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667B1 - 모듈식 비계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연결 접속부재 - Google Patents

모듈식 비계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연결 접속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667B1
KR960014667B1 KR1019880700014A KR880700014A KR960014667B1 KR 960014667 B1 KR960014667 B1 KR 960014667B1 KR 1019880700014 A KR1019880700014 A KR 1019880700014A KR 880700014 A KR880700014 A KR 880700014A KR 960014667 B1 KR960014667 B1 KR 960014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onorail
scaffold
attached
scaffold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700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701310A (ko
Inventor
엘. 비체 그레고리
Original Assignee
캐럭스 코오포레이션
게일 스보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럭스 코오포레이션, 게일 스보보다 filed Critical 캐럭스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80701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701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02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 E04G1/0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 E04G1/06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osed essentially of members elongated in one dimension only, e.g. poles, lattice masts, with or without end portions of special form, connected together by any means the members being exclusively poles, rods, beams, or other members of similar form and simple cross-section comprising members with rod-like or tubular portions fitting together end to end, with or without separate connecting pie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모듈식 비계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연결 접속부재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과 관계된 주내용은 명세서의 결론 부분에서 특별히 지적되고 명료하게 청구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여러가지 목적 및 장점과 함께 그것의 체제(organization) 및 실시방법과 같은 본 발명자체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모듈식 개념(modular concept)에 따른 비계시스템의 제1실시예의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며의 모듈식 비계시스템으로 구성된 비계의 제2실시예의 대략적인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비계시스템의 제3실시예의 대략적인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계(scaffolding)에 대한 구조물(structure)의 부분에 비계 모노레일(scaffoldmonorail)을 부착하기 위한 기둥지지 아암(column supportarm)을 부분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라 모우멘트-아암 연결 접속부재를 부분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두개의 구조적인 부재를 함께 연결하기 위한 추축합성연결물을 부분단면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7a, 제7b, 제7c도는 본 발명의 모듈식 비계시스템에 사용되는 비계의 하나의 실시예의 측면도, 단면도(endview) 및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중심의 낮은(underslung) 비계의 사시도.
제9도는 상단면(end elevation)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인 트롤리-서스펜디드 비계(trolley-suspended scaffold)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모듈식 비계시스템에 따라 조립된 비계의 다른 실시예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11a도는 지지포드(support pod)에 대하여 바퀴(castor wheel)를 선택적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장치와 바퀴와 지지포드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비계시스템을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제11b도는 바퀴와 지지포드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비계시스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빌딩의 건축 및 유지보수에 사용되는 형태의 비계시스템(Scaffolding System)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다양하게 응용하여 사용하기에 대단히 적합하면서, 동시에 부하상태에서 구조적인 변형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높은 모듈식 비계시스템(modular scaffolding system)에 관한 것이다. 과거의 비계시스템은 작업자가 빌딩 또는 다른 구조물의 여러부분에 그들의 작업을 적당한 영역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종래에는 특별한 작업을 위해 비계시스템이 요구될 때, 비계(scaffolding)는 조립되어 관련된 작업을 한번에 하나씩 빌딩의 한부분에서 수행할 수 있었다. 조립된 비계는 통상적으로 빌딩의 한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이동할 수 없었다.
대신에 비계시스템은 이동되기 이전에 빈번하게 분해해야 하였고, 빌딩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된 후에 재조립을 해야 하였다. 그러한 종전의 비계시스템에 있어서는, 그것이 매번 이동될 때마다 비계시스템을 철거하고 재조립하는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요구되었다.
통상적으로, 다양한 크기와 모양을 가진 비계의 여러부분은 조립하고 분해하는 동안에 각기 개별적으로 연결되고 분리되어야만 하였다. 게다가, 이러한 형태의 비계를 조립하는 작업자는 종종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는데, 그 이유는 작업대(work platform)가 수직지지대 사이에 매다는 방법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수직 사다리는 작업대의 끝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어 작업자는 작업대를 사다리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사다리를 올라가야할 필요가 있었다. 과거의 비계시스템에서 생기는 또다른 문제는 비계의 실질적인 부분의 분해없이는 여러작업대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변화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1980년 11월 18일과 1981년 3월 3일에 지. 엘 비체(G.L.Beeche)에 하여된 미국특허 제4,234,055호와 제4,253,548호에 기술된 비계시스템은 종전의 비계시스템 기술과 관련된 많은 문제를 경감시켰다.
분해하지 않고 빌딩의 측면과 빌딩모퉁이를 따라 비계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차량지붕(movilroof vchicle)을 구비하고 있는 비계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작업대를 포함하고 있는 비계는 차량 지붕에 매달려 상부아래쪽을 느슨하게 하므로서 조립되어 아래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거나 지상에서 느슨하게 하는것에 의하여 조립되어 위쪽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한다. 비계가 매달려 있어 여러개의 작업대가 버팀대 시스템(wsuspension system) 그 자체의 유용성을 통하여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특별히 유용한 비계 버팀시스템(suspended scaffold system)은 미국특허 제4,253,548호 기술한 절첩식 비계(folding scaffold)이다.
거기에 기술된 비계는 보관과 이송을 위해 상대적으로 작은 형상으로 비계를 접을 수 있도록 기계적인 관계(mechanical relationship)로 배치된 끝이 연결된 절첩되는 지지부분(linked end support sections)의 고리와 결합한 여러개의 작업대를 사용하고 건축장소(building sife)에서는 똑바른 상태로 퍼지는 것이다. 작업대는 끝지지대부분과 미끄러져 결합하여, 상승 또는 하강하는 끝지지대와는 독립적으로 상승되거나 하강된다. 개별적인 작업대는 선택적으로 끝지지대가 펴짐에 따라 원하는 높이로 끝지지부분에 부착할 수 있어, 비계시스템을 똑바로 선상태로 유지하면서, 다른 높이로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비계시스템의 다양성과 종류가 현대 빌딩 건축과 유지에 필요하게 됨에 따라, 그러한 건축 및 유지에 비계에서 손으로 하는 특정한 작업이 이용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모든 빌딩 건축 및 유지계획에 대한 비계시스템을 주문하여 독특하게 설계하고 만드는 것은 시간낭비이며, 상대적으로 비용도 많이든다. 필요한 비계시스템은 다양하게 응용하기에 적합하여야 한다.
또한 그 시스템은 비계를 사용하는 작업자와 그들의 재료에 대하여 안전작업 영역(safe work area)을 제공하도록 충분한 견고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쉽사리 폭넓고 다양하게 응용하기 적합한 비계시스템을 제공하는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제한된 숫자의 상호교환 가능한 컴포너트(component)를 여러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할 수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하상태에서 구조적인 변형과 파괴에 대한 높은 저항을 비계시스템에 전해주는 시스템 연결 접속부재(system connecting joint)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관련된 빌딩 또는 구조물의 여러부분에 비계의 분해와 재조립을 최소한도록 하여 접근할 수 있는 비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한가지 관점에 따르면, 모듈식 비계시스템은 상호 교환가능한 여러개의 구조적인 부재(structural member)를 포함하고 있다. 각 부재는 직경이 미리 정해진 원형의 횡단면부(circular cross section)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각 부재는 부재의 원주와 길이를 따라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그것의 외부면과 경계를 이루는 원통형으로 된 개방구(opening)를 구비하고 있다. 개방구는 그것들의 쌍이 정반대로 마주보는 관계로 배열되어 있어서, 볼트같은 직선핀이 원형부재의 중심을 통하여 하나의 개방구의 내부로 삽입되어 다른 개방구의 외부로 나올 수 있 도록 한다. 여러개의 연결 접속부재가 미리 정해진 구조적인 부재의 하나에 함께 부착되어 프레임(frame)을 형성한다.
각 접속부재는 구조적인 부재에 있는 최소한 한쌍의 개방구를 관통하기 위하여 배열된 고정수단(fastening means)을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연결 접속부재는 부재에 미치는 비틀림 및 방사상의 하중력에 의하여 야기되는 구조적인 변형에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는 부재에 부착된 형태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비계시스템은 게다가 최소한 두개의 수직지지 기둥(verticalsupport column)과 미리 선택된 높이로 수직지지 기둥에 연결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여러개의 수평작업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계시스템은 수직지지 기둥을 구조적인 부재의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구조물은 하중이 걸린 상태에서 구조적인 변형에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다. 다른 구조적인 부재에 원형의 횡단면부를 가진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모우멘트-아암접속부재(moment-arm joint)는 아치형으로 형성된 표면이 구비된 지지판 브라켓(backer plate bracket)을 포함하고 있다.
표면의 곡률 반경은 실질적으로 둥근 허상의 부재의 외부표면의 반경과 같고, 브라켓은 그것의 굴곡된 표면이 원형부재의 외부표면에 인접하여 최소한 부분적으로 원형부재의 외부표면을 둘러싸도록 배열되어 있다.
