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3725B1 -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3725B1
KR960013725B1 KR1019920017658A KR920017658A KR960013725B1 KR 960013725 B1 KR960013725 B1 KR 960013725B1 KR 1019920017658 A KR1019920017658 A KR 1019920017658A KR 920017658 A KR920017658 A KR 920017658A KR 960013725 B1 KR960013725 B1 KR 960013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ed
torque box
closed
vehicl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853A (ko
Inventor
다까유끼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와다 요시히로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내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5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3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7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
제1도는 본 발명에 관계하는 측면부 차체구조가 적용된 자동차의 측면도.
제2도는 개방부 전면가장자리에 있어서의 기둥부주변의 측면부 차체주고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A-A선에서 본 토오크 상자 주변의 세로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B-B선에서 본 토오크 상자 주변의 세로 단면도.
제5도는 토오크 상자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C-C선에서 본 확대단면도.
제7도는 제3도에 있어서의 D-D선에서 본 확대단면도.
제8도는 종래의 측면부 차체구조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개방부 13 : 슬라이드 도어
15 : 기둥부 19 : 바닥패널
20 : 계단패널 23 : 레일부재
24 : 토오크 상자 25 : 전면부재
26 : 후면부재 27 : 상부부재
A, B, C : 폐단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 특히 차체의 측면부에 슬라이드 도어(slide door)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59-171181호 공보에 기재되어있는 바와 같이 차체의 측면부에 슬라이드 도어가 설치되어 이 슬라이드 도어를 차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시킴으로서 차에측면부에 개방부를 개폐하도록 구성된 자동차가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자동차에 있어서는 제8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방부(1)의 전면 가장자리 배치되어 전면타이어(2)의 후방으로부터 전면도어(3)의 뒤끝에 따라 위쪽으로 뻗은 폐단면형상의 기둥부(4)의 이면측에 차폭방향으로 뻗은 토오크상자(torque box)(5)가 배치되어 있고, 이 토오크상자(5)는 전면벽부(5a) 및 후면벽부(5b)와 그 양자에 연이어 접한 자면부(5c)로 이루어지는 역하아트 형상으로 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토오크상자(5)의 상단이 바닥패널(6)의 하면에 접합되어서 그 바닥패널(6)과 폐단면을 형성하므로서 개방부(1) 주변의 측면부 차체에 소요의 강성이나 강도를 부여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구성에서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개방부(1)에 따라 계단패널(7)이 배치되고, 그 계단패널(7)의 전면가장자리부(7a)가 상기한 토오크상자부재(5)의 후면벽부(5b)에 접합되게 된다.
이 때문에 계단패널(7)의 차체전후방향의 길이가 토오크상자(5)의 후면벽부(5b)에 의해 규제되어 계단영역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또한 상기한 계단패널(7)에는 승객의 승강시는 커다란 하중이 작용되게 되기 때문에 그 계단패널(7)의 접합강도를 어떻게 향상시킬 것인가가 과제로 되어 있었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한 계단패널(7)의 아래쪽에는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드(미끄러짐)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이 차체 전후방향으로 배차되어 있는 것이지만, 이 안래레일의 길이가 상기와 같이 토오크상자(5)의 후면벽부(5b)에 의해 규제되어 레일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져서 슬라이드도어 개폐시의 조작성이 저하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차체의 측면부에 슬라이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개방부 전면가장자리의 형성된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개방부 전면가장자리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토오크상자에 개량을 가하므로서 그 개방부 주변에 있어서의 측면부 자체의 강도나 강성의 향상을 도모함과 동시에 상기한 토오크상자에 의해 계단영역이나 안내레일의 길이가 규제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본원의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이하 제1발명이라 한다)은 차체의 측면부에 슬라이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로서 상기 개방부 전면가장자리에 따라서 위쪽으로 뻗은 폐단면형상의 기둥부를 가지고, 그 기둥부 아래끝의 차내측의 측벽에 벽면이 접합되어 차폭방향으로 뻗은 토오크상자가 배치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상자는 전면벽부를 구성하는 전면부재와, 후면벽부를 구성하며 또한 하부가 상기 전면부재의 하부에 접합된 후면부재와, 단면형상이 위쪽이 열린 그 형상으로 차폭방향으로 뻗어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사이에 배치된 상부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부재의 위끝이 바닥패널의 하면에 접합되어 그 바닥패널과 상부부재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토오크상자 후방의 개방부에 따라서 배치된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하단부를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부재는 그앞끝이 토오크상자의 후면부재를 앞쪽으로 넘어 전면부재에 접합되어서 그 레일부재의 하면과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원의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이하 