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297B1 - 공급 밸브 - Google Patents

공급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297B1
KR960010297B1 KR1019900700943A KR900700943A KR960010297B1 KR 960010297 B1 KR960010297 B1 KR 960010297B1 KR 1019900700943 A KR1019900700943 A KR 1019900700943A KR 900700943 A KR900700943 A KR 900700943A KR 960010297 B1 KR960010297 B1 KR 960010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passage channel
recess
passage
supply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0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702220A (ko
Inventor
보핑거 귄터
나르 만프레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클라우스 포스 · 빌프레트 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클라우스 포스 · 빌프레트 뵈르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900702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702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F02M59/462Deliver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6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 F16K15/06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guided stem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66Plural seating
    • Y10T137/7867Sequent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10T137/7922Spring biased
    • Y10T137/7929Spring coaxial with valve
    • Y10T137/7939Head between spring and gu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발명의 상세한 설명]
공급 밸브
[발명의 상세한 설명]
종래기술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공지부분에 따른 공급 밸브에 관한 것이다. 독일연방공화국 출원번호 1,236,863호에 공지된 공급 밸브에서, 복귀-흡입(return-suction) 칼라는 본 명세서의 제2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갖는 칼라로부터 환형 홈에 의해 분리된다. 이 리세스는 그라운드-다운(ground-down)부로서 설계되고, 공급 밸브의 폐쇄부재의 모든 위치내의 통로보어내에 유지된다. 폐쇄 부재는 펌프 작동 공간과 같은 쪽에 위치된 단부에 원추형 밀봉면을 가지며, 스프링 공간과 같은 쪽에는 압축 스프링이 매우 유연한 형태로 되는 개방 공정 동안에 폐쇄 부재가 고정 멈춤부상에 지지되는 고정 멈춤부를 갖는다. 폐쇄 부재상에 제공되어 항상 일정한 관통 흐름 단면을 갖는 리세스는 드로틀 단면으로 설계된다. 공급 라인내에서 반사된 입력파는 압축 스프링을 지지하는 폐쇄 부재상에 폐쇄력의 효과를 가지는 관통 흐름 저항과 드로틀 단면에서 만나기 때문에, 이 드로틀 단면의 목적은 분사 노즐의 폐쇄 후에 분사의 종료시점에서 공급 밸브 폐쇄 부재를 폐쇄 위치로 더욱 신속히 이동시키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아이들링(idling)시에, 또 한편으로는 엔진의 고속 회전시의 풀 로드(full load)하에서, 공급 밸브 또는 공급 라인을 통하는 연료의 다른 공급율 또는 공급속도로 인하여, 압력파는 비교적 약하므로, 즉, 드로틀 단면은 이 압력파에 대하여 낮은 저항을 보이고 단위 시간에 더 많은 연료가 드로틀을 통해 흐를 수 이기 때문에, 폐쇄 부재의 폐쇄 운동에 대한 드로틀의 효과는 아이들링 상태로 향해서 감소된다. 폐쇄 부재는 따라서 보다 서서히 폐쇄되고, 따라서, 폐쇄밸브에 의해 개방되는 공급 라인 부피의 대부분은 풀 로드 또는 파트 로드(part load)하에서 보다 아이들링동안에 펌프 작동공간으로부터 공급된 연료에 의해 대치되며, 공급 라인내의 압력 감소는 아이들링동안의 최소량으로부터 풀 로드동안의 최대량으로 변한다.
따라서, 그러한 공급 밸브는 공급 라인내의 잔여 압력을 조절하는 작용을 하고, 분사량 및 엔진 속도의 함수로서 연료 공급율을 조정하는 작용을 한다. 동시에, 컷-백 서지(cut- back surge)동안에 작동하는 드로틀은 연료 분사 펌프의 공급 페이스(phase)동안에 분사율에 영향을 주고, 엔진 속도 증가시에 풀 로드에서 엔진 분사량을 감소시킨다.
