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809B1 -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809B1
KR960010809B1 KR1019940012306A KR19940012306A KR960010809B1 KR 960010809 B1 KR960010809 B1 KR 960010809B1 KR 1019940012306 A KR1019940012306 A KR 1019940012306A KR 19940012306 A KR19940012306 A KR 19940012306A KR 960010809 B1 KR960010809 B1 KR 960010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sition
molecular weight
nonionic surfactant
porous st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2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103A (ko
Inventor
강윤식
곽상운
Original Assignee
엘지화학 주식회사
성재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화학 주식회사, 성재갑 filed Critical 엘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2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809B1/ko
Publication of KR960001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2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10Carbonates ;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24Silicon containing, e.g. silica, silex, quartz or glass beads
    • C11D3/1246Silicates, e.g. diatomaceous earth
    • C11D3/128Aluminium silicates, e.g. zeol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6Preparations containing enzymes, e.g. protease or amyl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50Perfu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결합 응고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첨가제인 형광증백제를 주 세정성분 및 액상 결합성분인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가온 용해시켜 비이온 게면활성제를 흡수하는 다공성 전분에 흡수시킨 후 빌더 및 발포성분인 탄산나트륨과 발포성분인 탄산수소나트륨 및 호박산 또는 구연산과 혼합 및 입자화하고, 그 입자의 표면에 제올라이트를 도포시킴으로써 통상의 분무건조에 의해 제조된 세제보다 수용해성이 우수하고 겉보기 밀도가 높고 유동성이 우수하며 세척력이 우수한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용 분말 세제를 제조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지만,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입자의 균일성이 양호한 항류식 분무건조탑을 이용한 방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세제는 겉보기 밀도가 0.3 내지 0.45g/㎤내외로, 무게에 비해 부피가 큰 단점이 있어 제품의 보관시 과다한 공간의 창고가 필요하며, 운송비용이 많이 들고, 유통과정에서 한정된 진열대에 제품을 충분히 진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항류식 건조장치의 가격이 고가이므로 시설비가 많이 투자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항류식 분무 건조공정을 거치지 않음과 동시에 분말 세제의 고밀도화를 이루려면 수분이 함유되지 않은 계면활성제, 빌더, 기타 첨가제 등의 세정성분을 고속회전 조립기(Vertical High Speed Mixer 혹은 Lodige Mixer)에 넣고 균일하게 혼합한 후 액상물질을 분사하여 입자 사이에 접점을 형성시킨 다음, 제올라이트 등의 다공성을 가진 수불용성 무기물로 표면을 도포하여 입자간 점차력을 감소시켜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를 만드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계면활성제, 빌더 및 기타 첨가제 등이 혼합물을 입자화시키기 위해서는 각 성분입자를 응집체로 만들어줄 수 있는 적절한 액상 결합체를 사용하여 응집체를 형성한 다음, 수불용성의 유동보조제를 표면에 도포하여 입자화를 이루어야 하는데, 액상결합제의 결합력이 낮으면 혼합된 세제입자간의 응집이 일어나지 않아, 일반적인 고밀도 세제의 기준인 겉보기 밀도가 0.6g/㎤이상인 세제를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분말 세제에 사용되는 직쇄 알킬벤젠 술폰산염, α-올레핀 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등은 수분의 제거가 어려우며, 수분이 제거된 원료의 경우도 가격이 고가이므로 생산단가가 비싸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일본 특허공개 제78-43710호, 일본 특허공개 제87-263299호 및 일본 특허공개 제90-229894호 등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공대 