개방 단부와 상기 폐쇄벽 사이의 축방향 위치에서 상기 관형 부재내에서 연장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 개구부를 통해 외측으로 유동하게끔 상기 팽창 유체를 방출하는 점화기 수단과, 상기 케이싱은 축방향으로는 상기 폐쇄벽에서부터 상기 케이싱까지 연장하고 반경방향으로는 상기 케이싱에서부터 상기 배출 개구부까지 연장하는 유체 유동 공간의 경계를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베이스를 구비한 점화기의 일부로서 상기 베이스로부터 축방향을 따라 돌출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관형 부재의 개방 단부를 가로 질러 연장하여 상기 개방 단부를 폐쇄하며, 상기 유체 유동 공간은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폐쇄벽까지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 생성물을 고온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팽창 장치는 상기 입자가 상기 배출 개구부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필터 수단은 상기케이싱과 상기 관형 부재 사이에서 상기 유체 유동 공간내에 동심적으로 위치하는 관형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원통형이고, 상기 관형 부재내에서 동심적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팽창 가능한 차량 탑승자 보호체와, 상기 팽창유체를 상기 배출 개구부로부터 상기 보호체로 유동시켜 상기 보호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반응 캐니스터와, 차량 문에 근접한 차량 좌석과, 상기 보호체가 상기 문과 상기 좌석 사이의 공간으로 팽창되게끔하는 위치에서 상기 보호체를 지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17. 중심 종축, 상기 축을 중심으로한 개방 단부를 형성하는 환형 단부면, 폐쇄 단부, 다수의 배출개구부를 구비한 긴 관형 부재와, 상기 배출 개구부와 폐쇄 단부사이의 축방향 위치에서 상기 관형 부재에 고정되는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파열성 폐쇄벽과, 상기 폐쇄벽과 상기 폐쇄 단부 사이에서 상기 관형 부재내에 압축저장되는 다량의 팽창 유체와, 점화되었을 때 상기 폐쇄벽을 파열하는 연소 생성물을 생성하는 물질을 내장하고, 상기 관형 부재의 개방 단부를 가로질러 연장하여 상기 개방 단부를 폐쇄하는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배출 개구부를 통해 외측으로 유동하게끔 상기 팽창 유체를 배출하는 점화기 수단과, 상기지지 수단과 접하는 내측 축방향 단부와 상기 점화기의 베이스와 접하는 외측 축방향 단부를 구비한 관모양의 원통형 필터를 구비하며, 연소 생성물 입자가 상기 배출 개구부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그 필터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여과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여과 개구부는 상기 필터를 따라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열의 형태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여과 개구부는 상기 각각의 배출 개구부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팽창 가능한 차량 탑승자 보호체와, 상기 팽창유체를 상기 배출 개구부로부터 상기 보호체로 유동시켜 상기 보호체를 팽창시키기 위한 반응 캐니스터와, 차량 문에 근접한 차량 좌석과, 상기 보호체가 상기 문과 상기 좌석 사이의 공간으로 팽창되게끔하는 위치에서 상기 보호체를 지지하는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팽창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43063A 1994-11-18 1995-11-18 측면충격 에어백 팽창장치 KR100190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42,367 US5573271A (en) 1994-11-18 1994-11-18 Side impact air bag inflator
US08/342,367 1994-11-18
US8/342,367 1994-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357A true KR960017357A (ko) 1996-06-17
KR100190892B1 KR100190892B1 (ko) 1999-06-01

Family

ID=23341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3063A KR100190892B1 (ko) 1994-11-18 1995-11-18 측면충격 에어백 팽창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73271A (ko)
EP (1) EP0712766B1 (ko)
JP (1) JP2772269B2 (ko)
KR (1) KR100190892B1 (ko)
DE (1) DE6951579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32023A1 (de) * 1995-08-31 1997-03-06 Temic Bayern Chem Airbag Gmbh Vorrichtung zum Befüllen einer Rückhaltevorrichtung
JP3049048U (ja) * 1996-11-20 1998-05-29 オートリブ エーエスピー,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エアバッグ膨張器
US5735572A (en) * 1997-01-16 1998-04-07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hicle seat back frame and airbag module assembly
DE19839283A1 (de) * 1998-08-28 2000-03-09 Breed Automotive Tech Airbag-Modul mit Gasverteiler
US6345837B1 (en) 1998-11-05 2002-02-12 Chrysler Corporation Passenger side air bag module
DE29822159U1 (de) * 1998-12-11 1999-05-12 Trw Repa Gmbh Gassack-Seitenaufprall-Schutzeinrichtung
US7131663B1 (en) 1999-08-10 2006-11-0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or for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6412811B1 (en) 1999-02-26 2002-07-02 Trw Inc. Inflator
DE29906173U1 (de) * 1999-04-06 1999-08-12 Trw Airbag Sys Gmbh & Co Kg Gasgenerator
US7097203B2 (en) * 2002-09-13 2006-08-29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Inflator
US7192055B2 (en) 2003-11-13 2007-03-20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yrotechnic linear inflator
US7243946B2 (en) 2003-11-18 2007-07-17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eroxide linear inflator
US7080854B2 (en) 2004-01-13 2006-07-25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yrotechnic linear inflator