원형부재는 브라켓의 굴곡된 표면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평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재에 힘을 일으키기 위해 지지판 브라켓에 고정된다. 두개의 구조적인 부재를 함께 경첩식의 관계로 부착하기 위한 추측 합성연결물(pivoting composite connection)은 다른 부재의 일축에 부착된 수 힌지(male hinge)와 그 부재의 다른 일측에 부착된 암힌지(female hinge)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힌지 부분은 수힌지 부분의 전체에 걸쳐 연장된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힌지핀 구멍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암힌지 부분은 그것을 통하여 연장된 원통형 개방구를 가진 한쌍의 힌지 플랜지(finge flange)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는 힌지핀 구멍의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만큼 떨어져 있고, 게다가 각 플랜지 개방구의 세로축이 구멍의 세로축에 대하여 동축상으로 위치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공동의 원통(hollow cylinder) 형상을 가진 추축투관(pivotsleeve)을 개방구와 구멍내부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 플랜지 개방구가 배열되어 있다.
힌지편은 각 추축투관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고, 게다가 각 추축투관 및 연결된 힌지편은 암힌지 부분의 수힌지 부분에 대한 측면 이동을 제한하면서, 그것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모듈식 비계시스템에 따라 조립될 수 있는 비계의 한 실시예를 대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같은 모듈식 개념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는 비계의 다른 배열은 제2도 및 제3도에서 나타내고 있다. 나타낸 3가지의 비계 배열은 빠르고 쉽게 같은 기본적인 컴포넌트를 사용하여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축물의 여러부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식 비계시스템은 여러개의 상호교환 가능한 구조적인 부재(10)를 포함하고 있다.
각 부재(10)는 미리 정해진 같은 직경을 가진 원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가급적이면, 비계시스템의 모듈성(modularity)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재(10)는 미리 정해진 제한된 표준 길이중의 하나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발명자는 6피트, 16피트, 24피트 및 32피트의 표준길이를 가진 부재를 결합하여 사용하여 비계를 가장 잘 조화시켜 응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본 발명의 부재는 융통성 있게 조립될 수 있기 때문에 부재의 길이를 "주문(custom)"하여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각 부재(10)는 그것의 외부표면과 경계를 이루는 원통형상의 개방구(12)를 여러개 가지고 있다. 개방구(12)는 각부재(10)의 원주 및 길이를 따라 미리 정해진 곳에 위치되며, 게다가 개방구(12)의 쌍이 부재(10)의 원형 횡단면에 대하여 정반대로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2도의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개방구(12)가 부재(10)의 외부 원부 주위의 미리 정해진 4개의 위치중의 하나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재(10)에 뚫려져 있다.
그러한 각 원주의 위치에 대해서 개방구(12)는 부재(10)의 길이축을 따라서 인접한 개방부(12)의 중심과의 거리가 1피트가 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인접한 원주의 위치에서 동축열(axialrow)에 형성된 개방구에 대하여 하나의 원주 위치에서 동축열에 형성된 개방구의 동축위치를 엇물리게 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제2도의 실시예에서, 개방구(12)의 4개의 동축열은 부재(10)의 원주주위에 대하여 같은 간격으로 되어 있어, 열(row)은 각기 다른것과 90°떨어져 위치한다.
각각의 개방구(12)의 동축열에 대해서, 개방구의 한열의 동축위치(axial location)는 인접한 열의 개방구에 대하여 엇물려 있어 한열의 개방구의 동축 위치는 인접한 열의 개방구 동축위치 사이의 중간쯤에 수직으로 되어 있다.
이런 방법으로 배열된 개방구(12)로 인하여 동축방향으로 6인치 떨어져 위치한 두개의 다른 부착 개방구(attachment openings)가 튜브의 90°회전에 의하여 제공되기 때문에 개방구 사이에 유효하게 응용할 수 있는 거리는 1피트가 아니라 6인치가 된다.
또한 이런 방법으로 엇물린 개방구(12)는 정반대로 마주보는 개방구(12)의 쌍에 다른 구조물 또는 컴포넌트가 부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어떤 볼트를 배치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한다.
가급적이면, 개방구(12)는 모두 같은 직경을 갖도록 하여, 하나 또는 여러개의 개방구(12)에 다른 구조물을 부착하는데 단일의 직경을 가진 볼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재(10)의 끝과 끝을 결합할 때, 가급적이면 부재의 결합된 전체 경간(span)을 따라 계속되는 형태로 개방구(1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재(10)의 둥근 횡단면형태는 하중의 실린 모든 평면에 균일한 강도 특성을 제공하여 준다. 연관된 원리는 원호(arch)의 중심 및 지지된 방향의 내부에 방사적으로 부착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구조물보다 우수한 반원형호로 만드는 것과 유사하다.
그러한 구조에 있어서, 하중에 의하여 원호상에 작용하는 힘은 원호의 중심에서 끝으로 원호의 원주를 따라 향하게 된다. 그러므로 하중에 의하여 생기는 휘는 힘(bending force)은 원호의 길이를 따라 누르는 힘(compressive force)으로 바뀌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효과적인 원형의 횡단면을 가진 부재는 그 자신의 대각선의 지주(diagonal bracing)를 구비하고 있어 그것에 의하여 부재는 매우 큰 경간강도를 갖는다. 또한 그러한 부재는 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뒤틀리는 움직임을 최소로 하는데 효과적인 격막(diraphragm)이 구비되어 있어, 비틀림에 대해 높은 견고성을 갖는다.
물론 특정한 직경을 가진 부재에 대한 최대경간 강도와 비틀림 견고성(tortional rigidity)은 부재의 내부가 견고하게 되어 있을 때 얻어진다.
그러나 그러한 비계의 응용에는 무게와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공동의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외부직경이 8인치이고 방사상 두께(radial thickness)가 0.25인치인 공동의 알루미늄 튜브가 비계를 응용하는 여러가지 분야의 구조적인 요구조건에 부합하는데 충분한 경간 강도 및 비틀림 견고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크기의 튜브는 비계가 조립되고, 분해되는 동안 두명의 작업자에 의하여 쉽게 다루어 질 수 있다. 명백히, 더 강한 컴포넌트가 필요하다면, 더 큰 직경 또는 더 큰 두께를 가진 부재가 본 발명의 원리에 미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각 부재(10)는 기둥(columm), 마스트(mast), 붐(boom), 버팀대(truss Chord), 간단한 빔(beam), 또는 연속적인 빔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듈식 비계시스템에 있어서, 부재(10)중의 미리 정해진 하나는 여러개의 연결 접속부재(14)(16)에 의하여 프레임에 함께 조립되어 부착된다.
각 연결 접속부재부(14)(16)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조적인 부재(10)에 있는 정반대로 마주보는 개방구(12)쌍을 통과하도록 하는 고정수단이 배열되어 있다. 게다가, 접속부재(14)(16)는 구조적인 부재(10)에 작용하는 비틀림 및 방사상 부하에 의하여 야기되는 구조적인 변형에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는 부재(10)에 부착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제2도 및 제3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또한 구조적인 부재(10)중의 미리 정해진 하나는 여러개의 추측 연결물(18)에 의하여 경첩식으로 함께 부착되도록 되어 있어 부착된 부재(10)의 위치를 서로에 대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가급적이면 각 추축 연결물(18)은 부재(10)에 있는 적어도 한 쌍의 정반대로 마주보는 개봉구(12)를 통과하기 위한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물(18)은 하중에 의해 부재(10) 상에 작용하는 비틀림과 방사상의 힘에 의하여 야기되는 구조적인 변형에 대해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는 부재에 경첩식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추측연결물(18)은 그러한 구조로 되어 있어 추축면을 견고하게 유지하면서 부재(10) 사이의 각을 변화시킬 수 있다. 부재(10)를 함께 견고하게 부착하는데 특별히 사용하는 연결 접속부재는 제5도에 대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5도에 도시한 것가 같이, 제2도의 구조적인 부재(42)를 제1의 구조적인 부재(40)에 부착하기 위한 원형의 단면을 가진 모우멘트 아암 연결접속 부재는 제2부재(42)에 부착되는 지지판 브라켓(44)을 포함하고 있다. 브라켓(44)은 부재(40)의 외부표면의 반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곡률반경을 가진 아치형의 표면(46)을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브라켓(44)은 표면(46)에 인접하여 부재(40)의 외부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 구조적인 부재(42)의 완전한 부품들을 포함하고 있는 지지판 브라켓(44)을 제4도에서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또한 브라켓(44)은 예를 들면 용접 또는 볼트 등과 같은 종래의 수단으로 부재(42)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우멘트-아암 연결 접속부재는 아치형의 표면(46)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평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재(40)가 힘을 받도록 하기 위하여 브라켓(44)에 부재(40)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가급적이면, 사용되는 고정수단은 부재(40)상에 걸리는 조절할 수 있는 힘의 총량을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의 실시예에서, 고정수단은 원형부재(40)의 지름을 관통하여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볼트(50)를 구비하고 있다.
볼트(50)는 부재(40)의 외부표면에 그것의 헤드(head)가 인접하고 브라켓(44)에 부착된 나사수단(threaded means)에 의하여 브라켓(44)에 볼트(50)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나사수단은 볼트(50)에 있는 나삿니(threading)와 일치하는 나삿니가 내어져 있다.
제5도에 나타내고 있는 실시예에서 브라켓(44)에 부착된 나사수단은 너트(52)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실시예(도시안됨)에서 볼트(50)는 브라켓(44)에 형성된 탭이 나있는 나사구멍으로 삽입된다.
또한 제5도에서는 오직 하나의 볼트(50)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브라켓(44)에 부재(40)를 고정시키는데 하나이상의 볼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제5도에 도시한 접속부재에 대해서는 부재(40)상에 하향으로 하중이 작용할 때 하중에 의하여 생긴 힘이 볼트(50)상의 장력으로 바뀐다.