제78-43710호는 분무 건조된 빌더를 기본입자로 하여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흡수시켜 분말 세제를 입자화하는 방법이며, 일본 특허공개 제87-263299호는 제올라이트와 경질 탄산나트륨과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얻은 고형 세제를 고속회전 조립기를 이용하여, 파쇄하여 분말상의 고밀도 세제를 얻는 방법이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제90-229894호는 경질 탄산나트륨과 중질 탄산나트륨에 비이온 세제를 흡수시킨 후 표면에 제올라이트를 도포하여 고밀도 분말 세제를 제조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세제들은 세정성분인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높이기가 곤란하며,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빌더 입자내에 액체 상태로 흡수되어 있는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시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입자 외부로 흘러나와 세제의 유동성이 떨어져 덩어리로 굳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며, 수불용성 무기물의 함량이 높아 용해성이 떨어지는 등의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적절한 다공성의 흡수성분과 적절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응고제를 사용하여 액상의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흡수되어 외부로 흘러나오지 않도록 힘과 동시에 헤탁수중에서 중탄산나트륨 및 탄산나트륨과 호박산 또는 구연산과의 산-염기 중화 반응에 의한 이산화탄소 발포에 의해 입자가 미세하게 파쇄되며, 또한 겉보기 밀도가 0.6 내지 1.3g/㎤이며, 유동성, 내케이킹(caking)성, 세척력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를 제조할 수 있음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비이온 계면활성제 10 내지 40중량%, 다공성 전분 1 내지 30중량%, 탄산나트륨 5 내지 40중량%, 탄산나트륨 5 내지 30중량%, 구연산 또는 호박산 5 내지 30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10중량%, 분말 제올라이트 10 내지 60중량% 및 첨가제 0.3 내지 10중량%를 함유하는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세정성분 및 액상 결합성분으로서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일반식(Ⅰ)의 알킬폴리옥시에탄올 또는 일반식(Ⅱ)의 알킬폐놀폴리옥시에탄올 10 내지 40중량%에 결합 응고제인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10중량%의 형광증백제를 01. 내지 2중량%를 투입하여 50 내지 80℃로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로 가열용해시킨 후 분쇄기가 장착되어 있는 고속회전 조립기(Vertical High Speed Mixer(일본 Fukae사) 또는 Lodige Mixer(독일 Lodige사)에 투입하고 비이온 계면활성제 흡수성분인 다공성 전분(파일플로우, 일본 Matsutani Chemical사)1 내지 30중량%를 투입하여 다공성 전분에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흡수시킨 후 균일하게 혼하하여 슬러리 상으로 만든다. 이때 분쇄기는 작동시키지 않고 교반속도를 100rpm으로 하여 5분간 혼합한다. 이 혼합 슬러리에 빌더 및 발포성분인 탄산나트륨 5 내지 40중량%, 발포성분인 탄산수소나트륨 5 내지 30중량%의 산 성분인 구연산 또는 호박산 5 내지 30중량%를 투입하고 교반속도 100rpm, 분쇄속도 2000rpm으로 하여 2분간 분쇄 및 혼합을 행하여 입자화한다. 이 입자에 유동 보조제로서 분말 제올라이트 10 내지 60중량%을 투입하고, 혼합 속도 100rpm, 분쇄속도 2000rpm으로 하여 3분간 분쇄 및 혼합을 행한 뒤 기타 첨가제인 향 0.1 내지 3중량%, 효소 0.1 내지 5중량%를 투입하여 분쇄기는 작동시키지 않고 혼합속도 100rpm으로 1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여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를 제조한다.
R-CH2CH2O(CH2CH2O)nH (Ⅰ)
R-C6H4-CH2-CH2O(CH2CH20)nH (Ⅱ)
상기식에서, R은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 활성제는 탄소수 8내지 20의 알칼기에 4 내지 2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부가시킨 알킬폴리옥시에탄올 또는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폐놀기에 4 내지 20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부가시킨 알킬페놀폴리옥시 에탄올 10 내지 4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10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입자들간의 결합을 충분히 이루지 못하여 분진 및 유동성이 나빠지고, 세정력이 저하되며, 40중량% 초과의 경우는 액상성분의 과다로 인해 입자 표면이 습윤되어 분체 유동성이 떨어지게 된다.
