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028B1 - 유리 박판 조립 장치 - Google Patents

유리 박판 조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028B1
KR960014028B1 KR1019890009891A KR890009891A KR960014028B1 KR 960014028 B1 KR960014028 B1 KR 960014028B1 KR 1019890009891 A KR1019890009891 A KR 1019890009891A KR 890009891 A KR890009891 A KR 890009891A KR 960014028 B1 KR960014028 B1 KR 960014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s
group
pressing
rollers
sub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505A (ko
Inventor
트리포 프란시스
몽셰오 미셀
Original Assignee
쎙-고벵 비뜨라지
에스. 르 바그레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쎙-고벵 비뜨라지, 에스. 르 바그레즈 filed Critical 쎙-고벵 비뜨라지
Publication of KR900001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9/00Layout of apparatus or plants, e.g. modular lamin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89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shaping the sheets, e.g. by using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16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pressing
    • B32B17/10825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 B32B17/10862Isostatic pressing, i.e. using non rigid pressure-exerting members against rigid parts using pressing-rolls

Landscapes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유리 박판 조립 장치
제1a도는 중앙 종축에 대해 사실상 비대칭이고 횡방향으로 볼록하며 평탄하게 펼쳐질 수 없는 형상을 갖는 유리 박판(유리판A)의 사시도.
제1b도는 중앙 종축의 한쪽이 다른쪽보다 휠씬 더 두드러지게 횡방향으로 볼록하고 평탄하게 펼쳐질 수 없는 형상을 갖는 다른 유리 박판(유리판 B)의 사시도.
제2도는 소그룹으로 세분된 상부 그룹의 프레싱 수단과 하부 그룹의 프레싱 수단을 갖는 장치의 정면도.
제3a도는 다른 셋팅 형태의 제2도에 도시된 장치 상부의 개략도.
제3b도는 다른 셋팅 형태의 제2도에 도시된 장치 상부의 개략도.
제4도는 상부 그룹의 프레싱 수단과 하부 그룹의 프레싱 수단이 각기 세개의 소그룹으로 세분되어 있고 두개의 단부 소그룹이 대칭 또는 비대칭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제5도는 소그룹으로 세분된 하부 그룹의 프레싱 수단과 상부의 가요성 프레싱 롤러를 갖는 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제6도는 소그룹으로 세분된 상부 그룹의 프레싱 수단과 하부프레싱 수단으로서 형상 지지체를 갖는 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1 : 가동장치 3,5,57,59,101,114,119 : 롤러
12,13,14,36,37,38,66,67,68,69,71 : 비임
18,19,39,40,77,78,79,84,85 : 관절
22,53,79,86,116 : 크로스 바아 54,55 : 샤프트
67,74,75 : 기둥 91,92 : 워엄.
본 발명은 유리 박판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프레싱 그중에서도 캘린더링(calendering)에 의해서 상부 프레싱 수단과 하부 프레싱 수단사이에서 이후; 우리판으로도 불리는 유리판 적층물을 프레싱함으로써 유리 박판 부재들을 조립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데, 프랑스 특허 제2053104호에 기술된 종래의 캘린더링 장치에는 일반적으로 두줄의 프레싱 롤러들이 장착되어 있다. 이 장치에는 나란히 위치한 한 줄의 하부 롤러들이 있는데, 그들의 위치는 통상 유리판의 평균 곡률인, 바람직한 횡방향 곡률에 해당하는 곡률을 얻을 수 있도록 독립적으로 조절가능하다. 또한, 이 장치에는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배치된 한줄의 상부 롤러들도 있다. 종래의 장치의 경우, 두줄의 롤러들은 수평축에 대해 선회할 수 있는 프레임에 설비된 횡방향 비임상에 각각 장착되며, 가동 장치를 구성하는 조립체는 조립 작업중에 롤러들이 유리판에 대해 거의 수직을 유지하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프레싱 롤러들의 위치는 횡방향 비임에 대한 장착 시스템의 바이어스(bias)를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 또는 조정 이들 장치가 다수의 프레싱 롤러들, 보통 30 내지 40개의 롤러들을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어려움이 있고, 장시간을 요한다. 이들 롤러들은 높이 및 경사가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또는 상으로 조절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이들 장치는 이중 캠버(camber)가 별로 명확하지 않을 때 그리고 유리판의 횡방향 볼록면이 규칙적이고 전 유리판 길이에 걸쳐서 거의 동일할 때, 이중 볼록면 또는 볼록체를 갖고 있는 유리판 조립체에 적합하다. 그러나, 보다 복잡한 형태를 갖는 유리판들 특히, 외단면이 아주 두드러진 보록면을 갖고 전체 유리판 길이에 걸쳐서 불규칙한 유리판들의 경우에 상기 종래의 장치들은 적합한 접착력이나, 균일한 접착력을 제공하지 못하거나 유리판의 균열을 야기시키기 때문에 만족스럽지 못하다.