만일 브라켓(44)의 굴곡된 표면(46)이 없다면, 부재(40)는 수직버팀대(vertical brace, 56)에 직접적으로 볼트에 의해 조여지게 되어 하향으로 힘을 받는 하중의 가해진 부재(40)는 주로 전단방향(shear direction)으로 볼트(50)상에 힘을 생기게 한다.
게다가, 표면(46)이 없으면, 밀착한 볼트(50)는 부재(40)상의 수직버팀대(56)와 접촉하는 지점에서 그것의 외부표면을 누르려고 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부재(40)의 외부표면(46)과 같은 곡률반경을 가진 표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된 지점과 아치형 표면(46)의 원주끝 사이에는 모우멘트 아암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모우멘트 아암에 의하여 부재(40)상에 하향으로 작용하는 힘은 표면(46)에 고정된 부재(40)에 사용된 수단에 의하여 장력으로 바뀐다. 하중력(loading force)을 전단력에서 장력으로 바꾸는 이유는 많은 물질의 장력 강도가 그러한 물질들의 전단력 강도보다 대단히 크기 때문이다.
물론, 표면(46)의 원주길이가 길면, 더 큰 모우멘트가 생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외부직경이 8인치이고 방사상 두께가 0.25인치인 알루미늄 튜브에 대해서는 표면(46)의 약 6인치의 원주길이를 가질 때 좋은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제5도의 실시예에서, 고정수단은 그것에 의하여 부재(40)가 생기는 힘이 브라켓(44)과 인접하여 위치한 부분과 정반대로 마주보는 부재(40)의 외부 표면의 부분에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도시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볼트(50)로 인해 볼트(50)는 부재(40)의 전체 횡단면에 선하중력(pre-loading force)이 작용하도록 조일수 있다.
그러나 또한 모우멘트 아암은 볼트의 헤드가 브라켓(44)의 표면(46)과 결합된 부재(40)의 내부 표면부분에 인접하도록 볼트(50)를 배열하는 것에 의하여서도 생길 수 있다.
게다가, 그것이 가능하다 할지라도, 볼트(50)가 표면(46)의 원주길이의 중심을 통과하도록 할 필요는 없다. 표면(46)의 하부 원주단(lowen clreumferenticl dne)에 고정되는 부재(40)는 또한 모우멘트 아암을 발생시킨다.
고정수단에 의하여 부재(40)의 외부표면을 변형시키는 장력을 막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연결 접속부재는 힘이 작용하는 부재(40)의 미리 정해진 부부전체에 고정수단에 의하여 생기는 힘을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분배하기 위한 수단을 게다가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에 도시하고 있는 하나의 실시예에서 힘을 분배하기 위한 수단은 워서(washer plate, 54)로 구성되어 있다. 워서(54)는 실질적으로 부재(40)의 외부표면의 반경과 같은 곡률반경을 지닌 아치형의 워서면(58)을 구비하고 있다.
워서(54)는 표면(58)이 부재(40)의 외부표면과 인접하도록 볼트(50)의 헤드와 부재(40)의 외부표면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볼트(50)의 헤드에 의하여 부재(40)의 외부표면에 작용하는 힘이 표면(58)에 인접한 부재(40)의 외부표면에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한다.
원한다면 워서(54)는 제5도에 도시한 수직 버팀대(56)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된 수직버팀대에 의하여 더 보강할 수 있다.
제6도에서는 본 발명의 모듈식 비계시스템에 있는 두개의 구조부재를 함께 경첩식으로 부착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추축연결물을 대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제6도에 도시된 추축합성 연결물은 제1의 구조부재(62)에 부착되는 수힌지(male hinge)부분(60) 제2의 구조부재(66)에 부착되는 암힌지(female hinge)(64)부분을 구비하고 있다.
수힌지 부분(60)은 수힌지 부분(60)을 통하여 연장된 원통형의 힌지핀 구멍(hinge pin bore, 68)을 가지고 있다.
암힌지 부분(64)은 힌지핀 구멍(68)의 길이와 일치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한쌍의 힌지 플랜지(70)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플랜지(70)는 일반적으로 그것을 통하여 연장된 원통형의 개방구를 갖고 있으나, 그 개방구는 제6도에 도시되지 않았다.
암힌지 부분(64)은 수힌지 부분(60)에 대하여 배열되어 있고, 플랜지(70)는 각 플랜지(70)에 개방구의 길이 축이 구멍(68)의 길이축에 대하여 동축상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공동의 원통형을 가진 추축 투관(72)은 플랜지 개방구와 구멍(68) 내부를 통하여 연장되도록 각 플랜지(70)의 개방구에 배열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원통형의 힌지편(74)은 각 추축투관(72)의 내부에 배열되어 있어 추축투관(72) 및 연관된 힌지핀(74)의 구멍(68)의 길이축에 직각방향으로 수힌지 부분(60)에 대한 암힌지 부분(64)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동시에 같은 길이 축 주위로 수힌지 부분(60)에 대하여 암힌지 부분(64)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제6도에 나타낸 형태의 추축연결물에 대해서 전단응력(shear stress)은 수힌지 부분(60)과 플랜지(70)간의 중간에서 최대가 된다.
원통형의 개방구가 있는 플랜지(70)의 부분과 힌지핀(74) 사이에 추축투관(72)를 배열하므로서, 전단력에 저항하는(shearresisting) 부가적인 재료는 힌지핀(74)의 그것에 박판으로 되어 있다. (laminated)같은 방법으로 합성추축 연결물의 전단강도는 힌지핀(74)의 직경을 크게 하지 않고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듈식 비계시스템에 있어서, 제6도에 도시한 추축연결물의 구조는 시스템에 적당한 강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비용이 경제적인 철물(hardware)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종래의 도구를 사용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최대전단강도를 위해 힌지핀(74)은 견고한 원통을 포함하고 있다. 비계의 적용에 있어서, 힌지핀(74)은 편리를 위해 구멍(68)을 통하여 연장되고 제워치에 볼트를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수단에 고정된 볼트를 포함하고 있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 나사 수단은 플랜지(70)중의 하나에 인접하여 위치된 너트를 포함하고 있다.
이제까지와는 다른 실시예에서, 힌지핀(74) 대신에 사용될 수 있는 두개의 분리된 볼트는 추축투관(72)의 반대편 끝에서 삽입되어 나삿니가 나있는 구멍(68)의 내부에 안전하게 고정된다.
부가적으로 추축투관(72)은 구멍(68)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것보다는 오히려 구멍(68)의 동축 끝에 위치된 두개의 분리된 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구멍(68)의 끝에 위치한 분리된 추축투관은 추축투관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것보다는 다른 재료로 형성된 중간구조물(intermediate structure)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그러한 구조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낮은 전단강도를 갖는 플라스틱과 같은 경량의 재료가 추축투관을 연결하는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축연결물의 견고성을 최대로 하기 위하여 각 플랜지(70)에 있는 개방구의 내부직경 각 추축투관(72)의 외부직경과 각 추축투관(72)을 포함하고 있는 구멍(68) 부분의 내부직경은 각 추축투관(72)이 외부표면과 구멍(68) 및 플랜지에 있는 개방구의 인접한 내부표면 사이가 기계적으로 밀접하게 꼭 맞도록 하기 위하여 각기 다른것에 대하여 크기가 모두 맞도록 되어 있다.
그러한 하나의 실시예에서 힌지핀(74)의 외부직경은 투관(72)의 내부직경보다 약간 작고 구멍(68)의 내부직경은 실질적으로 각 플랜지(70)에 있는 원통형 개방구 내부직경과 같다. 접속부재의 과도한 움직임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추축투관(72)과 연관된 힌지핀(74)은 힌지핀(74)이 구멍(68)에 대하여 동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추축투관(72)을 제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 힌지핀(74)에 적소에 고정될 때 힌지핀(74)을 포함하고 있는 결합한 볼트와 너트의 너트 또는 헤드중의 하나와 플랜지(70)중의 하나 사이에 고정된다. 또한 제위치에 추축투관(72)을 고정하는 이러한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달리 구성할 수 도 있다.
몇가지의 응용예에서, 제위치에 추축투관(72)을 꼭 맞도록 하기 위해 그것을 누를 필요가 있다.
제1도 내지 제3도와 제10도 내지 제11도에 도시된 것과같이, 본 발명의 모듈식 비계시스템은 지지면상에 있는 구조적인 프레임의 만능의 회전움직임을 허용하기 위한 수단을 게다가 더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회전수단(rolling means)은 편리하게도 구조적인 부재(10)로 형성된 프레임에 장치된 여러개의 바퀴(20)를 포함하고 있고, 바퀴(20)는 지지표면상에서 프레임이 이동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가급적이면, 각각의 바퀴(20)는 부재(10)에 있는 적어도 한쌍의 정반대로 마주보는 개방구(12)를 통과하기 위해 배열된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퀴(20)에는 브레이크가 구비되어 있고, 미리 정해진 회전하는 각의 위치에서 잠글 수도 있어 프레임이 미리 정해진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제11a도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같이 또한 각각의 바퀴(20)는 지지표면과 바퀴(20)가 장치된 구조적인 부재(10) 사이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8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바퀴(20)는 한 위치에서 포드(84)에 대하여 휠(wheel, 86)을 선택적으로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수단과 수직 지지포드(vertical supportpod, 84)를 구비하고 있어 제11a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것과 같이 프레임의 무게는 훨(86)에 의하여 지지된다. 다른 위치에서 프레임의 무게는 제11b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바와같이 포드(pod, 84)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1a 및 제11b도에 나타내고 있는 실시예에서, 니잭(Knee jack, 88)은 선택적인 위치고정이 수평위치에서 오른쪽위의 위치로 레버(90)를 움직이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비계시스템에 부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구조적인 부재(10)의 프레임에 제1도 내지 제3도에 나타낸 평형추(22)와 마찬가지의 평형추를 적어도 하나 부착할 수 있다.
