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207B1 - 접철식 작업대 - Google Patents

접철식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207B1
KR102469207B1 KR1020210056361A KR20210056361A KR102469207B1 KR 102469207 B1 KR102469207 B1 KR 102469207B1 KR 1020210056361 A KR1020210056361 A KR 1020210056361A KR 20210056361 A KR20210056361 A KR 20210056361A KR 102469207 B1 KR102469207 B1 KR 102469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s
foldable
folding
link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6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9128A (ko
Inventor
김종민
천영조
이동주
조규진
안세혁
정순필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현대삼호중공업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6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207B1/ko
Publication of KR20220149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9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4Scaffold constructions able to be folded in prismatic or flat parts or able to be turned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36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 E04G1/362Scaffold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for stairs, cupolas, domes specially adapted for tanks, silos or simila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높은 압축률을 갖도록 접철식 구조를 가지며 하중을 분산시켜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작업대는 사각 구조로서 길이방향으로 접철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저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접철 가능한 복수의 수직 접철링크와, 복수의 수직 접철링크의 하단을 연결하며 상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접철됨에 따라 상호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지는 복수의 하부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철식 작업대{origami type scaffold}
본 발명은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자를 지지하는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높은 압축률을 갖도록 접철식 구조를 가지며 하중을 분산시켜 안정성을 증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작업대(scaffold)란, 통상적으로 높은 곳에서 공사를 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가설물을 의미한다.
작업대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높은 위치의 작업 범위가 넓을 경우 조인트로 파이프들을 연결하고 발판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발판을 따라 이동하며 작업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작업 범위가 작을 경우에는 사다리를 이용하기도 한다.
한편, 대형 선박의 화물 탱크는 통상적으로 상부에 입구가 형성되며, 화물 탱크의 깊이는 수십m에 이른다. 이와 같은 화물 탱크를 건조 또는 수리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화물 탱크의 입구를 통해 내부로 들어간 후 작업자가 화물 탱크의 천장에 도달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화물 탱크의 내부에 작업대를 설치한다.
종래의 작업대는 직선형태의 파이프들을 조인트로 연결하여 설치되기 때문에, 화물 탱크의 좁은 입구를 통해 작업대로 설치될 파이프들과 조인트를 화물 탱크 내부로 진입시켜야 하며, 작업자는 화물 탱크의 내부에서 파이프들을 조인트로 연결하여 작업대를 설치하고 작업 후 다시 해체하여 반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설치된 작업대에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함에 있어서, 작업대에 인가되는 하중은 파이프들을 연결하는 조인트에서 집중되고, 고하중이 인가될 경우에는 조인트와 파이프 사이에 슬립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작업대의 일부가 붕괴되어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파이프를 조인트로 연결한 작업대의 경우 설치 높이가 제한된다.
JP 공개특허공보 제1998-245976호(1998.09.14.) JP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593840호(1999.04.19.) 등록특허공보 제10-1143076호(2012.05.08.) EP 268637 B1(1988.06.01) PCT 2007-132148(2007.11.22.)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선박의 화물창 투입구와 같이 좁은 통로를 통과할 수 있도록 압축률이 높고, 작업대를 구성하는 링크들이 면접촉을 이루면서 하중을 넓게 분산시켜 안전하며, 접철식으로 쉽게 펼쳐 설치할 수 있는 접철식 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작업대는 사각 구조로서 길이방향으로 접철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저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접철 가능한 복수의 수직 접철링크와, 복수의 수직 접철링크의 하단을 연결하며 상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접철됨에 따라 상호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지는 복수의 하부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위치하며 상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상부 링크와, 상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상부 