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948B1 -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948B1
KR960012948B1 KR1019940004378A KR19940004378A KR960012948B1 KR 960012948 B1 KR960012948 B1 KR 960012948B1 KR 1019940004378 A KR1019940004378 A KR 1019940004378A KR 19940004378 A KR19940004378 A KR 19940004378A KR 960012948 B1 KR960012948 B1 KR 960012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ain body
operator
interphone
interphon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4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8330A (ko
Inventor
최병도
박선용
최원석
박영복
Original Assignee
최병도
최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도, 최윤호 filed Critical 최병도
Priority to KR1019940004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2948B1/ko
Publication of KR950028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8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9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Interconnected Communication Systems, Intercoms, And Interpho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
제1도는 호이스트 카용으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호출장치를 나타낸 시스템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를 나타낸 시스템구성도.
제3도는 제2도에서의 인터폰장치(30)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4도는 제2도에서의 본체(20)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본체,21 : 호출표시등,
22 : 선택버튼,23 : 경광등,
24 : 스피커,25 : 볼륨조절버튼,
26 : 전원스위치,27 : 핸드셋트,
28 : 호출버튼,29 : 모드변환스위치,
30 : 인터폰장치,31 : 핸드셋트,
311, 271 : 송화부,312, 272 : 증폭회로,
313, 273 : 수화부,32 : 발신부,
33 : 어드레스 발생부,331 : 변조회로,
332 : 코드발생기,34 : 착신음 발생부,
35 : 신호처리부,42 : 착신음 발생부,
43 : 신호입출력부,44 : 신호처리부,
45 : 선로 개폐부,46 : 전원공급장치,
47 : 변조회로,48 : 음성 확인부,
49 : 음성 저장부,50 : A/D 변환기,
51 : D/A 변환기,52 : 제어부,
53 : 프로그램 메모리,54 : 데이터 메모리,
55 : 레지스터
본 발명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호이스트 카(Hoist car)에 설치되어, 호이스트카의 운전원과 작업자 사이의 상호 호출 및 통화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장, 특히 고층건물 신축현장에 있어서는 지상으로부터 각 층으로, 또는 각 층간에 건축자재나 작업공구 등을 운반하기 위해 호이스트카를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는 바, 이 호이스트카는 운전원이 고층건물의 각 층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로부터 호출을 받아 운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호이스트카의 이용시에는 작업자와 운전원 사이의 상호 의사교환이 필요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각 층의 작업자가 지상에 있는 호이스트카 운전자에게 육성을 통해 의사를 전달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의사교환 과정에서 작업자가 지상으로 추락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각 층의 작업자가 운전자를 용이하게 호출하기 위한 호출장치가 개발되어 채용되고 있는 바, 이를 제1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서 참조번호 1은 장치 본체이고, SW1~SW4는 각 층에 설치되어 작업자가 호이스트카의 운전원을 호출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2는 각층에 대응되는 다수의 발광부이고, 3은 호출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이다.
즉,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의 임의의 층의 작업자가 해당 층에 설치된 호출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본체의 해당 층에 대응하는 발광부가 점등되면서 스피커(3)를 통해 호출음이 방출되게 된다.
따라서, 각 층의 작업자는 발코니와 같은 추락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육성으로 호이스트카의 운전원을 호출하지 않아도 된다.
그런데,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게 된다.
즉,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는 각 층의 작업자는 단지 운전원을 호출할 수만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운전원과의 대화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여전히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는 본체(1)과 각 층의 스위치(SW1~SW4)를 연결하기 위해 각각 2개의 선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건축하는 건물이 고층인 경우에는 선의 수효가 많아지게 되므로 설치시에 전문적인 선로 공사요원이 필요하게 되고, 또한 다량의 선로를 사용함에 따라 선의 굵기가 가늘어지게 되므로 바람이나 기타 진동 등에 의해 선이 절단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해서 창출된 것으로서, 호이스트카의 운전원과 각 층의 작업자 사이의 호출 및 통화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된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는 각 작업장에 설치된 다수의 인터폰 장치와, 이 인터폰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수단을 적어도 갖춘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터폰 장치는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한쌍의 전송선로 상에 병렬로 접속됨과 더불어, 각기 다른 어드레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원과 작업장을 인터폰 장치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운전원과 작업자 사이의 원활한 통신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체와 인터폰 장치를 단지 2개의 선을 이용하여 병렬접속하여 사용하게 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의 시스템구성을 나타낸 시스템구성도로서, 이는 각 층에 설치되는 작업자용 인터폰장치(30)와, 이들 인터폰장치(30)를 제어함과 더불어 인터폰장치(30)를 사용하는 작업자와 호이스트카의 운전원 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본체(20)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는 호출이 있는 층이나 또는 운전원이 호출을 위해 선택한 층을 표시하기 위한 다수의 호출표시등(21)과, 이 호출표시등(21)의 소등과 호출을 위한 층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버튼(22), 인터폰장치(30)로부터의 호출이 있음을 운전원에게 시각적 청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경광등(23) 및 스피커(24), 이 스피커(24)의 출력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볼륨 조정버튼(25), 본 장치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전원스위치(26), 운전원이 인터폰장치(30)와 통화를 수행하게 되는 핸드셋트(27), 상기 선택버튼(22)으로 선택한 해당 층으로 호출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호출버튼(28) 및, 운전원이 본체(20)가 아닌 다른 층으로 호출을 받기 위한 모드변환스위치(29)를 구비하고 있다.