폐쇄 부재가 복귀 흡입 칼라를 가지고, 각각의 공급 작동동안에 고정 멈춤부로 주행하지 않는 공지의 공급밸브에서, 펌프 작동 공간과 같은쪽에 있는 복귀 흡입 칼라에 인접한 통로 보어 단면은 매우 크며, 특히, 인접 공급 라인의 자유로운 단면보다 크다. 그러한 밸브에서, 연료 분사 펌프의 고압 공급이 일정 세팅(setting)상태에 있을 때에, 분사량은 폭넓게 변한다. 특히 분배 분사 펌프에 있어서, 그렇게 변화하는 연료 분사량은 핌프 피스톤의 효과적인 공급 행정의 적절한 조정에 의해 보정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내연기관의 모든 분사점이 단일 펌프 작동 공간에 의해 교대적으로 공급됨으로써 모든 분사점의 양의 조절은 펌프 피스톤의 공급 행정당 분사량을 조절하는 분사량 조절 장치가 없다고 가정할 때 동의해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러한 조절은 상당한 경비를 발생시킨다. 또한 예로서 분사량은 공급 밸브의 행정 제한과 같은 다른 보조 조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으나, 이것은 또한 연료 분사 펌프의 전체 작동범위에 걸쳐 바람직한 균일한 효과를 주지않고, 마찬가지로 매우 큰 경비를 발생시킨다.
발명의 이점
이와 대조적으로, 독립 청구항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 밸브의 이점은 전술한 분사량의 분산이 간단한 조치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공급 밸브 폐쇄 부재의 개방 동작은 그로인해 영향을 받는다. 복귀 흡입 칼라와 펌프 작동 공간과 동일측에 인접된 매우 큰 관통흐름 단면을 공지의 방법으로 갖는 공급 밸브 폐쇄 부재에서, 통로 채널로부터의 복귀 흡입 칼라의 에머전스(emergence)는 에머징(emerging)행정의 십분지 몇초 후에도 인접 공급 라인의 자유로운 단면보다 큰 단면을 노출시키는 환형 연결 단면을 개방시킨다. 개방 작동은 현재의 공급률의 이송에 필요한 것보다 큰 연결 단면을 향하는 개방 행정을 오버스윙(overswing)시킨다. 따라서, 공급라인내의 압력형성으로 인해, 공급 밸브는 다시 스윙 백하고 다시 개방될 때까지 이송을 방지한다. 이러한 스윙 공정은 펌프 피스톤의 특정 공급 행정의 공급 주기에 걸쳐서 또는 분사 주기에 걸쳐서 특징적인 공급의 인덴테이션(indentation)을 발생시킨다. 각각의 분사점에서의 공급 통로의 디자인에 따라서, 이것은 양 분배의 변화, 또한, 엔진속도에 따라 변하는 공급율을 가진 변화하는 양의 파형 곡선을 초래하고, 따라서, 결함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펌프 작동 공간과 공급 라인사이의 연결 단면은 보다 서서히 연속적으로 개방되어 공급율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공급밸브에서 파형 양 곡선에 이르는 압력 피크 및 압력 강하를 공급동안에 피하게 하기 때문에 오버스윙은 방지된다. 동시에, 리세스는 전체로서 드로틀 단면에 제공되지 않는데, 왜냐하면 자유로운 평균단면은 공급율 증가에 따라 확대될 수 있고, 청구범위 제2항에 따라서, 통로 단면, 따라서, 최대 연결단면은 공급 라인의 자유로운 단면과 동일한 크기를 갖기 때문이다.
한가지 이점은 제어 칼라상에 하나의 리세스만 있고, 이 리세스는 가능한 소형으로 만들어졌으며, 즉, 단면 표면과 연관되어 가능한 작은 주위표면을 갖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달리는 엔진 속도 또는 공급율에 따라 분사량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리세스의 드로틀 효과를 방지한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리세스는 청구범위 제5항에 따라 설계되었고, 동시에, 양호한 생산 가능성이 청구범위 제6항으로부터 발생되었다. 청구범위 제8항에 따른 실시예에서, 리세스의 층진 단면에 의해 제어된 영향이 발휘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방법으로 제어된 조정을 얻을 수 있다.