링크의 단부를 연결하며 접철 가능한 복수의 수평 접철링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접철식 작업대는 3개의 상부 링크들과, 4개의 수평 접철링크들과, 6개의 수직 접철링크들과, 3개의 하부 링크들을 포함하며, 접철식 작업대가 펼쳐졌을 때에 직육면체의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프레임에는 상부 링크와 수평 접철링크가 연결되는 지점에 연결구가 설치되며, 연결구에는 브레이스를 설치할 수 있는 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구는,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접철식 작업대의 하부 링크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상면과 정면을 통해 형성되며,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측 또는 양측에 수평 접철링크를 고정하는 브래킷이 형성되며, 저면에 상부 링크의 단부가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구는 배면의 외측에 핀이 형성되고, 좌측과 우측 중 브래킷이 형성되지 않은 측면 외측에 핀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접철링크는 2개의 평판이 평면 상태로 펼쳐지거나 직각 구조로 접힐 수 있도록 2개의 평판은 유연한 피복재로 감싸이며, 직각으로 접히는 접힘선을 따라 2개의 평판의 안쪽면이 피복재로 연결되어 접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평판이 1조를 이룬 수평 접철링크들은 복수 조의 수평 접철링크들이 상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연결된 복수 조의 수평 접철링크는 상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접히는 접힘선을 따라 양측 수평 조절링크의 안쪽면이 피복재로 연결되어 접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링크, 하부 링크, 수직 접철링크는 피복재로 감싸인 4개의 평판이 2열 복층으로 겹친 상태로 접혀지거나 사각 파이프 구조로 펼쳐질 수 있도록 4개의 평판의 안쪽은 루프형 피복재로 연결되어 펼쳐지거나 접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4개의 평판이 1조를 이룬 수직 접철링크들은 복수 조의 수직 접철링크들이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연결된 복수 조의 수직 접철링크는 복층으로 겹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접히는 접힘선을 따라 상하 수직 접철링크의 안쪽면이 피복재로 연결되어 접힘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직각 구조로 접힌 수평 접철링크들이 길이방향으로 펼쳐졌을 때에, 인접한 수평 접철링크의 평판들끼리 두께면 접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평판의 길이방향으로 돌기와 홈이 교번하여 형성되며 2개의 평판이 펼쳐지거나 접힌 상태에서 2개의 평판은 돌기와 홈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각 파이프 구조로 펼쳐진 수직 접철링크들이 수직방향으로 펼쳐졌을 때에 상하에 위치한 수직 접철링크들은 평판들끼리 두께면 접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4개의 평판은 그 길이방향을 돌기과 홈이 교번하여 형성되며, 4개의 평판이 2열 복층으로 겹친 상태에서 같은 평면 상에 위치한 2개의 평면의 돌기와 홈은 상호 결합되고, 4개의 평판이 사각 파이프 구조로 펼쳐질 경우 직각으로 위치하는 평판끼리 돌기와 홈이 상호 결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작업대는 모듈화되어 다수개의 모듈들을 적층하여 작업이 가능한 높이까지 접철식 작업대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파이프를 조인트로 연결하여야 하는 등의 작업 상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작업대는 연결구들을 이용하여 수직 방향으로 또는 수평방향으로 다수개의 모듈들을 안정적으로 적층하거나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공간 내에서 연결구로 복수의 모듈들을 적층 또는 수평으로 연결하여 안정적으로 확장할 수 있다.
또한, 펼쳐진 접철식 작업대는 면접촉으로 접하기 때문에 하중을 넓게 분산할 수 있다. 종래에는 파이프를 조인트로 연결함에 따라 조인트가 파이프를 따라 슬립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작업대는 면접촉으로 연결됨에 따라 슬립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작업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작업대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변형되는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앵글 구조인 수평 접철링크의 구조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각 파이프 구조인 상부 링크와 하부 링크 및 수직 접철링크의 구조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작업대의 모듈들이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작업대의 모듈들이 적층되는 상태에서 브레이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작업대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한 모듈로 구성된 접철식 작업대의 구성을 먼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후에 펼쳐진 한 모듈의 접철식 작업대 위에 다른 모듈의 접철식 작업대를 적층하여 결합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작업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작업대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로 변형되는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앵글 구조인 수평 접철링크의 구조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사각 파이프 구조인 상부 링크와 하부 링크 및 수직 접철링크의 구조에 대한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작업대의 모듈들이 적층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접철식 작업대의 모듈들이 적층되는 상태에서 브레이스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접철식 작업대(100)는 펼쳐졌을 때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구조를 갖는다.
