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960B1 -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960B1
KR960012960B1 KR1019940004257A KR19940004257A KR960012960B1 KR 960012960 B1 KR960012960 B1 KR 960012960B1 KR 1019940004257 A KR1019940004257 A KR 1019940004257A KR 19940004257 A KR19940004257 A KR 19940004257A KR 960012960 B1 KR960012960 B1 KR 960012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information
server
voice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4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331A (ko
Inventor
서성희
마중수
변재완
김장환
최규석
한성현
김혜순
박용목
김교식
오영진
Original Assignee
한국이동통신중앙연구소
조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이동통신중앙연구소, 조병일 filed Critical 한국이동통신중앙연구소
Priority to KR1019940004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2960B1/ko
Publication of KR950028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9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2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bell or annunciator systems
    • H04M11/022Pag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872Non-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 장치의 전체 구성도.
제2도는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문자 입력 처리 절차도.
제3도는 전화 안내원을 이용한 문자 입력 처리 절차도.
제4도는 전화 음성 측적을 이용한 문자 입력 처리 절차도.
제5a도는 개인용 컴퓨터 메시지의 페이징 시스템으로의 출력처리절차도.
제5b도는 음성 축적 시스템 메시지의 페이징 시스템으로의 출력처리절차도.
제6도는 생활정보 서버 메시지의 페이지 시스템으로의 출력처리절차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102 : 개인용 컴퓨터와 전화기,103 : 공중 전화망(PSTN),
104 : 다수의 지역을 관할하는 페이징 시스템,
105 : 음성 축적 시스템(VMS : Voice Mailing System),
106 : 비디오 디스플레이 단말기(VDT),
107 : 호출자 모뎀 상응 시스템(M/P : Modem Pool),
108 : 문자서버,109 : 공중 데이터망(PSDN),
110 : 생활정보 서버
본 발명은 페이져 사용자중 문자서비스의 가입자들에게 기존에 제공하던 숫자정보 뿐만 아니라 한글, 한자, 영문 등의 문자정보로 된 부가 및 생활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페이져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는 단지 호출자의 전화번호만이 가입자의 페이져에 디스플레이되는 단순한 서비스 방식만이 존재하였다. 또한, 최근들어 생활정보를 숫자로 제공하고 있지만 숫자라는 자체 특성 때문에 가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없는 단점이 있고, 문자를 통해 상세한 서비스에 비해서 매우 부족한 정보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일상에서 사용하는 숫자, 한글, 한자 및 영자 등의 모든 문자로서 부가 및 생활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호출자 단말기인 개인용 컴퓨터 및 전화기로부터 음성 및 문자신호가 페이져 고유번호와 함께 입력되면 문자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문자서버로, 음성신호에 대해서는 음성 축적 시스템으로 전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전달된 신호가 입력되면 문자서버와 음성 축적 시스템 각각은 문자정보 제공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 인지를 확인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의 조사 결과, 등록된 가입자가 아닌 경우는 문자정보제공 불가 및 재입력을 요구하고, 등록된 가입자인 경우는 호출자가 입력한 신호내용이 페이져로의 메시지 전달요구인지 생활정보 제공요구인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수행후, 메시지 전달요구이면 문자서버에서 최종적으로 문자정보로서 패킷화하여 해당 지역의 페이징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 수행후, 생활정보 요구이면 PSDN을 통해 연결된 생활정보 서버(110)로부터의 생활정보를 문자서버에서 패킷화하여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페이징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 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101, 102는 공중전화망(PSTN) 단말기로서의 개인용 컴퓨터와 전화기, 103은 공중 전화망(PSTN), 104는 다수의 지역을 관할하는 페이징 시스템, 105는 음성 축적 시스템(VMS : Voice Mailing System), 106은 비디오 디스플레이 단말기(VDT), 107은 호출자 모뎀 상응 시스템(M/P : Modem Pool), 108은 문자서버, 109는 공중 데이터망, 110은 생활정보 서버를 각각 나타낸다.