즉, 상기 시스템에 있어서는, 소정의 층에서 작업하는 작업자가 인터폰장치(30)를 이용하여 운전원을 호출하게 되면 본체(20)에서는 호출이 있는 층에 해당하는 호출표시등(31)이 점등됨과 더불어 경광등(23)과 스피커(24)로 호출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운전원에게 호출이 있음을 알리게 된다.
그리고, 운전원이 핸드셋트(27)를 들고 해당 층의 선택버튼(22)을 누르게 되면 운전원은 호출이 있었던 인터폰장치(30)와 핸드셋트(27)를 통해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운전원이 원하는 층의 작업자와 통화를 원하는 경우에는 핸드셋트(27)를 들고 원하는 층에 해당하는 선택버튼(22)을 누른 후 호출버튼(28)을 누르게 되는 바, 이 경우에는 본체(20)측에서 인터폰장치(30)로 호출신호를 송출함으로써 해당 층의 작업자와 통화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기서 다수의 인터폰장치(30)는 각각 고유 어드레스를 갖추어 본체(20)와 인터폰장치(30) 사이의 식별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또한, 운전원이 본체(20)의 모드변환 스위치(29)를 누르고 선택버튼(22)을 조작하여 원하는 층을 선택하게 되면, 본체(20)는 인터폰장치(30)로부터의 호출이 있을 때 이를 운전원이 선택한 층의 인터폰장치(30)측으로 연결함으로써 운전원의 작업 편리성을 도모하게 된다.
제3도 및 제4도는 상기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체(20)와 인터폰장치(30)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이하 제3도 및 제4도를 참조하여 상기한 기능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3도는 각 작업층에 설치되는 인터폰장치(3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 도면에서 참조번호 31은 송화부(311)와 수화부(313) 및 송화부(311)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회로(312)를 구비한 핸드셋트이고, 32는 작업자가 인터폰장치(30)의 핸드셋트(31)를 오프훅하게 되면 그에 따른 발신신호를 출력하는 발신부, 33은 인터폰장치(30)의 고유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코드발생기(332)와 이 코드발생기(332)로 출력되는 코드신호를 주파수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회로(331)로 구성된 어드레스 발생부, 34는 본체(20)로부터의 호출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링신호 등의 착신음을 발생하는 착신음 발생부, 35는 본 인터폰장치(30)와 본체(20) 사이의 송수신에 따른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로서 특히 본체(20)로부터 호출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그 호출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어드레스 데이터와 해당 인터폰장치(30)의 고유 어드레스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어드레스가 일치하는 호출신호에 대해서만 운전원과 작업자 사이의 통화를 위한 송수신 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제4도는 제2도에서의 본체(2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제4도에서 참조번호 27은 제2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화부(271)와 이 송화부(271)로부터의 출력 음성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272) 및 수화부(273)를 구비한 핸드셋트이고, 42는 인터폰장치(30)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에 링신호 등의 착신음을 발생시키는 착신음 발생부, 43은 본체(20)에 갖추어진 각종 버튼 및 스위치와 표시등에 대한 신호 입출력을 수행하는 신호 입출력부, 44는 본체(20)와 인터폰장치(30)의 송수신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 45는 제어부(52)의 제어에 따라 인터폰장치(30)와 본체(20)의 핸드셋트(27) 사이의 통화로를 개폐하는 선로 개폐부, 46은 각 작업장에 설치된 인터폰장치(30)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 47은 제어부(52)로부터 출력되는 코드신호(어드레스 신호)와 호출신호 등을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회로이다.
또한, 참조번호 48은 인터폰장치(30)로부터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확인하는 음성확인부이고, 49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는 예컨대 RAM 등으로 구성된 음성저장부, 50은 선로개폐부(45)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탈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51은 상기 음성 저장부(49)에 저장된 디지탈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로서, 이들은 운전원이 부재중인 상태에서 작업장에 화재와 같은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참조번호 52는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이고, 53은 이 제어부(52)의 동작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메모리, 54는 장치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메모리, 55는 운전원이 다른 인터폰장치(30)를 통해 호출을 받는 모드변환 기능을 선택할 때 그 선택에 대응하는 상태 데이터를 저장하는 상태 레지스터인 바, 이하 상기 제어부(52)에 제어동작 근거로 본 실시예에 따른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인터폰장치(30)로부터 본체(20)로의 호출동작을 설명한다.