본 발명은 가늘고 규칙적인 이중 볼록면을 갖는 유리판들 및 복잡한 형태를 갖는 유리판들에 모두 적용할 수 있고 아주 두드러지거나 불규칙한 볼록면들을 가질 수 있는 대칭 또는 비대칭 유리 박판들을 프레싱함으로써 조립하는 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대칭 유리 박판이란 용어는 본 발명에 있어서 두면이 유리판들로 구성된 박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비대칭 유리박판은 단일 또는 박판 지지체 및 바람직한 성질을 갖는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판에 의해 형성된 유리 박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비대칭 유리판의 에는 프랑스 특허 제2 398 606호 및 유럽 특히 제132 198호 및 제 131 523호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프레싱 수단 소그룹으로 세분된 적어도 한 그룹의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레싱 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프레싱 수단 소그룹은 다른 비임의 위치에 대하여 위치가 변경되고 조절될 수 있는 비임상에 각기 장착되어 있다.
프레싱 수단이란 용어는 롤러들 및, 프레싱 수단이 부착되는 비임상의 탄성 또는 공기 장착 시스템을 말한다. 하나의 프레싱 수단 그룹의 소그룹 수는 적어도 두개이고, 이 수는 그 장치의 사용 의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각각의 비임들은 서로에 대해 관절 연결된 하나의 프레싱 수단 소그룹을 지지하고, 그에 따른 그들중의 적어도 하나의 가동 장치의 그로스바아 형성부에 의해 프레싱 수단 그룹과 동일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비임들은 나사, 랙(rack) 또는 다른 기계적 시스템의 도움이나 공기잭의 도움으로 크로스바아에 대해 바람직한 위치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단부 비임들은 가동 장치의 측면 기둥들에 의해 지지된 관절들 또는 조인트들상에 장착될 수 있다. 비임들의 위치 설정은 유리판 모델의 함수로서 조정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유리판 형태의 자동 제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상부 롤러들의 그룹과 하부 롤러들의 그룹을 갖는 캘린더(calender)일 때, 상부 롤러들의 그룹 또는 하부 롤러들의 그룹 또는 이들 둘다가 소그룹으로 세분될 수 있다.
변형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소그룹들로 세분된 하부 프레싱 롤러들의 그룹을 구비하고 있고, 장치의 전체 유효폭에 걸쳐서 연장하고 있는 가요성 실린더 프레싱 롤러를 상부 프레싱 수단으로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프레싱 롤러의 바람직한 곡률은 예컨데, 유럽특허 제 15209호에 기술된 적어도 한줄의 상부 롤러들의 베어링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변형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프레싱 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소그룹의 롤러들로 세분된 상부 프레싱 롤러들의 그룹을 상부 프레싱 수단으로 구비하고 하부 프레싱 수단을 구성하는 유리판을 기하학적 형태에 적합한 형상을 갖고 있는 형상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형상 지지체는 하나 이상의 수평축에 대하여 기울어 질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러한 지지체를 사용하는 프레싱 장치는 프랑스 특허출원 제 87 15624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러한 병형예의 경우, 상부 프레싱 롤러들의 그룹에 의해 가동 장치가 혀 유리판성되어, 상부 프레싱 그룹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자체적으로 갖추고 있다.