각 평형추(22)는 프레임의 다른 끝에 부착된 비계 컴포넌트의 무게에 의하여 그위에 생기는 힘에 의해 직립한(upended) 부재(10)의 프레임을 제한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만일 평형추(22)에 대해 더긴 모우멘트 아암이 요구된다면, 붐의 한끝은 부재(10)중의 하나에 부착되고 다른 한끝은 평형추(22)에 부착된 끼워넣은식의 붐(telecoping boom)이 프레임이 평형추(22)를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평형추(22)를 달리 사용하거나 그것과 함께 결합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아웃리거(outrigger, 24)가 비계시스템의 안정성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아웃리거(24)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마찬가지로 각 아웃리거(24)의 위치를 프레임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경첩식으로 부재(10)의 프레임에 선회가능하게 장치되어 있다.
각각의 아웃리거(24)는 프레임과 지지표면간을 더 지지하여 주고, 거기에 부착된 비계 컴포턴트의 무게에 의하여 그 위에 생기는 힘에 의해 직립한(upended) 프레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비계 컴포넌트는 매우 다양하게 구성하기에 적합하게 된 모듈식 비계시스템을 형성한다.
상호 교환가능한 부재(10)는 구조적인 부재와 다른 컴포넌트를 부착하고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빌딩블록으로서 사용된다. 부재(10)에 있는 여러개의 개방구(12)는 사실상 부재를 어떠한 모양 또는 형태로 함께 연결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준다.
실시예와 같이, 각기 "H", "Y", 및 "T"의 형상을 가진 부재(10)의 프레임을 제1,2 및 제3도에서 나타내고 있다. 부재(10)는 경간이 연속적으로 또는 연결 접속부재(14)와 추축연결물(18)에 의하여 서로에 대해 비스듬히 생기도록 하기 위해 각기 서로가 끝과 끝이 연결된 관계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개방구(12)는 3개의 다른 평면에 있는 부재(10)에 조립될 수 있는 부속 컴포넌트(accessory component)에 대해 부착지점(attachment point)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모우멘트-아암 연결접속물과 추축합성 연결물을 사용하여, 부재(10)는 적어도 두개의 평면에서 구조적인 견고성을 나타내도록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연관된 구조적인 부재연결물과 부재사이의 각을 조절할 수 있는 유연성은 조립하여 지붕 또는 지상 장애물에 매우 근접하여 안정화될 수 있는 비계시스템을 제공한다.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지지구조물은 인접한 지지물 간의 경간거리를 최소로 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부재(10)의 프레임은 바로 가까이에 적용하기 위한 비계의 하중을 가장 잘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비계가 이동할 때, 여러가지의 프레임 컴포넌트를 안밖으로 끼워 넣거나 또는 흔들리는 길을 벗어나도록 만들 수 있어, 비계는 관련된 장애물의 둘레로 움직일 수 있다.
제11a도에 나타낸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바퀴를 사용하여, 비계의 프레임은 지붕이 장치된 기계(roof-mounted appliances)을 통과하도록 상승하거나, 또는 바퀴가 평탄치 않은 표면상에 있을 때, 프레임은 수평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비계시스템은 쉽게 조립하고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비계시스템이 대단히 한정된 접근 영역을 가진 기둥 또는 지붕의 구멍과 같은 곳에 사용하기 위해 장애물 주위로 조립되어 있다 할지라도 프레임을 이동해야 할 필요가 없을 때도 짧은 시간안에 프레임을 분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듈식 비계 컴포넌트는 지상용 장치(ground-based unis) 또는 지붕용장치(roof-based units)로 조립될 수도 있고, 정지 또는 이동용의 장치의 형태로도 조립될 수 있다. 비계는 지상으로부터 위쪽으로 작업을 하면서 조립을 개시하거나, 지붕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작업을 하면서도 조립을 개시할 수 있다.
캔티레버(cantilever)는 벽모서리, 하측(soffit)과 같은 현수(overhang), 모서리가 지붕위로 접근하는 것을 막는 장애물에 여러개의 다른 평면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부재(10)의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다.
제8도에서 본 발명에 따라 빌딩의 하측영역에 접근하는데 유용한 언더슬렁 비계(underslung scafold)의 한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지지부재(92)는 통상적으로 프레임이 빌딩의 지분에 위치된 구조적인 부재(10)(제8도에는 도시되지 않음)의 프레임에 부착된다.
제1횡단부재(first cross member, 94)는 모우멘트-아암 연결 접속부재(96)에 의하여 지지물(92)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같은 방법으로 수직지지물(98)은 제1횡단부재(94)에 부착되고, 제2횡단부재(100)는 수직지지물(98)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언더슬렁부재(102)는 다시 모우멘트-아암 연결 접속부재(96) 수단에 의하여 제2횡단부재(100)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그때 작업단(104)은 언더슬렁 지지물(102) 사이에 배열되어 있고, 통상적인 어떤 수단에 의하여 거기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모우멘트-아암 연결 접속부재를 사용하여, 제8도에 나타낸 3차원적으로 비계를 연장하는 것은 사실상 제한없이 연속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조립된 제2도와 제3도에서 나타내고 있는 비계시스템의 미리 정해진 부재(10)중의 하나는 모노레일(26)에 함께 조립되어 부착된다.
적어도 두개의 트롤리(28)가 모노레일(26)에 매달려 있고, 트롤리(28)는 모노레일(26)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각 트롤리(28)에 하중이 걸리도록 배열되어 있다. 단부 캡(32)은 트롤리(28)가 모노레일(26)의 단부를 통과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모노레일(26)의 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끝에서 끝까지 여러개의 부재(10)를 함께 연결 접속부재(16)와 그것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당한 위치에서 모노레일(26)을 지지하는 수단을 사용하여, 모노레일(26)은 비계가 설치된 구조물의 전체길이를 따라 이동하도록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계시스템을 사용하는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재료에 쉽게 접근하도록 하기 위하여, 재료를 운반하는 트랙(34)에 트롤리시스템을 분리하여 장치할 수 있다. 트랙(34)은 모우멘트-아암 연결 접속부재(14)에 의하여 모노레일(26)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모노레일(26)은 제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노레일(26)이 건물의 외형을 따라 접근할 수 있도록 배열된 굴곡된 부분(curved section, 36)을 게다가 더 구비하고 있다. 모노레일(26)은 제1, 제2 및 제3도에 나타낸 H.Y. 및 T자형 프레임을 포함한 여러가지 다양한 프레임의 형태로 지지된다.
또한 모노레일(26)은 빌딩의 하부구조(infrastructure)의 강철기둥과 같은 빌딩자체의 구조물에 부착된 구조물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그러한 지지구조물 중의 하나는 제3도에서 도시하고 있는 기둥지지아암(38)이다. 기둥지지아암(column support arm, 38)은 제4도에 더욱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제4도와 같이, 각 기둥아암지지물은 기둥(110)의 한쪽에 부착된 모노레일 지지브라켓(106)을 포함하고 있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 지지브라켓(106)은 기둥클램프(108) 수단에 의하여 기둥(110)에 부착되어 있다. 각 브라켓(106)에 대해서, 부합하는 연결 접속부재는 모노레일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한 각 연결 접속부재는 모노레일(26)을 형성하는 구조부재(10)에 의해 정반대로 마주보는 적어도 한쌍의 개방구를 통과하기 위해 배열된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가급적이면, 연결 접속부재는 본 발명의 몬우멘트-아암 연결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레일 지지아암(112)은 모노레일 지지브라켓(106)과 연관된 모노레일 연결 접속부재(14)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
아암(112)은 슬라이딩부분(114)과 리테이닝판(retaining plate, 116) 수단에 의하여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추축연결물(18)은 아암(112)의 반대편 끝에 위치하고 있다. 추축연결물(18)은 각각의 브라켓(106)과 연결 접속부재(114)를 경첩식의 관계로 아암(112)의 끝에 각기 부착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가급적이면, 추축연결물(18)은 본 발명의 추축합성 연결물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계시스템은 미리 선택된 높이로 수직지지 기둥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여러개의 수평작업단과 적어도 두개의 수직지지 기둥을 구비하고 있는 형태의 비계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비계시스템은 구조적인 부재(10)에 의하여 프레임에 형성된 수직지지 기둥을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비계시스템의 한 실시예를 제7a 내지 제7c도에서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수직지지 기둥(118)은 부착포인트(attachment point, 120)에 의하여 구조적인 부재(10)의 프레임에 부착되어 있다. 수평작업단(122)의 끝은 수직지지 기둥(118)에 연결되어 있고, 미리 선택된 높이로 기둥(118)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7c도에서 나타내는 특정한 실시예에서, 작업단(122)은 작업자가 한높이에서 다른 높이의 비계로 이동할 때 안전하고 편리하게 하는 수단인 트랩도어(trapdoor, 128)를 구비하고 있다. 작업자를 더욱 안전하게 하기 위해, 비계는 각 작업단과 연관된 가드 레일(guardrail, 124)을 구비할 수 있다.
