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366B1 - Puzzle-type parking apparatus and control circuit - Google Patents

Puzzle-type parking apparatus and control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366B1
KR960014366B1 KR1019930014485A KR930014485A KR960014366B1 KR 960014366 B1 KR960014366 B1 KR 960014366B1 KR 1019930014485 A KR1019930014485 A KR 1019930014485A KR 930014485 A KR930014485 A KR 930014485A KR 960014366 B1 KR960014366 B1 KR 960014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lift
lifting
lowering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44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03587A (en
Inventor
구택서
Original Assignee
구택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택서 filed Critical 구택서
Priority to KR1019930014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366B1/en
Publication of KR950003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5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366B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187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using vertical parking loo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dollie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wheeled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04H6/422Automatically operated car-parks

Abstract

a frame structure(1) where plural cars are parked; a plurality of transmission pallets(17) that are arranged in two lines vertically in the frame structure(1), to be capable of vertical and horizontal motion; a pallet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lowermost pallet; a lowermost horizontal transmission means(14) for horizontally moving the lowermost pallet to the lowermost position; a pallet dropping means for dropping lower pallets to the lowermost position; an uppermost horizontal transmission means(13) horizontally moving the uppermost pallet to the uppermost position; and a controller(23) for circulating multiple pallets.

Description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 및 그 제어회로Parking lot value using puzzle type pallet sequential transfer and control circuit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의 일실시예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rking lot value using a puzzle-type pallet sequential trans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 내지 제2c도는 본 발명에 의한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의 일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2 to 2c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structure of the parking lot value using a puzzle-type pallet sequential trans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a도 내지 제3d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치의 프레임 구조물의 일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3a to 3d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structure of the frame structure of the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3e도 내지 제3t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치의 프레임 구조물을 이루는 구성각부의 일실시예 상세도.3e to 3t is a detailed view of an embodiment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frame structure of the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4a도 내지 제4c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이송 파렛트의 일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Figures 4a to 4c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structure of a transport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5a도 내지 제5d도는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의 일실시예 구조.5a to 5d show an embodiment structure of a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6a도 내지 제6f도는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6a to 6f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7a도 내지 제7b도는 본 발명에 채용한 중심추의 일실시예 구조도.7a to 7b is a structure diagram of one embodiment of a central weight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7c도 내지 제7d도는 본 발명에 채용한 하중분할추의 일실시예 구조도.7c to 7d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load split weight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제8a도 내지 제8c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단 슬라이더의 일실시예 구조도.8a to 8c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lower sl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9a도 내지 제9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상단 슬라이더의 일실시예 구조도.9a to 9b is a structural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top sl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0a도 내지 제10d도는 본 발명에 의한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 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의 작동상태도.10a to 10d is a state diagram of the operation of the parking lot using a sequential conveyance of the puzzle-type pall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를 제어하는 일실시예 회로도.Figure 11 is an embodiment circuit diagram for controlling the parking lot value using the puzzle-type pallet sequential trans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치를 제어하는 회로의 PLC부 내부 구성을 보인 일실시 예시도.1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LC unit of the circuit for controlling the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치를 제어하는 회로의 모터 연결 상태를 보인 일실시 예시도.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tor connection state of a circuit for controlling a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메인 프레임 2 : 승강 구동 모터1: main frame 2: lifting drive motor

3 : 기어박스 4 : 워엄 리듀서(Worm reducer)3: Gearbox 4: Worm Reducer

5 : 샤프트 6 : 하강 구동 모터5: shaft 6: lowering drive motor

7 : 기어박스 8 : 워엄 리듀서7: gearbox 8: worm reducer

9 : 샤프트 10 : 스프라켓9: shaft 10: sprocket

11 : 체인 12 : 축 커플링(Coupling)11: Chain 12: Shaft Coupling

13 : 상단 슬라이더 14 : 하단 슬라이더13: top slider 14: bottom slider

15 : 리프트(Lift) 16 : 리프트 가이드15: Lift 16: Lift Guide

17 : 파렛트(Pallet) 18 : 차단기17: Pallet 18: Breaker

19 : 발판 20 : 안전망19: scaffold 20: safety net

21 : 하중분할추 22 : 하중분할추 가이드21: load division weight 22: load division weight guide

23 : 콘트롤 박스 24 : 중심추23: control box 24: center weight

25a, 25b, 25c : 도르레 26 : 와이어 로우프25a, 25b, 25c: pulley 26: wire rope

27 : 스크류 잭27: screw jack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 여러대의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한 주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2대의 주차공간에서 수직방향으로 다수의 파렛트를 퍼즐식으로 순환시키면서 여러대의 차량을 효율적으로 주차시킬 수 있도록 하는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 및 그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rking system for parking multiple vehicles in a narrow space, and in particular, a puzzle that allows multiple vehicles to be parked efficiently while circulating a plurality of pallets in a vertical direction in two parking spaces of a vehicle. It relates to a parking lot value using a pallet sequential transfer of the formula and a control circuit thereof.

종래의 주차 설비는 크게 수평 순환식, 로터리식 및 엘리베이터식의 3가지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우선 수평 순환식의 경우는 넓은 공간과 많은 공사비가 요구되는 방식으로서, 다단 주차방식이 아니어서 공간 대주차대수 비율이 적어 비효율적이며, 특히 소형 차량의 주차설비로는 더욱 더 비효율적이다.Conventional parking facilit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of horizontal circulation, rotary and elevator. First of all, horizontal circulation is a method that requires a large space and a lot of construction costs. It is inefficient due to the small number of parking lots, and especially inefficient parking facilities for small vehicles.

로터리 방식은 적은 공간에 비교적 많은 차량을 주차 시킬 수 있는 방식이나, 설비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서 빈칸에 주차시키도록 되어 있어 편하중시(즉, 한쪽에만 차량이 주차되었을 때), 그 구동부와 채결부위에 미치는 기계적 손실이 크고, 전력 소모가 많으며, 특히 역회전시 매우 위험하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The rotary method allows you to park relatively many vehicles in a small space, but it is not only expensive, but also parks in a space while rotating around the central axis. ), The mechanical loss on the driving part and the coupling part is large, the power consumption is high, and especially the reverse rotation is very dangerous.

그리고, 엘리베이터 방식은 주로 대형 주차 설비에 이용되는 방식으로, 넓은 공간과 많은 설비 비용이 소용될 뿐만 아니라, 주차시 또 주차해 놓았던 차량을 운행시키기 위해 출고할 때 운전자가 직접 당해 차량이 주차되어 있는 위치까지 직접 이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그 이용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다른 차량과의 접촉으로 인한 차량 파손의 우려가 많고, 소형 설비로는 매우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In addition, the elevator system is mainly used for large parking facilities, and a large space and a lot of equipment costs are not only used, but also when the vehicle is parked when the driver leaves the vehicle to park the parked vehicle. Since the use has to be moved directly to the location, the use thereof is not only very inconvenient, there is a high risk of damage to the vehicle due to contact with other vehicles, and has a problem of being very inefficient as a small facilit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배제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공간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해 차량 2대의 공간에서 다층으로 다수의 차량을 주차시키되, 그 일측에서는 적층된 다수의 차량을 전체적으로 소정 간격만큼씩 승강시키고, 다른 일측에서는 적층된 다수의 차량을 전체적으로 소정 간격만큼씩 하강시키는 수직 순환 방식을 채용하고, 차량순환 이송시 주차된 차량을 직접 이송하지 않고 차량이 들어 있는 파렛트(Pallet)를 이송하여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고, 효율적인 동력이용을 위해 하중분할추 및 중심추를 채용하며,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조립식으로 되어 있는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 및 그 제어회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eliminate the above problems, and in order to maximize space utilization, a plurality of vehicles are parked in multiple layers in a space of two vehicles, and on one side thereof, a plurality of vehicles stacke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s a whole. By lifting up and down, the other side adopts a vertical circulation method of lowering a plurality of stacked vehicles as a whol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ransports a pallet containing vehicles without directly transporting a parked vehicle during vehicle circulation transfer. It provides a parking lot value and control circuit using a puzzle-type pallet sequential transfer that is prefabricated to prevent damage to the vehicle, adopts a load split weight and a center weight for efficient power use, and is easy to move and install. The purpose is to.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좁은 주차공간에 다수의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한 주차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차량 2대를 주차시킬 수 있는 폭과, 다수의 차량을 적층시킬 수 있는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물; 차량 1대를 주차시킬 수 있는 소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 구조물내에 적어도 수직 2열로 적층되고, 그내부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을 내장한 채 수직 승,하강되거나, 좌우측으로 수평 이동되는 다수의 이송 파렛트; 상기의 수직으로 적층된 일측의 이송 파렛트들을 하나의 파렛트 높이만큼씩 수직 승강시키기 위해 최하단 파렛트를 들어올리는 파렛트 승강 수단; 상기의 수직으로 적층된 하강측의 최하단 파렛트를 승강측의 최하단 위치로 수평이동시키는 최하단 수평이동 수단; 상기의 수직으로 적층된 타측 (하강측)의 이송 파렛트들을 하나의 파렛트 높이 만큼씩 수직 하강시키기 위해 그 하단의 파렛트를 들어서 최하단 위치로 내리는 파렛트 하강 수단; 상기의 파렛트 승강 수단에 의해 승강된 최상단 파렛트를 상기의 수직적층된 타측(하강측)의 최상단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최상단 수평이송 수단; 및 소정의 버튼조작에 의해 상기 파렛트 승강 수단, 상기 최상단 수평이송 수단, 상기 파렛트 하강 수단 및 상기 최하단 수평이송 수단을 구동시켜, 적어도 2열로 수직적층된 다수의 파렛트들이 순차적으로 순환되도록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rking lot value for parking a plurality of vehicles in a narrow parking space, the width of which can park at least two vehicles and a predetermined height that can stack a plurality of vehicles. Frame structure; It has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to park one vehicle, and is stacked in at least two vertical rows in the frame structure, and vertically lifted, lowered, or horizontally moved horizontally with the vehicle parked therein. Multiple transport pallets; Pallet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lowermost pallet to vertically lift the vertically stacked conveying pallets by one pallet height; A lowermost horizontal moving means for horizontally moving the lowermost pallets of the lowering side stacked vertically to the lowermost position of the lowering side; Pallet lowering means for lifting the lower pallet to the lowest position in order to vertically lower the vertically stacked transport pallets of the other side (falling side) by one pallet height; An uppermost horizontal transfer means for horizontally moving the uppermost pallet lifted by the pallet lifting means to the uppermost position of the other vertically stacked side (lowering side); And means for driving the pallet lifting means, the uppermost horizontal conveying means, the pallet lowering means, and the lowermost horizontal conveying means by a predetermined button operation so that a plurality of pallets stacked vertically in at least two rows are sequentially circulated.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그리고, 본 발명의 주차장치는 적어도 차량2대를 주차시킬 수 있는 폭과 다수의 차량을 적층시킬 수 있는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져 있는 프레임 구조물과, 수직으로 적층된 승강측의 이송 파렛트들을 소정 높이만큼씩 수직 승강시키기 위해 승강 리프트로 들어 올리는 파렛트 승강 수단과, 수직으로 적층된 하강측의 이송 파렛트들을 소정 높이만큼씩 수직 하강시키기 위해 하강 리프트로 들면서 서서히 내리는 파렛트 하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 승강구동 수단의 승강구동력을 절감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 리프트에 걸리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의 무게를 갖도록 형성된 하중분할 수단; 및 상기 파렛트 하강구동수단의 하강구동력을 절감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 리프트 하강시에 동일하게 하강되는 상기 하강 리프트의 하중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하중분할 수단을 연결하는 하중분할용 중심추 및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rking lo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structure consisting of a width that can park at least two vehicles and a predetermined height that can stack a plurality of vehicles, and vertically stacked conveying pallets by a predetermined height. In a parking lot having a pallet lifting means for lifting up and down by a lifting lift to vertically lifting, and a pallet lowering means for gradually pulling down a lifting lift for vertically lowering vertically stacked transport pallets by a predetermined height. Load dividing means connected to a direction for reducing the load applied to the elevating lift to reduce the elevating driving force of the pallet elevating driving means and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nd a load dividing center weight and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the load dividing means to reduce the load of the lowered lift lowered equally during the lowering of the lifting lift in order to reduce the lowering driving force of the pallet lowering driv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의 제어회로는 적어도 차량 2대를 주차시킬 수 있는 폭과 다수의 차량을 적층시킬 수 있는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구조물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내에 적어도 수직 2열로 적층되고 그 내부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을 내장한 채 수직 승,하강되거나 좌우측으로 수평 이동되는 다수의 이소 파렛트와, 상기의 수직으로 적층된 승강측의 이송 파렛트들을 승강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하나의 파렛트 높이만큼씩 수직 승강시키기 위해 최하단 파렛트를 들어올리는 파렛트 승강 수단과, 하단 슬라이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의 수직으로 적층된 하강측의 최하단 파렛트를 승강측의 최하단 위치로 수평이동시키는 최하단 수평이동 수단과, 상기의 수직으로 적층된 하강측의 이송 파렛트들을 하강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하나의 파렛트 높이만큼씩 수직 하강시키기 위해 그 하단의 파렛트를 들어서 최하단 위치로 내리는 파렛트 하강 수단과, 상기 슬라이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의 파렛트 승강 수단에 의해 승강된 최상단 파렛트를 상기의 수직적층된 하강측의 최상단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최상단 수평이송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네개의 모터를 각각 구동시키기 위한 제1내지 제4마크네트 스위치; 상기 승강 구동 모터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측 리프트 이동영역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승강측 리프트의 승강이동이 완료되었음을 검지하는 제1위치 검지 센서; 상기 승강측 리프트 이동영역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승강측 리프트가 다음 사이클의 파렛트 승강동작을 위한 하강이동이 완료되었음을 검지하는 제2위치 검지 센서; 상기 승강측 최하단(H)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하단 슬라이더 모터에 의해 하강측 최하단(A)으로부터 승강측 최하단(H)으로 이동되는 파렛트의 이동완료를 검지하는 제3위치 검지 센서; 상기 하강 구동 모토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하강측 리프트 이동영역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강측 리프트가 다음 사이클의 파렛트 하강동작을 위한 승강이동이 완료되었음을 검지하는 제4위치 검지센서; 상기 하강측 리프트 이동영역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강측 리프트의 하강이동이 완료되었음을 검지하는 제5위치 검지 센서; 상기 하강측 최상단(D)으로 이동되는 파렛트의 이동완료를 검지하는 제6위치 검지센서; 상기 하강측 최하단(A)의 일측면의 소정 높이에 설치되되 상기 하강측 최하단에 위치되는 파렛트가 몇번 파렛트인가를 정확히 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 상기 제1 내지 제4마그네트 스위치, 상기 제1 내지 제6위치 검지 센서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제반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PLC); 및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PLC)에 연결되어 있으며 원하는 파렛트가 주차 및 인출이 가능한 하강측 최하단(A)에 위치되도록 선택할 수 있는 키패드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ame structure having a width for parking at least two vehicles and a predetermined height for stacking a plurality of vehicles, and stacked in at least two vertical rows within the frame structure and parked therein. A plurality of iso pallets vertically lifted, lowered or moved horizontally to the left and right, and the conveyed pallets of the vertically stacked lifting side by the height of one pallet by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elevating drive motor with a built-in vehicle Pallet elevating means for lifting the lowermost pallet to elevate, and lowermost horizontal moving means for horizontally moving the lowermost pallet on the vertically stacked lower side by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lower slider motor to the lowest position on the elevating side, and Vertically stacked conveying pallets are driven by the driving force of the descending drive motor. In order to vertically descend by one pallet height, a pallet lowering means for lifting the pallet at the bottom thereof and lowering it to the lowest position, and the uppermost pallet lifted by the pallet lifting means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slider motor is stacked vertically. A circuit for controlling a parking lot value using a puzzle-type pallet sequential feeding, comprising: a first to a fourth for driving the four motors, respectively; Marknet switch; A first position detection sensor positioned at a top end of a lift side lift movement area moved up and down by the lift drive motor and detecting that the lift movement of the lift side lift is completed; A second position detection sensor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lifting side lift movement area and detecting that the lifting side lift has completed the lowering movement for the pallet lifting operation of the next cycle; A third posi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ifting side lower end (H) and detecting a movement completion of the pallet moved from the lowering side lower end (A) to the lifting side lower end (H) by the lower slider motor; A fourth position detection sensor positioned at a top end of a falling side lift moving area which is moved up and down by the falling driving moto and detecting that the falling side lift has completed the lifting movement for the pallet lowering operation of the next cycle; A fifth position detection sensor positioned at the lowest end of the lower side lift movement area and detecting that the lowering movement of the lower side lift is completed; A sixth posi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 movement completion of the pallet moved to the top end (D) of the falling side; A limit switch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one side of the lower side (A) of the lower side and installed so as to accurately detect how many times the pallet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side;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magnet switches, the first to sixth position detection sensors, and the limit switch, respectively, to control various operations; And a keypad connected to th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and selectable so that the desired pallet is located at the lowermost lower end (A) where parking and withdrawal are possibl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위한 주차장치의 일실시예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승용차 2대의 주차공간에 7대의 승용차를 주차시켜 놓은 예를 간단히 보인 것이다.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arking lot value for sequential transport of a puzzle-type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n example in which seven passenger cars are parked in two parking spaces of a passenger car.