본 명세서에 기술한 것처럼, 프레싱 그룹은 두, 세개 또는 그 이상의 소그룹으로 세분될 수 있다.
한 그룹이 세개의 소그룹으로 세분된 즉, 세개의 프레싱 롤러 지지 비임들을 갖고 있는 구조의 경우, 대칭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세개의 비임들은 비대칭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비대칭 방식의 배열은 장치가 복합적인 횡방향 곡률을 갖는 유리판 조립체에 사용될 때 적합할 수 있다.
각각의 소그룹에 속하는 프레싱 롤러의 수는 각각의 소그룹들간에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잇점들과 특징들은 도면을 참조로한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음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제1a도는 중앙 종축에 대해 사실상 비대칭이고, 횡방향으로 볼록하며 평탄하게 펼쳐질 수 없는 형상을 갖는, 본 명세서에서는 유리판 A로 칭하는, 유리 박판의 사시도이다.
제1b도는 중앙 종축의 한쪽이 다른쪽 보다 휠씬 더 두드러지게 횡방향으로 볼록하고, 펼쳐질 수 없는 형상을 갖는, 본 명세서에서는 유리판 B로 칭하는, 다른 유리 박판 형태의 사시도이다.
제2도는 소그룹으로 세분된 상부 그룹의 프레싱 수단과 하부 그룹의 프레싱 수단을 갖는 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이러한 장치는 두 외부면이 유리판과 같은 강성판으로된 유리 박막을 프레싱에 의해 조립하는데 사용될 수있다. 제2도에서, 상부 및 하부 그룹의 프레싱 수단들은 제1B도에 화살표로 표시된 통로 방향으로 유리판 B를 프레스 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3a도는 다른 셋팅 형태의 제2도에 도시된 장치 상부의 개략도이다. 이 장치에서 프레싱 수단은 평탄한 유리박판을 프레스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제3b도는 다른 셋팅 형태의 제2도에 도시된 장치 상부의 개략도이다. 이 장치에서 프레싱 수단은 제1도에 화살표로 표시된 통로 방향으로 유리판 A를 프레스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제4도는 상부 그룹의 프레싱 수단과하부 그룹의 프레싱 수단이 각기 세개의 소그룹으로 세분되어 있고 두개의 단부 소그룹이 대칭 또는 비대칭적으로 끼워질 수있는 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이다.
제5도는 소그룹들로 세분된 하부 그룹의 프레싱 수단과 상부의 가요성 프레싱 롤러를 갖는 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제6도는 소그룹들로 세분된 상부 그룹의 프레싱 수단과 하부 프레싱 수단 수단으로서 형상 지지체를 갖는 장치의 일실시예의 정면도.