청구범위 제9항에 다른 공급 밸브 폐쇄 부재는 특히 단순하게 생산될 수 있다.
도면
본 발명의 6개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었으며 이하 상세히 설명되었다. 제1도는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제3도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도와 유사한 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3실시예를 도시하며, 제5도는 제4도의 Ⅴ-Ⅴ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제6도는 층진 그라운드-다운부를 갖는 제4실시예를 도시하며, 제7도는 펌프 작동 공간측으로 향해서 계속적으로 확대되는 리세스 단면을 가진 제5실시예를 도시하고, 제8도는 공급 밸프의 폐쇄 부재상에 실린더형 안내부를 갖는 제6실시예를 도시한다.
실시예의 설명
도면은 독일연방공화국 공개공보 제3,644,595호에 따라 구성되고 더이상 상세히 도시않은 연료 분사 펌프의 하우징(2)내에 나사체결된 공급 밸브(1)를 통한 종방향 단면을 나타낸다. 공급 밸브(1)는 한 단부에 외부 나사를 가지며, 하우징(2)내의 스레디드 보어(6)내로 나사체결된 연결 피스(4)를 갖는다. 공급 라인(7)은 연료 분사 펌프의 펌프 작동 공간(더이상 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치형 보어내로 동축으로 개방된다. 이 공급 라인(7)은 단부에 분사 밸브(8)가 연결된 공급 라인(7')과 공급 밸브(1)를 경유하여 연통된다. 연결 피스(4)는 기본적으로 실린더형 디자인이며, 스크류-인(screw-in)쪽으로 개방되는 축방향 실린더형 리세스(9)를 갖는다. 연결 보어(11)는 실린더형 리세스(9)로부터 동축으로 연장되고, 연결 피스의 연결 니플(12)내로 개방되며, 리세스(9)를 공급 라인(7') 또는 분사 밸브(8)로 연결시킨다. 펌프 작동 공간과 동일한 쪽에 위치된 연결 피스의 단부면(16)에 의해 밸브 시트 몸체(14)가 플랜지(15)를 경유하여 치형 보어(6)의 바닥에 있는 어깨부(17)에 유지되는 플랜지(15)를 펌프 작동 공간과 동일측에 위치된 단부에 갖는 관형 밸브-시트 몸체(14)는 펌프 작동 공간과 동일측에 위치된 단부로부터 축방향 리세스(9)내로 삽입된다. 밸브-시트 몸체(14)는 원추형 밸브 시트(19)내로 나온 아웃플로우(outflow) 엣지(22)를 리세스(9)로 향한 출구에 가진 축방향 통로 채널(20)을 갖는다. 공급 밸브의 폐쇄 부재(21)는 통로 채널내로 안내되고, 밸브 폐쇄 부재가 통로 채널(20)내로 관통될 때에 밸브시트상에 놓이는 원추형 밀봉면(25)을 갖는 헤드(24)를 가진다. 밸브 폐쇄 부재의 헤드(24)는 리세스(9)의 단부면상에 지지되고 밸브 폐쇄 부재를 폐쇄 위치에 유지 시키며 베어링을 밸브 시트상에 유지시키는 압축 스프링(26)의 힘을 받는다. 따라서, 밸브 폐쇄 부재의 헤드는 밸브 시트 몸체와 함께 스프링 공간(28)을 리세스(9)내에 포함시킨다. 그러나, 밸브 시트도 펌프 작동 공간과 동일한 쪽에 위치된 통로 채널(20)의 단부에 배열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밀봉면은 밸브 부재의 대응 단부에 형성된다.