US7789018B2 (en) 2004-04-02 2010-09-07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Gas generator assembly
US7293798B2 (en) 2004-04-05 2007-11-13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yrotechnic linear inflator
KR100612417B1 (ko) * 2004-07-21 2006-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펄스-기반 고속 저전력 게이티드 플롭플롭 회로
US8622419B2 (en) 2004-07-27 2014-01-07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Vehicle component with integral inflator
US7469923B2 (en) * 2004-08-10 2008-12-30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airbag and method of manufacture
WO2006078819A2 (en) * 2005-01-20 2006-07-27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Flexible gas generator
US7770923B2 (en) * 2005-08-10 2010-08-10 Dae Ah Tech Co., Ltd. Structure of inflater inside cylinder for air bag for vehicle
US20070057495A1 (en) * 2005-09-15 2007-03-15 Tesch Todd E Side airba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20070257476A1 (en) * 2006-05-02 2007-11-0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Inflator with improved rupture disk support
JP2008201244A (ja) * 2007-02-20 2008-09-04 Daicel Chem Ind Ltd 車両の人員拘束システム用インフレータ
FR3012105B1 (fr) 2013-10-22 2015-11-13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pour raidir un panneau galbe en tole au moyen d'un panneau en cart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0291A (en) * 1957-10-03 1958-09-02 William B Jaspert Protective devices for passengers in moving vehicles
US3232481A (en) * 1963-05-23 1966-02-01 Specialties Dev Corp Apparatus for generating gaseous mixtures
US3441290A (en) * 1967-03-10 1969-04-29 Eaton Yale & Towne Vehicle safety system
JPS4716498Y1 (ko) * 1970-04-25 1972-06-09
JPS4724111Y1 (ko) * 1970-09-07 1972-07-31
JPS4716498U (ko) * 1971-03-23 1972-10-26
US3895821A (en) * 1973-06-01 1975-07-22 Allied Chem Inflation apparatus for safety device
US5016914A (en) * 1990-02-14 1991-05-21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JP2966023B2 (ja) * 1990-03-09 1999-10-25 マツダ株式会社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US5031932A (en) * 1990-04-05 1991-07-16 Frantom Richard L Single pyrotechnic hybrid inflator
US5230531A (en) * 1990-10-22 1993-07-27 Oea, Inc. Gas generator ignition assembly using a projectile
DE4135547A1 (de) * 1991-10-28 1993-04-29 Dynamit Nobel Ag Gasgenerator, insbesondere fuer ein aufblasbares aufprallkissen zum schutz eines kraftfahrzeug-insassen vor verletzungen
US5263740A (en) * 1991-12-17 1993-11-23 Trw Inc. Hybrid air bag inflator
US5333899A (en) * 1992-02-25 1994-08-02 Volkswagen Ag Side airbag safety arrangement for vehicle occupants
US5364127A (en) * 1993-06-11 1994-11-15 Trw Inc. Inflator assembly
US5301979A (en) * 1993-07-23 1994-04-12 Morton International, Inc. Piston driven cold gas air bag infl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15798D1 (de) 2000-04-27
DE69515798T2 (de) 2001-02-01
JP2772269B2 (ja) 1998-07-02
EP0712766B1 (en) 2000-03-22
EP0712766A1 (en) 1996-05-22
JPH08207691A (ja) 1996-08-13
KR100190892B1 (ko) 1999-06-01
US5573271A (en) 1996-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7357A (ko) 측면 에어백 팽창 장치
JP3019856U (ja) エアバッグ膨張装置及び膨張装置用フィルター
KR100583839B1 (ko) 이중 레벨 팽창기
KR950009343B1 (ko) 제2단계의 점화를 지연시키는 점화 물질을 사용하는 자동차 가스백의 2단계 팽창기
US3960390A (en) Inflator
US6062599A (en) Air bag inflator
JP3779730B2 (ja) 混成インフレータ
KR0179997B1 (ko) 팽창식 차량 탑승자 구속기구를 팽창시키는 팽창장치
US5803493A (en) Hybrid blowdown inflator with reduced pressure buildup
US5615912A (en) Inflator for air bag
JP2732560B2 (ja) 乗物搭乗者用拘束具の膨張装置
KR950005650A (ko) 팽창가능한 수단을 팽창시키는 장치
US5653463A (en) Hybrid inflating assembly using a projectile
KR960013867A (ko) 팽창식 차량 탑승자 보호체 팽창 장치
US6168202B1 (en) Pyrotechnic initiator with petal retainer structure
KR19980070057A (ko) 에어백용 하이브리드 팽창기
US6012737A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apparatus
US3618976A (en) Inflatable bag and gas diffusing device
JPS5852850B2 (ja) ノリモノノアンゼンソウチヨウボウチヨウソウチ
US5700030A (en) Inflator with combustion chamber pressure regulator
US6131948A (en) Air bag inflator with burst disk cutter and flow control means
JPH05105025A (ja) エアバツグ式衝突安全装置
US6116642A (en) Inflator for inflating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5516144A (en) Side impact air bag inflator
KR20190085103A (ko) 가스 발생기, 에어백 모듈 및 모터 차량 안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