제2발명이라 한다)은 상기한 제1발명과 같이 차체의 측면부에 슬라이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로서 상기 개방부 전면가장자리에 따라서 위쪽으로 뻗은 폐단면형상의 기둥부를 가지고, 그 기둥부 아래끝의 차내측의 측벽에 벽면이 접합되어 차폭방향으로 뻗은 토오크상자가 배치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상자는 전면벽부를 구성하는 전면부재와, 후면벽부를 구성하며 또한 하부가 상기 전면부재의 하부에 접합된 후면부재와, 단면형상의 위쪽이 열린 그 형상으로 차폭방향으로 뻗어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사이에 배치된 상부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부재의 위끝이 바닥패널의 하면에 접합되어 그 바닥패널과 상부부재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토오크상자가 뒤쪽으로 개방부에 따라서 배치된 계단패널의 앞끝이 토오크상자의 후면부재를 전방으로 넘어서 전면부재에 접합되어 그 계단패널의 하면과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원의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이하 제3발명이라 한다)은 상기한 제1, 제2발명과 같이 차체의 측면부에 슬라이드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로서 상기 개방부 전면가장자리에 따라서 위쪽으로 뻗은 폐단면형상의 기둥부를 가지고, 그 기둥부 아래끝의 차내측의 측벽에 벽면이 접합되어 차폭방향으로 뻗은 토오크상자가 배치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상자는 전면벽부를 구성하는 전면부재와, 후면벽부를 구성하며 또한 하부가 상기 전면부재의 하부에 접합된 후면부재와 단면형상이 위쪽이 열린 그 형상으로 차폭방향으로 뻗어 상기 전면부재와 후면부재 사이에 배치된 상부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부재의 위끝이 바닥패널의 하면에 접합되어 그 바닥패널와 상부부재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토오크상자 뒤쪽의 개방부에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도어의 하단부를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부재의 앞끝이 토오크상자의 후면부재를 전방으로 넘어 전면부재에 접합되어서 그 레일부재의 하면과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토오크상자의 후면부재를 전방으로 넘어서 전면부재에 접합되어 그 계단패널의 하면과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의 발명에 의하면 바닥패널과 토오크상자에 있어서의 상부부재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토오크상자에 있어서의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와 레일부재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되게 되어 개방부 주변의 측면부 자체의 강도나 강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레일부재가 후면부재를 넘어서 전면부재에 접합되어 있어 그 만큼 그 레일부재의 길이가 연장되므로 그 레일부재가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드 도어가 양호하게 안내되게 되어 그 슬라이드 도어가 원활히 개폐조작되게 된다.
또, 제2발명에 의하면 바닥패널과 토오크상자에 있어서의 상부부재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토오크상자에 있어서의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와 계단패널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되게 되어 개방부 주변의 측면부 차체의 강도나 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계단패널이 후면부재를 넘어서 전면부재에 접합되어 있으므로 그 만큼 계단패널이 연장되어 이에 의해 계단영역이 확장됨과 동시에 그 계단패널의 하면에 배치되어서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안내레일의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계단패널이 토오크상자에 있어서의 후면부재를 넘어서 전면부재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계단패널의 일부가 후면부재에 지지되게 되어 그 접합강도가 한층 향상된다.
특히, 제3의 발명에 의하면 바닥패널과 토오크상자에 있어서의 상부부재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토오크상자에 있어서의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와 레일부재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되고, 또한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와 계단패널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되게 되어 개방부 주변의 측면부 차체의 강도나 강성이 더한층 향상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1내지 제3의 발명에 공통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차(10)에 있어서의 앞문(11)의 뒤쪽에 위치한 차체측면부에는 개방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방부(12)가 차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슬라이드 도어(13)에 의해 개폐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개방부(12)의 전면 가장자리에 앞타이어(14)의 후방으로부터 앞문(11)의 뒤끝에 따라 위쪽으로 뻗은 기둥부(15)가 배치되어 있고, 그 기둥부(15)의 상단이 지붕패널(16)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내지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기둥부(15)는 차체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부패널(15a)와 여기에 접합된 내부패널(15b)에 의해 폐단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뒤끝에 사이드실부(17)을 구성하는 사이드실 외부패널(17a)가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기둥부(15)를 구성하는 내부패널(15b)의 차내측에 접근한 위치에는 차체에 소요의 강도나 강성을 부여하는 역 하아트형상의 메인프레임(18)이 차체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이 메인프레임(18)에 밑면이 접합된 바닥패널(19)의 측면끝부(19a)가 상기한 내부패널(15b)에 접합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측면 끝부(19a)는 개방부(12)에 따라 차내측으로 근접되어 있으며 그 아래쪽에 계단패널(20)이 배치되어 있다.