접철식 작업대(100)의 상부에는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3개의 상부 링크(111)와, 3개의 상부 링크(111)와 대응하여 하부에 위치하는 3개의 하부 링크(115)를 구비하며, 상부 링크(111)의 단부와 인접한 상부 링크(111)의 단부를 연결하는 수평 접철링크(113)들과, 상호 대응하는 상부 링크(111)의 단부와 하부 링크(115)의 단부를 연결하며 수직 접철링크(117)들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접철식 작업대(100)는 수평 접철링크(113)들과 수직 접철링크(117)들의 접힘에 따라 3개의 상부 링크(111)와 3개의 하부 링크(115)들이 도 2a에 보이듯이 함께 모여 압축된 상태가 되며, 접철링크(113, 117)들이 펼쳐지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구조로 펼쳐진다.
여기에서 3개의 상부 링크(111)와 4개의 수평 접철링크(113)가 결합되어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110)에 발판(미도시)을 안착 고정하고, 발판에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상부 링크(111)와 수평 접철링크(113)가 만나는 지점에 설치된 6개의 연결구(130)에 상부에 다른 접철식 작업대(100)를 적층하면서 도 7에 보이듯이 브레이스(brace)(140)로 연결구(130)들을 연결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접철식 작업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앵글 구조인 수평 접철링크의 구조에 대한 개념도이고, 도 4는 사각 파이프 구조인 상부 링크와 하부 링크 및 수직 접철링크의 구조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 구조의 수평 접철링크(113)는 피복재(121)가 감싸고 있는 2개의 평판(120)을 포함하며, 2개의 평판(120)이 일면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어느 한 평판이 수직으로 접히면서 직각의 구조로 접힐 수 있게 접히는 안쪽면이 피복재(121)로 연결되어 접힘선(123)을 형성한다. 따라서 2개의 평판(120)은 접힘선(123)을 따라 피복재(121)로 연결되며, 펼쳐진 상태에서는 평판(120)의 두께면이 상호 대응하게 마주한 상태가 되고, 피복재(121)로 연결된 접힘선(123)을 중심으로 2개의 평판(120) 중 어느 한 평판을 세우면 직각으로 접을 수 있다.
또한 수평 접철링크(113)는 앞서 설명한 2개의 평판(120)이 1조를 이루며, 접철식 작업대(100)의 길이방향으로 3조의 평판(120)들이 피복재(121)로 연결된다.
접철식 작업대(100)의 길이방향으로 3조를 이룬 평판(120)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위치한 평판(120)의 접힘 안쪽면 피복재(121)로 연결되어 접힘선(123)을 형성한다. 따라서 3개의 상부 링크(111)를 연결하는 4개의 수평 접철링크(113)들이 접혀짐에 따라 3개의 상부 링크(111)가 근접하게 모여지면서 도 1에 보이듯이 압축된다.
여기에서 평판(120)은 그 재질이 목재, 강재 또는 복합재질일 수 있으며, 피복재(121)는 평판(120)을 감싸면서 인접한 평판(120)들이 수평으로 위치하거나 상호 직각으로 접히거나 적층되는 구조로 접힐 수 있도록 평판(120)들을 연결하는 유연한 패브릭(fabric)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사각 파이프 구조의 상부 링크(111)와 하부 링크(115) 및 수직 접철링크(117) 각각은 피복재(121)가 감싸인 4개의 평판(120)을 구비하며, 하부에 평행하게 위치한 2개의 평판의 위에 2개의 평판(120)이 평행하게 위치하며, 상부의 2개의 평판의 저면과 하부의 2개의 평판의 상면을 루프형 피복재로 연결하여 4개의 접힘선(123)을 형성한다.
따라서 4개의 평판(120)을 펼칠 경우 사각 파이프의 구조로 4개의 접힘선(123)을 기준으로 평판(120)들이 직각을 이루며, 4개의 평판(120)을 접을 경우에는 하부에 2개의 평판 그리고 상부에 2개의 평판이 위치하도록 접힌다. 이때 하부 평판들끼리 그리고 상부 평판들끼리는 접힘선(123)을 기준으로 180도 즉 평면을 이루며, 접힌 상태의 상부 평판과 하부 평판은 양측 접힘선(123)을 기준으로 접혀 적층된 상태로 접힌다.