소정 구역에서 사용되는 페이져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다수의 페이징 시스템(104)과, 상기 다수의 페이징 시스템에 공중전화망(PSTN : 103)을 통해 연결되며, 호출자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개인용 컴퓨터(101) 및 전화기(102)와, 상기 다수의 페이징 시스템(104)으로 메시지 출력 통신회선(RS232C 통신방식)으로 문자정보를 제공하는 문자서버(108)와 전화기(102)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PSTN(103) 및 페이징 시스템(104)을 거친 호출자의 음성정보를 상기 문자서버(108)로 제공하는 음성 축적 시스템(105)과, 상기 페이징 시스템(104)과 문자서버(108)간에 설치되어 개인용 컴퓨터(101)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PSTN(103)을 거친 호출자의 문서정보의 다중 채널로서 경로를 제공하는 호출자 모뎀 상응 시스템(M/P : 107)와, PSDN(109)를 통해 상기 문자서버(108)에 연결되어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생활정보 서버(11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음성축적 시스템(105)은 가입자 데이타 베이스(DB)를, 문자서버(108)는 시스템 데이타 베이스를 관리한다.
이제 제2도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문자서비스를 위한 입력 경로는 크게 2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개인용 컴퓨터(101)을 통한 입력과 둘째는 전화기(102)를 통한 입력으로 나누어진다.
제2도는 개인용 컴퓨터(101)를 통한 문자 입력 처리절차도이다.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문자정보의 입력은 개인용 컴퓨터(101)내의 통신용 에뮬레이터 프로그램(Emulator program)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먼저 호출자는 자신의 개인용 컴퓨터(101)를 통해 가입자에게 보내고자 하는 송신용 메세지를 작성하고 이를 개인용 컴퓨터(101)에 접속되어 있는 통신용모뎀을 통해서 문자서버(108)로 입력을 실시한다. 이때 입력시 필요한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 페이져 고유호(id)
- 호출 시간
- 호출 형태(즉시, 반복, 예약)
- 예약 시간
- 반복 호출시 반복 주기
- 송신 메세지
- 송신 메시지 크기
이는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호출자인 개인용 컴퓨터(101)에서 입력 화일을 문자서버(108)로 보내면 문자서버(108)는 페이져 고유번호(id)를 검사한다. 검사 결과 페이져 고유번호(id)가 문자서버(108)내에 등록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호출자인 개인용 컴퓨터(101)로 수신 불가 응답(NAK)를 보내어 제전송을 실행하게 하고, 등록이 되어 있을 경우 문자서버(108)는 개인용 컴퓨터(101)로 수신 가능 응답(ACD)을 보내고, 수신된 문자 화일을 통신용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다수의 페이져를 관리하는 페이징 시스팀(104)으로 전송함으로써 처리철자는 끝난다.
이때, 개인용 컴퓨터(101)내에서 사용되는 통신용 에뮬레이터 프로그램은 버젼이 바뀔 때마다 자신도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갖게 하였으며, 다수의 개인용 컴퓨터(101)를 이용하여 다수의 호출자가 동시에 문자서버(108)로 접속을 시도할 때, 이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키 위해 다중 채널인 호출자 모뎀 상응 시스템(107)을 문자서버(108)에 설치하였으므로 동시에 다중 채널 개인용 컴퓨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3도 및 제4도는 전화를 이용한 문자입력 처리절차도로서, 제3도는 전화 안내원을 통한 문자 입력 처리절차도이고, 제4도는 음성 축적을 통한 문자 입력 처리절차도이다.
전화안내양을 이용한 입력은 전화기(102)로 호출자가 PSTN(103)을 통해서 자동 음성 응답 장치인 음성 축적 시스템(VMS : 105)에 접속이 되며 음성 축적 시스템(VMS : 105)은 음성 메세지를 호출자에게 제공하여 문자 입력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필요한 정보로서 수신된 페이져 고유번호(id)가 등록된 가입자일 경우에는 안내원 쪽으로 논리 회선을 접속시킨다. 그러나 호출될 페이져 고유번호(id)가 등록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페이져 고유번호(id)의 재입력을 요구한다.