이 계단패널(20)의 측면(20a)는 상기한 메인프레임의 측면벽부(18a)에 접합되어 있다.
또, 그 계단패널(20)의 밑면에는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은 보강부재(21)이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 보강부재(21)의 하면에 안내레일(22)가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보강부재(21)의 하면에 상단부가 접합된 상태로 차체 전후방향으로 레일부재(23)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슬라이드 도어(13)는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외부패널(13a)와 내부패널(13b)로 구성되고, 내부패널(13b)의 아래쪽에는 브래킷(13c)를 개재하여 한쌍의 안내로울러(13d)(13d)가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 한쪽의 안내로울러(13d)는 상기한 안내레일(22)에 걸어맞추어지고, 또한 다른쪽의 안내로울러(13d)는 레일부재(23)의 상면(23a)에 지지되어 있어 슬라이드 도어(13)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기둥부(15)의 아래쪽에는 상기한 계단패널(20) 및 레일부재(23)이 앞끝부에 위치하도록 토오크상자(24)가 배치되어 이 토오크상자(24)의 끝면이 기둥부(15)를 구성하는 내부패널(15b) 아래끝에 접합되어 있다.
토오크상자(24)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토오크상자(24)의 전면벽부를 형성하는 전면부재(25)와, 그 토오크상자(24)의 후면벽부를 형성하는 후면부재(26)과, 이들 사이에 배치되어서 차체 전후방향으로 뻗은 상부부재(2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전면부재(25)에는 메인프레임(18)이 관통되는 오목부(2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25')에 메인프레임(18)의 양 측면벽부(18a)(18b)및 저면부(18c)에 접합되는 굴곡부(25a)(25b) 및 (25c)가 각각 형성되며, 위끝에는 상기한 바닥패널(19)의 하면에 접합되는 굴곡부(25d)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앞끝에는 기둥부(15)의 내부패널(15b)에 접합되는 굴곡부(25e)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아래끝에는 후면부재(26)측으로 되접어 꺽어진 굴곡부(25f)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한 후면부재(26)는 계단형상으로 되어 있는바, 상단부에는 상기한 메인프레임(18)의 측면벽(18b)및 저면부(18c)에 접합되는 굴곡부(26a)(26b)가 형성되고, 중간단계에는 상기한 계단패널(20)에 접합되는 굴곡부(26c)(26d)가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상기한 레일부재(23)에 접합되는 굴곡부(26e)(26f)(26g)가 각각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아래끝에는 전면부재(25)측으로 되접어 꺽어진 골곡부(26h)가 형성되어 있어 이 굴곡부(26h)의 상면에 상기한 전면부(25)에 있어서의 굴곡부(25f)가 접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상부부재(27)의 위끝에는 바닥패널(19)의 하면에 접합되는 골곡부(27a)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상부부재(27)의 뒤끝에는 상기한 메인프레임(18)의 측면벽부(18a)에 접합되는 굴곡부(27b)(27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6,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상기한 토오크상자(24)를 구성하는 상부부재(27)과 바닥패널(19)에 의해 폐단면(a)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한 레일부재(23)의 앞끝이 토오크상자(24)를 구성하는 후면부재(26)의 하단부를 전방으로 넘어서 전면부재(25)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레일부재(23)과 상기한 후면부재(26) 및 전면부재(25)에 의해 폐단면(b)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계단패널(20)도 상기한 레일부재(23)과 마찬가지로 후면부재(26)의 중간단계부를 전방으로 넘어서 전면부재(25)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계단패널(20)의 전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플랜지부(20b)가 전면부재(25)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그 계단패널(20)과 상기한 토오크상자를 구성하는 후면부재(26) 및 전면부재(25)에 의해 폐단면(c)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바닥패널(19)와 토오크상자(24)에 있어서의 상부부재(27)에 의해 폐단면(a)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토오크상자(24)에 있어서의 전면부재(25) 및 후면부재(26)과 레일부재(23)에 의해 폐단면(b)가 형성되게 되어 개방부(12) 주변의 측면부 차체의 강도나 강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레일부재(23)이 후면부재(26)을 넘어서 전면부재(25)측으로 연장되는 것에 의해 그 만큼 그 레일부재(23)의 길이가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그 레일부재(23)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드 도어(13)이 양호하게 안내되어서 그 슬라이드 도어(13)이 원활히 개폐조작되게 된다.