상부 링크(111)와 하부 링크(115)는 펼쳐진 상태에서는 사각 파이프의 구조를 형성하고, 접혀진 상태에서는 상부 2개의 평판(120)과 하부 2개의 평판(120)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접철식 작업대(100)는 수직 접철링크(117)는 3개의 상부 링크(111)의 단부와 3개의 하부 링크(115)의 단부를 각각 연결함에 따라 6개의 수직 접철링크(117)가 구비된다.
수직 접철링크(117)는 4개의 평판(120)이 1조를 이루어 사각 파이프의 구조를 형성함에 있어 2개의 사각 파이프가 상부와 하부에 상호 접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부에 위치한 수직 접철링크(117)는 상부 링크(111)의 양단에 연결되고, 하부에 위치한 수직 접철링크(117)는 하부 링크(115)의 양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하에 위치한 수직 접철링크(117)는 접힘선의 안쪽이 피복재로 연결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편하게 접힌 상하부 수직 접철링크(117)가 상하로 적층되는 구조로 접히게 된다. 반면에 상하부에 위치한 수직 접철링크(117)가 펼쳐지면 상하부에 위치한 수직 접철링크(117)는 평판의 두께면끼리 상호 접하는 면접촉을 하게 된다.
또한 상부 링크(111), 하부 링크(115), 수평 접철링크(113) 및 수직 접철링크(117)에 있어서, 2개의 평판이 같은 평면 상에 위치할 경우 접힘선을 중심으로 마주하는 두께면의 길이방향으로 교번하여 형성된 홈(125)과 돌기(127)가 다른 평판의 돌기와 홈과 상호 접합하면서 평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접힘선(123)을 기준으로 직각으로 접혔을 때에도 홈과 돌기가 정합하되 상호 직각을 이룬 상태에서 돌기(127)가 홈(125)에 끼워져 위치한다.
아래에서는 상부 링크(111)의 단부와 수평 접철링크(113)를 연결하는 연결구(13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30; 130a, 130b, 130c)는 3종류로 구분된다. 상부 프레임(110)에서 좌측에 위치한 상부 링크(111)와 수평 접철링크(113)를 연결하는 제1연결구(130a)와, 상부 프레임(110)의 중앙에 위치한 상부 링크(111)와 양측 수평 접철링크(113)를 연결하는 제2연결부(130b)와, 상부 프레임(110)에서 우측에 위치한 상부 링크(111)와 수평 접철링크(113)를 연결하는 제3연결구(130c)로 구분된다.
제1연결구(130a)는 좌측면, 우측면, 배면, 저면이 막히고 상부와 정면으로 개방된 개방부(131)가 형성되며, 우측면에는 수평 접철링크(113)가 고정되는 브래킷(133)이 형성되고, 좌측면의 외측과 배면의 외측에는 브레이스(140)를 걸 수 있는 핀(135)이 형성된다.
제2연결구(130)는 좌측면, 우측면, 배면, 저면이 막히고 상부와 정면으로 개방된 개방부(131)가 형성되며, 좌측면과 우측면에는 수평 접철링크(113)가 고정되는 각각의 브래킷(133)이 형성되고, 배면의 외측에는 브레이스(140)를 걸 수 있는 핀(135)이 형성된다.