만약, 음성 축적 시스템(VMS : 105)의 입력 회선수(Mi)가 안내원 단말기인 비디오 디스플레이 단말기(VDT : 106)의 접속 회선수(Mj)보다 크면, 즉 동시에 다수의 전화기(102) 호출자가 입력을 시도할 경우 비디오 디스플레이 단말기(VDT : 106)의 접속회선(Mj)보다 커질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에는 집적 안내양 쪽으로 논리 회선을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호출자가 특정 축적 시스템에 음성 메세지를 입력하도록 음성 축적 시스템(VMS : 105)이 호출자를 제어한다.
따라서, 음성축적 시스템(105)의 입력회선수(Mi)가 안내원 단말기인 비디오 디스플레이 단말기(106)의 접속회선수(Mj)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출자의 입력 정보가 바로 안내원에게 전달되어 처리되는데, 그 반대로 음성축적 시스템(105)의 입력회선수(Mi)가 안내원 단말기인 비디오 디스플레이 단말기(106)의 접속회선수(Mj)보다 큰 경우는 제4도와 같이 음성축적 시스템(105)에 입력시키도록 한 후, 나중에 안내원이 축적 시스템을 선택하여 정보를 수신함으로 처리되게 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음성축적 시스템(105)의 입력회선수(Mi)가 안내원 단말기인 비디오 디스플레이 단말기(106)의 접속회선수(Mj)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양을 통한 직접입력의 경우로서 음성 축적 시스템(VMS : 105)가 가입자의 페이져 id를 검사한 후 등록이 되었을 경우, 논리 채널을 안내양 쪽으로 연결시켜서 호출자로부터 음성 입력이 전달가능하도록 하고 비디오 디스플레이 단말기(VDT : 106)의 안내양은 음성을 청취한 후, 이를 비디오 디스플레이 단말기(VDT : 106)를 통해 음성 축적 시스템(VMS : 105)로 문자 데이타를 전송하면, 음성축적 시스템(105)은 문자데이타를 블럭단위로 문자서버(108)로 전송하고 문자서버(108)는 이를 다시 페이징 시스팀(104)으로 송신한다.
한편, 음성축적 시스템(105)의 입력회선수(Mi)가 안내원 단말기인 비디오 디스플레이 단말기(106)의 접속회선수(Mj)보다 큰 경우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호출자가 음성 데이타를 음성 축적 시스템으로 입력하게 한다. 호출자로부터의 음성 입력 완료신호를 수신하면 음성축적 시스템(105)은 ACD(Automatic Call Distributor) 기능을 이용해서 현재 유휴(idle) 상태에 있는 안내원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모든 안내원이 비지(busy) 상태에 있게 되면 호출자가 입력시키는 음성을 ADPCM화 시켜서 축적 시스템이 입력시키고 입력이 완료되면 비디오 디스플레이 단말기(VDT : 106)들의 현재 음성 축적 시스템 번호 대기 리스트를 체크한다. 만약 가장 작은 음성 축적 시스템 번호 대기 리스트를 가진 비디오 디스플레이 단말기(VDT : 106)가 있으면 그 비디오 디스플레이 단말기(106)를 선택해서 현재 입력 완료한 음성축적 시스템(105)의 번호를 해당 비디오 디스플레이 단말기 리스트에 추가시킨다.
안내원이 현재 서비스 중인 처리를 끝내고 대기중인 음성축적 시스템(105)의 번호 중에 가장 오래된 것을 하나 선택하면 안내원의 인터폰으로 음성 축적 시스템의 내용이 청취되고 안내양은 이를 비디오 디스플레이 단말기(VDT : 106)를 통해 문자 데이타로서 음성축적 시스템(105)로 입력시키게 된다. 이 문자 데이타 입력이 완료되면 음성 축적 시스템(VMS : 105)은 이를 다시 문자서버(104)로 전송하고 문자서버(108)는 이를 다시 페이징 시스템(104)로 송신한다.