밸브 폐쇄 부재의 헤드상에 있는 밀봉면(25)은 칼라(30)와 인접된 환형 홈(29)에 의해 펌프 작동 공간과 동일한 쪽에 형성된다. 이것은 통로 채널내에서 밀봉 상태로 이동가능하도록 통로 채널의 보어와 직경이 잘 부합된다. 틈새(33)에 의해 형성되고 통로 채널(20)내에서 미끄럼운동하고 밸브 폐쇄 부재의 틸트-프리(tilt-free)운동을 보장하는 안내리브(34)를 갖는 안내부(31)가 펌프 작동 공간과 동일한 쪽의 칼라와 인접된다. 안내 리브 사이에서, 틈새는 공급 라인(7)을 경유하여 칼라(30)로 가는 통로 채널(20)내로 흐르는 연료의 통로 단면을 형성한다.
칼라(30)는 통상 복귀-흡입 칼라 또는 릴리프 칼라로 지칭되며, 지금까지 기술된 바와 같이, 밸브 폐쇄 부재는 복귀-흡입 칼라를 가진 공지의 공급 밸브의 폐쇄 부재에 대응된다. 펌프 작동 공간으로부터 고압 공급이 발생될 때에, 밸브 폐쇄 부재(21)의 단면은 고압을 받으며, 밸브 폐쇄 부재는 압축 스프링(26)의 힘에 대향 이동된다. 칼라(30)는 통로 채널(20)로부터 나오고, 동시에 초기 단계에서도 연료를 공급 라인(7')내로 가입시키어 분사 밸브(8) 앞의 잔여 압력을 증가시킨다. 분사 밸브의 개방 압력에 의해 결정된 특정압력이 초과되면, 연료 분사가 일어난다. 칼라(30)가 채널로부터 나오면, 연료는 환형 연결 단면을 통과하여 스프링 공간(28)내로 흐르고 분사 밸브로 흐른다. 분사 단계의 종료시점에서, 펌프 작동 공간내의 압력은 감소된다. 폐쇄 부재(21)은 압력 스프링의 효과와 공급 라인(7') 또는 스프링 공간(28)내의 압력하에서 폐쇄 위치로 복귀된다. 동시에, 칼라(30)는 외부 흐름 엣지(22)를 지나 통로 채널(20)내로 관통되고, 따라서, 펌프 작동 공간과 동일한 쪽에 위치된 칼라(30)의 제1부가 외부 흐름 엣지(22)에 의해 덮힐 때에 칼라(30)는 공급 밸브 폐쇄 부재와 분사 밸브사이에 수용된 체적을 동기 압력 릴리프에 의해 확대시킨다. 이 작동 모드는 공지되었고, 상세히 설명할 필요는 없다.
그러한 공급 밸브의 종래 디자인과 대조적으로, 칼라(30)는 복귀 흡입 칼라(35)와 제어 칼라(36)로 분할된다. 제어 칼라는 그 외측 원주에 그라운드-다운부의 형태로 리세스(38)를 갖는데, 그라운드-다운부중에서 헤드(24)로 향하는 제한 엣지는 외부 흐름 엣지(22)에 평행하고 제어 칼라(36)의 높이를 결정한다. 더구나, 제어 칼라(36)는 계속적으로 복귀 흡입 칼라(35)로 통합된다.
