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143B1 - 스트립 스태커 - Google Patents

스트립 스태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143B1
KR960010143B1 KR1019920021056A KR920021056A KR960010143B1 KR 960010143 B1 KR960010143 B1 KR 960010143B1 KR 1019920021056 A KR1019920021056 A KR 1019920021056A KR 920021056 A KR920021056 A KR 920021056A KR 960010143 B1 KR960010143 B1 KR 960010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upport
plate
bevel gea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1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2584A (ko
Inventor
박찬홍
문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이대원 filed Critical 삼성항공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1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143B1/ko
Publication of KR940012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2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Abstract

없음

Description

스트립 스태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스태커를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에서 스트립 이송부를 도시한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부분 확대 측면도.
제5도는 제2도에서 스크류의 배열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6도는 제5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7도는 종래 스트립 스태커의 일 실시예를 개략도.
제8도는 종래 스트립 스태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2 : 스트립 이송부
3 : 리프터 실린더4 : 리프터 플레이트
5 : 모터6 : 컨베이어
7 : 지지대8 : 모터
9 : 스플라인축10 : 구동베벨기어
11 : 종동베벨기어12 : 핸들
13 : 간격 조정축14 : 바디
15 : 회전축16 : 회전 베벨 기어
17 : 베벨기어18 : 스크류
19 : 플레이트20 : 셔터 플레이트
21 : 셔터 실린더22 : 가이드봉
23 : 가이드 레일24 : 모터
25 : 제1피이딩 로울러26 : 제2피이딩 로울러
27 : 아이들 로울러28 : 로울러 실린더
29 : 스토퍼30 : 스톱 보울트
본 발명은 스트립 스태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제조 공정등에서 사용되는 리이드 프레임과 같은 스트립을 소정 규격으로 프레스 절단한 후 이를 적재하는데 따른 스트립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적재시 스트립의 정렬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 스태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반도체 또는 칩등의 리이드 단자로 사용되는 리이드 프레임은 박판을 좁고 길게 절단한 상태인 스트립으로 형성되는 바, 상기한 바와 같이 매우 작은 부품인 리이드 프레임을 각각 제작하기가 어려워 리이드 프레임의 일측에 지지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되어 다수의 리이드 프레임이 여기에 연결된 상태인 스트립이 소정 길이로 절단되어 반도체 또는 칩등의 제조시 상기한 지지 프레임에 각각의 리이드 프레임을 분리시켜 제작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리이드 프레임은 박판을 프레스등과 같은 공정을 통해 제작하게 되고 상기한 제작공정을 통해 제작된 리이드 프레임은 적재가 용이한 소정길이인 스트립으로 절단됨과 아울러 적재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된 스트립을 적재하기 위하여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된 스트립(S)이 통상의 컴베이어(50)로 이송됨과 아울러 이송된 스트립(S)이 컨베이어(50)의 일측에 설치된 스토퍼(51)와 경사 판(52)에 의해 슈트(53)에 낙하되도록 스트립 스태커를 설치함으로써 슈트(53)의 내부에 스트립(S)이 순차 적재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50)로 이송된 스트립(S)이 스토퍼(51)에 총돌함과 아울러 경사판(52)을 타고 하향될때 박판 형상인 리이드 프레임이 충격에 의해 파손됨과 아울러 상기한 충돌에서 발생된 탄성에 의해 슈트(53)에 스트립(S)이 적재시 균일하게 적재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래서, 스트립(S)과 스토퍼(51)의 충돌시 발생되는 리이드 프레임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적재의 균일성을 위해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50)를 통해 이송된 스트립(S)을 실린더(54)에 연결된 셔터(55)로 지지하게 함과 아울러 스토퍼(56)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스트립(S)과 스토퍼(56)의 