제2a도 내지 제2c도는 본 발명에 의한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의 일실시예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a도는 그 정면도이고, 제2b도는 좌측면도이며, 제2c도는 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1은 메인 프레임, 2 및 6은 승하강 구동모터, 3 및 7은 기어박스, 4 및 8은 워엄 리듀서, 5 및 9는 샤프트, 10은 스프라켓(Sproket), 11은 체인, 12는 축커플링(Coupling), 13은 상단 슬라이더(Slider), 14는 하단 슬라이더, 15는 리프트(Lift), 16은 리프트 가이드, 17은 파렛트(Pallet), 18은 차단기, 19은 발판, 20은 안전망, 21은 하중분할추, 22은 하중분할추 가이드, 23은 콘트롤 박스, 24는 중심추, 25a, 25b 및 25c는 도르레, 26은 와이어 로우프, 27은 스크류 잭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2a to 2c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whole structure of the parking lot value using a puzzle-type pallet sequential trans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front view, Figure 2b is a left side view, 2c is a plan view thereof. And, in the drawing, 1 is the main frame, 2 and 6 is the lifting drive motor, 3 and 7 gearbox, 4 and 8 is the worm reducer, 5 and 9 the shaft, 10 is the sprocket, 11 is the chain, 12 Is Coupling, 13 is Top Slider, 14 is Bottom Slider, 15 is Lift, 16 is Lift Guide, 17 is Pallet, 18 is Breaker, 19 is Footrest, 20 is Safety net, 21 load split weight, 22 load split weight guide, 23 control box, 24 center weight, 25a, 25b and 25c pulley, 26 wire rope, 27 screw jack.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주차장치 구조는 차량 2대의 주차공간에 7대에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차량 2대를 주차시킬 수 있는 폭과 4대의 차량을 적층시킬 수 있는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지며 설치시 볼트로 체결하여 조립하는 메인 프레임(1)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부가적으로 조립설치되어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다수의 보조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구조물과, 차량 1대를 주차시킬 수 있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 구조물 내에 수직 2열로 적층되고 그 내부에 주차된 차량을 내장한채 수직 승하강되거나 좌, 우측으로 수평이동되는 7개의 이송 파렛트(17)와, 수직으로 적층된 우측(승강측)의 이송 파렛트들을 한 파렛트 높이만큼씩 수직 승강시키기 위해 최하단 파렛트를 리프트(15)로 들어올리는 파렛트 승강 장치와, 상기의 파렛트 승강장치에 의해 승강된 우측의 최상단 파렛트를 좌측 하강측의 최상단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상단 슬라이더(13)와, 상기의 수직으로 적층된 좌측의 이송 파렛트들을 하나의 파렛트 높이만큼씩 수직 하강시키기 위해 하단의 파렛트를 리프트(15)로 들면서 최하단 위치로 내림으로써 주차시켰던 차량을 출고시켜 운행하거나, 차량을 새로이 주차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파렛트 하강 장치와, 상기의 수직으로 적층된 하강측(좌측)의 최하단 파렛트를 승강측(우측)의 최하단 위치로 수평이동시키는 하단 슬라이더(14)와, 버튼조작에 의해 상기 파렛트 승강 장치, 상기 상단 슬라이더(13), 상기 파렛트 하강 장치 및 상기 하단 슬라이더(14)를 순차적으로 구동시켜 2열로 수직적층된 7개의 파렛트들이 퍼즐식으로 수직 순환되도록 제어하는 콘트롤박스(23)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parking lo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tructure for parking a vehicle in seven parking spaces in two parking spaces, and can stack four vehicles with a width that can park two vehicles. A frame structur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uxiliary frames, which are made of a predetermined height and which are additionally assembled and installed between the main frame 1 and the main frame to be assembled by fastening with bolts, and one vehicle It is formed with a predetermined size that can be parked and is stacked in two vertical rows in the frame structure, and vertically lifted up or down with seven transport pallets 17 horizontally moved left and right, with the vehicle parked therein, vertically Lift the lowermost pallet to the lift 15 to vertically lift the transport pallets on the right side (elevation side) stacked by one pallet height. Pallet elevating device, the upper slider 13 for horizontally moving the uppermost pallet on the right ascended by the pallet lifting device to the uppermost position on the lower left side, and the vertically stacked left conveying pallets as one pallet Pallet lowering device which allows the vehicle parked or operated by leaving the lower pallet to the lowest position while lowering it vertically by height, and allowing the vehicle to be parked anew. A lower slider 14 for horizontally moving the lowermost pallet on the lower side (left) to the lowermost position on the lower side (right); and the pallet elevating device, the upper slider 13, the pallet lowering device, and the The lower slider 14 is sequentially driven so that seven pallets stacked vertically in two rows are vertically circulated in a puzzle type. And a control box 23 for controlling.

그리고, 상기 하단측 최하단의 차량 출입구에는 주차시키려는 사람 또는 주차된 차량을 출고시키려는 사람이 수동으로 올려놓거나 내려놓을수 있도록 설치되는 차단기(18)를 부가적으로 구비하여 본 시스템 운영시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하는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차단기(18)가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는 메인 전원이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타인이 상기 콘트롤 박스(23)를 통해 어떠한 인위적인 조작을 하더라도 아무런 동작도 수행되지 않도록 하여, 주차중이거나 차량을 출고시키기 위해 사람이 상기 주차시스템 내로 진입한 상태에서는 가동되지 않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vehicle entrance of the lowermost lower end side is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circuit breaker 18 which is installed so that a person who wants to park or a person who wants to leave the parked vehicle can be put up or down manually to promote safety when operating the system. In this embodiment, the main power is cut off in the state where the breaker 18 is raised, so that no operation is performed by any other person through the control box 23, so that no operation is performed.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by preventing the vehicle from being operated while parking or when a person enters the parking system to release the vehicle.

따라서, 본 발명의 주차시스템에서는 주차 또는 출고시키는 사람이 해당 작업을 완료한 후, 상기 주차시스템 밖으로 나와서 상기 차단기(18)를 수동을 내려 놓은 후에야 비로소 구동되어 원하는 동작을 수행시킬 수 있다.Therefore, in the par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person who parks or leaves the car has completed the corresponding work, the parking system may be driven to perform the desired operation only after the parking system 18 is released and the manual breaker 18 is put down manually.

상기 하강측 최하단의 차량 출입구 하단과 설치장소 바닥면 간에 단차가 있는 경우는 차량이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제공하는 소정크기의 발판(19)을 설치한다.If there is a step between the bottom of the vehicle entrance at the bottom of the descending side and the floor of the installation site, a footrest 19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provided to provide an inclined surface to allow the vehicle to move in and out smoothly.

또한, 상기 하강측 최하단의 후면 및 상기 승강측 최하단의 전후면에는 각각 안전망(20)을 설치하여 내측의 주차된 차량을 보호함과 더불어, 외부의 사람을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afety net 20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most side of the lower side and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ower side of the elevating side, respectively, to protect the parked vehicle inside and to protect the external person.

상기 프레임 구조물로는 직육면체 모양 구조의 모서리부분에 해당하는 메인 프레임(1)을 분리된 상태로 설치장소에 운반한 후, 볼트로 체결하면서 설치하도록 하였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요소요소마다 보조 프레임 부가적으로 결합설치하여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한다.As the frame structure, the main frame 1 corresponding to the corner portion of the rectangular parallelepiped structure is transported to the installation place in a separated state, and then installed while being fastened with bolts, as shown in the drawing, for each required element element. Auxiliary frame is additionally installed to be firmly supporte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 자재로서 다수의 사각 파이프를 채용하여 시스템 자체의 중량을 최소화 하였으며, 볼트체결 방식을 채용하고 있어 설치조립, 해체 및 이동이 용이하며, 메인 프레임 내측면에는 파렛트(17) 이송을 위한 가이드 레일을 부착설치하여 이송시의 마찰을 최소화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하단에는 다수의 스크류잭(27)들 구비시켜 어떠한 형태의 지면에도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였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eight of the system itself is minimized by employing a plurality of square pipes as the frame structure material, and the bolt fastening method is adopted to facilitate installation, disassembly and movement, and a pallet 17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main frame. Minimizes friction during transfer by attaching and installing guide rails for transfer. 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frame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crew jacks 27 to facilitate installation on any form of the ground.

그리고, 본 실시예의 프레임 구조물은 승용차 7대를 주차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그 외형 칫수가 전정 5800㎜, 전폭 5500㎜, 그리고 전고는 7800㎜가 되도록 하여,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승용차중의 대형승용차를 7대까지 주차시킬 수 있도록 하였는 바, 수용차량의 최대규격은 전장 5100㎜, 전폭 2200㎜, 그리고 전고가 1550㎜이며, 최대허용중량은 1700kg으로 설계된 것이다.In addition, the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tructure for parking seven passenger cars, and its external dimensions are 5800 mm, 5500 mm in width, and 7,800 mm in height, so that a large passenger car currently on the market in Korea is available. The maximum size of the accommodated vehicle is 5100mm in total length, 2200mm in total width, and 1550mm in total height, and the maximum allowable weight is 1700kg.

이를 첨부되면 제3a도 내지 제3z도를 통해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When attached to this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ures 3a to 3z as follows.

제3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치의 일실시예 프레임 구조물의 정면도로서 배면 구조는 이와 대칭이다. 그리고, 제3b도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상단면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제3c도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좌측면 구조도로서, 구 우측면은 이와 대칭인 구조를 갖는다. 또한, 제3d도는 상기 제3c도의 A-A방향에서 본 바닥면 평면 구조도이다.Figure 3a is a front view of an embodiment frame structure of the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structure is symmetrical. 3b is a plan view showing a top surface structure of the frame structure, and FIG. 3c is a left side structure diagram of the frame structure, and a sphere right side surface has a symmetrical structure. 3d is a bottom plan view seen from the direction A-A of FIG. 3c.

그리고, 도면에서 101 내지 104는 소정 사이즈(size)의 사각 파이프형강으로서, 101은 정면 승강측 메인 프레임, 102는 전면 하강측 메인 프레임, 103은 후면 하강측 메인 프레임, 104는 후면 승강측 메인 프레임이며, 상기 101 및 103의 일실시예 상세 구조는 제3e도에 도시되어 있고, 상기 102 및 104의 일실시예 상세구조는 제3f도에 잘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3f도의 A부분은 제3fa도에 확대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3g도의 B-B면에서 바라본 구조는 제3fb에 도시되어 있다.In the drawing, 101 to 104 are rectangular pipe-shaped steel having a predetermined size, 101 is the main lifting side main frame, 102 is the front lower side main frame, 103 is the rear lower side main frame, 104 is the rear lifting side main frame The detailed structure of one embodiment of 101 and 103 is shown in FIG. 3e, the detailed structure of one embodiment of 102 and 104 is well shown in FIG. 3f, and part A of FIG. It is enlarged in the figure and the structure seen from the BB plane of FIG. 3g is shown in 3fb.