이제, 문자서버(108)에서 페이징 시스템으로의 정보 데이타 출력처리절차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 문자서버(108)에서 페이징 시스템(104)으로의 출력방법은 크게 2가지 방법으로 구현하였다. 첫째, 개인용 컴퓨터(101)를 통해 입력된 메세지에 대해서는 X. 25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해서 송신하며, 둘째, 전화기(102)를 통해 입력된 메세지에 대해서는 TAP을 통해서 송신하는 2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두가지 방법이 범용성있게 사용될 것으로 예측되고, 따라서 출력부에는 호환성을 갖도록 두가지 모두를 선택하였다.
제5a도는 개인용 컴퓨터(101)를 통해 입력된 메세지의 문자서버(108)로부터 페이징 시스템(104)으로의 정보 출력 처리절차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서버(108)에서 페이징 시스템(104)으로의 데이타 전송은 패킷형태로의 전송이 이루어지는데, 문자서버(108)에 페이징 시스템(104)을 직접 연결하여, 호출자로부터의 입력 메세지가 수신되면 X. 25 프로토콜의 PVC(Permanent Virtual Circuit)를 통해 입력 메시지를 패킷화하여 전송을 실시한다.
제5b도는 전화기(102)를 통해 입력한 메세지에 대하여 문자서버(108)로부터 페이징 시스템(104)으로의 정보 출력 처리절차도이다.
전화기(102)를 통해 입력한 메세지에 대하여 문자서버(108)로부터 페이징 시스템(104)으로의 정보출력은 단지 ASCII 문자를 사용해서 비동기 통신으로 정보를 송신을 처리하는데, 송신처리는 공지의 TAP(Telecator Alphnumeric Protocol)을 이용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TAP를 이용한 송신 처리절차는 크게 4단계로 나눌 수 있다.
첫째는, 회선 접속으로서 통신 회선의 논리적 접속을 실시한다. 둘째는 메세지 송신을 위한 점검을 실시하고, 세째는 송수신 준비가 완료되면 메세지를 전송한다. 네째는 메세지의 전송을 모두 수행한 후 회선 절단을 실시하는 절차이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메세지 전송 전에 문자서버(108)가 페이징 시스템(104)에 접속하기 위하여 논리회선 접속을 요청하면, 페이징 시스템(104)이 논리회선 접속요구에 대한 응답신호를 보냄에 따라 논리회선이 개설된다. 이에 따라 메세지 수신준비 요청신호를 보내고, 이에 대한 준비완료 응답이 접수되면 메세지를 전송한다. 문자서버(108)는 페이징 시스팀(104)으로 문자정보의 블럭 단위 전송을 실시한다. 각 블럭은 256바이트로 구성되며 보통 첫번째 필드는 가입자의 페이져 고유번호(id)를 나타낸다. 그리고 모든 메세지에 대해 전송이 완료되면 페이징 시스템(104)측으로 논리회선 절단 요청신호를 보내고, 논리회선 절단응답이 페이징 시스템(104)으로부터 접수됨에 따라 메세지 송신절차를 종료한다.
제6도는 생활정보 서버(110)에서 문자서버(108)로의 메세지 전송에 관한 서비스의 처리절차도이다.
생활정보의 제공은 페이져를 휴대한 페이져 이용자의 요청에 의해 제공되는데, 서비스의 제공은 임의의 요청에 의한 임의 제공과 일정 주기로 제공하는 정기 제공방식이 이용되며, 메시지의 전송은 기본적으로 X. 25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여기서, 서비스되는 생활 정보는 증권 정보, 금융 정보, 부동산 정보, 농수산물 정보 등의 일반적으로 많이 검색에 사용되는 정보로서 이들은 현재 PSDN망(109)에 연결되어 정보 서비스를 실시하는 생활정보 서버(110)에 저장되어 있다.
