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086Y1 - 하수도관의 연결구 - Google Patents

하수도관의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086Y1
KR960010086Y1 KR2019930032004U KR930032004U KR960010086Y1 KR 960010086 Y1 KR960010086 Y1 KR 960010086Y1 KR 2019930032004 U KR2019930032004 U KR 2019930032004U KR 930032004 U KR930032004 U KR 930032004U KR 960010086 Y1 KR960010086 Y1 KR 960010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er pipe
ground plate
fastener
attachment
w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20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044U (ko
Inventor
변무원
Original Assignee
변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무원 filed Critical 변무원
Priority to KR20199300320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086Y1/ko
Publication of KR9500190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0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0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하수도관의 연결구
제1도는 종래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종래고안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 하수관 연결구의 저면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일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결착구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 하수도관 연결구로서 하수도관을 연결한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접지판부 111 : 합성수지시이트
112 : 발포수지층 113 : 연장걸침부
120, 130 : 일측 및 타측결착구 121, 131 : 부착날개
122, 132 : 돌출날개 123, 133 : 보강편
본 고안은 하수도관의 접속부위 외면을 연결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 특히 하수도관과 그 하수도관 외면을 감싸주는 접지판부 사이에 틈새가 형성됨을 방지하여 주어서 향상된 수밀성을 확보하여 주는 하수도관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하수도관을 지중에 매설함에 있어 하수도관의 접속부위는 누수로 인한 시공상의 하자 요인이 되었으며, 이러한 하수도관 접속부위의 수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여러형태의 하수도관 연결수단들이 개발되어 적극 활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하수도관 상호간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 중의 하나는, 유연성의 합성수지 시이트로 만들어지는 외면에 제결안내홈을 형성하여 와이어로 권회시켜 결속되도록 한 것이 알려진바 있다. 이러한 하수도관의 연결판은 합성수지 시이트로 만들어져 별도의 금형없이도 비교적 간편하게 제작할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하수도관의 연결판은, 현장에서 하수도관 배관작업시에 와이어의 결속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하수도관의 접속부위를 긴밀하게 연결하여 주지 못하여서 수밀성있는 연결을 기대할수 없는 결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1995년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개번호 제000789호에는 제1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무밴드(1) 양단에 밴드삽입홈(22)과 상부와 측부후렌지부(23)(24)가 형성된 체결구(2)를 착설하여서 된 하수도관 연결구가 선출원 공개된바 있다. 이러한 하수도관 연결구는, 접속되어 하수도관(7)의 외면이 탄력성의 고무밴드(1)로서 밀착되게 감싸지는 부분은 기밀성을 유지할수 있게 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하수도관 연결구에 있어서의 체결구(2)는 밴드삽입홈(22)를 이루는 하부판체가 하수도관(7)의 외면에 직접적으로 맞닿아지게 되므로써, 그 밴드삽입홈(22)의 판체와 맞닿아지는 하수도관(7)의 접속부위 외면은 밀착력을 상실하여 기밀성을 유지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제2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수도관(7)이 원통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그 하수도관(7)의 외주면이 소정의 곡률을 이루게 되는 것이 분명하나, 이때의 고무밴드(1)는 체결구(2)의 수평한 밴드삽입홈(22)내에 끼워지게 되어, 하수도관(7) 외면의 곡률에 대응하여 일치되지 못하여서, 그 체결구(2)로서 대향되어 결착된 고무밴드(1)의 양측단이 하수도관(7)의 외면과 이격되면서 틈새(A)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종래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체결구의 접합면 사이에 패킹이 끼워지도록 하여서 체결구 사이가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을 예기하고 있으나, 이는 하수도관 외면과 체결구 간의 기밀성이 상실되는 문제와, 하수도관 외면과 체결구 결합된 고무밴드의 양측단 사이의 틈새(A)가 발생되는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여 주기에는 역부족하였다. 