각 가드레일(124)은 미리 선택된 높이에서 기둥(118) 사이가 수평으로 되도록 하기 위해 수직지지 기둥(18)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다. 비계에 최대의 견고성을 제공하기 위해, 기둥(118)을 효과적으로 트러스(truss)로 바꾸도록 하는 대각선의 버팀대(126)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계는 제1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부재(10)의 프레임에 매달리거나, 또는 제2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노레일(26)에 매달리도록 할 수 있다. 비계를 프레임을 매달때,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계는 상기에서 설명되고, 참고로서 여기에 통합된 미국특허 제4,253,548호 및 제4,234,055호에서 설명된 비계중의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비계는 비계가 설치된 공간을 통하여 케이블 고정물(cable fixture)의 하향으로 연장된 케이블이 있는 프레임에 한쌍의 부착된 서스펜션 케이블 고정물 수단과 케이블 고정물에 부착된 한쌍의 서스펜션 케이블에 의하여 프레임에 매달려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비계는 다른 것과 끝에서 접을 수 있게 연결되도록 배열된 각 체인(chain)과 각 케이블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기둥에 있는 한쌍의 체인을 포함하고 있다. 연관된 케이블을 조이고, 상향 또는 하향으로 기둥의 체인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은 각 체인의 상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비계는 수직기둥의 체인사이에 상기 체인의 수직기둥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가능한 사실상 수평으로 연장된 작업단을 구비하고 있다. 비계는 각 작업단을 선택적이고 개별적으로 수직기둥의 각 체인 및 그 위의 미리 선택된 높이에서 그것의 연관된 케이블과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게다가 더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것과 같은 형태의 케이블 서스펜션 시스템(cable suspension system)은 구조적인 부재(10)의 프레임을 다른 형태의 비계의 수직기둥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비계에 있어서, 부착수단은 프레임에 장치된 적어도 두개의 서스펜션빔 연결고정물(suspension beam connection fixture)과 또한 프레임에 매달린 적어도 두개의 비계 서스펜션 케이블(scaffold suspension cable)을 포함하고 있다.
게다가 서스펜션 빔은 서스펜션 및 연결고정물 또는 비계 서스펜션 케이블중의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한 다른 케이블 서스펜션 시스템과 같이, 비계의 수직지지 기둥은 제1도와 같이 구조적인 부재(10)의 프레임에 견고하게 부착된다. 거기에 나타낸 비계 부착수단은 미리 정해진 구조적인 부재(10)중의 하나에 수직기둥(130)을 견고하게 부착하는 적어도 두개의 연결 접속부재(14)를 포함하고 있다.
각 접속부재(14)는 부재(10)에 있는 정반대로 마주보는 적어도 한쌍의 개방구(12)를 통과하도록 된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비계의 수직지지 기둥을 구조적인 부재(10)의 프레임을 부착하기 위한 또다른 수단은 제9도에 대략적으로 나타낸 모노레일과 트롤리 시스템이다.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것과 마찬가지로, 모노레일(26)은 미리 정해진 구조적인 부재(10)중의 하나에 형성되어 있다. 적어도 두개의 트롤리(28)와 모노레일(26)에 매달려 있다. 적어도 한개의 트롤리(28)가 거기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하중-베어링로울러(weight-bearing roller, 134)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로울러(guide roller, 136)를 가진 C-자형의 브라켓(132)을 포함하고 있다.
로울러(134)(136)는 트롤리(28)가 모노레일(26)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르면서 그것으로부터 하중이 걸리도록 배열되어 있다. 트롤리(28)는 또한 비계의 수직기둥(140)이 직접 그것에 부착되도록 배열된 부착탭(138)을 구비하고 있다.
제9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방법으로, 트롤리(28)에 수직기둥(140)이 부착될 때, 비계의 무게 또는 다른 몇개의 모우멘트 아암에 의하여 트롤리(28)에 작용하는 힘은 만일 비계의 중력중심의 모노레일(26)의 중심 아래에 바로 위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모노레일(26)의 외부표면에 대하여 트롤리(28)를 약간 회전하게 한다.
그러한 비계시스템에 있어서, 가급적, 트롤리브라켓(132)은 록핀(lock pin, 142)이 록핀구멍과 구조적인 부재(10)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방구(1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거기에 배열된 록핀구멍과 경계를 이루는 록핀구멍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핀(142)이 제위치에 삽입될 때, 록핀구멍과 록핀(142)은 모노레일(26)에 대하여 트롤리(28)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제한하는 힘은 록핀(142)의 구조에 의하여 증가되어, 그것이 제위치에 삽입될 때, 그것은 브라켓(132)에 있는 힌지핀 구멍에 인접하여 위치한 개방구(12)와 정반대로 마주보는 관계로 위치된 개방구(12)의 외부와 모노레일(26)의 부재(10)의 내부를 통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한 비계의 수직지지 기둥은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여러가지 형태의 비계의 관하여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케이블 서스펜션 시스템에 의하여 트롤리(28)에 부착될 수 있다. 케이블 서스펜션 시스템과 같은 형태가 본 발명에 사용될 때, 가급적 비계는 작업단이 수직기둥에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 서스펜션 케이블로부터 작업단을 매달기 위한 수단을 게다가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스펜션 수단은, 서스펜션 빔이 프레임 또는 트롤리중의 하나에 부착된 한쌍의 서스펜션 빔 연결고정물에 연결되었을 때, 작업단이 서스펜션 케이블 수단에 의하여 비계의 수직지지 기둥에 대하여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0도에서는 본 발명의 모듈식 비계시스템을 사용하는 지상용 다단비계시스템(gruund-based multi-stage scaffold system)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제7a도에 나타낸 비계와 유사한 여러단의 비계가 부착 포인트(120) 수단에 의하여 각기 수직지지 기둥(118)의 단부를 사용하여 다른 것의 상부에 쌓아올려져 잇다.
제10도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구조적인 부재(10)가 다단비계(scaffoldstage)에 대한 기부(base)로서 작용하는 프레임을 형성하는데 사용되었다. 비계의 기저단(bottom scaffold stage)의 수직지지물(118)은 본 발명의 모우멘트-아암 연결 접속부재에 의하여 구조적인 부재에 부착되었다.
또한, 조정할 수 있는 바퀴(20)는 구조적인 부재에 부착되어 개별적으로 바퀴(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평탄하지 않은 지대를 통과할 때, 비계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제10도에 나타낸 비계시스템은 수직지지 기둥(118)에 부착된 적어도 두개의 케이블(144)을 게다가 더 포함하고 있다. 각 케이블(144)은 각단의 비계의 수직기둥 사이에 대각선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비계시스템은 수평작업단(122)에 사실상 수직으로 수직기둥(118)을 배열하기 위하여 각 케이블(144)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10도의 실시예에서, 장력조절 수단은 조임나사(turnbuckle, 146)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거기에 나타낸 비계시스템은 수직기둥(118)에 부착된 케이블 클램프(148)를 구비하고 있다.
수직기둥(118)이 수직으로 되도록 장력을 조절한 후에 각 케이블 클램프(148)는 기둥(118)에 대하여 제위치에 케이블(144)을 안전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조여진다. 한정된 숫자의 상호교환 가능한 컴포넌트가 있는 앞서 설명한 모듈식 비계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로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듈식 비계시스템에 의하여 주어지는 유연성은 어떠한 건물에 대해서도 근접하여 비계를 세울 수 있도록 허용하므로, 요구되는 컴포넌트를 주문할 필요가 거의 없다.
비계시스템은 개인주택, 고층건물, 오락공원의 장비 및 유정굴착장치(oildrilling rigs)와 같은 다양한 구조물의 건축 및 유지를 포함하는 여러가지 응용분야에 쉽게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중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구조적인 변형 및 파괴에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는 연결 접속부재를 제공하다.
이러한 접속부재는 견고한 형태로 비계시스템의 여러가지 컴포넌트를 함께 부착하는데 특별히 유용하다.
게다가, 본 발명의 비계시스템은 비계의 분해 및 재조림을 최소한으로 하여 빌딩 또는 구조물의 여러부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여기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같은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에 의하여 많은 수정 또는 변화가 행하여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계시스템의 많은 컴포넌트가 도면에서는 금속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그러한 적용에 대해 충분한 기계적인 강도를 가진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참된 정신과 범주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과 변경을 모두 망라하는 부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보호되어야 한다.