페이져 이용자가 생활정보 서비스를 임의 제공 또는 정기 제공으로 요청하는 경우 전화기(102)를 이용하여 요청하게 되는데, 전화기(102)를 통한 생활정보 요청신호는 음성축적 시스템(105)에 접수되고, 음성축적 시스템(105)은 이를 약정된 프로토콜에 의해 문자서버(108)와 PSDN(109)를 거쳐 생활정보 서버(110)에 전달하여 생활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게 된다. 문자서버(108)와 생활정보 서버(110) 사이의 통신 처리 절차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세 단계로 구분 지울 수 있다.
첫 단계는 문자서버(108)와 생활정보 서버(110) 사이의 호 접속하는 절차로서, 둘 사이의 가상회로(Virtual Circuit)를 개설하는 절차이다. 두번째 단계는 문자서버(108)와 생활정보 서버(110)에 패킷 데이터를 서로 송순신하는 단계로서 필요한 생활 정보 및 제어 데이터를 페이징 시스팀(104)으로 송신하여 문자 데이터를 송출시킨다. 세번째 단계는 문자서버(108)와 생활정보 서버(110) 사이에 패킷 데이터의 송수신이 완료되면 접속되었던 가상회로(Virtual Circuit)를 다시 해지하는 절차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생활정보 서버(108)는 서비스 제공 요청을 받으면 PSDN(109)으로 호 요청을 하고, 이에 따라 PSDN(109)은 문자서버(108)로 호 접속을 지시한다. 문자서버(108)는 호 접속을 받아들여 PSDN(109)으로 통보하면 PSDN(109)이 호 접속을 생활정보 서버(110)로 통보한다.
호 접속이 완료됨을 통보받은 생활정보 서버(110)는 제공대상이 되는 페이져의 고유번호 데이타를 필두로 정보메세지의 패킷데이타를 문자서버(108)에 제공하고, 문자서버(108)는 각 메세지 패킷의 수신시 마다 수신 확인(ACK, NAK) 신호를 생활정보 서버(110)로 제공한다.
정보 메세지 패킷의 전송이 완료되면 PSDN(109)으로 호 해제 요구를 보내고 PSDN(109)이 문자서버(108)와 생활정보 서버(110)로 호 해제를 기시하여 호 접속을 해제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번호 체계는 개인용 컴퓨터(101)를 통해서 입력할 경우와 전화기(102)를 통해서 입력할 경우가 서로 다르다.
가 개인용 컴퓨터를 통한 입력시 번호 체계
개인용 컴퓨터(101)를 이용해 입력할 경우의 번호 체계는 개인용 컴퓨터(101)내에 저장된 PC 통신용 에뮬레이터 프로그램(Emulator Program)에 특번 형식으로 저장된다. 이 번호는 호출자가 알 필요가 전혀 없다.
예) 번호체계 : 012-특번+호출번호
나 전화기를 통한 입력시 번호체계
전화기(102)를 통해서 입력시 번호 체계는 각 지역의 국번과 특정 4자리 번호로 구성된다.
예) 번호체계 : 012-각 지역 국번 + XXXX
이때의 처리 방식은 DID(Direct Inward Dial) 방식으로 호출자 트랙픽에 따라 적정하게 운용된다.
그리고, 문자서버(108)의 유지 보수 및 시스팀 관리 기능은 다음과 같다.