결합 응고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 HO(CH2CH2O)nH(분자량 1,000 내지 25,00 )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HO(CH2CH2CH20)nH(분자량 1,000 내지 25,000)은 비 이온 계면활성제에 용해된 상태로 입자에 흡수되어 입자의 결합력 및 강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며, 사용량은 0.5 내지 10중량%가 바람직하다.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용해된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중량% 미만이면 입자의 형성이 어렵고, 10중량% 초과이면 성장된 입자 경도가 높아져 용해성이 저하되어 세정력의 저하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25,000의 것이 바람직한데 1,000 미만일 경우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응고작용이 미약하고, 25,000 초과일 경우는 용해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 흡수성분인 다공성 전분(파인플로우, 일본 Matsutani Chemical사)은 입자내에 공극구조를 갖고 있어 액체상태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흡수하여 입자외부로 누액되지 않도록 하여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입자와 및 세제입자의 유동성 및 안정성 증진의 효과가 있으며, 1 내지 30중량%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1중량%미만을 사용하면 비이온 계면활성제 흡수효과가 미약하며 30중량% 초과를 사용하였을 경우는 다른 성분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져 충분한 세정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며 겉보기 밀도가 낮아지게 되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1000미만일 경우에는 전분 내부에 공극구조가 미약하며, 50000을 초과할 경우, 전분의 수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공성 전분의 입경이 1.16mm초과일 경우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흡수된 상태의 입자의 크기가 커져 용해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다공성 전분의 물성은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빌더 및 발포성분으로 사용되는 탄산나트륨은 세제의 수소이온 농도를 높여 세척력을 증가시키며,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흡수한 다공성 전분과 혼합되어 슬러리를 입자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산 성분인 구연산 또는 호박산의 산-염기 중화반응에 의해 이산화탄소 기체가 형성되어 그 발포력으로 세제입자가 미세하게 파쇄되어 용해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를 나타낸다. 탄산나트륨 5중량% 미만으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세척력의 수소이온 농도가 낮아져 충분한 세정력을 나타내지 못하고, 이산화탄소 발포량이 작아져 용해성이 떨어지게 되며, 40중량% 초과 사용시는 입자의 형성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5 내지 40중량%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발포성분인 탄산수소나트륨은 산 성분인 구연산 또는 호박산의 산-염기 중화반응에 의해 이산화탄소 기체가 형성되어 그 발포력으로 세제입자가 미세하게 붕괴되어 용해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를 나타내며,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흡수작용과 세척액내의 이온 완충효과를 나타내는데, 5중량% 미만 사용시는 이산화소 발포량이 작아져 용해성이 떨어지게 되며, 이온 완충효과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흡수효과가 미약하며, 30중량% 초과 사용시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의 함량이 적어져 세척력 및 유동성 등이 저하되는 단점이 생기므로, 5 내지30중량%의 사용이 적절하다.
산 성분인 구연산 또는 호박산은 발포성분인 탄산수소나트륨과 산-염기 중화반응에 의해 이산화탄소 기체가 형성되어 그 발포력으로 세제입자가 미세하게 파쇄되어 용해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를 나타내는데, 5중량% 미만사용시는 이산화탄소 발포량이 작아져 용해성이 떨어지게 되며, 이온 완충효과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 흡수효과가 미약하며, 30중량% 초과 사용시는 세탁수중의 수소 이온 농도가 낮아져 세척력이 저하되는 단점이 생기므로 5 내지30중량%의 사용이 적절하다.
유동 보조제로 사용되는 분말 제올라이트는 10 내지 60중량%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분말 제올라이트의 사용량이 10중량% 미만일 경우는 비이온이 흡수된 입자의 표면에 도포된 절대량이 부족하여 흐름성이 나빠지고, 60중량% 초과인 경우는 입자의 크기가 작아져 유동성이 저하되며, 분진의 발생으로 작업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첨가제는 향, 형광증백제(스틸벤계, 비폐닐계, 파라핀계, 푸마린계, 퀴놀론계), 효소(프로테아제,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셀룰라아제)이며, 전체 함량은 0.3 내지 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중량% 미만인 경우는 첨가제 각각의 성능 발현이 어려우며, 10중량% 초과인 경우는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여 비경제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아래 표 2와 같은 조성비로 비이온 계면활성제에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형광증백제를 투입하여 50 내지 80℃로 가열용해 시킨 후, 분쇄기가 장착되어 있는 고속회전 조립기(Vertical High Speed Mixer(일본 Fukae사) 또는 Lodige Mixer(독일 Lodige사)에 투입하고, 다공성 전분(파인플로우, 일본 Matsutani Chemical사)을 투입하여 다공성 전분에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흡수시킨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슬러리 상을 만들었다. 이때 분쇄기는 작동시키지 않고 교반속도를 100rpm으로 하여 5분간 혼합하였다. 이 혼합 슬러리를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구연산을 투입하고, 교반속도 100rpm,분쇄속도 2000rpm으로 하여 2분간 분쇄 및 혼합을 행하여 입자화하였다.
이 입자에 분말 제올라이트를 투입하고 혼합속도 100rpm, 분쇄속도 2,000rpm으로 하여 3분간 분쇄 및 혼합을 행한 후, 향 및 효소를 투입하여 분쇄기는 작동시키지 않고 혼합속도 100rpm으로 1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여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A 내지 H를 제조하였다.
※1)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2) 알파올레핀술폰산나트륨(C12 : C14=7 : 3)
3)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4)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5)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6)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7) 파인플로우(일본 Masutani Chemical사)
8) Savinase 6.0T(덴마크 Novo Nordisk사)
9) Tinopal-CBSX(스위스 Ciba-Geigy사)
실시예2
다공성 전분의 함량을 1 내지 30중량%로 변화시켜 표32와 같은 조성비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1 내지 L을 제조하였다.