충격력을 감소시켜 리이드 프레임의 파손을 감소시켰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스토퍼(56)를 회동 가능하게 설치하여 스트립(S)과의 충격력을 감소시켰으나 스토퍼(56)의 진동에 이해 스트립(S)의 정지위치가 불균일하게 됨과 아울러 이를 슈트(53)에 낙하시키는 셔터(55)과 스트립(S)과의 마찰력에 의해 낙하되는 스트립(S)의 위치가 불균일하게 됨으로써 슈트(53)에 적재후 다시 작업자가 재정렬시키게 되고 이로 인하여 리이드 프레임에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레스로 절단된 스트립을 컨베이어로 이송하여 슈트에 적재할 때 스트립과 스토퍼의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리이드 프레임의 파손을 방지함과 아울러 슈트에 적재되는 스트립의 적재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 스태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모터와 동일 회전하도록 연결된 다수의 스크류를 스트립의 폭에 적합하도록 2열로 순차 배열한 스트립 이송부를 설치하고, 상기한 스크류에 프레스에 의해 절단된 스트립이 이송되도록 가이드 레일과 피이딩 로울러를 일측에 설치하며, 이와 대향측에 스크류로 이송된 스트립 낙하시 그 충격을 완화시킴과 아울러 소정량이 규일한 정렬이 되도록 하는 리프터 플레이트를 스크류 하부에 설치하고, 상기한 리프터 플레이트로부터 적재된 스트립을 받아 작업자가 적재된 상태로 이송되는 일정량의 스트립을 취출할 수 있게 하는 컨베이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따른 스트립 스태커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프레임(1)의 상부 일측에 스트립 이송부(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스트립 이송부(2)의 저면에 실린더(3)로 동작되는 리프터 플레이트(4)가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리프터 플레이트(4)의 하부에는 모터(5)등과 같은 구동 수단으로 동작되는 컨베이어(6)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스트립 이송부(2)는 프레임(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지지대(7)에 설치되어 있는 바, 모터(8)에 연결된 스플라인축(9)에 2개의 구동베벨기어(10)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삽입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구동베벨기어(10)와 2개의 종동베벨기어(11)가 회전 자재할 수 있도록 치차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구동베벨기어(10)는 지지대(7)에 핸들(12)로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됨과 아울러 중앙부를 중심으로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간격 조정축(13)에 삽입되어 있는 바디(14)에 회전 자재하도록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한 바디(14)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5)에 삽입 고정된 다수의 회전 베벨기어(16)와 치차 결합되는 베벨기어(17)가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스크류(18)가 플레이트(19)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한 플레이트(19)와 바디(14)는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플레이트(19)에는 셔터 플레이트(20)가 설치되어 있는 셔터 실린더(21)가 양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플레이트(19)의 일측은 가이드봉(22)으로 지지대(7)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한 플레이트(19)의 일측에는 스트립(S)이 인입되는 2개의 가이드 레일(23)이 스트립(S)의 폭과 대응되는 간격으로 대향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가이드 레일(23)에 도시되지 않은 프레스로 절단된 스트립(S)이 이송되면 제3도와 제4도를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23)의 내측 종단에 일치되도록 설치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모터(24)에 의해 회전되는 제1, 2피이딩 로울러(25, 26)가 회전되어 스트립(S)을 강제 이송시키는 바, 여기서 상기한 제1, 2피이딩 로울러(25, 26)의 사이에 설치된 아이들 로울러(27)가 스트립(S)이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압력으로 스트립(S)을 압착하여 스트립(S)을 슬립없이 스크류(18)로 정확하게 이송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한 아이들 로울러(27)는 로울러 실린더(28)에 의해 스트립(S) 삽입전에 상승되어 있고 스트립(S) 삽입 후 로울러 실린더(28)가 동작되어 아이들 로울러(27)를 하강시키게 됨으로써 스트립(S)을 압착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제1, 2피이딩 로울러(25, 26)의 동작과 동시에 모터(8)가 동작됨으로써 스프라인축(9)을 회전시키게 됨과 아울러 여기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베벨기어(10)와 