작업자가 운전원을 호출하기 위해 인터폰장치(30)의 핸드셋트(31)를 들게 되면 발신부(32)로부터의 발신신호에 따라 코드발생기(33)로부터 해당 인터폰 장치의 어드레스 코드 데이터와 호출신호가 출력되어 신호처리부(35)를 통해 본체(20)로 전송되게 된다.
한편, 본체(20)측에서는 신호처리부(44)의 복조처리에 의해 어드레스 코드데이터와 호출신호가 입력되게 되면 제어부(52)는 우선 레지스터(55)를 참조하여 모드변환 기능이 선택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다음 모드변환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그램 메모리(53)에 저장된 각 층에 따른 코드데이터와 신호처리부(44)를 통해 입력된 코드데이터를 근거로 호출이 있는 층을 확인한 후, 신호입출력부(43)를 통해 본체(20)의 해당 층에 대응하는 호출표시등(21)을 점등함과 더불어 경광등(23)과 스피커(24)를 작동시켜 운전원에게 호출이 있음을 알리게 된다.
그리고, 운전원이 핸드셋트(27)를 들어 훅스위치가 오프훅되게 되면 선로 개폐부(45)를 제어하여 통화로를 개방함으로서 운전원과 작업자가 통화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이상의 동작에 의해 작업자와 운전원이 통화를 실행하는 도중에 다른 층의 인터폰장치(30)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한 동작과 마찬가지 방식으로 호출이 있는 인터폰장치(30)에 대하여 선로를 개방함으로써 다수의 작업자와 운전원이 동시에 통화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동작에서 운전원이나 작업자가 핸드셋트를 들어 올리는 것을 검출하는 동작은 일반적인 전화장치나 인터폰 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는 선로의 극성 반전 검출을 통해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도면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 운전원이 본체(20)를 이용하여 인터폰장치(30)를 호출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운전원이 소정의 인터폰장치(30)를 호출하는 경우에는 본체(20)의 핸드셋트(27)를 들고 선택버튼(22)을 이용하여 원하는 층을 선택함과 더불어 호출버튼(28)을 누르게 되는 바, 이때 제어부(52)는 신호입출력부(43)를 통해 상기한 조작과 따른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신호입출력부(43)를 통해 운전원이 선택한 층에 대응되는 호출표시등(21)을 점등표시함과 더불어 프로그램 메모리(53)에 저장된 선택된 층의 인터폰장치(30)에 대응하는 코드번호를 독출하여 이를 변조회로(47)와 신호처리부(44)를 통해 전송선로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인터폰장치(30)에 있어서는 신호처리부(35)가 입력된 코드신호를 근거로 자신의 장치에 대한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자신의 장치에 대한 호출인 것으로 판정되면 착신음 발생부(34)를 통해 호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호출신호에 따라 해당 작업장의 작업자가 핸드셋트(31)를 오프훅하게 되면, 본체(20)측의 제어부(52)는 극성반전 신호를 검출하여 선로 개폐부(45)를 개방함으로써 운전원과 작업자 사이의 통화로를 개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통화로 개방은 본체(20)측이나 인터폰장치(30)측의 핸드셋트가 온훅될 때까지 지속되게 된다.
다음, 본 실시예에 따른 모드변환 기능을 설명한다.
이 모드변환 기능은 운전원이 본체(20)를 떠나 소정의 작업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사용하게 되는 바, 운전원이 본체(20)에 설치된 모드변환 스위치(29)를 온시키고 선택버튼(22)을 사용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작업층을 선택하게 되면, 제어부(52)는 신호 입출력부(43)를 통해 인가되는 조작신호에 따라 모드변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어부(52)는 운전원이 모드변환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신호 입출력부(43)를 통해 표시신호를 출력하여 운전원이 선택한 층에 대응하는 호출표시등(21)을 점등함과 더불어 선택된 층에 대응하는 코드데이터를 프로그램 메모리(53)로부터 즉출하여 데이터 메모리(54)에 저장함과 더불어 상태 레지스터(55)에 모드변환 기능이 선택되었음을 등록하게 된다.
그리고, 이후에 다른 인터폰장치(30)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레지스터(55)를 참조하여 모드변환 기능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 다음, 선택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소정의 지연시간 후에 데이터 메모리(54)에 저장된 코드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인터폰 장치에 대한 호출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다음, 상기한 호출처리에 의해 해당 인터폰 장치가 오프훅되게 되면 신호처리부(49)를 제어하여 양 인터폰장치(30) 사이의 통화로를 연결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동작중에 소정의 지연시간을 두는 것은 작업장에 화재 등과 같은 위급한 상황이 발생함으로 인해 작업자가 운전원을 호출한 다음에 즉시 용무를 전달하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한 것인 바, 이하 그에 따른 동작을 설명한다.