제3연결구(130c)는 제1연결구(130a)의 대칭구조로서, 좌측면, 우측면, 배면, 저면이 막히고 상부와 정면으로 개방된 개방부(131)가 형성되며, 좌측면에는 수평 접철링크(113)가 고정되는 브래킷(133)이 형성되고, 우측면의 외측과 배면의 외측에는 브레이스(140)를 걸 수 있는 핀(13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3개의 연결구(130)의 저면에는 상부 링크(111)의 평판이 고정되고, 각 연결구(130)의 브래킷(133)에는 대응하는 수평 접철링크(113)의 평판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접철식 작업대(100)의 복수의 모듈이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작업하고자 하는 위치까지 적층하여 확장 가능하며, 앞서 설명한 제3연결구(130c)를 제1연결구(130a) 또는 제2연결구(130b)의 자리에 대신 장착하여 복수 모듈의 접철식 작업대(100)를 측방향 즉 수평 방향의 확장이 가능하다. 따라서 복수 모듈의 접철식 작업대(100)는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확장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접철식 작업대(100)의 상부 프레임은 3개의 상부 링크(111)와 4개의 수평 접철링크(113)와 6개의 연결구(130)로 구성되는데, 펼쳐진 접철식 작업대(100)의 한 모듈 위에 다른 한 모듈의 접철식 작업대가 도 6에 보이듯이, 적층된다.
한 접철식 작업대(100)의 모듈 위에 다른 접철식 작업대(100)가 적층됨에 있어서, 아래에 위치한 접철식 작업대(100)의 상부 프레임(110)에 형성된 6개의 연결구(130)의 개방부(131)에 상부에 위치하는 접철식 작업대(100)의 하부 링크(115)의 단부가 각각 끼워진다.
이와 같이 아래에 위치하는 접철식 작업대(100)의 연결구(130)에 다른 한 모듈의 접철식 작업대(100)의 하부 링크(115)가 끼워지는 구조로 복수의 접철식 작업대(100)를 상부로 적층할 수 있다.
또한 상부에 위치한 접철식 작업대(100)에 구비된 연결구(130)의 핀(135)과 하부에 위치한 접철식 작업대(100)에 구비된 연결구(130)의 핀(135)을 연결하는 브레이스(140)를 설치함으로써, 적층된 접철식 작업대(100)가 견고하게 연결된다.
아래에서는 접철식 작업대(100)를 선박의 화물창 내에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선박의 화물창은 상부 데크에 화물창의 투입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작업대(100)를 도 2a에 보이듯이, 압축한 상태 즉 접은 상태로 투입구를 통해 화물창의 내부로 투입한다. 접철식 작업대(1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 링크(111), 하부 링크(115), 수평 접철링크(113), 수직 접철링크(117)가 접혀짐에 따라 높은 압축률로 압출된 접힌 상태로 크레인 등을 통해 화물창의 투입구를 통해 쉽게 화물창으로 복수의 접철식 작업대(100)를 투입할 수 있다.
화물창으로 투입된 접철식 작업대(100)를 작업자가 도 2a에서 도 2e에 도시된 순서로 펼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의 구조로 한 모듈의 접철식 작업대(100)가 펼쳐지고, 펼쳐진 접철식 작업대(100)를 직선 또는 평면으로 배열하여 1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1층을 이루는 접철식 작업대(100)의 상부에 펼쳐진 다른 모듈의 접철식 작업대(100)를 올리되, 오르는 접철식 작업대(100)의 하부 링크(115)의 양단이 1층의 접철식 작업대(100)의 연결구(130)의 개방부(131)에 삽입되도록 적층한다. 그리고 1층 접철식 작업대(100)의 연결구(130)에 형성된 핀(135)과 2층 접철식 작업대(100)의 연결구(130)에 형성된 핀(135)에 브레이스(140)를 설치하여 흔들림에도 전복되지 않게 구성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접철식 작업대(100)를 적층하여 작업하고자 하는 높이까지 접철식 작업대(100)를 적층한다. 그리고 최상의 접철식 작업대(100)의 상부 프레임(110)에 발판을 설치하면, 작업자가 발판에 올라가 작업 가능하게 된다.