이와 치차 결합된 종동베벨기어(11)를 회전시키고 상기한 종동베벨기어(11)가 고정되어 있고 브라켓(28')에 지지되어 있는 회전축(15)을 회전시키며 회전축(15)에 다수 설치된 회전 베벨기어(16)에 의해 상단에 이와 치차 결합되는 베벨기어(17)가 형성됨과 아울러 플레이트(19)에 고정 설치된 스크류(18)가 회전하게 되어 이송되는 스트립(S)을 스토퍼(29) 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스크류(18)는 하나의 스트립(S)에 대해 1회전하고 2열로 배열된 스크류(18)는 서로 반대방향 회전하게 되는 바, 스트립(S)과 스크류(18)의 마찰력과 제1, 2피이딩 로울러(25, 26)에 의한 스트립(S)의 관성력 그리고 스크류(18)의 회전력에 의해 스토퍼(29)까지 이송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스크류(18)의 배열은 동일 축선상에 있지만 이를 제5도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와 같이 d1만큼 이격된 2개의 축선상에 교번되도록 배열하면 스트립(S)과 스크류(18')의 접촉 마찰력이 감소됨으로써 스토퍼(29)에 충돌되는 충격을 보다 작게 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스크류(18)에 의해 적재되는 스트립(S)의 기종이 변경되며 증폭이 변경되면 지지대(7)에 부착된 핸들(12)을 회전시켜 중앙부를 중심으로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병렬 형성되어 있는 간격 조정축(13)을 회전시킴으로써 여기에 삽입되어 있는 바디(14)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조정이 완료된 간격 조정축(13)은 스톱보울트(30)로 고정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한 스크류(18)의 회전에 의해 스트립(S)이 스토퍼(29)에 도달되지 않고 다음 1회전에 의해 스크류(18)의 한 피치 하향되면 이때의 회전력에 의해 하향된 스트립(S)이 스토퍼(29)에 도달하게 됨으로써 스트립(S)의 정렬 위치를 일정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크류(18)에 삽입되는 스트립(S)의 삽입시 보다 원활한 삽입을 위해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S)의 삽입위치로 갈수록 대향된 스크류(18) 사이의 이격거리를 d2d3가 됨과 아울러 교번하여 d1만큼 중심축이 엇갈리도록 스크류(18)를 배열함으로써 스트립(S)의 삽입이 보다 원활하게 됨과 아울러 스토퍼(29)에 도달할 때 스트립(S)의 폭과 동일한 스크류 폭에 이해 일정 위치로 정렬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된 스트립(S)이 스크류(18)의 소정회전 후 낙하하게 되면 실린더(3)로 동작됨과 아울러 최초위치가 스크류(18)에서 낙하되는 스트립(S)이 낙하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파손되지 않을 정도인 높이로 상승되어 있는 리프터 플레이트(4)에 안착되고 계속되는 스크류(18)의 회전에 의해 소정량의 스트립(S)이 스크류(18)의 회전에 따라 소정거리 하강되는 리프터 플레이트(4)에 적재되면 이를 소정거리 간헐 이동되는 컨베이어(6)에 안착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리프터 플레이트(4)가 컨베이어(6)에 적재된 스트립(S)을 안착시킬 때 계속해서 연속 낙하되는 스트립(S)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리프터 플이트(4)의 양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스크류(18)의 하부 종단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된 셔터 실린더(21)가 동작되고 이에 따라 셔터 플레이트(20)가 내측으로 이동됨으로써 다음에 낙하되는 스트립(S)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셔터 플레이트(20)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스트립(S)은 적재된 스트립(S)을 컨베이어(6)에 안착시킨 후 상승되는 리프터 플레이트(4)에 안착되어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을 연속 수행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2열로 배열된 스크류에 스트립을 피이딩 로울러로 강제 이송시키고 상기한 스크류를 간헐 회전시켜 스토퍼측으로 이송시킴과 아울러 수직 승강되는 리프터 플레이트로 이를 적재하며 적재된 스트립을 간헐 이동되는 컨베이어에 순차 적재시켜 이를 작업자가 취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한 스크류와 스토퍼에 의해 스트립의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시킬 뿐만 아니라 스트립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프레임(1)과, 상기한 프레임(1) 상부 일측에 설치한 스트립 이송부(2)와, 상기한 스트립 이송부(2)에 의해 이송된 스트립(S)의 정지 위치를 한정하고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지지대(7)의 스트립(S) 이송 방향에 설치한 스토퍼(29)와, 상기한 스트립 이송부(2)로 스트립(S)을 이송하기 위해 저면에서 스트립(S)을 지지하도록 2열로 설치한 가이드 레일(23)과, 상기한 가이드 레일(23)의 내측에 가이드 레일(23)과 동일 높이로 설치하여 모터(24)로 회전되는 제1, 2피이딩 로울러(25, 26)와, 상기한 제1, 2피이딩 로울러(25, 26)의 사이에 설치되어 로울러 실린더(28)로 승강하는 아이들 로울러(27)와, 