Claims (40)

  1. 구조물의 여러부분에 접근하기 위한 모듈식 비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이 미리 정해진 직경을 가진 원형의 횡단면부가 있는 여러개의 상호 교환가능한 구조부재를 함유하여 각 부재는 그의 외부표면의 부재의 길이방향과 원주를 따라 미리 정해진 위치에 구성된 원통형상의 여러개의 개방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개방구는 개방구쌍이 원형의 횡단면부에 대하여 정반대로 마주보는 관계로 위치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구조부재들의 미리 정해진 것들을 함께 부착하여 프레임을 형성하게 되는 연결접속물을 함유하여 상기 각 접속부재는 구조부재에 있는 개방구 쌍중의 적어도 한쌍을 통과하도록 하기 위해 배열된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접속부재는 부착되는 부재가 구조부재상의 비틀림 및 방사상의 하중력에 의하여 야기되는 구조적인 변형에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 미리 선택된 높이로 수직지지 기둥에 연결할 수 있는 형태로 된 최소한 두개의 수직지지 기둥과 여러개의 수평작업단과 ; 상기 구조부재의 프레임에 수직지지 기둥을 부착하기 위한 수단 등을 함유하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 접속부재는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된 구조부재의 외부표면의 반경과 같은 곡률 반경을 가진 아치형의 표면을 구비한 지지판 브라켓을 함유하여 상기 지지판 브라켓이 아치형 표면에 인접하여 부재중 하나의 외부표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되어 있고 ; 상기 브라켓의 아치형 표면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평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부재상에 힘이 생기도록 인접한 구조 부재를 지지판 브라켓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단을 포함하고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부재의 높이를 서로에 대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구조부재들 중의 미리 정해진 것들을 경첩식의 관계로 함께 부착하는 여러개의 추축연결물을 더 함유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축연결물은 구조부재에 있는 개방구 쌍중의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도록 배열된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경첩식으로 부착된 부재들이 상기 부재상의 비틀림 및 방사상의 하중력에 의하여 야기되는 구조적 변형에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도록 추축연결물이 더 형성되어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축연결물은, 부재중의 하나에 부착된 수힌지 부분을 함유하여 수힌지 부분은 수힌지 부분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으로 규정된 힌지핀 구멍을 가지고 있고 ; 상기 부재중의 다른 하나에 부착된 암힌지 부분을 함유하여 암힌지 부분은 힌지핀 구멍의 길이와 일치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한쌍의 힌지플랜지를 구비하고 있고, 각 플랜지는 그것을 통하여 연장된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의 개방구를 가지고 있고, 암힌지 부분은 수힌지 부분에 대하여 배열되어 있고, 플랜지와 개방구는 상기 각 개방구의 길이축이 상기 구멍의 길이축에 대하여 동축상으로 위치되도록 되어 있고 ; 상기 개방구를 통하여 구멍한으로 연장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 플랜지에 배열된 추축투관을 함유하여, 각 추축투관은 일반적인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각 추축투관의 내부에 배열된 일반적인 원통형상의 힌지핀을 함유하여 각 추축투관 및 연관된 힌지핀은 암힌지 부분이 구멍의 길이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수힌지 부분에 대한 움직임을 제한하는 동시에, 수힌지 부분에 대하여 길이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는 모듈식 비계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지지표면상의 상기 구조부재의 프레임의 만능회전운동(rolling motinn)을 허용하는 수단을 함유하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프레임이 지지표면상에서 구를 수 있도록 구조부재들의 프레임에 장치된 여러개의 캐스터를 포함하고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캐스터는 구조부재에 있는 개방구 상중의 적어도 한쌍을 통과하기 위해 배열된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캐스터는 지지표면과 캐스터가 장치된 프레임의 구조 부재간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들이 브레이크를 구비하고 있어, 미리 정해진 조향 각도의 위치에 잠글 수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캐스터는 적어도 하나의 휠, 수직지지포드, 및 상기 휠을 상기 포드에 관하여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한 위치에서는, 프레임이 포드에 의하여 지지표면상에 지지되며, 또다른 위치에서는, 상기 프레임이 포드에 의하여 표면상에 지지되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부재의 프레엠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평형추를 게다가 더 함유하여 평형추가 비계의 무게에 의하여 그위에 생기는 힘에 의해 거꾸로 서려는 상기 프레임을 제한하도록 배열되고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13. 제6항에 있어서, 경첩식의 관계로 선회할 수 있게 프레임에 장치된 적어도 하나의 아의 아웃리거를 게다가 더 구비하여서 프레임에 대하여 아웃리거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게다가 상기 아웃리거는 프레임과 지지표면 사이에 부가적인 지지를 제공하고, 비계의 무게에 의하여 그위에 생기는 힘에 의해 거꾸로 서려는 상기 프레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배열된 모듈식 비계시스템.
  14. 제1항에 수직지지 기둥을 상기 프레임에 부착하는 수단은 미리 정해진 구조 부재중의 하나에 기둥을 견고하게 부착하는 적어도 두개의 연결 접속부재를 포함하고 있고, 연결 접속부재는 구조부재에 있는 개방 구중의 적어도 한쌍을 통과하도록 배열된 고정수단을 구비하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계는 프레임에 매달려 있고, 프레임에 상기 수직지지 기둥을 부착하는 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장치된 적어도 두개의 서스펜션 빔 연결고정물과, 또한 프레임에 매달린 적어도 두개의 비계 서스펜션 케이블 및, 기둥이 빔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매달리도록 수직지지 기둥에 부착된 서스펜션 빔을 포함하고 있고 게다가 빔은 서스펜션 및 연결고정물 및 비계 서스펜션 케이블에 선택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배열되고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비계는 작업단이 수직기둥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 서스펜션 케이블에 작업단을 매달기 위한 수단을 게다가 더 구비하고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빔이 서스펜션 빔 연결고정물과 연결되었을 때, 작업단이 케이블 수단에 의하여 기둥과 서스펜션 빔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비계는 상기 프레임에 매달려 있고, 수직기둥을 프레임에 부착하는 수단이 프레임을 형성함에 함께 부착되는 구조부재중의 미리 정해진 것들로 형성된 모노레일과 ; 모노레일에 매달린 적어도 두개의 트롤리로 이루어져 트롤리는 모노레일에 하중이 걸려 있는 동안 모노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 트롤리를 수직기둥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함유하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트롤리를 수직기둥에 고정하는 수단은 트롤리에 장치된 최소한 두개의 서스펜션 빔 연결 고정물과 ; 트롤리에 매달린 최소한 두개의 비계 서스펜션 케이블 및, 수직기둥이 빔에 매달리도록 수직기둥에 부착된 서스펜션 빔으로 이루어지고 게다가 빔이 상기 서스펜션 및 연결 고정물 및 비계 서스펜션 케이블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배열되어 모듈식 비계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비계는 작업대가 수직기둥에 연결되지 않았을 때, 서스펜션 케이블로부터 작업대를 매달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서, 서스펜션 빔이 연결고정물과 연결되었을 때, 작업대가 케이블 수단에 의하여 기둥과 서스펜션 빔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20. 제17항에 있어서, 트롤리는 그에 규정된 록핀 구멍을 갖고 있고, 록핀 구멍은 록핀이 그것을 통하여, 모노레일을 형성하는 구조부재에 있는 여러개의 개방구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록핀이 그에 삽입될 때, 모노레일에 대한 트롤리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21. 제17항에 있어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구조물의 컴포넌트에 상기 모노레일을 견고하게 부착(affixing)하는 수단을 더 함유하고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부착수단은, 브라켓중의 하나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각 컴포넌트에 부착되도록 배열된 여러개의 모노레일 지지브라켓과 ; 모노레일이 부착되어, 연결 접속부재의 수가 지지브라켓의 수와 일치하며, 연결 접속부재는 각각 상기 모노레일을 형성하는 구조부재에 있는 개방구중의 상기 쌍의 적어도 하나를 통과하도록 배열된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여러개의 연결 접속부재를 함유하여 모노레일 지지아암의 각 모노레일 지지브라켓 및 연관된 모노레일 연결 접속부재 사이에 배열되어 아암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고 ; 또 상기 아암의 반대편 단부에 위치돼 한쌍의 추축연결물이 있고, 추축연결물은 브라켓중의 하나 및 연결 접속부재중의 하나에 경첩식의 관계로 각기 아암의 각각의 단부를 부착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23. 제22항에 있어서, 각 연결접속 부재는 인접한 추축연결물에 부착된 지지판 브라켓을 함유하여 상기 브라켓은 모노레일을 형성하는 부재의 외부표면의 변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곡률반경을 가진 아치형의 표면을 구비하고 게다가 상기 아치형의 표면이 민첩하여 모노레일 부재의 외부표면을 최소한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또 브라켓의 아치형의 표면에 대하여 접선 방향으로 연장된 평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모노레일 부재상에 힘이 생기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판 브라켓을 모노레일 부재에 고정하는 수단 등을 함유하고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24. 재22항에 있어서, 추축연결물의 쌍이 상기 아암의 각 단부에 부착된 수힌지 부분을 함유하여 각 수힌지 부분은 수힌지 부분을 관통하여 연장하고 있는 일반적인 원통형상의 힌지핀 구멍이 그에 규정돼 있고 ; 각지 모노레일 지지브라켓과 모노레일 연결 접속부재에 각각 부착된 한쌍의 암힌지 부분을 함유하여 각 암힌지 부분은 힌지핀 구멍의 길이와 일치하는 거리만큼 떨러진 한쌍의 힌지플랜지를 구비하고 있고, 각 플랜지는 그것을 통하여 연장된 일반적인 원통형상의 개방구를 가지고 있고, 각 암힌지 부분은 각 플랜지 개방구의 길이 축이 연관된 힌지핀 구멍의 길이축에 대하여 동축상으로 위치되도록 연관된 수힌지 부분에 대하여 배열되어 있고, 개방구를 통하여 상기 연관된 힌지핀 구멍을 안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플랜지 개방구에 배열된 추축투관을 함유하여 각 추축투관은 일반적인 공통의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또 각 추축투관의 내부에 배열된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의 힌지핀 등을 함유하여, 각 추축투관 및 연관된 힌지핀 게다가 암힌지 부분이 구멍의 길이축에 수직방향으로 수힌지 부분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동시에 수힌지 부분에 대하여 길이축의 둘레로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25. 제17항에 있어서, 모노레일은 모노레일이 접근해야 하는 구조물의 외형을 따르도록 배열돼 있는 굴곡된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계는 프레임에 매달려 있고, 상기 수직지지 기둥을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은 프레임에 부착된 서스펜션 케이블 고정물과 케이블 고정물에 부착된 한쌍의 서스펜션 케이블을 포함하고 있으며 케이블은 비계가 설치된 공간을 통하여 고정물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비계가 한쌍의 수직지지기둥 체인을 함유하여 수직지지 기둥의 각 체인이 끝에서 끝까지 다른 것과 연결되어 절첩할 수 있도록 그리고 또 각 케이블을 따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배열되어 있고 ; 그것의 연관된 케이블을 조이고, 기둥의 체인을 상향 및 하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각 체인의 상단부에 부착된 수단을 함유하고 수직기둥의 체인 사이에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된 여러개의 작업단을 함유하여 상기 각 작업단은 상기 체인의 수직기둥에 대하여 수직으로 이동가능하며, 또 게다가 미리 선택된 높이로 상기 각 수직기둥의 체인과 그것의 연관된 케이블을 각 작업단에 선택적이고 개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등을 함유하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27. 제1항에 있어서, 비계는 각 작업단과 연관된 가드레일을 게다가 더 포함하고 있고, 각 가드레일은 수직지지 기둥 사이에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배열되도록 미리 선택된 높이에서 수직지지 기둥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는 모듈식 비계시스템.