105는 전·후면측의 중앙부에 종으로 설치되는 소정 사이즈의 사각 파이프형강으로 이에 대해서는 제31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으며, 106은 측면 중앙부에 종으로 설치되는 소정 사이즈의 사각 파이프형강으로 이에 대한 일실시예) 구조는 제3j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105 is a rectangular pipe-shaped steel of a predetermined size installed longitudinally in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sides, which is shown in detail in FIG. 31, and 106 is a square-pipe steel of a predetermined size installed longitudinally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de. Example) The structure is shown in detail in FIG. 3j.

107 및 108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전·후면 상단부에 각각 횡으로 설치되는 소정 사이즈의 사각 파이프형강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제3k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3k도의 A 및 B부분 확대도와 C방향에서 바라본 상세도는 각각 제3ka도 내지 제3kc도에 각각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107 and 108 are rectangular pipe-shaped steels of a predetermined size which are horizontally installed at the upper and rear upper ends of the frame structure,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3k, which is viewed from the enlarged view of the A and B portions of FIG. Details are shown in more detail in FIGS. 3ka to 3kc respectively.

109 및 110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위 전·후면 하단부에 각각 횡으로 설치되는 소정 사이즈의 사각 파이프형강으로서, 상기 전면 하단부에 설치되는 사각 파이프형강(109)에 대해서는 제3g도에 잘 도시되어 있고, 상기 후면 하단부에 설치되는 사각 파이프형강(110)에 대해서는 제3h도에 잘 도시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제3h도의 A-A 단면도는 제3ha도에 도시되어 있고, B-B면에서 본 측면 구조는 제3hb도에 잘 도시되어 있으며, C부분 상세도는 제3hc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109 and 110 are rectangular pipe-shaped steels of a predetermined size which are horizontally installed at the lower end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rame structure,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The rectangular pipe-shaped steel 110 installed in the lower rear portion is well shown in FIG. 3h, in particular, the AA cross-sectional view of FIG. 3h is shown in FIG. 3ha, and the side structure seen from the BB plane is well in FIG. Part C details are shown in Figure 3hc.

111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좌.우측면 상단부에 각각 횡으로 설치되는 소정 사이즈의 사각 파이프형 강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제3l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3l도의 A부분은 제3la도에 확대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112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좌·우 측면 하단부에 각각 횡으로 설치되는 소정 사이즈의 사각 파이프형강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제3m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111 is a rectangular pipe-shaped steel of a predetermined size which is installed laterally at the upp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structure, which is illustrated in FIG. 3l, and part A of FIG. 3l is enlarged in FIG. . 112 is a rectangular pipe-shaped steel of a predetermined size which is installed laterally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ame structure, as illustrated in FIG. 3m.

117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승강측 상단부 전후단간에 횡으로 설치하는 소정 사이즈의 사각 파이프형강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제3n도에 도시되어 있고, 상기 제3n도의 A 부분은 제3na도에 확대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3na도의 B-B 단면 구조는 제3nb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117 is a rectangular pipe-shaped steel of a predetermined size which is horizontally install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ifting side upper ends of the frame structure, which is shown in FIG. 3n and part A of FIG. 3n is enlarged in FIG. The BB cross-sectional structure of FIG. 3na is well illustrated in FIG. 3nb.

118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하강측 상단부 전후단간에 횡으로 설치되는 소정 사이즈의 사각파이프형강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제3o도에 잘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3o도의 A부분은 제3oa도에 확대도시되어 있고, 상기 제3oa도의 D-D 단면구조는 제3ob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제3도의 B 부분은 제3oc도에 확대도시되어 있다.118 is a rectangular pipe shaped steel of a predetermined size which is installed transversely between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end of the frame structure, which is illustrated in FIG. 3O well, and part A of FIG. 3O is enlarged in FIG. The DD cross-sectional structure of FIG. 3oa is shown in FIG. 3ob, and the portion B of FIG. 3 is enlarged in FIG.

114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전면 소정높이의 하부와, 후면 소정 높이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되, 그 좌우양측 메인 프레임간에 각각 횡으로 설치되는 사각 파이프형강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제3p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114 is a rectangular pipe-shaped steel which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lower part of the rear predetermined height of the frame structure, and is installed laterally between the left and right main frame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3p.

113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전후면 소정 높이 중앙부에 각각 설치되는 소정 사이즈의 사각 파이프형강으로서, 이는 전후면 각각의 좌우양측 메인 프레임(101 내지 104)과 중앙 프레임(105)간에 횡으로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는 모두 네개가 소요된다. 이에 대해서는 제3q도에 그 하나의 구조가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113 is a rectangular pipe-shaped steel of a predetermined size which is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predetermined height of the frame structure, which is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left and right main frame 101 to 104 and the center frame 105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ll four structures are required. This structure is illustrated in detail in FIG. 3q.

115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양측면 전측부의 메인 프레임(101,102) 및 중앙 프레임(106)간에 각각 설치되되 그 하부의 소정 높이 (상기 114의 높이와 동일) 및 그 상부의 소정 높이에 각각 설치되는 소정 사이즈의 사각 파이프형강으로서, 이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 4개가 소요되며, 그 하나의 구조가 제3r도에 도시되어 있다.115 is installed between the main frame (101, 102) and the center frame 106 of both sides of the frame structure, respectively, the predetermined height of the lower portion (same as the height of 114) and the predetermined size of the upper portion respectively Of square pipes, which also takes four of the frame structures, one of which is shown in FIG.

116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양측면 후측면의 메인 프레임(103,104)과 상기 중앙 프레임(106)간에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115)와 동일 높이에 각각 설치되는 소정 사이즈의 사각 파이프형강으로, 이 또한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서 모두 4개가 소요되는바, 그 하나의 구조가 제3s도에 도시되어 있다.116 is a rectangular pipe-shaped steel of a predetermined size, which is installed between the main frames 103 and 104 and the center frame 106 on both side rear surfaces of the frame structure, and is install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rame 115, which is also the frame structure. In all four are required, one structure is shown in FIG.

120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전후면 승·하강측 각각의 상측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소정 사이즈의 사각 파이프형 강으로, 전후면상단 메인 프레임(107,108)과 상기 프레임(113)간에 종으로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구조물에서는 모두 8개가 소요되는바, 그 하나의 구조가 제3t도에 잘 도시되어 있다.120 is a rectangular pipe-shaped steel of a predetermined size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frame structure, and is ver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main frames 107 and 108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and the frame 113. In the frame structure, all eight are required, and one structure is well illustrated in FIG. 3t.

또한, 상기 제3a도에서 121은 상단 슬라이더(13)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전후면 중앙 프레임(105)의 상측 소정높이에 각각 설치된다.In FIG. 3A, 121 denotes an upper slider 13 and is installed at predetermined heights of the front and rear center frames 105 of the frame structure, respectively.

이제, 상기 이송 파렛트(17)의 일실시) 구조를 제4a도 내지 제4d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ow, an embodiment of the transport pallet 17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A to 4D.

제4a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이송 파렛트의 일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제4b도는 그 평면도이고, 제4c도는 그 측면도이며, 제4d도는 브라켓의 일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상세도이다.Figure 4a is a front view showing an embodiment structure of the transport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plan view thereof, Figure 4c is a side view thereof, Figure 4d is a detailed view showing an embodiment structure of the bracket.

본 실시예의 파렛트는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승용차중의 대형승용차를 기준으로하여 설계된 것으로서, 수용가능한 차량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설계예와 마찬가지로 그 크기가 전장 5100㎜ 이하, 전폭2200㎜이하, 전고 1550㎜ 이하, 그리고 중량은 1700kg 이하인 승용차를 주차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The palle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igned on the basis of a large passenger car in a passenger car that is currently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 and the acceptable vehicle has a size of 5100 mm or less in total length, 2200 mm or less in width, and 1550 in height, as in the design example of the frame structure. ㎜ or less, and the weigh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park a passenger car less than 1700kg.

이제, 그 일실시예 구조를 간단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이송 파렛트는 사각 파이프를 사용한 용접구조물로서, 그 내부에 차량이 주차될때 차량 타이어와 접촉되는 소정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마찰판(311)을 구비시키는 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일명 익스팬드 메탈(EXPAND METERIAL)이라고 칭하는 공지의 마찰판을 채용하여 본 파렛트 이송시 차량이 밀리지 않도록 하였으며, 상기 차량 타이어와 접촉되는 마찰판을 부착설치함에 있어서는 차량이 진입하는 앞쪽보다 그 뒤쪽이 소정 높이만큼 낮게 하기 위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하였다.Now, a brief look at the structure of one embodiment, the transport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elded structure using a square pipe, a friction plate 311 for preventing slipping on a predetermined surface in contact with the vehicle tire when the vehicle is parked therein.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known friction plate called EXPAND METERIAL is adopted to prevent the vehicle from being pushed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pallet. It was inclined at a certain angle so that the rear side of the entrance front was lowered by a predetermined height.

그리고, 진입되는 차량이 정해진 위치에 주차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받침목용 지지파이프(310a)와 상기 마찰판(311)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목용 지지파이프(310b,310c)을 그 저면부에 구비시키고 있으며(제4b도 참조), 그 정면 및 후면부에는 제4a도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두께(100㎜)의 사각 파이프로 일정폭(2527㎜)과 높이(1875㎜)를 이루도록 구성하는데, 그 전후단 양끝단부의 상하측 파이프(301,302) 모서리에는 각각 마찰계수를 최소화하기 위한 볼 트랜스퍼(BALL TRANSFER)(308)을 각각 배치시키고, 상기 전후단 양끝단부의 상하좌우 파이프(301,302,303,304)에는 마찰계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각 소정크기 및 두께의 테프론 바(320)를 부착구비시킨다. 그리고, 일측 모서리에는 제4d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크기의 브라켓(307)을 구비시켜 해당 파렛트의 고유번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후면의 상하측 파이프(301,302) 간에는 보조적으로 사각 파이프(305,306)를 대칭적으로 비스듬히 고정시켜 그 상부측으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을 감내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ipe 310a for the support collar 310 so as to allow the vehicle to be park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the support pipes 310b and 310c for supporting the friction plate 311 are provided at the bottom surface thereof (the 4b), as shown in the drawing of FIG. 4a, the front and rear portions thereof are configured to have a constant width (2527 mm) and a height (1875 mm) by a square pipe of a predetermined thickness (100 mm). At each corner of the upper and lower pipes 301 and 302, ball transfers 308 are disposed to minimize friction coefficients, respectively. In order to attach the Teflon bar 320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hicknes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4D, one side edge is provided with a bracket 307 having a predetermined size so that the uniqu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pallet can be displayed. In addi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ipes 301 and 302 on the rear side, the square pipes 305 and 306 are symmetrically fixed at an angle to bear the load applied from the upper side thereof.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파렛트의 평면구조(제4b도 참조)를 살펴보면, 그 상측면은 두 상측 사각 파이프 (314a,314b)간에 사각 파이프(309,313)가 대칭적으로 각각 비스듬히 고정되어 있으며, 그 바닥면에는 두하단 파이프(319a,391b)간을 횡으로 가로지르는 걸림받침목용 지지파이프(310a)와 상기 마찰판(311)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목용 지지파이프(310a)와 상기 마찰판(311)을 받쳐주기 위한 받침목용 지지파이프(310b, 310c)가 그 저면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 파이프(310a) 및 전측하단 파이프(302) 간에는 상기 마찰판(311)을 견고하게 부착설치하기 위한 두 지지파이프(312a,312b)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두 지지파이프(312a,312b)와 양측의 하단 파이프(319a,319b) 간에 3.2㎜ 두께의 마찰판(311)을 설치하되, 그 전후측 간에는 후측이 낮고 전측이 조금 높도록 설치하여 일단 주차된 차량은 상기 파렛트 이송시에도 움직임이 없어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였다.Next, looking at the planar structure of the pal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e also FIG. 4b), the upper side is a square pipe (309, 313) is symmetrically fixed to each other between the two upper square pipe (314a, 314b), the The bottom surface supports the support pipe 310a and the support plate 310a for supporting the friction plate 311 and the friction plate 311 for supporting the support plate 310a crossing horizontally between the two lower pipes 319a and 391b. Support pipes 310b and 310c for supporting the neck are provided at the bottom thereof, and two support pipes for firmly attaching and installing the friction plate 311 between the support pipe 310a and the front lower pipe 302 are provided. 312a and 312b are provid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iction plate 311 having a thickness of 3.2 mm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support pipes 312a and 312b and the lower pipes 319a and 319b on both sides. The vehicle was parked so that the vehicle was parked once, so that the pallet was not moved even when the pallet was transported to maintain a seated state.

이제 그 측면 구조(제4c도 참조)를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그 전단부에서부터 후단까지의 전장이 일정크기(5360㎜)가 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양측면의 상단 파이프(314a,314b) 및 하단 파이프(319a,319b)간에 지지 파이프들(315,316,317,318)을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하고 있는바, 지지 파이프(315,316)그 좌측단에 설치하고, 지지 파이프(317,318)는 그 우측단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본 파렛트 구조물의 전후는 끝단부를 이루는 구조에는 마찰계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7㎜두께와 50㎜ 폭을 갖는 테프론바(t7×50w×9M1)(320)를 부착설치한다.Looking at the side structure (see also 4c), in this embodiment, the entire length from the front end to the rear end is a certain size (5360mm), and the upper pipes (314a, 314b) and the lower pipes ( The support pipes 315, 316, 317 and 318 are installed vertically or inclined between the 319a and 319b. The support pipes 315 and 316 are installed at the left end thereof, and the support pipes 317 and 318 are installed at the right end thereof. And,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and rear of the pallet structure is attached to the Teflon bar ( t 7 × 50 w × 9M 1 ) 320 having a 7 mm thickness and 50 mm width to minimiz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in the structure forming the end portion do.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파렛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는 바, 우선 상기 프레임 구조물(1)의 승강축 상부 외측면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콘트롤 박스(23)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2)와, 상기 프레임 구조물(1)의 승강측 상부 외측면 전후단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모터(2)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스프라켓(10)을 회전시키는 전단 및 후단 워엄 리듀서(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상기 전단 및 후단 워엄 리듀서(4)로 전달하기 위한 구조로는 상기 모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90도 전환시킴과 동시에 소정비로 감속시킨 동력을 전후단 샤프트(5)를 통해 상기 전단 및 후단 워엄 리듀서(4)로 각각 전달하는 기어 박스(3)와, 상기 기어 박스(3) 및 워엄 리듀서(4)간의 샤프트(5)를 각각 결합시키기 위한 축 커플링(12)을 구비시킨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an apparatus for elevating the pallet, it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first,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shaft of the frame structure (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box (23) Front and rear worm reducers for driving the motor (2), a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pper and outer sides of the lifting side of the frame structure (1), respectively, to rotate the sprocket (10)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motor (2) (4) is provided. In addition, the structure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to the front and rear worm reducer (4) is connected to the motor drive shaft to switch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by 90 degrees and at the same time decelerate the power reduced by a predetermined ratio A shaft for coupling the gear box 3 to the front and rear worm reducers 4 via the end shaft 5, respectively, and the shaft 5 between the gear box 3 and the worm reducer 4, respectively. Coupling 12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수강측 전단 및 후단 워엄 리듀서(4)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 체인(11)을 구동시키는 스프라켓(1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단 및 후단 워엄 리듀서의 스프라켓(10)에는 각각 소정 길이의 체인(11)이 치합되게 결합되어 있어, 상기 모터(2)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됨에 따라 상기 체인을 정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The water-receiving front and rear warm reducers 4 have sprockets 10 for driving the chains 11,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and the sprockets 10 of the front and rear warm reducers respectively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s coupled to the chain 11, the motor 2 is to move the chain forward or reverse as the forward or reverse rotation.