제2도에 도시된 장치는 상부 프레싱 롤러(3)들의 그룹(2)과 하부 프레싱 롤러(5)들의 그룹(4)을 갖고 있는 가동 장치(1)를 구비하고 있다(모든 롤러들이 도시되지는 않았음)
각각의 롤러(3,5)들은 조절 수단(7)의 로드(6) 형성부의 단부에 쌍으로 장착되어 유리판(8)이 프레스되는 프레싱 라인의 바람직한 곡률에 따라 롤러(3,5)들의 위치 설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부 롤러(3)들과 하부 롤러(5)들은 조절 수단(7)의 도시되지 않은 탄성 시스템 형성부에 의해 상기 유리판에 가해진다. 상부 롤러(3)들과 그들의 조절 수단(7)들은 각기 비임(12,13,14)에 의해 지지된 세개의 소그룹(9,10,11)으로 세분된다. 두개의 단부 비임(12,14)은 가동 장치(1)에 속하는 프레임(17)의 두 기둥(15,16)상에 관절 결합 방식으로 장착된다. 관절 또는 조인트(18,19)들의 위치는 수직 기둥(15,16)들을 따라 소절할 수 있다. 중앙 비임(13)은 관절(23,24)들에 의해 비임(12,14)에 연결된다. 관절(18,19,23,24)들은 비임(12,13,14)들의 단부들 위로 끼워진 활주 시스템(25,26,27,28)상에 장착된다. 중앙 비임(13)은 프레임(17)을 형성하도록 두개의 기둥(14,16)을 링크 연결시키는 크로스바아(22)에 의해 두개의 나사 시스템(20,21)의 도움으로 지지된다. 이들 나사 시스템은 크로스바아(22)를 관통하는 수평 스핀들(29,30)들과 비임(13)상의 스핀들(31,32)들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하부 로울러(5)들과 그들의 조절 수단(7)드은 각기 비임(36,37,38)에 의해 지지된 세개의 소그룹(33,34,35)으로 세분되어 있다. 두개의 단부 비임(36,38)은 가동 장치(1)에 속하는 프레임(17)의 두 기둥(15,16)상에 관절 결합 방식으로 장착된다. 관절(39,40)들의 위치는 수직 기둥(15,16)들을 따라 조절된다. 중앙 비임(37)은 관절(41,42)에 의해 비임(36,38)들에 연결된다. 관절(39,40,41,42)들은 비임(36,37,38)들의 단부위로 끼워진 활주 시스템(43,44,45,46)들 상에 장착된다. 중앙 비임(37)은 프레임(17)을 형성하도록 두개의 기둥(15,16)을 링크 연결시키는 크로스바아(53)에 의해 두개의나사 시스템(47,48)의 도움으로 지지된다. 이들 나사 시스템들은 크로스바아(53)를 관통하는 수평 스핀들(49,50)들과 비임(37) 아래쪽에 고정된 스핀들(51,52)들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하부 프레싱 롤러들의 그룹(4)은 도시되지 않은 전기 모터에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두개의 모터롤러들을 구비하고 있다.
프레이(17)과 가동 장치(1)는 한쪽이 두개의 기둥(15,16)속에 끼워지고 다른쪽이 도시되지 않은 장치의 프레임에 속하는 베어링에 의해 지지된 두게의 수평 배열 샤프트(54,55)를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특히, 전술한 장치는 평탄하거나 볼록한 유리 박판을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볼록한 유리 박판은, 제1a도 및 제1b도에 도시한 것처럼, 의 중앙 종축에 관하여 대칭 또는 비대칭적으로 증가된 볼록면을 갖는다. 하나의 유리판형태로부터 다른 유리판 형태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즉, 어떤 횡방향 볼록면을 갖는 유리판을 프레싱하는 것으로부터 아주 다른 횡방향 볼록 면을 갖는 유리판을 프레싱하는 것으로 (예컨데, a로 부터 b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서로에 관하여 또는 조절 수단들이 장착된 비임에 관하여 조절 수단(7)들의 배열을 변경함이 없이 단순히 상부 프레싱 소그룹(9,10,11) 및 하부 프레싱 소그룹(33,34,35)의 배열을 변경하면 된다.
본 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다. 두개의 상부 및 하부 프레싱 소그룹은 프레스되는 유리판의 형태와 유사한 일반적인 형태 즉, A타입의 유리판을 프레스하려면 U형으로, B타잎의 유리판을 프레스하려면 변위된 V형으로 또는 납작 또는 평탄한 유리판을 프레스하려면 나란하고 수평인 방식으로 배열된다. 상부 프레싱 소그룹(9,10,11)들은 한편으로는 프레스되는 유리판(8)이 가동 장치(1)의 선회 샤프트(54,55)와 거의 같은 높이가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부 프레싱 롤러(3)들과 하부 프레싱 롤러(5)들이 바람직한 압력으로 유리판(8)상에 지지되도록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하부 프레싱 소그룹(33,34,35)들과 평행하게 정렬되어야 한다.