※1)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2) 알파올레핀술폰산나트륨(C12 : C14=7 : 3)
3)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4)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5)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6)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7) 파인플로우(일본 Masutani Chemical사)
8) Savinase 6.0T(덴마크 Novo Nordisk사)
9) Tinopal-CBSX(스위스 Ciba-Geigy사)
실시예 3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을 0.5 내지 10중량%로 변화시켜 표 4과 같은 조성비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M 내지 R를 제조하였다.
※1)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2) 알파올레핀술폰산나트륨(C12 : C14=7 : 3)
3)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4)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5)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6)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7) 파인플로우(일본 Masutani Chemical사)
8) Savinase 6.0T(덴마크 Novo Nordisk사)
9) Tinopal-CBSX(스위스 Ciba-Geigy사)
실시예 4
탄산나트륨의 함량을 5 내지 40중량%로 변화시켜 표 5와 같은 조성비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S 내지 W를 제조하였다.
※1)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2) 알파올레핀술폰산나트륨(C12 : C14=7 : 3)
3)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4)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5)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6)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7) 파인플로우(일본 Masutani Chemical사)
8) Savinase 6.0T(덴마크 Novo Nordisk사)
9) Tinopal-CBSX(스위스 Ciba-Geigy사)
실시예 5
발포성분인 탄산수소나트륨의 함량을 5 내지 30중량%로 변화시켜 표 6과 같은 조성비로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X 내지 AA를 제조하였다.
※1)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2) 알파올레핀술폰산나트륨(C12 : C14=7 : 3)
3)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4)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5)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6)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7) 파인플로우(일본 Masutani Chemical사)
8) Savinase 6.0T(덴마크 Novo Nordisk사)
9) Tinopal-CBSX(스위스 Ciba-Geigy사)
실시예 6
구연산의 함량을 5 내지 30중량%로 변화시켜 표 7과 같은 조성비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AB 내지 AI를 제조하였다.
※1)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2) 알파올레핀술폰산나트륨(C12 : C14=7 : 3)
3)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4)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5)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6)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7) 파인플로우(일본 Masutani Chemical사)
8) Savinase 6.0T(덴마크 Novo Nordisk사)
9) Tinopal-CBSX(스위스 Ciba-Geigy사)
실시예 7
제올라이트의 함량을 10 내지 60중량%로 변화시켜 표 8과 같은 조성비로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AJ 내지 AO를 제조하였다.
※1)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2) 알파올레핀술폰산나트륨(C12 : C14=7 : 3)
3)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4) 알킬기의 탄소수 12,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몰수 7
5)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6) 중량 평균 분자량 4,000
7) 파인플로우(일본 Masutani Chemical사)
8) Savinase 6.0T(덴마크 Novo Nordisk사)
9) Tinopal-CBSX(스위스 Ciba-Geigy사)
실시예 7
1) 세정력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를 다음과 같은 조건의 세척력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측정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측정기기 : Terg-O-Tometer
세정온도 : 20℃
세척수 : 경도 40ppm Ca , 10ppm Mgg
욕비 : 4.5g 오염포/1ι 세정수
오염포 : EMPA Art No. 101(올리브유, 카본블랙/면)
세제농도 : 0.67g/ι
평가 : 비교예 1을 100으로 하여 세정력을 확산
2) 유동성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100ml가 직경 10mm의 깔때기를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여, 유동성 평가를 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3) 겉보기 밀도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의 겉보기 밀도를 측정하여 표 9에 나타내었다.
4) 케이킹(Caking)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500g을 1ι 비이커에 담아 1kg의 하중을 가하여 온도 30℃, 상대습도 80%에서 10일간 보존한 후 시료를 취하여 지름 5mm이상의 고형분의 중량비를 구해 케이킹(Caking)성 평가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7) 용해성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100g을 이온교환수 10ι에 5분간 교반하여 세제용액을 200mesh의 표준망체를 통과시킨 후 건조중량%를 측정하여 용해도 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상기의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는 겉보기 밀도가 높고, 유동성, 내케이킹성, 융해성 및 수율이 양호하고 세척력 또한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비이온 계면활성제 10 내지 40중량%, 다공성 전분 1 내지 30중량%, 탄산나트륨 5 내지 30중량%, 구연산 또는 호박산 5 내지 30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10중량%, 분말 제올라이트 10 내지 60중량% 및 첨가제 0.3 내지 10중량%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하기 일반식(Ⅰ)의 알킬폴리옥시에탄올 및 하기 일반식(Ⅱ)의 알킬페놀폴리옥시에탄올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R-CH2CH2O(CH2CH2O)nH (Ⅰ)
    R-C6H4-CH2-CH2O(CH2CH20)nH (Ⅱ)
    상기식에서, R은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다.