가 가입자 제어 관련 기능
- 가입자 신규 기능
- 가입자 해지 기능
- 가입자 내용 변경 기능
- 통화 정지 및 해지 기능
- 특수 서비스등록 및 해지 기능(생활 정보, 사용 서비스 등)
- 총 가입자 내역 확인(국번별, 채널별, 통화 정지 내역별, 특수 서비스별)
나 통계처리 기능
- 호처리 통계기능(채널별, 입력 포트(port)별, 통화호수, 불량호수, 홀딩 시간(Holding Time))
- 부하 통제 기능(시스팀 파트 별 부하 통계)
- 시간별 자동 통계 출력 기능(일별, 월별)
다 일반 기능
- 포트(port)별 로그 인(login) 기능
- 포트별 세팅기능
- 포트별 사용 현황(실시간 정)
- 시스팀 전체 상태 파악 기능
- 시스팀 큐(Wueue)확인 기능(우선 순위별, 무선 채널(FE ch)별)
- TAP 셋팅 기능, 상태확인기능, 테스트기능
- 프로세서 절체 기능(이중화시)
- 과부하 제어 기능
- 시스팀 재시도 기능
- 정보 출력 기능
라 기타 기능
- 경보 인지 기능
- 과금 기능(메세지 길이별)
- 과금 자료 백업(back-up)기능
- 과금 자료 초기화 기능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개인용 컴퓨터 및 전화기를 통한 숫자, 영문, 한글, 한자 등의 입력 방법과 입력된 데이터의 페이징 시스팀을 통한 출력 방법, 그리고 생활 정보 등의 고부가 가치 정보를 가입자 페이져로 송출하는 방법을 구현하여 이들을 통해서 새로운 서비스를 일반 가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숫자만 서비스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를 통한 질 높은 정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소정 구역에서 사용되는 페이져로의 스위칭을 수행하는 다수의 페이징 시스템(104)과, 상기 다수의 페이징 시스템(104)에 공중전화망(PSTN : 103)을 통해 연결되며, 호출자 단말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개인용 컴퓨터(101) 및 전화기(102)와, 상기 다수의 페이징 시스템(104)으로 메세지 출력 통신회선으로 문자정보를 제공하는 문자서버(108)와, 전화기(102)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PSTN(103) 및 페이징 시스템(104)을 거친 호출자의 음성정보를 상기 문자서버(108)로 제공하는 음성축적 시스템(105)과, 상기 페이징 시스템(104)과 문자서버(108)간에 설치되어 개인용 컴퓨터(101)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PSTN(103)을 거친 호출자의 문서정보의 다중 채널로서 경로를 제공하는 호출자 모뎀 상응 시스템(M/P : 107)과, PSDN(109)를 통해 상기 문자서버(108)에 연결되어 생활정보를 제공하는 생활정보 서버(110)를 구비하는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제공장치에 적용되는 문자정보 제공방법에 있어서, 호출자 단말기인 개인용 컴퓨터(101) 및 전화기(102)로부터 음성 및 문자신호가 페이져 고유번호와 함께 입력되면 문자신호에 대해서는 상기 문자서버(108)로, 음성신호에 대해서는 음성축적 시스템(105)으로 전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전달된 신호가 입력되면 문자서버(108)와 음성축적 시스템(105) 각각은 문자정보 제공 서비스에 등록된 가입자 인지를 확인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의 조사 결과, 등록된 가입자가 아닌 경우는 문자정보제공 불가 및 재입력을 요구하고, 등록된 가입자인 경우는 호출자가 입력한 신호내용이 페이져로의 메시지 전달요구인지 생활정보 제공요구인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 수행후, 메시지 전달요구이면 문자서버(108)에서 최종적으로 문자정보로서 패킷화하여 해당 지역의 페이징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3단계 수행후, 생활정보 요구이면 PSDN(109)을 통해 연결된 생활정보 서버(110)로부터의 생활정보를 문자서버(108)에서 패킷화하여 해당 지역을 관할하는 페이징 시스템(104)으로 전송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전화기(102)를 이용한 메시지 전달 및 개인용 컴퓨터(101)로 작성한 문자신호의 전달요구가 입력되면 음성신호에 의한 메시지는 음성축적 시스템(105)으로 전달하고, 문자신호에 의한 메시지는 다중 채널인 호출자 모뎀 상응 시스템(107)을 통해 문자서버로 전달하는 단계와, 음성축적 시스템(105)으로 입력된 음성신호 메시지에 대해서 전화안내원이 청취하여 문자 데이타화하는 단계와, 음성축적 시스템(105)에서 문자화된 메시지를 문자서버(108)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축적 시스템(105) 및 호출자 모뎀 상응 시스템(107)을 통해 전달된 문자 메시지를 문자서버(108)가 해당지역의 페이징 시스템(104)으로 패킷화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안내원이 청취하여 문자 데이타화는 단계는, 전화안내원이 모두 비지(busy) 상태가 아닌 경우는, 호출자와 안내원을 직접 연결하여 안내원이 청취하여 문자데이타화하는 단계와, 전화안내원이 모두 비지(Busy)일 경우는 호출자가 입력시키는 