리세스(38)는 제2도에 단면으로 도시되었다. 리세스(38)는 직선적 그라운드-다운부일 수도 있고, 또는 밸브 폐쇄 부재의 축(40)에 평행한 원형 제한면을 가진 그라운드-다운부일 수도 있다. 리세스(38)는 리세스(38)를 제어 칼라(36)의 한 쪽에 제공하므로써 소형으로 만들어진 통로 단면을 형성한다. 그라운드-다운부에 추가하여, 통로 채널(20)의 벽과 함께 통로 단면을 구성하는 다른 소형 리세스 형태를 갖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의 기술된 공급 밸브에서, 공급 라인(7)과 공급 라인(7') 사이의 연결 단면은 제어 칼라(36)가 통로 채널(20)로부터 나오는 정도에 의해 결정된다. 폐쇄 부재가 올려지면, 외부 흐름 엣지(22)는 에머징행정과 통로 채널과 동일한 쪽의 리세스(38)의 제한 길이의 곱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공급 밸브의 개방 동안에, 방해되지 않는 공급을 위해 필요한 공급 라인(7,7')사이의 연결 단면은 통로 단면(38)에 의해 영향을 받는 행정에 의해 제공된다. 리세스와 통로 채널(20)사이에 형성된 통로 단면은 가능한 작으나, 최대 공급율에서 대웅 크기의 공급 라인에서와 같이 방해되지 않고 연료가 흐를 수 있도록 보장하기에 충분히 크다. 이것은 제어 칼라에서의 최대 통로 단면은 공급 라인(7')의 관통 흐름 단면과 대략 같다. 동시에, 공급 밸브 폐쇄 부재는 서두에서 기술된 종래 기술에서 필요한 것보다 높은 행정을 수행하여야만 된다. 제어 칼라의 높이는 제어 칼라의 일부가 항상 통로 채널(20)내에 유지되고 원하는 최대 통로 단면이 유지되도록 계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은 최대 연료 분사량이 방해되지 않고 분사점에 도달되는 것과, 서두에서 기술된 형태의 오버스윙을 방지하도록 연결 단면이 특정 공급율에 부합되는 것을 보장한다. 통로 단면을 조정하기 위해 비교적 큰 행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공급 밸브 폐쇄 부재의 약간의 스웨잉(swaying)은 연료 분사량 또는 분사량 곡선에 현저한 효과를 미치지 않는다.
제3도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어 칼라(36a)에는 상호 반경방향으로 대향된 2개의 리세스(38a,38b)가 장착되어 있다. 이것은 비록 통로 단면의 소형화와는 거리가 있으나 그래도 공급 밸브 폐쇄 부재의 동일 로딩에는 이점을 준다.
제4도에 따른 제3실시예에서, 공급 밸브 폐쇄 부재(121)는 상호 120의 각도로 배열된 3개의 안내 리브(134)를 가진다. 제5도와 같이, 틈새(133)는 달리 원형-실린더형 몸체상의 그라운드-다운부의 형태를 가지며, 동시에 그라운드-다운부도 칼라(130)를 펌프 작동 공간과 동일한 쪽에 제한시킨다. 한편, 그라운드-다운부는 밸브 폐쇄 부재 헤드측에 길이(a)만큼 보다 가까우며,밸브 시트의 동일한 쪽에 위치된 제한 엣지(139)는 복귀 흡입 칼라(135)의 높이를 결정한다. 리세스(138)는 펌프 작동 공간과 동일한 쪽에 위치된 제한 엣지(139)는 복귀 흡입 칼라(135)의 높이를 결정한다. 리세스(138)는 펌프 작동 공간과 동일한 쪽에 위치된 길이(a)에 걸쳐 이 그라운드-다운부에 의해 형성된다.
제6도에 따른 제4실시예에서,리세스(238)는 외부 흐름 엣지(222)의 횡단동안에 보다 작은 통로 단면(42)이 특정 행정 길이(a1)에 걸쳐서 점점 더 개방되고, 다음에는 밸브 폐쇄 부재(221)의 개방 공정이 진행됨에 따라 보다 큰 단면이 외부 흐름 엣지(222)에 의해 노출되도록 층져있다. 특히, 필요할 때에는 엔진속도의 함수로서 효과를 얻는 공지의 보상홈은 그라운드-다운부의 앞에 부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분사 시스템의 특정 구성 조건하에서 분사는 균일 분사곡선에 부합된다. 제6도에 있어서, 이것은 제어 칼라(236)상의 여러가지 깊이의 그라운드-다운부에 의해 달성되었다.
제6도에 따른 층진 형태의 그라운드-다운부를 갖는 대신에, 제7도에 따라 공급 밸브 폐쇄 부재(321)의 편향 행정이 증가됨에 따라 연결 단면의 개방율이 점점 증가하고, 동시에 엔진 속도의 함수로서 매칭(matching)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는 경사진 그라운드-다운부(44)가 있을 수 있다.