또한 상기 승강측 전후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체인(11)의 내측 끝단에는 상기 파렛트들을 걸어서 일정 높이까지 상승시키기 위한 리프트(15)가 각각 연결되어 있고, 상기 각 체인(11)의 외측 끝단에는 상기 파렛트 승강시 소요되는 동력 소모를 절감시키기 위한 하중분할추(21)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ner end of the chain 11, which is provided at each of the elevating side front and rear ends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ift (15) for walking up the pallet to a certain height, the outer end of each of the chain (11) Load split weights 21 are connect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required for pallet lifting.

따라서, 상기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전후단 워엄 리듀서의 스프라켓이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후단의 체인(11)이 각각 구동되어, 상기 리프트(15)가 리프트 가이드(16)를 따라 상하 왕복되면서 상기 파렛트를 앞쪽과 뒤쪽에서 동시에 들어서 소정 높이 만큼씩 상승시키는 것이다.Accordingly, as the motor is driven, the sprockets of the front and rear end worm reducers, which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are rotated, and the chains 11 of the front and rear ends are respectively driven, so that the lift 15 is lift guide 16. The pallet is lifted by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simultaneously lifting the pallet up and down along the front and rear.

상기 리프트(15)의 일실시예 구조는 첨부도면 제5a도 내지 제5d도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One embodiment structure of the lift 15 is shown in detail in the attached drawings 5a to 5d.

제5a도는 상기 리프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제5b도는 상기 제5a도의 AA'선 확대 단면도이고, 제5c도는 상기 제5a도에 도시된 리프트의 배면 구조도이며, 제5d도는 상기 제5c도의 BB'선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15은 리프트, 151은 걸림핀, 152는 걸림핀 지지판, 153은 걸림핀 구동바, 154는 구동바 지지대, 155는 원통바(Bar), 156은 베어링(Bearing), 157은 롤라(Roller), 158은 축판, 159는 보강판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16은 리프트가이드, 161은 지지용 사각파이프이고, 162는 가이드용채널(Channel)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FIG. 5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ft is installed, FIG. 5B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FIG. 5A, FIG. 5C is a rear structural diagram of the lift shown in FIG. 5A, and FIG. 5D is a view of FIG. 5C BB 'line cross section. In the figure, 15 is a lift, 151 is a locking pin, 152 is a locking pin support plate, 153 is a locking pin drive bar, 154 is a driving bar support, 155 is a cylindrical bar, 156 is a bearing, 157 is a roller ), 158 is the shaft plate, 159 is the reinforcement plate. 16 is a lift guide, 161 is a support square pipe, and 162 shows a guide channel.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트(15)는 소정간격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양측 측판(158) 사이의 하부전면에는 걸림핀 지지판(152)을 부착 설치하고 그 상부 후면에는 보강판(159)을 부착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체인(11)의 내측 끝단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그 상측보강판(159)의 양측에 균형있게 부각형성되어 있는 채널체결 돌기(159a)와, 상기 걸림핀 지지판(152)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소정크기의 홀을 통해 파렛트 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파렛트의 앞쪽과 뒤쪽에서 동시에 들어올릴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걸림핀(151)과, 상기 양측 걸림핀(151)의 내측 끝단에 그 일측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그 각각의 중앙부는 각각의 지지대(154)에 의해 지지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1조의 걸림핀 구동바(153)와, 상기 걸림핀 구동바(153)의 타측 끝단에 형성된 원형홀에 각각 삽입되어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그 양쪽 끝단에는 각각 미끄럼 베어링(Bearing)(156)이 장착되어 있는 원통바(Bar)(155)와, 상기 리프트(15)가 리프트 가이드(16)의 가이드용 채널(162)을 따라 원활하게 상하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그 양측 측판(158)의 외측에 각각 두개씩 설치되는 롤라(157)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ift 15 is provided with a locking pin support plate 152 attached to the lower front between the two side plates 158 in order to have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reinforcement plate 159 is attached to the upper rear I install it. In addition, in order to be connected to the inner end of the chain 11, the channel fastening protrusion 159a which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reinforcing plate 159 in a balanced manner, and the lower both sides of the locking pin support plate 152 One side end is protruded to the pallet side through a predetermined sized hole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end of the engaging pin 151 and the both ends of the locking pin 151 to be simultaneously lifted from the front and rear of the pallet. Each center portion is inserted into a set of locking pin driving bars 153 and the circular hole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pin driving bars 153, respectively, which are coupled to be supported by the respective support 154. Cylindrical bars 155, which are installed to rotate and are provided with sliding bearings 156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lift 15 is a guide channel 162 of the lift guide 16. Circle along The rollers 157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both side plates 158 so as to be able to move smoothly.

그리고, 리프트 가이드(16)은 프레임 구조물(제2b도 참조)의 전측과 후측에 각각 횡방향으로 설치된 상하측 보조 프레임(제3a도의 113,114 참조), 본 실시예에서는 그 전장이 2600㎜가 되도록 하여 상기 리프트(15) 승하강 간격이 상기 파렛트 하나의 높이보다 크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용 채널(162)은자 형상을 갖는 채널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5㎜ 두께를 갖는 철판으로 제작하였으며, 특히 소정의 하측 높이에서 상기 걸림핀(151)이 돌출되도록 채널 내측의 적정 위치에 돌출 구동판(제5d도의 163 참조)을 배치시키고, 소정의 상측 높이에서는 돌출되었던 상기 걸림핀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적정 위치에 삽입구동판(제5c도의 164 참조)을 배치시켜 놓는다.Then, the lift guide 16 is provided with an upper and lower auxiliary frame (see 113, 114 in FIG. 3a) installed transversely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frame structure (see also FIG. 2b), and in this embodiment the total length is 2600 mm. The lifting and lowering interval of the lift 15 was greater than the height of one pallet. And, the guide channel 162 is As a channel having a shape of a child, in this embodiment, a 5 mm thick iron plate was manufactured. In particular, a protruding driving plate (163 in FIG. And an insertion drive plate (see 164 of FIG. 5C) at an appropriate position so that the engaging pin which protrudes at a predetermined upper height is inserted therein.

그리하여, 상기 리프트(15)가 상승시 상기 소정의 하측 높이로부터 상기 소정의 상측 높이까지 리프트 가이드(16)를 따라 상승 이동하면서 세개의 파렛트를 함께 들어올리게 되는데(최하단 파렛트의 상단을 상기 걸림핀(151)으로 걸은 상태로), 상기 소정의 상측 높이에서는 상기 삽입구동판(164)에 의해 상기 걸림핀(151)이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때는 이미 승강측 최하단에 또다른 파렛트가 수평이동되어 그 상부의 파렛트들을 받쳐주는 상태이므로 일단 상승된 파렛트는 언제나 그 아랫쪽으로 떨어지지 않게 된다. 반면에, 하강시는 상기 걸림핀(151)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리프트 가이드(16)를 따라 하강하다가 상기 소정의 하측 높이에 다다랐을때는, 상기 돌출구동판(163)에 의해 상기 걸림핀(151)이 다시 돌출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15)는 리프트 가이드(16)를 따라 상하 왕복하면서 파렛트를 반복적으로 일정간격 만큼씩 상승시켜 놓는 것이다.Thus, when the lift 15 ascends, three pallets are lifted together while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lift guide 16 from the predetermined lower height to the predetermined upper height (the upper end of the lowermost pallet is connected to the engaging pin ( At the predetermined upper height, the locking pin 151 is inserted by the insertion drive plate 164. However, at this time, since another pallet is horizontally mov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lifting side to support the pallets at the upper side, the pallet which is once raised does not always fall downward.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ing is lowered along the lift guide 16 with the locking pins 151 inserted therein and reaches the predetermined lower height, the locking pins 151 by the protruding driving plate 163. This is supposed to protrude again. Therefore, the lift 15 repeatedly lifts the palle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while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lift guide 16.

이에 대한 동작과정을 다음 제6a도의 리프트 사용상태 개략도와, 제6b도 내지 제6f도의 걸림핀 작용상태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process for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schematic diagram of the lift using state of FIG. 6A and the state of engagement pins of FIGS. 6B to 6F as follows.

제6a도는 본 발명에 의한 리프트의 사용상태 개략도이고, 제6b도는 상기 리프트의 걸림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6c도는 삽입구동판의 일실시예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6e도는 상측부에서의 걸림핀 작동상태도이며, 제6f도는 하측부에서의 걸림핀 작동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Figure 6a is a schematic view of the use state of the lif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ngaging pin of the lift, Figure 6c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structure of the insertion drive plate, Figure 6e is Fig. 6f is a state diagram of the engaging pin operation in the upper side, Figure 6f shows a state of the locking pin operation in the lower portion, respectively.

도면에서, 163은 상기 리프트 가이드(16)의 가이드용 채널(162) 하부에 구비되는 돌출구동판이고, 164은 상기 가이드용 채널(162) 상부에 구비되는 삽입구동판이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구동판(163)은 이동되는 원통바에 베어링(156)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판(163b) 및 상기 걸림핀 돌출구동을 위한 소정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된 지지판(163a)이 갖추어져 있으며, 상기 삽입구동판(164)은 이동되는 원통바의 베어링(156)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판(164d)과, 상기 걸림핀 삽입구동을 위한 소정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되고 그 하부의 힌지(164c)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회동판(163a)과, 상기 회동판(163a)이 상기 원통바의 베어링(156)에 의해 좌측으로 회동되었다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소정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64b)을 구비하고 있다.In the drawing, 163 is a protruding driving plate provided below the guide channel 162 of the lift guide 16, 164 is an insertion driving plate provided above the guide channel 162. And, as shown in the figure, the protruding drive plate 163 is a support plate 163b for supporting the bearing 156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ylindrical bar to be moved and a support plate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of a predetermined angle for the locking pin protruding drive ( 163a), the insertion drive plate 164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164d for supporting the bearing 156 of the cylindrical bar to be moved so as not to be separated,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redetermined angle for the locking pin insertion drive is formed and Rotational plate 163a rotatably fixed around the hinge 164c and the pivoting plate 163a is rotated to the left side by the bearing 156 of the cylindrical bar and then has a predetermined restoring force. A spring 164b is provided.

따라서, 승강측 하단에서는 상기 리프트(15)가 파렛트들을 들어올리기 위해, 최하단 파렛트를 걸도록 걸림핀(151)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같이 상기 걸림편이 돌출된 상태로 소정높이까지 상승하여 상기 파렛트들을 들어올리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리프트가 가이드용 채널(162) 상측부에 설치부에 설치된 상기 삽입구 동판(164)에 도달했을 때에는, 제6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바의 베어링(156)이 상기 회동판(163a)을 뒤로 처지면서 상승한다(제6e도의 (A), (B), (C) 참조) 그러다가 상기 베어링(156)이 상기 회동판(163a)으로부터 회피되면 곧바로 상기 스프링(164b)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판(164b) 측으로 밀착된다(제6e도의 (D) 참조), 그리고 나서, 상기 리프트(15)는 다시 일정높이 만큼 하강동작을 수행하는데, 이때는 상기 베어링(156)이 상기 회동판(163a)의 상측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걸림핀(151)이 삽입되도록 구동하는 것이다(제6e도의 (E), (F), (G) 참조).Therefore, the locking pin 151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lifting side so that the lift 15 lifts the pallet. In this way, the locking piece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in a protruding state to lift the pallets. However, when the lift reaches the insertion-driven copper plate 164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channel 162, the bearing 156 of the cylindrical bar is rotated as shown in FIG. 6E. 163a is slid backwards (see (A), (B), (C) in FIG. 6E). Then, as soon as the bearing 156 is avoided from the pivoting plate 163a,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64b is increased. By the support plate 164b (see (D) of FIG. 6E), and then the lift 15 again lowers by a predetermined height, in which case the bearing 156 is rotated by the pivot plate ( It is moved along the upper inclined surface of 163a to drive the locking pin 151 to be inserted (see (E), (F), and (G) of FIG. 6E).

반면에, 상기 승강측 하단에서는 걸림핀(15)이 삽입된 상태로 하강된 상기 리프트(15)가 다시 파렛트들을 들어올리도록 하기 위해, 상기 걸림핀을 돌출시켜야 하는데, 이를 상기 돌출구동판(163)이 수행한다. 즉, 걸림핀(151)이 삽입된 상태로 하강된 상기 리프트(15)가 상기 가이드용 채널(162) 하측부에 설치된 상기 돌출구동판(163)에 도달했을 때에는, 제6f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통바의 베어링(156)이 소정각도의 경사면이 형성된 지지판(163a)을 따라 우측으로 조금씩 밀쳐지면서 하강되어 걸림핀(15)을 돌출시키는 것이다(제6f도의 (H), (I), (J) 참조). 그리고, 리프트(15)가 다시 상승할 때는 상기 원통바의 베어링(156)이 상기 지지판(163b)을 따라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되면서 그대로 상승한다(제6f도의 (K), (L), (M) 참조).On the other hand, at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side in order to lift the pallet 15 to the lift 15 is lowered with the engaging pin 15 is inserted again, the locking pin must protrude, which is the protruding driving plate 163 Perform. That is, when the lift 15 lowered with the locking pin 151 inserted therein reaches the protruding driving plate 163 provided under the guide channel 162, as shown in FIG. 6F. The bearing 156 of the cylindrical bar descends while being slightly pushed to the right along the support plate 163a on which the inclined surface at a predetermined angle is formed to protrude the locking pin 15 ((H) and (I) of FIG. 6F). (J)). Then, when the lift 15 is raised again, the bearing 156 of the cylindrical bar is raised while being supported so as not to be separated along the support plate 163b ((K), (L), and (M) of FIG. 6F). Reference).