또, 상기한 토오크상자(24)에 있어서의 전면부재(25) 및 후면부재(26)에 계단패널(20)에 의해 폐단면(c)가 형성되므로서 개방부(12) 주면의 측면부 차체의 강도나 강성이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계단패널(20)이 후면부재(26)을 넘어서 전면부재(25)에 접합되므로서 그 만큼 그 계단패널(20)이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이에 의해 계단영역이 확장됨과 동시에 그 계단패널(20)의 하면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도어(13)의 슬라이드를 안내하는 안내레일(2)의 레일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계단패널(20)이 토오크상자(24)에 있어서의 후면부재(26)의 중간단계부에 지지되므로 해서 그 접합강도가 한층 향상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제1발명에 의하면 바닥패널과 토오크상자에 있어서의 상부부재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되고 또한 그 토오크상자에 있어서의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와 레일부재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되게 되어 개방부 주변의 측면부 차체의 강도나 강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상기한 레일부재가 후면부재를 전방으로 넘어서 전면부재에 접합되어 있으므로서 그 만큼 그 레일부재의 길이가 연장되어 그 레일부재에 전후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는 슬라이드 도어가 양호하게 안내되게 되어서 그 슬라이드 도어를 원활하게 개폐조작할 수 있다.
또, 제2의 발명에 의하면, 바닥패널과 토오크상자에 있어서의 상부부재로 폐단면이 형성되고, 또한 그 토오크상자에 있어서의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와 계단패널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되므로서 개방부 주변의 측면부 차체의 강도나 강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상기한 계단패널이 후면부재를 전방으로 넘어서 전면부재에 접합되어 있으므로서 그 만큼 계단패널이 연장되어 이에 의해 계단영역이 확장됨과 동시에 그 계단패널의 하면에 배치되어서 슬라이드 도어의 슬라이드에 안내하는 안내레일의 레일길이를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한 계단패널이 토오크상자에 있어서의 후면부재를 넘어서 전면부재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그 계단패널의 일부가 후면부재에 지지되게 되어 그 접합강도를 한층 향상사킬수가 있다.
특히, 제3의 발명에 의하면 바닥패널과 토오크상자에 있어서의 상부부재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됨과 동시에 그 토오크상자에 있어서의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와 레일부재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되고, 또한 전면부재 및 후면부재와 계단패널에 의해 폐단면이 형성되게 되어서 개방부 주변의 측면부 차체의 강도나 강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수 있다.

Claims (3)

  1. 차체의 측면부에 슬라이드 도어(13)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12)가 형성된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로서 상기 개방부(12) 전면가장자리에 따라서 위쪽으로 뻗은 폐단면형상의 기둥부(15)를 가지고, 그 기둥부(15) 아래끝의 차내측의 측벽에 벽면이 접합되어 차폭방향으로 뻗은 토오크상자(24)가 배치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상자(24)는 전면벽부를 구성하는 전면부재(25)와, 후면벽부를 구성하며 또한 하부가 상기 전면부재(25)의 하부에 접합된 후면부재(26)과, 단면형상이 위쪽에 열린 그형상으로 차폭방향으로 뻗어 상기 전면부재(25)와 후면부재(26) 사이에 배치된 상부부재(27)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부재(27)의 위끝이 바닥패널(19)의 하면에 접합되어 그 바닥패널(19)와 상부부재(27)에 의해 폐단면(a)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토오크상자(24) 후방의 개방부에 따라서 배치된 상기 슬라이드 도어(13)의 하단부를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부재(23)은 그 앞끝이 토오크상자(24)의 후면부재(26)를 앞쪽으로 넘어 전면부재(25)에 접합되어서 그 레일부재(23)의 하면과 전면부재(25) 및 후면부재(26)에 의해 폐단면(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
  2. 차체의 측면부에 슬라이드 도어(13)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부(12)가 형성된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로서 상기 개방부(12) 전면가장자리에 따라서 위쪽으로 뻗은 폐단면형상의 기둥부(15)를 가지고, 그 기둥부(15) 아래끝의 차내측의 측벽에 벽면이 접합되어 차폭방향으로 뻗은 토오크상자(24)가 배치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상자(24)는 전면벽부를 구성하는 전면부재(25)와, 후면벽부를 구성하며 또한 하부가 상기 전면부재(25)의 하부에 접합된 후면부재(26)과, 단면형상이 위쪽이 열린 그형상으로 차폭방향으로 뻗어 상기 전면부재(25)와 후면부재(26) 사이에 배치된 상부부재(27)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부재(27)의 위끝이 바닥패널(19)의 하면에 접합되어 그 바닥패널(19)와 상부부재(27)에 의해 폐단면(a)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토오크상자(24) 뒤쪽의 개방부에 따라서 배치된 계단패널(20)의 앞끝이 토오크상자(24)의 후면부재(26)을 전방으로 넘어서 전면부재(25)에 접합되어 그 계단패널(20)의 하면과 전면부재(25) 및 후면부재(26)에 의해 폐단면(c)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