  28. 제1항에 있어서, 비계가 수직기둥에 부착된 최소한 두개의 케이블을 더 함유하여 각 케이블이 그것들간에 대각선으로 연장되어 있고 ; 수평작업단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수직기둥을 정렬하기 위해 상기 각 케이블의 장력을 조절하는 수단을 구비한 모듈식 비계시스템.
  29. 연결된 부재들간에 회전경도(rotational stiffness)를 제공하고, 외부의 하중을 상기 접속부재에서 장력으로 바꾸므로 제1부재에 전단력을 적용시키기 위하여 제2의 구조부재에 원형의 단면부를 가진 제1의 구조부재를 부착하는 모우멘트-아암 연결접속 부재는 상기 제2의 구조 부재에 부착된 지지판 브라켓을 함유하여, 브라켓은 원형인 상기 제1의 구조부재의 외부표면의 반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곡률반경을 가진 아치형의 표면을 구비하고 있고, 게다가 브라켓은 아치형의 표면이 상기 제1의 구조부재에 인접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표면을 둘러싸도록 되어 있고 ; 상기 브라켓의 아치형 표면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연장된 평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의 구조부재상에 힘이 생기도록 원형의 제1의 구조부재를 상기 지지판 브라켓에 고정하는 수단을 함유하며, 상기 지지판 브라켓에 인접하여 위치한 제1의 구조부재의 정반대로 마주보고 있는 부분이 제1의 구조부재의 외부표면 부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우멘트-아암 연결 접속부재.
  30. 제29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에 의하여 생기는 힘을 실질적으로 힘이 작용하는 제1의 구조부재의 미리 정해진 표면부분에 균일하게 분배하기 위한 수단을 더 구비하고 있는 접속부재.
  31. 제29항에 있어서, 고정수단이 상기 원형의 제1의 구조부재의 직경을 통하여 연장되는 최소한 하나의 볼트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볼트의 헤드가 상기 제1의 구조 부재의 외부표면에 인접하여 배열되어 있어 볼트는 상기 브라켓에 부착된 부합하는 나사수단에 의하여 지지판 브라켓에 고정되는 접속부재.
  32. 제31항에 있어서, 힘을 분배하는 수단은 워서판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워서판은 원형의 제1부재의 외부표면의 변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곡률반경을 가진 아치형의 워서판면을 구비하고 있고, 워서판이 아치형의 워서판면에 인접한 외부표면에 전체 영역에 걸쳐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볼트의 헤드와 상기 제1의 구조부재의 외부표면 사이에 배열되어 있는 접속부재.
  33. 제32항에 있어서, 원형의 외부표면의 직경은 약 8인치이고, 제1부재의 내부와 외부표면 사이의 방사상 거리는 약 0.25인치이고, 각 고정볼트의 직경은 약 0.75인치이며, 상기 지지판 브라켓과 워서판은 모두 각각의 아치형의 표면이 약 6인치 정도 제1부재의 외부원주를 따라 연장된 형태로 되어 있는 접속부재.
  34. 경첩식의 관계로 두개의 구조부재를 함께 부착하는 추축합성 연결물에 있어서, 연결물은 구조적인 부재중의 하나에 부착된 수힌지 부분을 함유하여, 수힌지 부분은 수힌지 부분을 관통하여 연장된 일반적인 원통형의 힌지핀 구멍을 가지고 있고, 상기 두개의 구조적인 부재중의 다른 하나에 부착된 암힌지 부분을 함유하여 암힌지 부분은 힌지핀 구멍길이와 일치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한쌍의 힌지 플랜지를 구비하고 있고, 각 플랜지는 그것을 통하여 연장된 일반적인 원통형상의 개방구를 가지고 있고, 암힌지 부분은 수힌지 부분에 대하여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 및 개방구는 개방구의 길이 축이 구멍의 길이축에 대하여 동축상으로 위치되는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개방구와 구멍을 통하여 연장되도록 각 플랜지 개방구가 배열괸 추축투관을 함유하여 각 추축투관은 일반적인 공동의 원통 형상이고 ; 상기 추축투관의 내부에 배열된 일반적인 원통형상의 힌지핀을 함유하여 추축투관 및 연관된 힌지판은 암힌지 부분이 구멍의 길이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수힌지 부분에 대하여 움직이는 것을 제한하는 동시에 수힌지 부분에 대해 동시에 길이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추축합성 연결물.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개방구에 배열된 추축투관이 함께 접속되어 구멍을 통하여 연장하는 하나의 구조물을 형성하게 되는 추축합성 연결물.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랜지 개방구의 내부직경, 각 추축투관의 외부직경 및 각 추축투관을 수용하는 힌지핀 구멍부분의 내부직경이 상기 각 추축투관의 외부표면과 구멍 및 플랜지 개방구의 인접한 내부표면과의 사이가 기계적으로 밀접하게 꼭 맞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에 대하여 치수정해져 있는 연결물.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추축투관 및 연관된 힌지핀이 원통형의 구멍에 대하여 힌지핀이 동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추축투관을 제한할 수 있는 형태로 된 연결물.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핀이 볼트로 이루어져 있는 연결물.