따라서, 본 발명의 리프트(15)는 반복적으로 승하강 동작되도록 구동시키기만 하면 별도의 제어동작없이도 자동적으로 상기 파렛트들을 차례로 들어올리는 것이다.Therefore, the lift 15 of the present invention simply lifts the pallets one after another without a separate control operation simply by driving the lift 15 repeatedly.

한편, 본 발명에서는 가급적 잦은 구동동력원으로도 효과적으로 본 발명시스템들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a unique structure in order to effectively operate the present invention system as often as the driving power source.

이론적으로 도르레에 걸린 와이어 로우프 양 끝에 각각 1이라는 크기의 무게를 똑같이 달아놓으면, 도르레에 걸리는 하중은 2가 되지만 들어올리는 힘은 0이 된다.Theoretically, if you put the same weight of 1 on each end of the wire rope on the pulley, the load on the pulley will be 2, but the lifting force will be 0.

즉,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리프트에 걸리는 하중이 반대측 체인 끝단에 체결되는 하중분할추(21)에 의해 상쇄되도록하여 구동력을 절감시키도록 한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applied to the lift is offset by the load splitting weight 21 fastened to the opposite chain end by using this principle to reduce the driving force.

그러나, 본 발명의 승강측에서와 같이, 리프트를 상승시킬 때에만 하중이 실리고 상기 리프트를 하강시킬 때에는 하중이 실리지 않도록 되어있거나, 본 발명의 하강측에서와 같이, 리프트를 하강시킬 때에만 하중이 실리고 상기 리프트를 상승시킬 때에는 하중이 실리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승하강측 체인의 일측끝단에 하중분할추(21)를 각각 구비시켰을 때 승강측에서는 리프트 하강시 상기 하중분할추(21)를 들어올리기 위한 동력을 필요로 하고, 반대로 하강측에서는 리프트 승강시 상기 하중분할추(21) 무게를 감내하면서 서서히 들어올리기 위한 동력을 필요로 한다. 예를들어 승강측 승강시 상기 리프트에 걸리는 무게를 3, 상기 하중분할추(21) 무게를 2라 하면, 실제 승강시키기 위한 구동력은 무게 1을 들어올리기 위한 동력이면 된다.However, as in the lifting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is loaded only when the lift is raised and the load is not loaded when the lift is lowered, or when the lift is lowered, as in the falling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load is not loaded when the lift is lifted, when the load split weights 21 are respective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lift-side chain as described above, the load split weights 21 at the lift side when the lift is lowered. ), On the contrary, on the lower side, the power for lifting the load split weight 21 is required while lifting the lift. For example, if the weight on the lift at the lift side is 3 and the weight of the load split weight 21 is 2, the driving force for actually lifting may be power for lifting the weight 1.

그러나, 하강시는 무게 2를 끌어 내리기 위한 동력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However, the descent requires power to bring down the weight two.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점까지 고려하여 더욱 더 효율적인 방식을 채용하였는 바,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refore,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dopted even more efficient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승강측의 체인 일측 끝단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하중분할추(21)를 구비시키고, 하강측에 체인 일측 끝단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중분할추(21)를 구비시키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체인 일측 끝단에 연결된 상태로 상하이동되도록한 중심추(24)를 구비시킨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측의 중앙상단 전면에 하향되게 도르레(25a,25b)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하강측전면 중앙부에 구비된 보조 프레임상에 또다른 도르레(25c)를 상향되게 설치한다.One end of the chain on the lifting side is provided with a load split weight 21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and one end of the chain on the lower side is not provided with the load split weight 21 as described above, but is simp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chain. It is provided with a central weight 24 to be moved in the connected state. Then, the pulleys 25a and 25b are respectively provided downward in the front upper center of the lowering side, and another pulley 25c is upwardly installed on the auxiliary frame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ide.

그리고, 상기 하중분할추(21) 상측면 중앙에 그 일측 끝단이 고정되고 상기 두 도르레(25a,25b) 및 상기 도르레(25c)에 의해 방향이 전환되도록 걸쳐지며 그 다른 일측 끝단이 상시 중심추(24)의 하측면 중앙부에 고정된 소정 길이의 와이어 로우프를 구비하고 있다.One end is fix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load split weight 21 and is hung so as to be switched by the two pulleys 25a and 25b and the pulley 25c,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always the central weight ( The wire rope of predetermined length fixed to the center part of the lower side of 24 is provided.

제7a도 및 제7b도는 본 발명에 채용된 중심추(24)의 일실시예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7a도는 그 평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제7b도는 정면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211은 중심추 몸체, 213은 슬라이드용 채널, 215는 체인 체결구, 217은 하단 중심부에 형성되는 와이어 로우프 체결구를 각각 나타낸 것으로, 이는 단순히 상기 체인과 와이어 로우프를 잡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7A and 7B show an embodiment structure of the center weight 24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A shows a planar structure thereof, and FIG. 7B shows a front structure. In the figure, 211 is a center weight body, 213 is a slide channel, 215 is a chain fastener, 217 is a wire rope fastener formed in the lower center, respectively, which simply serves to hold the chain and wire rope To do.

한편, 제7c도 내지 제7d도는 본 발명에 채용된 구동부하 절감용 하중분할추(21)의 일실시예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에서 241은 하중분할추 몸체, 242는 스크램(주철 가루임), 243은 슬라이드용 채널, 245는 함몰부, 247은 체인로리, 249는 리프팅 러그(Lifting Lug)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Figure 7c to Figure 7d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structure of the load splitting load split weight 21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241 is a load split weight body, 242 is a scram (cast iron powder) 243 is a slide channel, 245 is a depression, 247 is a chain lorry, and 249 is a lifting lu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중분할추(21)는 소정의 중량을 갖도록 그 내부가 스크랩(Scrap)(242)으로 채워져있는 몸체(241), 상기 리프트(15)가 연결되어 있는 체인(11)의 다른 일측(외측) 끝단에 각각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몸체(241) 상단 양측에 균형있게 배치되어있는 체인고리(247)와,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단면이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하중분할추 가이드(제2b도의 22 참조)면을 따라 이동되는 채널(243)로 구성되어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load split weight 2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ody 241, the inside of which is filled with a scrap (242) to have a predetermined weight, the lift 15 is connected Chain rings 247 ar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body 241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uter) end of the chain 11, and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body, the cross section is A channel 243 is formed to have a magnetic shape and is moved along the surface of the load split weight guide (see 22 in FIG. 2B).

그리고, 상기 하중분할추(21)는 가급적 흔들림이 없이 상기 가이드(22)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 몸체(241)의 내측면을 소정 크기만큼 함물시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ad split weight 21 is preferably formed by including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241 by a predetermined size in order to move up and down in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22 without shaking.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중분할추(21)는 승강측에 주차된 차량이 만차시의 하중과 차량이 없는 경우의 하중의 1/2에 해당하는 무게를 갖도록 형성하여, 하중분할추 가이드(22)를 따라 상하 왕복되면서 상기 파렛트의 상승시 소요되는 동력 소모를 절감시키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기 하중분할추(21)와 상기 중심추(24)간의 도르레(25a,245b,25c)에 걸쳐서 마찰없이 이동되는 상기 와이어 로우프(26)로 연결시켜, 상기 하강측 리프트를 들면서 내리는 힘과 상기 승강측 리프트를 끌어 내리면 힘(즉, 상기 하중분할추(21)를 들어올리는 힘에 해당됨)이 상쇄되도록 함으로써, 최소의 구동동력으로도 원활하게 운용할 수 있도록하여 전력소모를 최대한 절감시켜 주는 것이다.Particular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oad split weight 21 is formed so that the vehicle parked on the lifting side has a weight corresponding to 1/2 of the load at full load and the load when there is no vehicle. In addition to reducing power consumption required when the pallet is raised while being reciprocated up and down along 22), friction over the pulleys 25a, 245b and 25c between the load split weight 21 and the center weight 24 is achieved. Connected to the wire rope 26, which is moved without, so that the force of lifting the lower side lift and the lowering of the lifting side lift cancel the force (that is, the force of lifting the load split weight 21).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operate smoothly with the minimum driving power,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as much as possibl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승강 및 하강구동 구조에서, 상기 하중분할추(21)의 채용에 따른 동력절감 효과가 어느정도로 가능한지를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실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easily understand how much the power saving effect according to the adoption of the load split weight 21 is possib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즉, 순수하게 1700kg의 중량을 갖는 차량 3대를 승강시키는 위해서는, 530.4kg/M의 토크를 감내할 수 있는 동력을 하나, (1700kg×3=5100kg R(스프라켓 반경)=0.104M W(실중량)=5100kg(단, 파렛트 등의 무게는 제외한 것임) T(토르크)=530.4kg/M)In other words, in order to elevate three vehicles having a pure weight of 1700 kg, a power capable of bearing a torque of 530.4 kg / M is required, but (1700 kg × 3 = 5100 kg R (sprocket radius) = 0.104 MW (net weight) =). 5100kg (excluding the weight of pallet) T (torque) = 530.4kg / M)

상기 하중분할추(21)의 채용시에는, 72.8kg/M의 토크를 감내할 수 있는 승강동력을 요하여, 약 7.3배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When the load split weight 21 is employed, a lifting force capable of bearing a torque of 72.8 kg / M is required, and an energy saving effect of about 7.3 times can be obtained.

(차량중량 1700kg×3=5100kg 하중분할추 중량 2200kg×2=4400kg R(스프라켓 반경)=0.104M W(실중량)=700kg(단, 파렛트 등의 무게는 제외한 것임) T(토크)=72.8kg/M)(Vehicle weight 1700kg × 3 = 5100kg Load split weight 2200kg × 2 = 4400kg R (sprocket radius) = 0.104MW (net weight) = 700kg (excluding the weight of pallet etc.) T (torque) = 72.8kg / M )

그리고, 하강구동시에도 로우프와이어(26)를 통해 상기 승강측전후단에 각각 설치된 상기 하중분할추(2200kg×2=4400kg)를 서서히 들어 올리면서 하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구동시와 마찬가지의 에너지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lowering and driving, the load split weights (2200kg × 2 = 4400kg)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elevating side front and rear ends are gradually raised and lowered through the rope wires 26, thereby reducing energy as in the elevating driving. Will be obtained.

제8a도 내지 제8d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단 슬라이더의 일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제8a도는 평면도이고, 제8b도는 저면도이며, 제8c도는 상기 제8b도의 A4'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141은 롤러구동 모터, 142은 스프라켓, 143은 체인, 144는 이송롤러, 145는 롤러회동축, 146은 고정브라켓, 147은 베어링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8A to 8D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 exemplary structure of a lower sl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is a plan view, FIG. 8B is a bottom view, and FIG. 8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4 'of FIG. 8B. In the drawings, 141 is a roller driving motor, 142 is a sprocket, 143 is a chain, 144 is a feed roller, 145 is a roller pivot, 146 is a fixed bracket, and 147 is a bearing.

본 발명에 의한 하단 슬라이더(14)는 제2d도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물의 최하단 전측 하부, 또는 그 전후측의 양측 모두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일실시예 구성을 살펴보면, 롤러구동을 위한 모터(141)와 소정 길이의 고정브라켓(146)에 그 양단이 지지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롤러회동축(145)과, 상기 다수의 롤러회동축(145) 각각에 하나씩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두께로 고무 코팅이 되어 있는 다수의 이송롤러(144)와, 상기 다수의 롤러회동축(145)을 지지하면서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된 베어링(147)과, 상기 롤러구동 모터(141)의 축 및 상기 롤러회동축(145)상에 소정 간격을 두고 각각 두개씩 고정설치된 다수의 스프라켓(142)과, 상기 모터축의 스프라켓 및 상기 롤러회동축의 스프라켓간에 각각 연결되어 동일방향으로 연동회전되도록 하는 다수의 체인(143)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베어링 구조로서 공지의 UCLF 베어링을 채용하여 상기 고정브라켓(146)에 견고하게 지지된 채로 원환하게 회전되도록 하였다.As shown in the drawing of FIG. 2d, the lower slider 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both the lower front and lower sides of the frame structure, or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thereof. A plurality of roller rotating shafts 145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supported by the motor 141 and the fixed bracket 146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fixed installa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roller rotating shafts 145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feed rollers 144 having a rubber coating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order to prevent the sliding, and the bearing 147 provided to smoothly rotate while supporting the plurality of roller pivot shaft 145 and And a plurality of sprockets 142 fixed to each of the shaft of the roller driving motor 141 and the roller rotating shaft 145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sprocket of the motor shaft and the roller of the roller rotating shaft. They are each connected between a racke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hain 143 to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work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well-known UCLF bearing is employed as the bearing structure so as to rotate freely while being firmly supported by the fixing bracket 146.

따라서, 상기 롤러구동 모터(141)가 콘트롤 박스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면,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144) 모두가 동일 방향으로 연동회전되어, 상기 이송롤러(144) 상부에 얹히어 있는 파렛트를 상기 롤러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roller drive motor 141 is driven by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box, all of the plurality of feed rollers 144 are interlocked in the same direction, the pallet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feed rollers (144) To conve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ller is rotated.