한편, 수평 접철링크(113)의 경우 접힌 평판(120)이 펼쳐지지 않도록 직각으로 접혀진 안쪽에 앵글 브래킷 등을 장착하여 직각으로 접힌 평판(120)이 펼쳐지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작업대(100)는 모듈화됨에 따라 다수 개의 모듈들을 적층하여 작업이 가능한 높이까지 접철식 작업대(100)의 높이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파이프를 조인트로 연결하여야 하는 등의 작업 상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펼쳐진 접철식 작업대(100)는 두께면 접촉으로 접하기 때문에 하중을 넓게 분산할 수 있다. 종래에는 파이프를 조인트로 연결함에 따라 조인트가 파이프를 따라 슬립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접철식 작업대는 면접촉으로 연결됨에 따라 슬립에 따른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접철식 작업대
110 : 상부 프레임
111 : 상부 링크
113 : 수평 접철링크
115 : 하부 링크
117 : 수직 접철링크
120 : 평판
121 : 피복재
123 : 접힘선
125 : 홈
127 : 돌기
130, 130a, 130b, 130c : 연결구
131 : 개방부
133 : 브래킷
135 : 핀
140 : 브레이스

Claims (14)

  1. 사각 구조로서 길이방향으로 접철 가능한 상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의 저면에 수직으로 연결되며 접철 가능한 복수의 수직 접철링크와,
    복수의 수직 접철링크의 하단을 연결하며 상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접철됨에 따라 상호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지는 복수의 하부 링크를 포함하며,
    상부 프레임은, 상부 프레임의 폭방향으로 위치하며 상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위치하는 복수의 상부 링크와, 상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상부 링크의 단부를 연결하며 접철 가능한 복수의 수평 접철링크를 포함하고,
    상부 링크, 하부 링크, 수직 접철링크는 피복재로 감싸인 4개의 평판이 2열 복층으로 겹친 상태로 접혀지거나 사각 파이프 구조로 펼쳐질 수 있도록 4개의 평판의 안쪽은 유연한 루프형 피복재로 연결되어 펼쳐지거나 접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작업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접철식 작업대는 3개의 상부 링크들과, 4개의 수평 접철링크들과, 6개의 수직 접철링크들과, 3개의 하부 링크들을 포함하며, 접철식 작업대가 펼쳐졌을 때에 직육면체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작업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부 프레임에는 상부 링크와 수평 접철링크가 연결되는 지점에 연결구가 설치되며, 연결구에는 브레이스를 설치할 수 있는 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작업대.
  5. 제4항에 있어서,
    연결구는, 상부에 위치하는 다른 접철식 작업대의 하부 링크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부가 상면과 정면을 통해 형성되며,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측 또는 양측에 수평 접철링크를 고정하는 브래킷이 형성되며, 저면에 상부 링크의 단부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작업대.
  6. 제5항에 있어서,
    연결구는 배면의 외측에 핀이 형성되고, 좌측과 우측 중 브래킷이 형성되지 않은 측면 외측에 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작업대.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수평 접철링크는 2개의 평판이 평면 상태로 펼쳐지거나 직각 구조로 접힐 수 있도록 2개의 평판은 유연한 피복재로 감싸이며, 직각으로 접히는 접힘선을 따라 2개의 평판의 안쪽면이 피복재로 연결되어 접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작업대.
  8. 제7항에 있어서,
    2개의 평판이 1조를 이룬 수평 접철링크들은 복수 조의 수평 접철링크들이 상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연결된 복수 조의 수평 접철링크는 상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접히는 접힘선을 따라 양측 수평 조절링크의 안쪽면이 유연한 피복재로 연결되어 접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작업대.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4개의 평판이 1조를 이룬 수직 접철링크들은 복수 조의 수직 접철링크들이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연결된 복수 조의 수직 접철링크는 복층으로 겹친 상태에서 수직 방향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접히는 접힘선을 따라 상하 수직 접철링크의 안쪽면이 피복재로 연결되어 접힘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작업대.
  11. 제8항에 있어서,
    직각 구조로 접힌 수평 접철링크들이 길이방향으로 펼쳐졌을 때에, 인접한 수평 접철링크의 평판들끼리 두께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작업대.
  12. 제8항에 있어서,
    평판의 길이방향으로 돌기와 홈이 교번하여 형성되며 2개의 평판이 펼쳐지거나 접힌 상태에서 2개의 평판은 돌기와 홈이 상호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작업대.