제8도는 공급 밸브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제4도의 개선으로서, 공급 밸브 폐쇄 부재(421)는 안내 리브(134)를 형성하는 틈새가 없도록 설계되고, 따라서, 안내부(431)는 통로 보어(20)내에서 밀봉 상태로 미끄럼운동되고, 환형 홈(29)에 의해 밀봉면(25)으로부터 제한된 원통부이다. 공급 밸브 폐쇄 부재의 축에 평행한 그라운드-다운부의 형태로 리세스(438)와 인접되는 복귀 흡입 칼라(435)는 밀봉면(25)으로 향한 안내부상에 형성된다. 그라운드-다운부는 안내부의 잔여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제4도의 리세스(138) 또는 제1도의 리세스(38)의 기능을 수행한다. 안내부(431)의 상기 그라운드-다운부는 동시에 제어 칼라(436)이다. 그러한 밸브 폐쇄 부재는 특히 간단히 생산될 수 있다.

Claims (9)

  1. 연료 분사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내연기관상의 연료분사점(8)과 연료 분사 펌프용 펌프 작동 공간 사이의 공급 라인(7,7')내에 설치되고, 펌프 작동 공간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폐쇄 부재쪽에 배열된 스프링 공간(28)내의 고정 위치에 지지된 압축 스프링(26)에 의해 통로 채널(20)과 인접된 밸브시트(19)상의 공급 밸브의 폐쇄 위치로 폐쇄 부재(21)에 의해 가압되는 밀봉면(25)을 갖는 공급 밸브(1)의 폐쇄 부재(21)를 안내하는 통로 채널(20) 및 상기 밸브시트(19)가 장착되는 밸브 시트 몸체(14)를 갖고, 통로 채널(20)내에서 밀봉상태로 이동가능하며 폐쇄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때에 통로 채널을 관통하며, 공급 밸브가 개방되었을 때에 스프링 공간과 동일한 쪽의 통로 채널로부터 나오고, 통로 채널의 직경에 부합되며 제어 칼라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통로 채널(20)의 벽과 함께 통로 단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리세스(38)를 주변부에 구비한 제어 칼라(36)를 갖는 관통 흐름부를 포함하고 있는 공급 밸브에 있어서, 상기 제어 칼라(36)는 복귀 흡입 칼라(35)와 직접 맞닿고, 상기 리세스(38)는 스프링 공간과 동일한 쪽의 통로채널(20)을 제한하는 외부 흐름 엣지(22)와 함께 상기 펌프 작동 공간과 상기 공급 라인(7)사이에 연결 단면을 형성하고, 연결 단면은 항상 통로 단면보다 작거나 또는 같게 유지되는데, 연료 공급 속도의 증가에 따라 상기 압축 스프링(26)의 힘에 대향방향으로 상기 폐쇄 부재(21)의 이동의 결과로서 연결 단면이 증가되도록, 복귀력은 통로 채널의 단면 및 통로 단면과 함께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 단면(38)은 상기 공급 라인의 단면과 대략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단면보다 작은 주위면을 갖는 단일의 리세스(38)만이 상기 제어 칼라(36)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칼라의 일부와 리세스(38)길이의 어느 정도는 연료 분사 펌프의 최대 공급 속도에서 항상 통로 채널(20)내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는 스프링 공간과 동일한 쪽에 위치되고, 스프링 공간과 동일한 쪽의 압축 스프링(26)에 의해 대응 형태의 밸브 시트(19)상에 놓여질 수 있는 원추형으로 연장된 밀봉면(25)이 상부에 형성된 헤드를 가지며, 복귀 흡입 칼라(35)와 제어 칼라는 상기 통로 채널(20)의 출구에서 밀봉면(25)과 인접되고 통로 채널(20)내로 관통되는 폐쇄 부재의 일부상에 형성되고, 상기 통로 채널(20)의 축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폐쇄 부재(21)의 외면상에 위치되고 그 사이에 안내 리브(34)가 형성되며 그중의 하나는 리세스(138)로서 설계되어 제어 칼라의 높이에 걸쳐 연장되는 틈새로부터 형성된 안내부(31)가 펌프 작동 공간과 동일한 쪽에서 제어 칼라와 인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밸브.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부재(421)는 스프링 공간과 동일한 쪽에 위치되고, 통로 채널(20)로 향하며 스프링 공간과 동일한 쪽에 위치된 통로 채널(20)의 출구에서 압축 스프링(26)에 의해 대응 형태의 밸브 시트(19)상에 놓일 수 있는 원추형 연장 밀봉면(25)이 그 위에 형성되며, 통로 채널(20)내로 관통되고 대향측의 밀봉면(25)에 복귀 흡입 칼라(435)을 형성하는 원통형부(431)를 갖고, 그중에서 펌프 작동 공간과 동일한 쪽에 위치된 측면은 폐쇄 부재의 안내부이기도 한 제어 칼라(436)를 형성하는 헤드(2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밸브.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그라운드-다운부로서 설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에는 상기 펌프 작동 공간으로 가면서 증가되는 통로 단면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밸브.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에는 상기 펌프 작동 공간으로 가면서 증가되는 통로 단면에 의해 층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밸브.