  3. 제1항에 있어서, 다공성 전분의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다공성 전분의 입경이 1.16mm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분자량이 1,000 내지 25,000이고,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분자량이 1,000 내지 25,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첨가제가 향, 효소 및 형광증백제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세제 조성물의 겉보기 밀도가 0.6 내지 1.3g/㎤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비이온 계면활성제 10 내지 40중량%에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0.5 내지 10중량%와 형광증백제 0.1 내지 2중량%를 넣고, 50 내지 80℃로 가열 용해시킨 후, 다공성 전분 1 내지 30중량%를 혼합하고 흡수시켜 슬러리 상으로 만들고, 탄산나트륨 5 내지 40중량%, 탄산수소나트륨 5 내지 30중량%, 및 구연산 또는 호박산 5 내지 30중량%를 투입하고 혼련시켜 입자화한 후, 입자의 표면에 분말 제올라이트 10 내지 60중량% 를 도포하고, 효소 0.1 내지 5중량%와 배합한 후 , 향 0.1 내지 3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하기 일반식(Ⅰ)의 알킬폴리옥시에탄올 및 하기 일반식(Ⅱ)의 알킬페놀폴리옥시에탄올 중에서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R-CH2CH2O(CH2CH2O)nH (Ⅰ)
    R-C6H4-CH2-CH2O(CH2CH20)nH (Ⅱ)
    상기식에서, R은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이고,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다.
  10. 제8항에 있어서, 다공성 전분의 평균 분자량이 1,000 내지 50,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다공성 전분의 입경이 1.16mm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분자량이 1,000 내지 25,000이고,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분자량이 1,000 내지 25,000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제조한 세제 조성물의 겉보기 밀도가 0.6 내지 1.3g/㎤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19940012306A 1994-06-01 1994-06-01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960010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2306A KR960010809B1 (ko) 1994-06-01 1994-06-01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2306A KR960010809B1 (ko) 1994-06-01 1994-06-01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103A KR960001103A (ko) 1996-01-25
KR960010809B1 true KR960010809B1 (ko) 1996-08-09

Family

ID=1938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2306A KR960010809B1 (ko) 1994-06-01 1994-06-01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8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604A (ko) * 1998-12-15 2000-07-05 성재갑 소취기능 고형 변기세정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103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80806T3 (es) Composiciones detergentes porosas solidas.
BRPI0512778B1 (pt) Pó misturado ou granulado misturado, e, processo para produzir pós misturados ou granulados misturados
CN101351539A (zh) 基于谷氨酸-n,n-二乙酸及其盐的混合粉末或混合颗粒
JPH11193397A (ja) 洗剤粒子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960010809B1 (ko)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3623971B2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JPS62167399A (ja) 高密度粒状洗剤の製法
KR960010807B1 (ko) 고밀도 분말 비이온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S6262899A (ja) 高密度粒状洗剤組成物
KR100394762B1 (ko) 장기간저장안정성이우수한농축분말세제조성물
JPH054440B2 (ko)
JP2670404B2 (ja) 高密度粒状洗浄剤組成物
KR0154214B1 (ko) 저장안정성이 뛰어난 저공해 농축세제 조성물
JPH02229894A (ja) 高密度粉粒状非イオン洗剤組成物
JP3161710B2 (ja) 界面活性剤組成物
KR101423264B1 (ko) 고농축 분말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0489899A (ja) 高密度粉粒状非イオン洗剤組成物
JP4063431B2 (ja) 高嵩密度洗剤粒子群
JP2531522B2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JP3650283B2 (ja) 高嵩密度洗剤組成物
JP2978288B2 (ja) 非イオン性粉末洗浄剤組成物
JP2547629B2 (ja) 高嵩密度粒状洗剤組成物
JPH11158497A (ja) 粒状消泡剤組成物および粒状洗剤組成物
JPH10306296A (ja) 粒状消泡剤組成物および粒状洗剤組成物
JPH10176199A (ja) 粒状消泡剤組成物および粒状洗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23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