이러한 배열은 샤프트(54,55)들에 관하여 단부들에 위치한 관절(18,39,19,40)들 사이의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각기 및 선택적으로 중앙 비임(13,37)들의 크로스바아(22,53)에 대하여 그 거리를 결정하는 나사 시스템(20,21,48,49)상에 작용함으로써 손쉽게 얻어진다. 게다가, 바람직한 왕복운동 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상부 프레싱 롤러(3)들과 하부 프레싱 롤러(5)들을 유지하기위해, 서로 비임(12,13,14,36,37,38)들을 향해 또는 비임들로부터 이동하도록 한편으로는 활주 시스템(25,26,27,28)들상에 작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활주 시스템(43,44,45,46)들상에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제2도 및 제3a도와 제3b도는 상기 장치에 대한 세개의 가능한 조절 실시예들을 보여준다. 제2a도에 도시된 장치는 유리판(B)용으로 조절되거나 조정되어 있다. 비임조절(12,13,36,37)들은 각기 정렬되어 있다. 비임(14,38)들은 상기 비임들에 관하여 약 10°기울어져 있고, 관절(18)은 샤프트(55)와 관절(19)을 분리하고 있는 거리(h)를 약간 초과하는 거리(h')로 샤프트(54)로 부터 떠러져 위치하고 있다. 유리판(8)은 정확하게 프레스되는데, 이는 모든 프레싱 롤러들이 유리판에 관하여 적절하게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다.
모든 비임들이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고 평탄한 유리판용으로 조절되어 있는 동일한 장치가 제3a도에 도시되어 있다.
비임(13)이 수평으로 위치되어 있고 유리판(A)용으로 조절되는 동일한 장치가 제3b도에 도시되어 있다. 비임(12,14)들은 비임(13)에 대하여 약 6°기울어져 있다.
제4도에 도시된 장치는 프레싱 롤러(57)들(모든 롤러들이 도시되지는 않았음)의 상부 그룹(56)과 프레싱 롤러(59)들의 하부 그룹(58)을 갖추고 있는데, 이들은 각기 세개의 소그룹(60,61,62,63,64,65)으로 세분되어 있고, 각각의 소그룹은 비임(66,67,68,69,70,7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두개의 상부 단부 비임(66,68)들은 프레임(76)의 두 기둥(74,65)들 상에 조절가능하도록 일체로 장착된 수평 스핀들(72,73)들을 중심으로 관절 연결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고, 아울러 관절(77,78)들에 의해 상부 중앙 비임(67)에도 연결되어 있다.
상부 중앙 비임(67)은 프레임(76)의 두 기 둥(74,75)들을 연결하고 있는 상부 크로스바아(79)에 의해 조절 가능한 방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상기 중앙 기둥(67)은 크로스바아(79)에 의해 지지된 두개의 수직 칼럼(80,81)들을 따라 활주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은 수평을 유지하면서 비임(67)의 수직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두개의 사부 단부 비임(66,68)들은 장치의 동일 측면에 위치한 두개의 비임(66,69)이 U형(82)을 형성하고 다른 측면에 위치한 두개의 다른 비임(68,71)이 U형(83)을 형성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두개의 하부 단부 비임(69,71)과 일체식으로 되어 있다.
두개의 상부 단부 비임(66,68)과 마찬가지로, 두개의 하부 단부 비임(69,71)은 관절(84,85)들에 의해 하부 중앙 비임(70)에 연결되어 있다. 하부 중앙 비임은 가동 프레임에 속하는 하부 크로스바아(86)에 조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하부 중앙 비임(70)은 하부 크로스바아(86)에 의해 지지된 두개의 수직 칼럼(87,88)들을 따라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부 크로스바아(79)에 대한 상부 중앙 비임(67)의 위치는 모터 시스템(90)으로 제어되는 워엄(89)에 의해 설정된다.