KR1019900700943A 1988-09-09 1989-08-16 공급 밸브 KR960010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830736 1988-09-09
DEP3830736.7 1988-09-09
DE19883843819 DE3843819A1 (de) 1988-09-09 1988-12-24 Druckventil
DEP3843819.4 1988-12-24
PCT/DE1989/000534 WO1990002875A1 (de) 1988-09-09 1989-08-16 Druckvent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702220A KR900702220A (ko) 1990-12-06
KR960010297B1 true KR960010297B1 (ko) 1996-07-27

Family

ID=2587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0943A KR960010297B1 (ko) 1988-09-09 1989-08-16 공급 밸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033506A (ko)
EP (1) EP0390881B1 (ko)
JP (1) JP2807014B2 (ko)
KR (1) KR960010297B1 (ko)
CN (1) CN1020349C (ko)
BR (1) BR8907084A (ko)
DE (2) DE3843819A1 (ko)
ES (1) ES2014940A6 (ko)
RU (1) RU2008546C1 (ko)
WO (1) WO19900028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44614T3 (es) * 1989-11-13 1994-01-01 Bosch Gmbh Robert Valvula de presion.
DE4136756A1 (de) * 1991-11-08 1993-05-13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pumpe fuer brennkraftmaschinen
US5297523A (en) * 1993-02-26 1994-03-29 Caterpillar Inc. Tuned actuating fluid inlet manifold for a hydraulically-actuated fuel injection system
DE19535368C2 (de) * 1995-09-25 1998-04-30 Bosch Gmbh Robert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DE19710891A1 (de) * 1997-03-15 1998-09-17 Bosch Gmbh Robert Druckventil
US5918628A (en) * 1997-06-17 1999-07-06 Parker-Hannifin Corporation Multi-stage check valve
DE29715258U1 (de) * 1997-08-26 1999-01-07 Behr Thermot Tronik Gmbh & Co Schaltventil
DE19941688C2 (de) * 1999-09-01 2001-08-09 Siemens Ag Einspritzein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mit Direkteinspritzung
JP4140175B2 (ja) * 2000-07-21 2008-08-27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用蓄圧式燃料噴射装置
US6408821B1 (en) 2000-12-19 2002-06-25 Caterpillar Inc. Fuel injection system with common actuation device and engine using same
US7007591B2 (en) * 2002-12-18 2006-03-07 Lundar Electric Industrial Co., Ltd. Steam valve for a coffee maker
DE10357612A1 (de) * 2003-12-10 2005-07-07 Robert Bosch Gmbh Ventilanordnung, insbesondere Einlassventil einer Hochdruck-Kraftstoffpumpe
US20100257916A1 (en) * 2008-03-27 2010-10-14 Ip Innovative Products, Llc Accuracy enhancing valve assembly and related method of use
ATE554283T1 (de) 2009-07-08 2012-05-15 Delphi Tech Holding Sarl Pumpeneinheit
DE102013204563A1 (de) * 2013-03-15 2014-09-18 Robert Bosch Gmbh Kraftstoff-Hochdruckpumpe mit einem zwischen einem Förderraum und einem Auslass angeordneten Auslassventi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2846A (en) * 1950-01-18 1957-05-21 Nordberg Manufacturing Co Variable retraction valve
GB744293A (en) * 1950-11-17 1956-02-01 British Internal Combust Eng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quid fuel injection systems
GB789234A (en) * 1954-06-14 1958-01-15 Bendix Aviat Corp Fuel injection apparatus
US2922581A (en) * 1954-06-14 1960-01-26 Bendix Aviat Corp Fuel injection apparatus