  39. 비계가 접근할 수 있도록 구조물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에 비계 부재를 견고하게 부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여러개의 지지브라켓을 함유하여 브라켓중의 하나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컴포넌트에 부착되도록 배열되어 있고, 비계부재에 부착된 여러개의 연결 접속부재를 함유하여 연결 접속부재의 수는 지지브라켓의 수와 일치하고 ; 지지브라켓 및 연관된 연결 접속부재 사이에 배열된 지지아암을 함유하여, 상기 각 아암은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 상기 아암의 각 단부에 부착된 수힌지 부분을 함유하여 상기 각 수힌지 부분은 수힌지 부분을 통하여 연장되는 한정된 일반적인 원통형상의 힌지핀 구멍을 가지고 있고 ; 상기 지지브라켓과 연결접속에 각각 부착된 한쌍의 암힌지 부분을 함유하여, 각 암힌지 부분은 힌지핀 구멍의 길이와 일치하는 거리만큼 떨어진 한쌍의 암힌지 부분을 함유하여, 각 플랜지는 그것을 통하여 연장된 일반적인 원통형상의 개방구를 가지고 있고 암힌지 부분은 상기 각 플랜지 개방구의 길이 축이 연관된 힌지핀 구멍의 길이축에 대하여 동축상으로 위치되도록 연관된 수힌지 부분에 대하여 배열되어 있고 ; 개방구와 연관된 힌지핀 구멍을 통하여 연장되도록 각 플랜지 개방구에 배열된 추축투관을 함유하여 각 추축투관은 일반적인 공동의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각 추축투관의 내부에 배열된 일반적인 원통형상의 힌지핀을 포함하고 있고 게다가 더 각 추축투관 및 연관된 힌지핀을 암힌지 부분이 구멍의 길이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수힌지 부분에 대한 움직임을 제한하는 동시에, 상기 수힌지 부분에 대하여 동시에 길이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비계 부재는 원형의 횡단면부를 가진 모노레일로 이루어져 있고, 각 연결 접속부재는 추축연결물에 인접하여 지지판 브라켓으로 이루어져 브라켓은 상기 모노레일의 외부표면의 반경과 실질적으로 같은 곡률반경을 가진 아치형의 표면을 구비하고 있고, 브라켓은 상기 아치형의 표면이 모노레일 부재의 외부표면에 인접하여 최소한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되어 있고, 또 상기 브라켓의 상기 아치형 표면에 대하여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모노레일 부재상에 힘이 생기도록 지지판 브라켓을 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80700014A 1986-05-08 1987-05-06 모듈식 비계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연결 접속부재 KR9600146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861,133 US4967875A (en) 1986-05-08 1986-05-08 Modular scaffolding system and connecting joints therefor
US861,133 1986-05-08
PCT/US1987/001026 WO1987006970A1 (en) 1986-05-08 1987-05-06 Modular scaffolding system and connecting joint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310A KR880701310A (ko) 1988-07-26
KR960014667B1 true KR960014667B1 (ko) 1996-10-19

Family

ID=2533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700014A KR960014667B1 (ko) 1986-05-08 1987-05-06 모듈식 비계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연결 접속부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967875A (ko)
EP (1) EP0268637B1 (ko)
JP (1) JPH0819759B2 (ko)
KR (1) KR960014667B1 (ko)
AT (1) ATE112004T1 (ko)
CA (4) CA1301814C (ko)
DE (1) DE3750572T2 (ko)
WO (1) WO198700697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040B1 (ko) * 2010-04-29 2012-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부유물 샘플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59847A (en) * 2000-03-01 2001-09-05 Patrick Anthony Murphy Scaffold system for use in an atrium or forecourt
US6722471B2 (en) 2000-12-22 2004-04-20 Albert A. Wolfe Scaffolding system having improved safety structures and connecting members
US20030230454A1 (en) * 2002-06-17 2003-12-18 George Morgan Modular hunting stand
US7971408B2 (en) 2004-05-27 2011-07-05 Hayes Sr Richard Stairtower and method for erecting the same
US7258199B2 (en) * 2004-05-27 2007-08-21 Richard Hayes, Sr. Modular multilevel access platform and method for erecting the same
JP4154534B2 (ja) * 2005-09-20 2008-09-24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ボイラ用大型部品の点検用足場構築方法
US20160069094A1 (en) * 2006-08-05 2016-03-10 Donald F. Lombardi Mason's adjustable chimney-platform arrangement
FR2914935B1 (fr) * 2007-04-12 2010-08-13 Frenehard & Michaux Sa Structure de console d'echafaudage et systeme d'echafaudage comprenant plusieurs structures de console d'echagaudage
US8123001B1 (en) 2008-03-18 2012-02-28 Paul Kristen, Inc. Modular platform/ scaffolding
US8517397B2 (en) * 2009-01-19 2013-08-27 Production Resource Group, Llc Collapsible dolly for use with a truss
US20130043095A1 (en) * 2011-08-16 2013-02-21 Stephen H. Thacker Masonry scaffold system with truss level rosettes
US9133633B2 (en) 2012-06-05 2015-09-15 Tbfl, Inc. Modular insulated scaffold wall system
DE202012102307U1 (de) 2012-06-22 2012-07-17 Eugen Weitzmann Witterungsschutzerweiterungsmodul für Gerüstsysteme
US9441382B2 (en) * 2013-04-15 2016-09-13 Clifford R. Hokanson Adjustable aircraft maintenance platform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safety of aircraft maintenance operations
CN104481127A (zh) * 2014-11-11 2015-04-01 天津大学 一种刚性连接高强模板支承体系
CN106193576B (zh) * 2016-07-26 2018-09-14 深圳前海特辰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连接扣件及其连接方法
CA3006922A1 (en) * 2018-06-01 2019-12-01 At-Pac China Business Trust Scaffold ledger
CN109868987B (zh) * 2019-01-25 2021-01-26 天长市华利机械实业有限公司 一种用于脚手架的门架转换器及其使用方法
KR102469208B1 (ko) 2021-04-30 2022-11-23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잠금기능을 구비한 접철식 작업대
KR102469207B1 (ko) 2021-04-30 2022-11-23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접철식 작업대
CN116856704B (zh) * 2023-09-05 2023-12-01 中国核工业华兴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用模板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5488A (en) * 1916-08-22 Safety-scaffold
US1060914A (en) * 1912-04-19 1913-05-06 James M Lillow Scaffold.
FR1012627A (fr) * 1949-12-31 1952-07-15 Boilot Ets Dispositifs de sapines et charpentes métalliques démontables
US3082843A (en) * 1961-03-23 1963-03-26 Henderson G Leonard Demountable scaffolding for side mounting on columns
US3190405A (en) * 1961-06-30 1965-06-22 Superior Scaffold Co Extendable shore
US3204721A (en) * 1963-10-23 1965-09-07 Park Wallace Sidney Triangulation tower
GB1088253A (en) * 1965-01-11 1967-10-25 Percy Lionel Gilbert Johnsto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caffoldings and like structures
US3565212A (en) * 1969-11-14 1971-02-23 Up Right Inc Combination beam support and latch means for walk-through platform
DE2055171A1 (de) * 1970-10-26 1972-05-25 Mannesmann Leichtbau GmbH, 8000 München Stationäre oder verfahrbare Tragkonstruktion für an Seilen aufgehängte Wandbefahrgeräte
AU424133B2 (en) * 1971-03-24 1972-03-10 Howard Silvers' Pty. Limited Adjustable hinge device
GB1330499A (en) * 1971-04-19 1973-09-19 Worcester Parsons Ltd Hinges
US3684058A (en) * 1971-05-13 1972-08-15 Ultra Products Inc Scaffold
JPS4919633U (ko) * 1972-05-24 1974-02-19
JPS4932425A (ko) * 1972-07-25 1974-03-25
SE380907B (sv) * 1973-09-09 1975-11-17 N T L Berthagen Gangjern avsett att anbringas mellan en skalm och mittstycket pa en glasogonbage
ZA738370B (en) * 1973-10-31 1974-11-27 P Henderson An improved hinge assembly
GB1509899A (en) * 1974-07-19 1978-05-04 Kwikform Ltd Scaffolding constructions
JPS5119340A (ja) * 1974-08-07 1976-02-16 Ryowa Concrete Ind Co Ltd Ryokukahosohoho
SE7504441L (sv) * 1975-04-17 1976-10-18 Olsson Lars Uno Byggnadsstellning
JPS51149451A (en) * 1975-06-16 1976-12-22 Kamenosuke Fukui Hinge
US4078633A (en) * 1976-02-09 1978-03-14 Fahy Michael B Modular staging with platform jacks
US4096922A (en) * 1977-06-24 1978-06-27 Spider Staging, Inc. Roof support system for a suspended staging
JPS5511050A (en) * 1978-07-11 1980-01-25 Tadashi Niimi Contact oxidation method of long water channel and apparatus thereof
US4234055A (en) * 1978-09-25 1980-11-18 Beeche Gregory L Mobile suspension scaffold system
JPS5643475U (ko) * 1979-09-13 1981-04-20
US4253548A (en) * 1979-10-31 1981-03-03 Beeche Gregory L Folding scaffold system
JPS6124765A (ja) * 1984-07-12 1986-02-03 日本ビソ−株式会社 作業ゴンドラ用の吊下装置
JPH0423134Y2 (ko) * 1987-06-26 1992-05-2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040B1 (ko) * 2010-04-29 2012-06-25 현대제철 주식회사 부유물 샘플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701310A (ko) 1988-07-26
DE3750572D1 (de) 1994-10-27
EP0268637A1 (en) 1988-06-01
DE3750572T2 (de) 1995-04-20
CA1311784C (en) 1992-12-22
JPH0819759B2 (ja) 1996-02-28
EP0268637A4 (en) 1989-03-09
CA1323394C (en) 1993-10-19
JPS63503234A (ja) 1988-11-24
ATE112004T1 (de) 1994-10-15
CA1301814C (en) 1992-05-26
CA1323393C (en) 1993-10-19
EP0268637B1 (en) 1994-09-21
WO1987006970A1 (en) 1987-11-19
US4967875A (en) 199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4667B1 (ko) 모듈식 비계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연결 접속부재
US5865410A (en) Universal staging bracket
US20180038122A1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US5159790A (en) Frame structure
KR100781427B1 (ko) 비계용 인간 보호 장치
US4953720A (en) Crane and method for using crane
US2316560A (en) Structural element
CN108252534A (zh) 用于桁架安装的柱顶施工装置
CN2084077U (zh) 伸展式空中平台
KR20160045736A (ko) 액세스 구조 통합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통합형 액세스 시스템 및 방법
CN108331370B (zh) 一种可翻转的楼梯施工栈道
CN113716483B (zh) 抽油机的游梁维修组合工装及维修方法
CN215331283U (zh) 组合拼接式可升降防护塔架
DE202022105371U1 (de) Hubvorrichtung für ein Ringsegment, Anordnung mit einer solchen Hubvorrichtung, und Anwendung der Hubvorrichtung
US8347580B2 (en) Structural member and modular beam system
CN113389363A (zh) 组合拼接式可升降防护塔架
RU216543U1 (ru) Мобильная опора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CN111173477B (zh) 作业平台
JP2791163B2 (ja) 建設用タワークレーンのサポートフレーム組立方法とその装置
CN112610024B (zh) 轻型钢结构的装配式折叠临时支撑装置
NL2028914B1 (en) Suspended system for supporting a person and method for using same, e.g. in confined spaces
US20210331900A1 (en) Roof-Mounted Building Access System
CN219081073U (zh) 装配式外挂防护系统
CN218952751U (zh) 一种用于空心建筑施工的操作平台
CN218541425U (zh) 可伸缩探头式门式脚手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0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