마찬가지로, 상부 크로스바아(79)에 대한 두개의 선회핀(72,73)들의 위치는 크로스바아(79)상에 장착된 모터 시스템(93,94)으로 제어되는 워엄(91,92)에 의해 설정된다.
비임들의 대칭 배열 또는 비대칭 배열은 중앙 비임들의 수직 이동과 비임들 사이의 다른 안내 시스템의 자유도의 선택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다공 프레임은 두개의 수직 컬럼(98)상에 장착된 베어링(97)들에 의해 지지되고 프레임의 두 기둥에 의해 연결된 수평축(95,96)들 상에서 선회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프레싱 롤러들의 하부 그룹(58)은 트랜스미션 시스템에 의해 전기 모터(99)에 연결된 적어도 두개의 무터 롤러들을 구비하고 있다.
제4도에 도시된 장치는 유리판의 형태를 기억하고 있는 자동화 장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자동화 장치는 상부 크로스바아(79)에 대해 상부 중앙 비임(67) 및 관절(72,73)들의 위치를 각기 제어하는 모터 시스템(90,93,94)들을 제어한다.
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작동한다. 별로 복잡하지 않은 형태를 갖는 유리판의 경우, 예컨대, 횡방향 볼록면이 규칙적이고 전길이에 걸쳐서 거의 동일한 즉, 제1도에서 d1, d2, d3,가 거의 동일한 값인 유리판 A의 경우, 자동화 장치는 프레싱 롤러(57,59)들이 유리판의 면에 대하여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그리고 유리판이 가동 프레임(76)이 선회축과 거의 같은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유리판의 평균 곡률에 대하여 중앙 비임(67)및 관절(72,73)들의 적절한 위치를 결정하고 조절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드러지지만 규칙적인 볼록면들을 갖는 유리판들이 정확히 위차될 수 있다.
당연히, 동일한 방식으로 유리판(B), 약간 볼록면만을 갖는 유리판 또는 고르게 평탄한 유리판을 프레스 할 수 있다.
유리판 길이를 따라 아주 다양한 횡방향 볼록면 값을 갖는 아주 복잡한 형태의 유리판의 경우, 예컨데, 상부 지역이 심하게 하강하고 중앙 지역이 더 평탄한 유리판(A)(제1A도)의 경우, 자동화 장치는 프레싱 롤러들 사이의 유리판의 평균 기초로 하여 관절(72,73)들 및 중앙 비임(67)의 위치를 지역 또는 부분적으로 결정하고 조절한다. 이 경우, 자동화 장치는 예컨대, 적절한 센서의 도움으로 프레싱하기 준에 유리판의 형태 또는 유리판상에 행해진 사용 볼록면 깊이 판독을 메모리에 저장하였다.