제9a도 및 제9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상단 슬라이더의 일실시예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로서, 제9a도는 정면도이고, 제9b도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105는 중간기둥으로 구비된 프레임(제3a도 설명 참조)을 나타낸 것이고, 429은 브라켓, 431은 롤로구동모터, 432는 기어박스, 433은 구동 샤프트, 434는 커플링, 435는 롤러, 436은 유압 실린더, 437은 베이스판, 438은 사각 바(Bar), 439는 베어링, 440은 플레이트, 442은 복구용 스프링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9A and 9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 exemplary structure of an upper sl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A is a front view and FIG. 9B is a plan view. In the drawings, 105 is a frame (see FIG. 3a) provided with an intermediate pillar, 429 is a bracket, 431 is a roller drive motor, 432 is a gearbox, 433 is a drive shaft, 434 is a coupling, and 435 is A roller, 436 is a hydraulic cylinder, 437 is a base plate, 438 is a square bar, 439 is a bearing, 440 is a plate, and 442 is a recovery spring.

본 발명에 의한 상단 슬라이더(13)는 제2b도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물의 최상단 전측 상부, 또는 그 전후측의 양측 모두에 중간기둥으로 구비된 프레임(105)을 중심으로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일실시예 구성을 살펴보면, 롤러구동을 위한 모터(143)와, 상기 모터 구동축에 커플링(434)을 통해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105)의 통공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구동 샤프트(433)와, 상기 구동 샤프트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설치되어 다수의 기어박스(432)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다수의 롤러(435)와, 상기 기어 박스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베이스판(437)과, 상기 프레임(105)에 형성된 소정 크기의 통공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분리 구비된 양측의 베이스판(437)의 움직임을 일체화시키는 시각바(438)와, 상기 베이스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체결되어 있는 브라켓(429)와, 상기 브라켓 상측 및 베이스판 측면간에 결합되어 유압펌프(도시되지 않았음)의 작동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베이스판(437)을 파렛트측으로 밀쳐 내어 상기 다수의 롤러(435)가 상기 파렛트에 밀착되도록 하는 유압실린더(436)와, 유압해제시 상기 유압 실린더(436)에 의해 밀쳐져 있는 상기 베이스판(437)을 다시 원 상태로 당겨 복귀시키기 위한 복구용 스프링(442)과, 상기 유압실린더(436) 및 복구용 스프링(442)에 의한 베이스판(437)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판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구비되는 다수의 베어링(439)과, 상기 베어링(439)의 이송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플레이트(44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of FIG. 2b, the upper slider 1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spectively installed around the frame 105 provided as an intermediate pillar at both the uppermost front upper part of the frame structure or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thereof. As a configuration of one embodiment, a motor 143 for driving a roller and a drive coupled to the motor drive shaft through a coupling 434 and installed to pass through a through hole of the frame 105 are provided. A shaft 433, a plurality of rollers 435 which are installed to receive power from the drive shaft and rotated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through a plurality of gear boxes 432, and on both sides of the frame to support the gear box. Each of the base plate 437 and the base plate 437 provided to penetrate through the through hole of a predetermined size formed in the frame 105 to integrate the movement of the base plate 437 on both sides provided separately Each base plate 438, a bracket 429 fastened to support the base plate, and the base plate coupl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bracket and the side of the base plate and driven by the operation of a hydraulic pump (not shown) ( The hydraulic cylinder 436 pushes the 437 to the pallet side so that the plurality of rollers 435 adhere to the pallet, and the base plate 437 pushed back by the hydraulic cylinder 436 when the hydraulic release occurs. Restoration spring 442 for pulling back to the original state, and the base plate 437 by the hydraulic cylinder 436 and the restoring spring 442 to smoothly move the corner portion of the base plate A plurality of bearings 439 and respective guide plates 440 for guiding the transfer of the bearings 439 are provided.

한편, 본 발명에서의 파렛트 하강 장치(제2a도 참조)는 상기 프레임 구조물(1)의 하강측 상부 외측면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콘트롤 박스(23)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모터(6)와, 상기 프레임 구조물(1)의 하강측 상부외측면 전후단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모터(6)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스프라켓(10)을 회전시키는 및 후단 워엄 리듀서(8)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상기 전단 및 후단 리듀서(8)로 전달하기 위한 구조로는 상기 모터 구동축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90도 전환시킴과 동시에 소정비로 감속시켜 전후단 샤프트(9)를 통해 상기 전단 및 후단 워엄 리듀서(8)로 각각 전달하는 기어 박스(7)와, 상기 기어 박스(7) 및 워엄 리듀서(8)간에 샤프트(9)를 각각 결합시키기 위한 축 커플링(12)을 구비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pallet lowering device (see FIG. 2a)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out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frame structure (1) and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box 23, The lower and upper outer sid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rame structure 1 are respectively installed to rotate the sprocket 10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motor 6 and the rear worm reducer 8 is provided. In addition, the structure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motor to the front and rear reducer (8) is connected to the motor drive shaft to switch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90 degrees and at the same time decelerate to a predetermined ratio to the front and rear shaft ( A shaft coupling for coupling the shaft 9 between the gear box 7 and the gear box 7 and the worm reducer 8, respectively; 12).

그리고, 상기 전단 및 후단 워엄 리듀서(8)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 체인(11)을 구동시키는 스프라켓(10)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전단 및 후단 워엄 리듀서의 스프라켓(10)에는 각각 소정 길이의 체인(11)이 치합되게 결합되어 있어, 상기 모터(6)가 정전 또는 역전됨에 따라 상기 체인을 정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후단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체인(11)의 내측 끝단에는 상기 파렛트를 소정 높이 만큼씩 소요되는 동력 소모를 절감시키기 위한 하중분할추(22)가 연결되도, 상기 하강측 체인(11)의 외측 끝단에는 단순히 상기 체인(11) 및 와이어 로우프(26)의 각 끝단을 잡아 주는 역할만 수행하는 중심추(24)가 연결되며, 상기 하중분할추(21) 및 중심추(24)간을 와이어 로우프(26)로 연결하되, 도르레(25a,25b,25c)에 각각 걸쳐지도록 설치한다.The front and rear warm reducers 8 have sprockets 10 for driving the chains 11,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and the sprockets 10 of the front and rear warm reducers each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f chain. (11) is engaged to be engaged, to move the chain forward or reverse as the motor (6) is electrostatic or reversed. In addition, even if a load split weight 22 is connected to the inner end of the chain 11 provided at each of the front and rear ends to reduce power consumption required by the pallet by a predetermined height, The outer end is simply connected to the center weight 24 that serves only to hold each end of the chain 11 and the wire rope 26, the wire between the load split weight 21 and the center weight 24 Connected to the rope 26, it is installed so as to span each of the pulley (25a, 25b, 25c).

따라서, 상기 모터의 구동됨에 따라 대향되게 설치되어 있는 상기 전후단 워엄 리듀서의 스프라켓이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후단의 체인(11)이 각각 구동되어, 상기 리프트(15)가 리프트 가이드(16)를 따라 왕복되면서 상기 파렛트를 앞쪽과 뒤쪽에서 동시에 들어서 소정 높이 만큼씩 하강시키는 것이다.Accordingly, as the motor is driven, the sprockets of the front and rear end worm reducers, which are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are rotated, and the chains 11 of the front and rear ends are respectively driven, so that the lift 15 is lift guide 16. The pallet is lifted down by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simultaneously lifting the pallet from the front and the rear.

특히, 여기에서는 상기 리프트 가이드(16) 내의 적정 위치에 돌출구동판(제6d도는 163 참조)가 삽입구동판(제6c도의 164 참조)을 설치함에 있어서, 소정의 상측 높이에서 상기 걸림핀(151)이 돌출되도록 채널 내측의 적정 위치에 돌출구동판(163)을 배치시키고, 소정의 하측 높이에서는 돌출되었떤 상기 걸림핀이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적정 위치에 삽입구동판(164)을 각각 배치시키는 점이 상기 승강측의 경우와 다르다.In particular, in this case, when the protruding driving plate (see 163 in FIG. 6D) installs the insertion driving plate (see 164 in FIG. 6C) in a proper position in the lift guide 16, the locking pin 151 is provided at a predetermined upper height. The lifting and lowering plate 163 is disposed at a proper position inside the channel so as to protrude, and the insertion driving plate 164 is disposed at a proper position so that the engaging pins which protrude at a predetermined lower height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lifting points. It is different from the case of the side.

그리하여, 상기 리프트(15)가 하강시 상기 소정의 상측 높이로부터 상기 소정의 하측 높이까지 리프트 가이드(16)를 따라 하강하면서 하나의 파렛트를 들어 내리게 되는데, 상기 소정의 하측 높이에 다다랐을 때 상기 삽입구동판(164)에 의해 상기 원통바(155) 양측의 베어링이 서서히 놀림으로써 마침내 걸림핀(151)이 삽입된다. 반면에, 승강시는 상기 걸림핀(151)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리프트 가이드(16)를 따라 승강하다가 상기 소정의 상측 높이에 다다랐을 때 상기 돌출구동판(163)에 의해 상기 원통바(155) 양측의 베어링이 서서히 들리어짐으로써, 상기 걸림핀(151)이 다시 돌출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리프트(15)는 리프트가이드(16)를 따라 상하 왕복하면서 상기 동작을 반복하여 파렛트를 순차적으로 일정간격 만큼씩 하강시키는 것이다.Thus, when the lift 15 descends, one pallet is lifted and lowered along the lift guide 16 from the predetermined upper height to the predetermined lower height, when the insertion driving plate reaches the predetermined lower height. By 164, the bearings on both sides of the cylindrical bar 155 are slowly teased and finally the locking pins 151 are inser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vator is lifted along the lift guide 16 while the engaging pin 151 is inserted, the cylindrical bar 155 both sides by the protruding drive plate 163 when the predetermined height is reached. As the bearing is slowly lifted, the locking pin 151 is projected again. Thus, the lift 15 repeats the above operation while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lift guide 16 to sequentially lower the pallets by a predetermined interval.

또한, 본 발명의 주차시스템에서는 그 운용상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해서, 관리자 또는 이용자가 쉽게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콘트롤 박스(23)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콘트롤 박스에는 사용자가 키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 키패드와, 상기 파렛트들의 이동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요소요소에 배치되는 센서들과 상기 각 구동부 및 상기 키패드에 연결되어 상기 키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제반동작을 제어하는 회로가 구비되어 있는바, 이에 대해서는 첨부도면 제11도 내지 제13도를 통해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in the park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operation, the control box 23 is provided at a position that can be easily operated by the administrator or the user. A keypad is provided so as to be provided, and sensors disposed on element elements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pallets, and circuits connected to the respective driving units and the keypad to control various operations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through the keypad are provid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치는 제10a도 내지 제10d도의 작동상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되는데, 이에 관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operated as shown in the operating state of Figs. 10a to 10d,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우선, 승강 구동 모터(2)를 작동시켜 상기 승강측의 3개의 파렛트(17)들을 승강시킨다(제10a도 참조). 이때, 상기 하중분할추(21) 무게에 의해 승강하중이 상쇄되어 동력소모가 작고, 상기 승강측 리프트(15)는 소정의 여유공간(제6a도의 A 참조) 만큼 더 서서히 상승되었다가 정해진 정상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삽입구동판(163)에 의해 간섭되어 그의 걸림핀이 삽입된다.First, the lift drive motor 2 is operated to lift and lift the three pallets 17 on the lift side (see also FIG. 10A). At this time, the lifting load is canceled by the weight of the load split weight 21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small, and the lifting side lift 15 is gradually raised by a predetermined free space (see A of FIG. Returning to the interference by the insertion drive plate 163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in.

그리고, 상기 승강동작이 완료될 즈음 하단 슬라이더(14)가 구동되어 최상단의 하가측 파렛트가 상기 승강측 하단으로 이송된다(제10b도 참조). 따라서, 상기 승강측 리프트(15)의 상기 삽입구동판(163) 걸림핀이 삽입되더라도, 그 시점에서는 이미 최하단에 또다른 파렛트가 채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승강된 상기 3개의 파렛트들이 떨어지지 않게되는 것이다.Then, when the lifting operation is completed, the lower slider 14 is driven so that the lowermost pallet at the uppermost end is transferred to the lowering side of the lifting side (see also 10b). Therefore, even if the insertion driving plate 163 locking pin of the elevating side lift 15 is inserted, the three pallets which are elevated will not fall because another pallet is already filled at the lowermost point at that time.

그리고 나서, 상기 하강 구동 모터(6)를 구동시켜 상기 하강측 파렛트들을 하강시키게 되는데(제10c도 참조). 이 시점에서는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측 리프트 및 하강측 리프트가 동시에 하강되도록 되어 있다. 즉, 다음 승강동작을 위해 하강시키는 승강측 리프트 구동력(상기 하중분할추(21)를 들어올리는 힘에 해당함)과 상기 하강측 리프트가 3개의 파렛트를 들고 서서히 하강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상기 하중분할추(21)와 중심추(24)를 상호연결시키는 와이어 로우프(26) 상에서 서로 반대로 작용한다는 점을 이용하여, 상기 하강측 리프트가 3개의 파렛트를 들고 서서히 하강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상기 하중분할추(21)의 하중에 대한 반력으로 작용함과 동시에, 상기 하중분할추(21)의 하중은 상기 하강측 리프트에 걸리는 3개의 하중에 대한 반력으로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이 시점에서의 승강측 리프트 및 하강측 리프트의 하강에 필요한 구동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Then, the falling drive motor 6 is driven to lower the falling side pallets (see also 10c). At this point in time,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side lift and the lower side lift are simultaneously lowered. That is, the lifting side lift driving force (corresponding to the force for lifting the load split weight 21) and the lower side lift for lowering for the next lifting operation is the load split weight ( By using the opposite action on the wire rope 26 interconnecting the center weight 24 and 21, the force required for the lower side lift to lift three pallets and slowly lower the load split weight 21 The load split weight 21 acts as a reaction force against the three loads applied to the lower side lift, and acts as a reaction force against the load of the lower side lift. It is to minimize the driving force required for descending.

그리고, 상기 하강측 리프트는 상기 승강측과는 반대로 그 이동영역 상단에서 걸림핀이 삽입되고 그 이동영역 하단에서 걸림핀이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side lift has a locking pin inserted at an upper end of the moving area and a locking pin protru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moving area.