음성을 ADPCM화시켜 음성축적 시스템(105)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전화 안내원의 모두 비지 상태가 해소되면 저장된 음성 데이타를 청취하여 문자데이타화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된 문자 메시지를 문자서버(108)가 해당지역의 페이징 시스템(104)으로 패킷화하여 전송하는 단계에 있어서 X. 25 프로토콜의 PVC(Permanent Virtual Circuit)를 통해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된 문자 메시지를 문자서버(108)가 해당지역의 페이징 시스템(104)으로 패킷화하여 전송하는 단계에 있어서 단지 ASCII 문자를 사용해서 비동기 통신으로 정보의 송신을 처리하되 TAP(Telecator Alphanumeric Protocol)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방법.
KR1019940004257A 1994-03-04 1994-03-04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 방법 KR960012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4257A KR960012960B1 (ko) 1994-03-04 1994-03-04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4257A KR960012960B1 (ko) 1994-03-04 1994-03-04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331A KR950028331A (ko) 1995-10-18
KR960012960B1 true KR960012960B1 (ko) 1996-09-25

Family

ID=1937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257A KR960012960B1 (ko) 1994-03-04 1994-03-04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29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67188B1 (ko) * 1997-03-04 2000-10-16 최윤석 광고용 선택무선호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331A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31974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aller identification to a called party for calls relayed through a call center
US724886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calling party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6721397B1 (en) System and method for message exchange over a public-switched telephone network
JPH05236118A (ja) 発呼ラインの識別
JPH03145860A (ja) 音声データ信号転送方法とその処理システム
CN100505803C (zh) 面向分组网络中的自动回叫方法
KR100513217B1 (ko) 호출처리시스템및방법
KR100600904B1 (ko) 착신전화응답지연방법
US7106838B2 (en) Method for serving character message transmission during telephone call over PSTN
CN1799250A (zh) 在连接请求者和通信中心之间建立连接的系统和方法
KR960012960B1 (ko) 페이져로의 문자정보 서비스 방법
KR100469609B1 (ko) 유무선 연동 불완료 호 발신정보 제공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U732987B2 (en) Device and method for informing subscriber of call incoming during data communication service
JPH11275236A (ja) 通信システム
JP3337952B2 (ja) 発信番号非通知呼応答方式及び方法
KR100439060B1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H10322454A (ja) 通信ネットワーク
KR100894907B1 (ko) 이동통신망에서 통화연결음을 이용한 응답 메시지 제공시스템,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JPS6031349A (ja) キ−番号照合接続方式
KR100214648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클립 기능을 이용한 선택적 음성 메시지 녹음 및 송출 제어방법
KR100241731B1 (ko) 페이저 응답호 자동 교환장치 및 방법
KR19990016061A (ko) 적외선 통신을 이용한 무선호출정보 표시 방법 및 문자정보입력 방법
KR20010035424A (ko) 유선 전화 자동 응답 장치 및 방법
KR100242703B1 (ko) Isdn 교환기에서의 자기 단말 번호 디스플레이 방법
KR100545650B1 (ko) 사설교환기시스템의 메시지 스크린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