제5도에 도시된 장치는 두개의 소그룹(102,103)으로 세분된 프레싱 롤러(101)들의 하부 그룹(100)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소그룹들은 가동 장치(111)의 선회 프레임(110)의 두기둥(108,109)중의 하나에 의해 지지되고 잭(112) 로드의 단부에 의해 지지된 수평 스핀들(106,107)에 대하여 관절 연결된 비임(104,105)에 의해 각기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상부 프레싱 수단은 장치의 전체 유효 폭에 걸쳐 연장하는 비임(104,105)에 의해 각기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상부 프레싱 수단은 장치의 전체 유효 폭에 걸쳐 연장하는 가요성 프레싱 롤러(113)로 구성되어 있고, 선회 프레임(110)의 두 기둥(108,109)들을 링크 연결하는 상부 크로스바아(116)에 의해 지지된 결합 수단(115)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는 상부 롤러(114)들의 작용에 따라 구부려진다.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 롤러들은 프레싱 롤러의 상류 및 하류에 제공될 수 있고, 상부 프레싱 롤러들의 작용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장치는 강성 지지체 및 예컨데, 가요성 플래스틱 재료판에 의해 형성된 유리판(117)을 캘린더 링에 의해 조립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6도에 도시된 장치는 두개의 수직 기동(125,126)들을 연결하는 상부 크로스바아(129)상의 조절나사(128)에 의해 지지되괴 가동 장치(127)의 기둥(125,126)들에 의해 지지된 수평 스핀들(124)들을 중심으로 두개의 관절 비임(122,123)들상에 장착된 두개의 소그룹(120,121)으로 세분된 상부 프레싱 롤러(119)들의 그룹(118)을 구비하고 있다. 장치의 하부 부분은 조립되는 유리판(131)의 형태와 같은 지지체(130)에 의해 형성된다. 수직 기둥(125,126)들은 하부 프레싱 롤러들의 그룹(118)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두개의 수평 레일(136,137)들을 따라 수평으로 활주식으로 장착된 두개의 아암(135,135)에 의해 지지된 두개의 수평 스핀들(132,133)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Claims (13)

  1. 프레싱 롤러들의 적어도 하나의 그룹을 지지하는 가동 장치를 갖고, 프레싱에 의해 유리 박판을 조립하는 장치에 있어서, 프레싱 롤러들의 그룹은 프레싱 롤러들의 두개 이상의 소그룹으로 세분되외 있고, 소그룹들은 다은 비임들의 위치에 대하여 위치가 변경되고 조절될 수 있는 비임상에 각기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박판 조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모든 비임들은 서로 관절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박판 조립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외부 비임은 가동 장치에 설비되어 있는 프레임에 대하여 관절 연결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박판 조립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비임은 소그룹으로 세분된 프레싱 롤러들의 그룹과 동일한 가동 장치에 설비되어 있는 크로스바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박판 조립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프레싱 롤러들의 첫번째 그룹고 동일한 갯수의 소그룹들로 세분된 두번째 그룹의 프레싱 롤러들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박판 조립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그룹은 비임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세개의 소그룹으로 세분되고 세개의 비임이 서로 관절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박판 조립 장치.
  7. 제6향에 있어서, 두개의 상단부 비임은 두개의 하단부 비임과 일체식으로 되어 있고 쌍으로 기울어 진 U형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박판 조립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중앙 비임들은 수직 활주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박판 조립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소그룹들로 세분된 프레싱 롤러들의 그룹은 하부 그룹이고, 상부 프레싱 수단들은 상부 롤러들의 작용하에 구부러지는 가요성 롤러와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박판 조립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하부 프레싱 수단으로서 유리판의 기하학적 형태에 적합하게 만들어진 형상 지지체를구비하고 있고, 소그룹들로 세분된 프레싱 롤러들의 그룹은 상부 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박판 조립 장치.
  11. 제5항 또는 제10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임들을 지지하는 크로스바아에 대한 비임들의 위치는 나사들의 도움으로 조절될 수 잇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박판 조립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임들은 활주 시스템들상에 자체적으로 장칙된 관절 주위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박판 조립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임들의 위치 조절은 메모리에 유리판의 형태를 갖고 있는 자동화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박판 조립 장치.
KR1019890009891A 1988-07-12 1989-07-12 유리 박판 조립 장치 KR9600140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809498 1988-07-12
FR8809498A FR2634161B1 (fr) 1988-07-12 1988-07-12 Dispositif pour l'assemblage des vitrages feuille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505A KR900001505A (ko) 1990-02-27
KR960014028B1 true KR960014028B1 (ko) 1996-10-11

Family

ID=9368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891A KR960014028B1 (ko) 1988-07-12 1989-07-12 유리 박판 조립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109765A (ko)
EP (1) EP0351288B1 (ko)
JP (1) JP2703059B2 (ko)
KR (1) KR960014028B1 (ko)
BR (1) BR8903400A (ko)
CA (1) CA1332700C (ko)
DE (1) DE68915217T2 (ko)
ES (1) ES2055126T3 (ko)
FR (1) FR26341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8398A (en) * 1989-12-26 1991-01-29 Ppg Industries, Inc. Laminate prepress roll assembly
FR2657046B1 (fr) * 1990-01-16 1992-04-30 Saint Gobain Vitrage Int Dispositif pour l'assemblage par pressage des vitrages feuilletes.