그리하여, 상기 하강동작이 완료되고 나면, 이번에는 상기 상단 슬라이더(13)를 구동시켜 승강측의 최상단 파렛트를 상기 하강측 상단으로 이송시킴으로써(제10d도 참조). 1사이클의 파렛트 이송동작을 완료하는 것이다.Thus, after the lowering operation is completed, this time, the upper slider 13 is driven to transfer the uppermost pallet on the lifting side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ing side (see also 10d). The pallet transfer operation in one cycle is complete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파렛트 이송동작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수직으로 적층된 파렛트들을 원활하게 순환시키면서 상기 하강축 최하단에 비어 있는 파렛트가 위치되었을 때 새로운 차량을 주차시키거나, 인출을 원하는 차량이 상기 하강측 최하단에 위치되었을 때 당해 차량을 출고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peats the pallet transfer operation in the manner described above, thereby smoothly circulating the vertically stacked pallets while parking a new vehicle when an empty pallet is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descending shaft, or a vehicle to be withdrawn When the vehicle is locat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descending side, the vehicle can be shipped.

이제,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치를 제어하는 회로에 관하여 살펴보면,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를 제어하는 일실시예 회로도이고, 제1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치를 제어회로의 PLC 내부 구성을 보인 일실시예시도이며, 제1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치를 제어하는 회로의 모터 연결 상태를 보인 일실시예시도이다.Now, with reference to the circuit for controlling the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n embodiment circuit diagram for controlling the parking lot value using a puzzle-type pallet sequential trans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PLC of a circuit, and FIG. 1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tor connection state of a circuit for controlling a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면에서 501은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1번 파렛트가 A위치에, 2번 파렛트가 B위치에, 3번 파렛트가 C위치에, 4번 파렛트가 D위치에 각각 위치되어 있고, E위치는 빈칸으로 있으며, 5번 파렛트가 F위치에, 6번 파렛트가 G위치에, 그리고 7번 파렛트가 H위치에 각각 위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502는 승강 구동모터, 503은 하단 슬라이더 모터, 504는 하강 구동 모터, 505는 상단 슬라이더 모터이고, 506 내지 511은 위치 검지 센서, 521 내지 524는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마그네트 스위치. 540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로(Programmabel Logic Controller), 550은 키패드, 560은 상기 A위치에 위치된 파렛트가 몇번 파렛트 인가를 검지하기 위한 리미트 스위치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501 schematically shows the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rst pallet is located at the A position, the second pallet is at the B position, the third pallet is at the C position, and the fourth pallet is at the D position. The position E is blank, and pallet 5 is located at the F position, pallet 6 is at the G position, and pallet 7 is located at the H position. In addition, 502 is a lift drive motor, 503 is a lower slider motor, 504 is a lower drive motor, 505 is a top slider motor, 506 to 511 is a position detection sensor, 521 to 524 is a magnet switch for driving the motor. 540 is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550 is a keypad, and 560 is a limit switch for detecting how many times the pallet located at the A position is a pallet.

본 발명에 의한 주차장치 제어회로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네개의 구동모터(502 내지 505)를 각각 구동시키기 위한 네개의 마그네트 스위치(521 내지 524)와, 상기 승강 구동 모터(502)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측 리프트 이동영역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승강측 리프트 승강이동이 완료되었음을 검지하는 위치 검지센서(507)와, 상기 승강측 리프트 이동영역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승강측 리프트가 다음 사이클의 파렛트 승강동작을 위한 하강이동이 완료되었음을 검지하는 위치 검지 센서(506)와, 상기 승강측 최하단(H)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하단 슬라이더 모터(503)에 의해 하강측 최하단(A)으로부터 승강측 최하단(H)으로 이동되는 파렛트의 이동완료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 센서(508)와, 상기 하강 구동 모터(504)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하강측 리프트 이동영역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강측 리프트가 다음 사이클의 파렛트 하강동작을 위한 승강이동이 완료되었음을 검지하는 위치 검지 센서(509)와, 상기 하강측 리프트 이동영역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강측 리프트의 하강이동이 완료되었음을 검지하는 위치 검지 센서(510)와, 상기 하강측 최상단(D)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 슬라이더 모터(505)에 의해 승강측 최상단(E)으로부터 하강측 최상단(D)으로 이동되는 파렛트의 이동완료를 검지하는 위치 검지 센서(511)와, 상기 하강측 최하단(A)의 일측면의 소정 높이에 설치(제2d도의 A참조)되되 상기 하강측 최하단에 위치되는 파렛트가 몇번 파렛트 인가를 정확히 검지할 수 있도록 리미트 스위치(560)와, 마그네트 스위치(521 내지 524), 위치 검지 센서(506 내지 511)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56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의한 주차장치의 제반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Programmable Logic Controller)(540)와,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PLC)(540)에 연결되어 있으며 원하는 파렛트가 주차 및 인출이 가능한 하강측 최하단(A)에 위치되도록 선택할 수 있는 키패드(550)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1, the parking lot value control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our magnet switches 521 to 524 for driving the four driving motors 502 to 505, and the elevating driving motor 502, respectively. A position detecting sensor 507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lifting side lift moving area moved up and down by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lifting side lift moving area, and positioned at the lowest end of the lifting side lift moving area,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506 which detects that the lowering movement for the pallet raising / lowering operation of the next cycle is completed, and the lower side of the lowering side by the lower slider motor 503 are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wer side H of the elevating side. It moves up and down by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508 which detects the movement completion of the pallet moved from (A) to the lowermost side H on the lifting side, and the said falling drive motor 504.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 509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lower side lift moving area and detects that the lowering movement is completed for the pallet lowering operation of the next cycle, and is located at the lowest end of the lower side lift moving area. A position detecting sensor 510 which detects that the lowering movement of the lower side lift is completed, and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uppermost end D of the lower side, and is lowered from the upper side E of the lower side by the upper slider motor 505. The position detecting sensor 511 for detecting the completion of movement of the pallet moved to the uppermost side (D) and the predetermined height of one side of the lower side (A) of the lower side (A) of FIG. The limit switch 560, the magnet switches 521 to 524, the position detection sensors 506 to 511, and the re so that the pallet located in the position can accurately detect how many times the pallet is applied. It is connected to the meat switch 560, respectively, is connected to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540), which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arking lot valu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540 and desired It is provided with a keypad 550 which can be selected so that a pallet can be located in the lowermost lower side A which can be parked and taken out.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560)로서, 1번 파렛트가 상기 A위치에 위치되었을 때만 작동되는 감지센서(512)와, 2번 파렛트가 상기 A위치에 위치되었을 때만 작동되는 감지센서(513)와, 3번 파렛트가 상기 A위치에 위치되었을 때만 작동되는 감지센서(514)와, 4번 파렛트가 상기 A위치에 위치되었을 때만 작동되는 감지센서(515)와, 5번 파렛트가 상기 A위치에 위치되었을 때만 작동되는 감지센서(516)와, 6번 파렛트가 상기 A위치에 위치되었을 때만 작동되는 감지센서(516)와 6번 파렛트가 상기 A위치에 위치되었을 때만 작동되는 감지선서(517)와, 그리고 7번 파렛트가 상기 A위치에 위치되었을 때만 작동되는 감지센서(518)를 구비하고 있는 리미트 스위치를 채용하고 있으며, 상기 키패드(550)에는 상기 1번부터 7번까지의 파렛트를 각각 선택할 수 있도록 7개의 선택스위치(525 내지 531)를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limit switch 560, a detection sensor 512 which is operated only when the first pallet is positioned at the A position, and a detection sensor which is operated only when the second pallet is located at the A position ( 513, a detection sensor 514 which is operated only when the pallet 3 is located at the A position, a detection sensor 515 which is operated only when the pallet 4 is located at the A position, and a pallet 5 as the A; A detection sensor 516 that operates only when it is positioned in position, a detection sensor 516 that operates only when pallet # 6 is located in the A position, and a detection oath that operates only when pallet # 6 is located in the A position. ), And a limit switch having a sensing sensor 518 which is operated only when the pallet No. 7 is positioned in the A position, and the keypads 550 are provided with pallets No. 1 to No. 7, respectively. Selectable Seven lock selectors 525 to 531 are provided.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PLC)(540) 내부의 일실시예 구성은 제12도에 잘 도시되어 있으며, 도시된 내용은 이미 실시되고 있는 공지의 기술을 이용한 것이므로 그 상세한 작동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One embodiment configuration inside th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540 is well illustrated in FIG. 12,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it is based on a known technique that has already been implemented.

한편, 상기 네개의 구동모터(502 내지 505)의 연결상태는 제13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바, 상기 하강 구동 모터(502)의 역전시 상기 승강 구동 모터(504)가 정전되고, 상기 승강 구동 모터(504)의 역전시 상기 상단 슬라이더 모터(505)가 정전되도록 연결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four drive motors (502 to 505) is well shown in FIG. 13, the lifting drive motor 504 is out of power when the lowering drive motor 502 is reversed, the lifting drive When the motor 504 is reversed, the upper slider motor 505 is connected to the power failure.

또한, 본 발명을 응용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2대의 주차공간에 7대의 차량을 주차시키는 것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도록 확장가능하다. 일예로서, 프레임 구조물 설계시 승하강측에 각각 6개의 파렛트가 수직적재될 수 있도록 하면, 11대의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의 주차장치를 그 후면이 서로 맞닿아 지지되도록 하면서 다수로 설치하면, 더욱 더 많은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ended not only to park seven vehicles in two parking spaces as described above, but also to park more vehicles. For example, when six pallets can be vertically loaded on the lifting side of the frame structure, eleven vehicles can be parked. And, if the parking lo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installed in a plurality while the rear sid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ark more and more vehicles.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 및 동작되는 본 발명은, 최하단 및 최상단에서만 타측으로 차량을 수평이동시키면서, 그 일측에 적층된 다수의 차량은 전체적으로 소정 간격만큼씩 승강시키고 다른 일측은 전체적으로 소정 간격만큼씩 하강시키는 수직 순환 방식을 이용하여 차량 2대의 주차공간에서 다층으로 다수의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차량 순환 이송시 주차된 주차량을 직접 이송하지 않고 차량이 들어 있는 파렛트(Pallet)를 이송함으로써 차량의 파손을 방지하며, 소정 무게의 하중분할추를 사용하여 동력소모를 최대한 절감시키고, 프레임 구조물이 완전 조립식으로되어 있어 이동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while moving the vehicle horizontally to the other side only at the bottom and the top, a plurality of vehicles stacked on one side as a whole ascend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other side as a whole by a predetermined interval By using the vertical circulation method, not only can multiple cars be parked in a multi-layered parking space in two vehicles, but also by transporting pallets containing vehicles without directly transporting the parked parking amount during vehicle circulation transfer. To prevent damage to the vehicle, using a load split weight of a predetermined weight as much as possible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the frame structure is a fully assembled type has the effect that it is very easy to move and install.

물론,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여기서 사용된 용어와 표현은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용어로서 그 등가물을 배제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라는 것은 앞의 설명으로부터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Of course,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present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rms and expressions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limita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regoing description that the term is not intended to be used as an explanatory term, but rather to exclude the equivalent.

Claims (9)