상기한 스트립 이송부(2)의 저면에 위치되고 프레임(1)에 고정된 리프터 실린더(3)로 승강하는 리프터 플레이트(4)와, 상기한 리프터 플레이트(4) 저면에 위치되어 스트립(S)의 안착되 동시에 모터(5)로 간헐 동작되는 컨베이어(6)와, 상기한 리프터 플레이트(4) 하강시 낙하되는 스트립(S)을 받기 위해 스트립 이송부(2) 양측에 설치한 셔터 실린더(21)로 왕복 운동하는 셔터 플레이트(2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스태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프레임(1)의 상부에 설치한 지지대(7)와, 상기한 지지대(7)의 외측에 고정한 모터(8)와, 상기한 모터(8)에 의해 회전되고 지지대(7)의 일측을 가로질러 회전 자재하도록 삽입되며 2개의 구동베벨기어(10)를 대향되도록 삽입한 스플라인축(9)과, 상기한 구동 베벨기어(10)와 치차 결합되는 종동베벨기어(11)를 일측에 삽입하고 다수의 회전 베벨기어(16)이 순차 배열되며 그 대향측을 바디(14)에 고정된 브라켓(28')으로 지지한 2개의 회전축(15)과, 상기한 회전 베벨 기어(16)와 치차 결합되는 베벨기어(17)를 상단에 형성한 다수의 스크류(18)와, 상기한 스크류(18)가 일정간격으로 순차 배열되도록 삽입 고정하고 일측을 지지대(7)에 삽입된 가이드봉(22)으로 고정한 플레이트(19)와, 상기한 플레이트(19)에 연결되고 지지대(7)를 가로질러 스플라인축(9)의 하부에 설치되며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측에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간격조정축(13)으로 지지하고 일측단이 상기한 구동베벨기어(10)와 종동베벨기어(11)를 내재한 바디(14)와, 상기한 간격 조정축(13)을 고정하기 위해 지지대(7)에 삽입되어 간격 조정축(13)을 압착하는 스톱 보울트(30)로 스트립 이송부(2)를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스태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크류(18)의 열 배치를 스트립(S)이 들어가는 부분의 폭(d3)보다 스트립(S) 이 리프터 플레이트(4)로 하강되는 부분의 폭(d2)을 더 좁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스태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스크류(18)의 배열을 중심축이 서로 교번되도록 d1만큼 이격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스태커.
KR1019920021056A 1992-11-10 1992-11-10 스트립 스태커 KR960010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056A KR960010143B1 (ko) 1992-11-10 1992-11-10 스트립 스태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1056A KR960010143B1 (ko) 1992-11-10 1992-11-10 스트립 스태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584A KR940012584A (ko) 1994-06-23
KR960010143B1 true KR960010143B1 (ko) 1996-07-26

Family

ID=1934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1056A KR960010143B1 (ko) 1992-11-10 1992-11-10 스트립 스태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1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880B1 (ko) * 1997-06-30 2005-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종설비간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2584A (ko) 199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7298B1 (ko) 판형상체 반송장치
CN211589542U (zh) 一种玻璃磨边装置
US200600457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acking and transporting plates
CN113213234A (zh) 一种瓦楞纸板自动化生产线输送纠偏系统
KR960010143B1 (ko) 스트립 스태커
CN212474888U (zh) 一种板材排布装置
JP3942961B2 (ja) 複連助走コンベア
KR970006727B1 (ko) 박판부재 수납장치
CN110668143A (zh) 一种异形玻璃瓶自动包装输送线
CN217192953U (zh) 一种剪板机下料用输送装置
CN220222595U (zh) 一种可调节的有序上料设备
US4981223A (en) Apparatus for feeding boards from the base of the stack
CN210763154U (zh) 一种链式刻蚀机的下料装置及链式刻蚀机
CN210972671U (zh) 横向物料传输装置
CN212502286U (zh) 一种可调多规格的输送设备
CN218735276U (zh) 一种自动上料装置
CN217866699U (zh) 基于加工包装盒专用运输设备
CN217436949U (zh) 便于中央空调安装的转运设备
CN220765733U (zh) 一种输送装置
JPH042485B2 (ko)
JP3604420B2 (ja) ケース分離装置
EP0217476A2 (en) Dosing apparatus
JPS62126004A (ja) バツフア装置
JPH0350094Y2 (ko)
KR920006573Y1 (ko) 연탄 상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630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