  3. 차체의 측면부에 슬라이드 도어(13)에 의해 개폐되는 개방(12)가 형성된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로서 상기 개방부(12) 전면가장자리에 따라서 위쪽으로 뻗은 폐단면형상의 기둥부(15)를 가지고, 그 기둥부(15) 아래끝의 차내측의 측벽에 벽면이 접합되어 차폭방향으로 뻗은 토오크상자(24)가 배치되어 있는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상자(24)는 전면벽부를 구성하는 전면부재(25)와, 후면벽부를 구성하며 또한 하부가 상기 전면부재(25)의 하부에 접합된 후면부재(26)과, 단면형상이 위쪽에 열린 그형상으로 차폭방향으로 뻗어 상기 전면부재(25)와 후면부재(26) 사이에 배치된 상부부재(27)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부재(27)의 위끝이 바닥패널(19)의 하면에 접합되어 그 바닥패널(19)와 상부부재(27)에 의해 폐단면(a)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토오크상자(24)의 뒤쪽의 개방부에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드 도어(13)의 하단부를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부재(23)의 앞끝이 토오크상자(24)의 후면부재(26)을 전방으로 넘어 전면부재(25)에 접합되어서 그 레일부재(23)의 하면과 전면부재(25) 및 후면부재(26)에 의해 페단면(b)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토오크상자(24)의 후면부재(26)을 전방으로 넘어서 전면부재(25)에 접합되어 그 계단패널(20)의 하면과 전면부재(25) 및 후면부재(26)에 의해 폐단면(c)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
KR1019920017658A 1991-09-30 1992-09-28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 KR9600137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80717 1991-09-30
JP3280717A JP3056561B2 (ja) 1991-09-30 1991-09-30 自動車の側部車体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853A KR930005853A (ko) 1993-04-20
KR960013725B1 true KR960013725B1 (ko) 1996-10-10

Family

ID=17628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7658A KR960013725B1 (ko) 1991-09-30 1992-09-28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56561B2 (ko)
KR (1) KR9600137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9047B2 (en) * 2002-07-19 2004-03-23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hsa Bulkhead locking construction
JP5998606B2 (ja) * 2012-04-19 2016-09-28 スズキ株式会社 ドア保持機構の周辺構造
CN104309705B (zh) * 2014-10-15 2017-07-07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跨界车的前地板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56561B2 (ja) 2000-06-26
JPH0585404A (ja) 1993-04-06
KR930005853A (ko) 1993-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4691B2 (ja) 自動車の後部開閉体構造
JP7487452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7484100B2 (ja) 車両の車体構造
KR960013725B1 (ko) 자동차의 측면부 차체구조
JPH0315576B2 (ko)
JP7545371B2 (ja) 車両側部構造
JP7487451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3437754B2 (ja) 自動車のフロントドア構造
JP7532751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4147638B2 (ja) 車両の車体構造
KR960005857B1 (ko) 차량의 앞부분 차체구조
JP2997740B2 (ja)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JPS63162326A (ja) 幌屋根付車両
JPH0597057A (ja) 自動車の車体補強構造
JPH06255372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JP7484101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7379901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4321035B2 (ja) スライドドア車の車体側部構造
JP3240009B2 (ja) 自動車のロールバー構造
JPH0437030Y2 (ko)
JP4154996B2 (ja) センターピラーレス車両のフロントドアベルトライン補強構造
JP4120202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S5937421Y2 (ja) スライドドアを有する車体のステツプ構造
JPH0710913Y2 (ja) 自動車のルーフエンド構造
JP4305101B2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