모드변환 기능의 실행중에 있어서, 다른 인터폰장치(30)로부터 호출이 있는 후 소정의 지연시간 이내에 음성확인부(48)로부터 음성입력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52)는 선로개폐부(45)를 개방함과 더불어 음성저장부(49)를 제어하여 A/D 변환기(50)에 의해 디지탈 변환된 음성데이터를 음성저장부(49)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이후 임의의 인터폰장치(30)에서 오프훅이 검출되면 선로개폐부(45)를 개방함과 더불어 상기 음성저장부(49)에 저장된 음성데이터를 D/A 변환기(51)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운전원과 작업자 사이의 통화가 용이하고 운전원이 없는 경우에도 위급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인터폰장치(30)에 필요로 되는 동작전원이 본체(20)로부터 공급되므로 각 층에 전원장치를 설치함에 따른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즉,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고층 빌딩 등의 신축현장에 적용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고층 빌딩은 물론이고 다수의 분산된 작업장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운전원과 작업자 사이의 통신을 원활히 제공할 수 있도록 된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각 작업장에 설치된 다수의 인터폰장치(30)와, 상기 인터폰장치(3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수신수단(27)을 적어도 갖춘 본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터폰장치(30)는 상기 본체(20)와 결합되는 한쌍의 전송선로상에 병렬로 접속됨과 더불어, 각기 다른 어드레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폰장치(30)는 본체(20)로부터 공급되는 동작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다른 인터폰장치(30)로부터 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현재의 통화상태와 무관하게 인터폰장치(30)와 송수신수단(27)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운전자가 다른 인터폰장치(30)를 통해 자신에 대한 호출을 수신하는 모드변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모드변환 스위치(24)와, 상기 모드변환 스위치(29)의 선택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상태저장수단(55) 및, 수신을 원하는 인터폰 장치의 어드레스 데이터를 등록하기 위한 수신지등록수단(54, 43, 22)을 추가로 포함하여, 상대 상태저장수단(55)에 모드변환 기능이 선택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른 인터폰 장치로부터의 호출을 소정시간 후에 상기 수신지등록수단에 저장된 어드레스의 인터폰 장치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0)는 상기 소정 지연시간 이내에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49)과, 인터폰장치(30)의 오프훅을 검출하는 오프훅 검출수단(52)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메모리수단(49)에 음성신호가 저장된 상태에서는 다른 인터폰장치(30)의 오프훅이 검출되면, 오프훅된 인터폰 장치로 상기 메모리 수단에 저장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
KR1019940004378A 1994-03-07 1994-03-07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 KR960012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4378A KR960012948B1 (ko) 1994-03-07 1994-03-07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4378A KR960012948B1 (ko) 1994-03-07 1994-03-07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330A KR950028330A (ko) 1995-10-18
KR960012948B1 true KR960012948B1 (ko) 1996-09-25

Family

ID=1937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4378A KR960012948B1 (ko) 1994-03-07 1994-03-07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29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634B1 (ko) * 2016-05-13 2016-10-28 (주)지엠디텔레콤 군사용 유선통신 분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0634B1 (ko) * 2016-05-13 2016-10-28 (주)지엠디텔레콤 군사용 유선통신 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8330A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68777B1 (en) User interface for radio telephone
KR101390428B1 (ko) 엘리베이터 비상통화 장치
KR920003814B1 (ko) 무선전화장치
KR960012948B1 (ko) 호이스트카용 통신장치
US4401847A (en)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US5031210A (en) Telephone apparatus
EP0298749B2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KR100205604B1 (ko) 스위칭시스템
JP2004328059A (ja) 簡易セキュリティ機能付きボタン電話システムおよび該ボタン電話システムを構成するボタン電話主装置
JP2006262185A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759704B2 (ja) 電話装置
JP3387559B2 (ja) ハンズフリー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及びこの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ハンズフリー通話器
KR100425506B1 (ko) 엘리베이터용 음성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1136304A (ja) 無線通信用アダプタ及びそ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3039130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425229A (ja) コードレスボタン電話装置の制御チャネル設定方式
JPS5829653Y2 (ja) 親子電話接続装置
JPS61214643A (ja) ボタン電話装置
JPH10145502A (ja) 作業連絡用無線装置
JP2563345B2 (ja) 無線電話装置
JPS6369366A (ja) 電話機複合型フアクシミリ装置
JPH09247280A (ja) ホームステーション装置
JPH07231364A (ja) 電話装置および監視制御システム
JPH0846707A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H04351054A (ja) 非常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