  13. 제10항에 있어서,
    사각 파이프 구조로 펼쳐진 수직 접철링크들이 수직방향으로 펼쳐졌을 때에 상하에 위치한 수직 접철링크들은 평판들끼리 두께면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작업대.
  14. 제1항에 있어서,
    4개의 평판은 그 길이방향을 돌기과 홈이 교번하여 형성되며, 4개의 평판이 2열 복층으로 겹친 상태에서 같은 평면 상에 위치한 2개의 평면의 돌기와 홈은 상호 결합되고, 4개의 평판이 사각 파이프 구조로 펼쳐질 경우 직각으로 위치하는 평판끼리 돌기와 홈이 상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철식 작업대.
KR1020210056361A 2021-04-30 2021-04-30 접철식 작업대 KR102469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361A KR102469207B1 (ko) 2021-04-30 2021-04-30 접철식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6361A KR102469207B1 (ko) 2021-04-30 2021-04-30 접철식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128A KR20220149128A (ko) 2022-11-08
KR102469207B1 true KR102469207B1 (ko) 2022-11-23

Family

ID=84041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6361A KR102469207B1 (ko) 2021-04-30 2021-04-30 접철식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2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6599A (ja) * 2010-06-09 2011-12-22 Ihi Corp 仮設足場構造
JP2020523503A (ja) * 2017-06-09 2020-08-06 サイコ インコ−ポレ−テツド 可搬式ステージ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7875A (en) 1986-05-08 1990-11-06 Garox Corporation Modular scaffolding system and connecting joints therefor
JP2593840B2 (ja) 1994-09-07 1997-03-26 豊田化工株式会社 ペット用便床
JPH10245976A (ja) 1997-03-05 1998-09-14 Takagi Press Seisakusho:Kk 作業台
JP3913360B2 (ja) * 1997-12-26 2007-05-09 辰雄 小野 支保工
WO2007132148A2 (en) 2006-05-04 2007-11-22 Access Products Limited Scaffolding
KR101143076B1 (ko) 2011-07-04 2012-05-08 주식회사백상 뭉치형 사다리 작업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56599A (ja) * 2010-06-09 2011-12-22 Ihi Corp 仮設足場構造
JP2020523503A (ja) * 2017-06-09 2020-08-06 サイコ インコ−ポレ−テツド 可搬式ステージ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9128A (ko) 2022-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542B1 (ko) 비계
US9062448B2 (en) Pivotally erectable structural frame system
US20120279141A1 (en) Modular building system and method
KR102182115B1 (ko) 실내에서 체결 가능한 조립식 건축용 모듈러 유닛의 체결 구조
US20190242128A1 (en) Modular Truss
KR102469207B1 (ko) 접철식 작업대
US1003407A (en) Sectional scaffold.
JP6241967B2 (ja) アクセス構造物一体化アセンブリおよび一体化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KR102469208B1 (ko) 잠금기능을 구비한 접철식 작업대
JP6286266B2 (ja) 足場構築体におけるコーナー用朝顔の設置工法及びコーナー用朝顔装置
JP5019153B2 (ja) 仮設足場用妻側幅木
US3393483A (en) Building structure with frame corner connector elements
JPH0533623Y2 (ko)
CN113137087A (zh) 箱式建筑模块,箱式模块化建筑及其建造方法
JP4469483B2 (ja) 折り畳み式足場台および該足場台を連結してなる足場
JP2010515845A (ja) 橋モジュール
CN214364033U (zh) 一种格构式承重模块
CN209509577U (zh) 一种具有抗震功能的集装箱式模块化建筑单元及组装房屋
JP4072581B2 (ja) 足場装置
JP6936489B2 (ja) 仮設足場用足場板
CN211851059U (zh) 箱式建筑模块及箱式模块化建筑
JP6573946B2 (ja) アクセス構造物一体化アセンブリおよび一体化アクセスシステム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JP2011080329A (ja) 建物の屋根構造、屋根パネル及び屋根パネルの運搬方法
JPH0518103A (ja) 折畳式足場ユニツト
JPS6349462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