DE1019128B (de) * 1956-05-30 1957-11-07 Bosch Gmbh Robert Druckventil an Kraftstoffeinspritzpumpen fuer Brennkraftmaschinen
DE2047990C3 (de) * 1970-09-30 1978-05-2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ruckventil für Kraftstoffeinspritzpumpen für Brennkraftmaschinen
US3773440A (en) * 1971-12-22 1973-11-20 Mitsubishi Heavy Ind Ltd Fuel injection pump construction
DE2306270A1 (de) * 1973-02-08 1974-08-29 Duap Ag Einspritz-system
FR2296104A2 (fr) * 1973-12-13 1976-07-23 Sigma Diesel Perfectionnements apportes aux dispositifs d'injection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JPS5675957A (en) * 1979-11-21 1981-06-23 Diesel Kiki Co Ltd Draft device of delivery valve for fuel injection pump
JPS638854Y2 (ko) * 1980-10-27 1988-03-16
IT1150318B (it) * 1981-03-21 1986-12-10 Bosch Gmbh Robert Pompa di iniezione del carburante per motori endotermici
DE3341575C2 (de) * 1983-11-17 1996-06-05 Bosch Gmbh Robert Druckventil für Kraftstoffeinspritzpumpen
DE3417210A1 (de) * 1984-05-10 1985-11-1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Druckventil
DE3644595A1 (de) * 1986-12-29 1988-07-07 Bosch Gmbh Robert Druckentlastungsventil fuer kraftstoffeinspritzpum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8546C1 (ru) 1994-02-28
ES2014940A6 (es) 1990-07-16
WO1990002875A1 (de) 1990-03-22
KR900702220A (ko) 1990-12-06
DE3843819A1 (de) 1990-03-22
CN1020349C (zh) 1993-04-21
DE58906038D1 (de) 1993-12-02
JPH03501284A (ja) 1991-03-22
JP2807014B2 (ja) 1998-09-30
CN1041027A (zh) 1990-04-04
US5033506A (en) 1991-07-23
BR8907084A (pt) 1991-01-08
EP0390881B1 (de) 1993-10-27
EP0390881A1 (de) 1990-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297B1 (ko) 공급 밸브
US4648369A (en) Pressure valve
US4826080A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5538187A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832312A (en) Magnetic valve
US5927322A (en) Quantity regulating valve for controlling liquids
US5441028A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281797A (en) Fuel injection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1089855C (zh) 喷油阀
US5715795A (en) Fuel injec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KR20000069205A (ko) 액체 제어 밸브
US5161572A (en) Pressure valve
US3394891A (en) Fuel injection nozzle arrangement for preinjection and main injection of fuel
US6305359B1 (en) Fuel injec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20030127074A1 (en) Fuel inje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370112B2 (ko)
US6105879A (en) Fuel injection valve
US4852808A (en) Fuel injection valve used in fuel injec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089529A (en) Valve for controlling liquids
US5899385A (en) Fuel injection valv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GB2263738A (en) Delivery valves
KR950006882B1 (ko) 연료 주입 펌프
EP0289202A2 (en) Fuel injection nozzle
US6886760B2 (en) Fuel injection valve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4475514A (en) Fuel injection pump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