좁은 주차공간에 다수의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한 주차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차량 2대를 주차시킬 수 있는 폭과, 다수의 차량을 적층시킬 수 있는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진 프레임 구조물(1); 차량 1대를 주차시킬 수 있는 소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프레임 구조물(1) 내에 적어도 수직 2열로 적층되고, 그 내부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을 내장한 채 수직 승하강되거나, 좌우측으로 수평 이동되는 다수의 이송 파렛트(17); 상기의 수직으로 적층된 일측의 이송 파렛트들을 하나의 파렛트 높이만큼씩 수직 승강시키기 위해 최하단 파렛트를 들어올리는 파렛트 승강수단; 상기의 수직으로 적층된 하강측의 최하단 파렛트를 승강측의 최하단 위치로 수평이동시키는 최하단 수평이동 수단(14); 상기의 수직으로 적층된 타측(하강측)의 이송 파렛트들을 하나의 파렛트 높이만큼씩 수직 하강시키기 위해 그 하단의 파렛트를 들어서 최하단 위치로 내리는 파렛트 하강 수단; 상기의 파렛트 승강 수단에 의해 승강된 최상단 파렛트를 상기의 수직적층된 타측(하강측)의 최상단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최상단 수평 이송 수단(13); 및 소정의 버튼조작에 의해 상기 파렛트 승강 수단, 상기 최상단 수평 이송 수단(13), 상기 파렛트 하강 수단 및 상기 최하단 수평 이송 수단(14)을 구동시켜, 적어도 2열로 수직적층된 다수의 파렛트들이 순차적으로 순환되도록 제어하는 수단(23)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A parking lot value for parking a plurality of vehicles in a narrow parking space, comprising: a frame structure (1) having a width for parking at least two vehicles and a predetermined height for stacking a plurality of vehicles; It has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to park one vehicle, and is stacked in at least two vertical rows in the frame structure 1, and is vertically raised or lowered with a vehicle parked therein, or horizontally horizontally A plurality of transport pallets 17 to be moved; Pallet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lowermost pallet to vertically lift the vertically stacked conveying pallets by one pallet height; A lowermost horizontal moving means (14) for horizontally moving the lowermost pallets of the lowering side stacked vertically to the lowermost position of the lowering side; Pallet lowering means for lifting the lower pallet to the lowest position in order to vertically lower the vertically stacked conveying pallets of the other side (falling side) by one pallet height; An uppermost horizontal conveying means (13) for horizontally moving the uppermost pallet lifted by said pallet lifting means to the uppermost position of said vertically stacked other side (lowering side); And driving the pallet lifting means, the uppermost horizontal conveying means 13, the pallet lowering means and the lowermost horizontal conveying means 14 by a predetermined button operation, so that a plurality of pallets stacked vertically in at least two rows are sequentially formed. A parking lot value using a puzzle-type pallet sequential transfer, comprising means for controlling to be circul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측 최하단의 차량 출입구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동으로 작동되는 차단기(18)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The parking lot value using a puzzle-type pallet sequential transf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ircuit breaker (18) which is installed at the lowermost entrance of the vehicle and is operated manu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측 최하단의 차량 출입구 하단과 설치장소 바닥면 간에 설치되는 소정크기의 발판(19)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The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redetermined size scaffold (19) install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descending side of the vehicle entrance and the bottom of the installation pl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물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스크류잭(27)을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The parking lot valu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screw jacks (27)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frame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 승강 수단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1)의 승강측 상부 외측면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콘트롤 수단(23)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동력 발생수단(2); 상기 프레임 구조물(1)의 승강측 상부 외측면 전후단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동력 발생수단(2)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회전되는 제1스프라켓(10); 상기 동력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상기 제1스프라켓(10)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3,4,5,12); 소정의 하측 높이에서 걸림핀(151)이 돌출되고, 소정의 상측 높이에서 돌출 되었떤 상기 걸림핀이 삽입되도록 하여, 리프트 가이드(16)를 따라 상하 왕복하면서 상기 파렛트를 소정 높이 만큼씩 상승시키는 제1리프트(15); 상기 제1스프라켓 회전에 따라 그 일측에 연결된 상기 제1리프트(15)를 각각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1체인(11); 및 승강측 리프트(15)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1체인(11)의 다른 일측끝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의 무게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중분할추(21)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aid pallet lifting means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lifting side upper outer surface of the frame structure (1), the power generating means (2)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23); First sprockets (10) installed so as to face each of the elevating side upper outer surfaces of the frame structure (1) and rotated with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generating means (2); Power transmission means (3,4,5,12) for transmitting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ng means to the first sprocket (10); The locking pins 151 protrude from a predetermined lower height, and the locking pins protruding from the predetermined upper height are inserted to move the pallet up and down by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reciprocating up and down along the lift guide 16. One lift 15; A first chain 11 which raises or lowers each of the first lifts 15 connected to one side thereof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sprocket; And a load split weight (21) which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hain (11) to which the lifting lift (15) is connected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eight. Parking lot using pallet sequential transf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 하강 수단은 상기 프레임 구조물(1)의 하강측 상부 외측면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콘트롤 수단(23)의 제어에 따라 구동되는 동력 발생 수단(6); 상기 프레임 구조물(1)의 하강측 상부 외측면 전후단에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며, 상기 동력 발생 수단(6)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으로 회전되는 제2스프라켓(10); 상기 동력 발생 수단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상기 제2스프라켓(10)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 수단(7,8,9,12); 소정의 상측 높이에서 걸림핀(151)이 돌출되고, 소정의 하측 높이에서 돌출되었던 상기 걸림핀이 삽입되도록 하여, 리프트 가이드(16)를 따라 상하 왕복되면서 상기 파렛트를 소정 높이 만큼씩 하강시키는 제2리프트(15); 상기 제2스프라켓 회전에 따라 그 일측에 연결된 상기 제2리프트(15)를 각각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2체인(11); 및 하강측 리프트(15)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제2체인(11)의 다른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중심추(24)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6. The pallet lowering means according to claim 5, further comprising: power generating means (6)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frame structure (1) and drive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23); A second sprocket 10 installed opposite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lower side upper outer surface of the frame structure 1 and rotated by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generating means 6; Power transmission means (7, 8, 9, 12) for transmitting the power generated by the power generation means to the second sprocket (10); The second locking pin 151 protrudes from a predetermined upper height, and the locking pins protruding from the predetermined lower height are inserted to lower the pallet by a predetermined height while being reciprocated up and down along the lift guide 16. Lift 15; A second chain 11 which raises or lowers the second lift 15 connected to one side thereof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sprocket; And a central weight 24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chain 11 to which the descending lift 15 is connec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분할추(21) 상부의 프레임 구조물(1)에 지지되는 제1도르레(25b); 상기 중심추(24)상부의 프레임 구조물(1)에 지지되는 제2도르레(25a); 상기 중심추(24) 하부의 프레임 구조물(1)에 지지되는 제3도르레(25c); 및 상기 하중분할추(21) 및 상기 중심추(24)간을 연결하되 상기 제1 내지 제3도르레에 순차적으로 결쳐지도록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 로우프(26)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further comprising: a first pulley (25b) supported by the frame structure (1) above the load split weight (21); A second pulley (25a) supported by the frame structure (1) above the center weight (24); A third pulley (25c) supported by the frame structure (1) below the center weight (24); And a wire rope (26) connected between the load split weight (21) and the center weight (24), and connected to the first to third pulleys sequentially. Parking lot value using pallet sequential transfer of formula. 적어도 차량 2대를 주차시킬 수 있는 폭과 다수의 차량을 적충시킬 수 있는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져 있는 프레임 구조물(1)과, 수직으로 적충된 숭강측의 이송 파렛트들을 소정 높이만큼씩 수직 승강시키기 위해 승강 리프트로 들어올리는 파렛트 승강 수단과, 수직으로 적충된 하강측의 이송 파렛트들을 소정 높이만큼씩 수직하강시키기 위해 하강 리프트로 들면서 서서히 내리는 파렛트 하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렛트 승강구동 수단의 승강구동력을 절감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 리프트에 걸리는 하중을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의 무게를 갖도록 형겅된 하중분할 수단(21); 상기 파렛트 하강구동 수단의 하강 구동력을 절감시키기 위해, 상기 승강 리프트 하강시에 동일하게 하강되는 상기 하강 리프트의 하중을 감소 시키도록 하는 하중분할 수단(21)을 연결하는 하중분할용 중심추(24) 및 연결 수단(25a, 25b, 25c, 2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치.To vertically raise and lower the frame structure 1 having a width for parking at least two vehicles and a predetermined height for stacking a plurality of vehicles, and vertically transporting pallets of the Sunggang side by a predetermined height. A pallet lift means comprising: a pallet lift means for lifting by a lift lift, and a pallet lowering means for slowly descending as a lift lift to vertically lower the transport pallets vertically stacked by a predetermined height. Load dividing means (21) connected in a direction for reducing the load applied to the elevating lift and designed to have a predetermined weight in order to reduce the elevating driving force of the means; In order to reduce the lowering driving force of the pallet lowering driving means, a load splitting center linking the load splitting means 21 for reducing the load of the lowering lift lowered equally during the lowering lift lowering. And a connecting means (25a, 25b, 25c, 26). 적어도 차량 2대를 주차시킬 수 있는 폭과 다수의 차량을 적층시킬 수 있는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구조물(1)과, 상기 프레임 구조물(1)내에 적어도 수직 2열로 적층되고 그 내부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을 내장한 채 수직 승하강되거나 좌우측으로 수평 이동되는 다수의 이송 파렛트(17)와, 상기의 수직으로 적층된 승강측의 이송 파렛트들을 승강 구동 모터(502)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하나의 파렛트 높이만큼씩 수직 승강시키기 위해 최하단 파렛트를 들어올리는 파렛트 승강 수단과, 하단 슬라이더 모터(503)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의 수직으로 적층된 하강측의 최하단 파렛트를 승강측의 최하단 위치로 수평이동시키는 최하단 수평이동 수단(14)과, 상기의 수직으로 적층된 하강측의 이송 파렛트들을 하강 구동 모터(504)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하나의 파렛트 높이만큼씩 수직 하강시키기 위해 그 하단의 파렛트를 들어서 최하단 위치로 내리는 파렛트 하강 수단과, 상단 슬라이더 모터(505)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의 파렛트 승강 수단에 의해 승강된 최상단 파렛트를 상기의 수직 적층된 하강측의 최상단 위치로 수평 이동시키는 최상단 수평이송 수단(13)을 구비하고 있는 주차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상기 네개의 모터(502 내지 505)를 각각 구동시키기 위한 제1내지 제4마그네트 스위치(521 내지 524); 상기 승강 구동 모터(502)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측 리프트 이동영역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승강측 리프트의 승강이동이 완료되었음을 검지하는 제1위치 검지 센서(507); 상기 승강측 리프트 이동영역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승강측 리프트가 다음 사이클의 파렛트 승강동작을 위한 하강이동이 완료되었음을 검지하는 제2위치 검지 센서(506); 상기 승강측 최하단(H)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하단 슬라이더 모터(503)에 의해 하강측 최하단(A)으로부터 승강측 최하단(H)으로 이동되는 파렛트의 이동완료를 검지하는 제3위치 검지센서(508); 상기 하강 구동 모터(504)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하강측 리프트 이동영역의 최상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강측 리프트가 다음 사이클의 파렛트 하강동작을 위한 승강이동이 완료되었음을 검지하는 제4위치 검지 센서(509); 상기 하강측 리프트 이동영역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하강측 리프트의 하강이동이 완료되었음을 검지하는 제5위치 검지 센서(510); 상기 하강측 최상단(D)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상단 슬라이더모터(505)에 의해 승강측 최상단(E)으로부터 하강측 최상단(D)으로 이동되는 파렛트의 이동완료를 검지하는 제6위치 검지 센서(511); 상기 하강측 최하단(A)의 일측면의 소정 높이에 설치된 상기 하강측 최하단에 위치되는 파렛트가 몇번 파렛트 인가를 정확히 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리미트 스위치(560); 상기 제1내지 제4마그네트 스위치(521 내지 524), 상기 제1 내지 제6위치 검지 센서(506 내지 511) 및 상기 리미트 스위치(560)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제반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PLC)(540); 및 상기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PLC)(540)에 연결되어 있으면 원하는 파렛트가 주차 및 인출이 가능한 하강측 최하단(A)에 위치되도록 선택할 수 있는 키패드(55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식의 파렛트 순차이송을 이용한 주차장치의 제어회로.A frame structure (1) having a width for parking at least two vehicles and a predetermined height for stacking a plurality of vehicles, and stacked in at least two vertical rows within the frame structure (1) and parked therein A plurality of conveying pallets 17 which are vertically lifted or horizontally moved left and right with the vehicle built-in, and the conveying pallets of the vertically stacked lifting side by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elevating drive motor 502 are used. Pallet lifting means for lifting the lowest pallet in order to vertically lift by the lowermost level, and the lowest horizontal level for horizontally moving the lowermost pallets of the vertically stacked downward side to the lowest position on the lifting side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lower slider motor 503. The moving means 14 and the above-mentioned vertically stacked conveying pallets are lowered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lowering driving motor 504. Pallet lowering means for lifting down the pallet at the bottom to lower the pallet by the height of the pallet, and the uppermost pallet lifted by the pallet lifting means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upper slider motor 505. A circuit for controlling a parking lot having a top level horizontal transport means (13) for horizontally moving to the topmost position on the lowered side of the stack, the first to the fourth for driving the four motors (502 to 505), respectively. Magnet switches 521 to 524; A first position detection sensor (507) positioned at a top end of the lift side lift movement area moved up and down by the lift drive motor (502) to detect that the lift movement of the lift side lift is completed; A second position detection sensor (506) positioned at the lowermost end of the lift side lift movement area to detect that the lift side lift has completed the lowering movement for the pallet lift operation of the next cycle; A third posi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ifting side lower end H and detecting movement completion of a pallet moved from the lowering side lower end A to the lifting side lower end H by the lower slider motor 503; 508; The fourth position detection sensor 509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lower side lift movement area moved up and down by the lower driving motor 504 to detect that the lower side lift has completed the lifting movement for the pallet lowering operation of the next cycle. ); A fifth position detection sensor (510) positioned at the lowest end of the falling side lift moving area and detecting that the falling movement of the falling side lift is completed; A sixth position detection sens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lower end side D and detecting a movement completion of the pallet moved from the elevating side top end E to the lower side D by the upper slider motor 505; 511; A limit switch 56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falling side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one side of the lower end A of the falling side so as to accurately detect how many times the pallet is applied;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nnected to the first to fourth magnet switches 521 to 524, the first to sixth position detection sensors 506 to 511, and the limit switch 560, respectively, to control overall operations. 540; And a keypad 550 that can be selected such that a desired pallet is located at the lowermost lower end A where parking and withdrawal are possible when connected to the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540. Control circuit of parking lot value using pallet sequential transfer.
KR1019930014485A 1993-07-28 1993-07-28 Puzzle-type parking apparatus and control circuit KR9600143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485A KR960014366B1 (en) 1993-07-28 1993-07-28 Puzzle-type parking apparatus and control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4485A KR960014366B1 (en) 1993-07-28 1993-07-28 Puzzle-type parking apparatus and control circu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87A KR950003587A (en) 1995-02-17
KR960014366B1 true KR960014366B1 (en) 1996-10-15

Family

ID=19360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4485A KR960014366B1 (en) 1993-07-28 1993-07-28 Puzzle-type parking apparatus and control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436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244B1 (en) * 2010-11-22 2013-02-06 이종훈 puzzle type parking management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6334A (en) * 2020-08-31 2021-01-08 青岛茂源停车设备制造有限公司 Falling protector for lifting vehicle disc and stereo gara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244B1 (en) * 2010-11-22 2013-02-06 이종훈 puzzle type parking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587A (en)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94264A (en) Sky type parking system
CN106315368B (en) A kind of screw vertical lift
KR102396107B1 (en) Smart parking system of multi-level parking garage
WO2010118642A1 (en) Multi-storey garage and control method
US3526327A (en) Storage and order picking system
KR100702666B1 (en) Multi-story parking system
KR960014366B1 (en) Puzzle-type parking apparatus and control circuit
US5526919A (en) Escalator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KR101893284B1 (en) Smart parking system of multi-level parking garage
CN108016802B (en) Glass magnesium board push type three-dimensional storage device and method
KR100596744B1 (en) Automatic parking equipment
EP1497516B1 (en) Storage installation
ITPN20090030A1 (en) MOBILE SUPPORT AND TRANSPORTATION PLATFORM FOR MOTOR VEHICLES FOR AUTOMATED PARKING SYSTEMS FOR ONE OR MORE STACKED SURFACES, SUITABLE FOR TRANSPORTING SUCH AND BY PARKING POSITIONS PREVIOUSLY CHOSEN.
CN217600286U (en) Vertical lifting mechanism
KR200326238Y1 (en) Automatic parking equipment
CN217895035U (en) Carry car lifting machine suitable for track of paving
KR0120833Y1 (en) Pallets elevating constructure for garages
JP3488778B2 (en) Underground multi-level parking system
KR200388208Y1 (en) Pit puzzle parking system
CN212638707U (en) Toilet storage room
CN212334314U (en) Article conveying ladder between upper and lower floors
CN114436100B (en) Super high-rise self-lifting attached overhanging type interlayer material transferring method
CN210239174U (en) Building material transfer system
US20240017920A1 (en) Dynamic storage system and methods thereof
JPH0140911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