FR2705275B1 (fr) * 1993-05-13 1995-07-21 Saint Gobain Vitrage Int Vitrages feuilletés et procédé de fabr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54344A (en) * 1955-05-02 1962-09-18 Libbey Owens Ford Glass Co Apparatus for pressing curved laminated safety glass
BE557855A (ko) * 1956-08-03
DE6929022U (de) * 1969-07-22 1969-11-13 Sack Gmbh Maschf Walzvorrichtung zum zusammenwalzen von vorzugsweise sphaerisch gebogenen glasscheiben mit dazwischenliegenden kunststoffolien zu einem vorverbund
DE2202771A1 (de) * 1972-01-21 1973-07-26 Helmut Dr Mertens Verbundglas und vor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FR2449534A1 (fr) * 1979-02-21 1980-09-19 Saint Gobain Dispositif pour l'assemblage de feuilles de verre et/ou de matieres plastiques
JPS5930737A (ja) * 1982-08-12 1984-02-18 Nippon Sheet Glass Co Ltd 湾曲ロ−ル装置
JPS6016839A (ja) * 1983-07-05 1985-01-28 Nippon Sheet Glass Co Ltd 積層ガラスのプレスロ−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903400A (pt) 1990-02-13
DE68915217T2 (de) 1994-08-18
KR900001505A (ko) 1990-02-27
EP0351288B1 (fr) 1994-05-11
EP0351288A1 (fr) 1990-01-17
JP2703059B2 (ja) 1998-01-26
US5109765A (en) 1992-05-05
FR2634161B1 (fr) 1990-09-14
DE68915217D1 (de) 1994-06-16
CA1332700C (fr) 1994-10-25
JPH0272948A (ja) 1990-03-13
ES2055126T3 (es) 1994-08-16
FR2634161A1 (fr) 199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4398B2 (ja) 積層ガラス質薄層の組立て装置
US4773925A (en) Adjustable roll forming arrangement
CN102152605A (zh) 刮板装置及网板印刷机
KR960014028B1 (ko) 유리 박판 조립 장치
KR940011508B1 (ko) 로울러 레벌러(roller leveler)
CN1310811C (zh) 用于传送弯形玻璃板的设备和方法
US4575389A (en) Device for bending glass plates
CA108290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assembly of glass sheets
CN213084933U (zh) 一种布匹输送纠偏装置
KR0167790B1 (ko) 적층 유리판의 가압 조립체용 장치
CN213530249U (zh) 一种h型钢加工用板材矫直装置
WO2020253625A1 (zh) 清洁行走装置、连接桥安装方法、过坡控制组件、光伏单元及光伏阵列
JPS6232652Y2 (ko)
US5441190A (en) Apparatus for displacing a continuous sheet of material
JP3732950B2 (ja) 鋼帯接合装置
CN220563508U (zh) 一种传送带校偏机构
KR100326518B1 (ko) 교량구조물의 박스 거더용 횡리브 제작 시스템
DE9107475U1 (ko)
CN212831716U (zh) 一种口罩打片机口罩片输送装置
US5632665A (en) Device for pressing frame for apertured grills
KR19980046305A (ko) 아암 용접용 지그
CN111928646B (zh) 一种组合模块自动校正装置
KR200172145Y1 (ko) 교량구조물의 박스 거더용 횡리브 제작 시스템
CN2581443Y (zh) 利用连杆机构进行弧度调整的玻璃弯曲装置
DE3124191A1 (de) Kipptisch fuer isolierglasscheib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