그 결과 하수도관 내부의 유량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그 하수도관 내부를 따라 흐르던 하수가 하수도관과 체결구 사이와, 하수도관 외관과 체결구가 결합된 고무밴드의 양측단 사이의 틈새(A)을 통하여 새어나오게 되어 완전한 수밀성을 기대할 수 없는 결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본고안의 목적은 하수도관의 접속부위 외면과 접지판부 사이에 틈새가 발생됨이 없이 긴밀하게 연결할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하수도관 접속부위 수밀성을 향상시켜 하수도관 연결시공의 신뢰성을 제고하여 주는 하수도관 연결구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하수도관의 연결구(100)도, 그 재질이 유연하여 둘둘 말려질수 있는 직사각형의 유연성 합성수지시이트(111)의 내면에 일체로서 발포수지층(112)을 형성하여서 되는 접지판부(110)와, 상기 접지판부(110)일측의 외측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접지판부의 외면에 부착되는 부착날개(121)와 그 부착날개(121)와 일체로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돌출날개(122)를 가지는 일측결착구(120)와, 상기접지판부(110) 타측의 외측단부 근처에 폭방향으로 부착되는 부착날개(131)와 그 부착날개(131)와 일체로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돌출날개(132)를 가지는 타측결착구(130)로서 구성되는 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것과 기술적 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고안의 하수도관 연결구(100)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접지판부(110)의 타측단부는 상기 타측결착구(130)의 돌출날개(132)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장걸침부(113)로 형성하고, 상기 일측 및 타측결착구(120)(130) 각각의 부착날개(121)(131)들은 접속되는 하수도관(200) 외경의 곡률가 상응하는 곡률(R)로서 만곡지게 형성하여서, 상기 접지판부(110) 일측단이 내측이 상기 연장걸침부(113)의 외면에 걸쳐지는 상태로서 상기 일측 및 타측결착구(120)(130)가 상호간에 체결되면서, 하수도관의 곡률로서 만곡지는 부착날개(121)(131)들이 연결되는 하수도관(200)들의 외면에 접지판부(110)가 밀착되도록 하여서, 하수도관(200)들을 틈새없이 긴밀하게 연결시킴을 기술적으로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지판부(110)는 외피층을 이루는 합성수지시이트(111)내면 전체에 걸쳐서 일체로서 밀착력이 양호한 발포수지층(112)을 형성하여서 된다. 이러한 접지판부(110)의 타측단부는 상기 타측결착구(130)의 돌출날개(122)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장걸침부(113)로 형성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접지판부(110)일측의 외측단이 타측의 연장걸침부(113)에 걸쳐지는 형태로서 하수도관(200) 접속부위 외면을 밀실하게 감싸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일측 및 타측결착구(120)(130)들은 그 각각의 부착날개(121)(131)에 일정간격으로 뚫어지는 통공들을 관통하여 끼워지는 고정볼트(140)로서 접지판부(110) 양측단에 부착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일측 및 타측결착구(120)(130)들은 제5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그 각각의 부착날개(121)(131)들이 하수도관(200)경의 곡률(R)로서 만곡지게 형성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일측및 타측결착구(120)(130)들의 부착날개(121)(131)가 부착 고정되는 위치의 접지판부(110)의 양측단이 하수도관(200)의 외면의 곡률에 맞추어서 밀착되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고안의 실시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및 타측결착구(120)(130)들은 그 각각의 부착날개(121)(131)와 직각으로 절곡되는 돌출날개(122)(132) 후면에 폭방향의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수개의 보강편(123)(133)들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일측 및 타측결착구(120)(130)를 조임볼트(140)로서 체결되도록 할 때에, 각각의 돌출날개(122)(132)에 작용되는 휨응력을 보강편(123)(133)으로 보강하여 주도록 하여서, 그 돌출날개(122)(132)의 변형을 방지하여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하수도관 연결구(100)은 제6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수도관(200)접속부위 외면을 접지판부(110)로서 감싸지도록 한후에, 일측 및 타측결착구(120)(130)들을 조임볼트(150)로서 체결하여서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지판부(110)일측단의 내측이 접지판부(110)타측단이 연장걸침부(113)에 걸쳐지는 형태로서 하수도관(200)이 외면을 밀실하게 감싸주게 되는 것이며, 그와 동시에 상기 일측 및 타측결착구(120)(130) 각각의 부착날개(121)(131)들은 접속되는 하수도관(200) 외경의 고률과 상응하는 곡률(R)로서 만곡지게 형성하여서, 그 각각의 부착날개(121)(131)들의 부착 고정되는 접지판부(110) 양측이 하수도관(200) 외면의 곡률에 맞추어 밀착되게 감싸져서 연결될수 있도록 하므로써, 하수도관(200)과 그 하수도관(200)을 감싸주는 접지판부(110)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서, 하수도관(200)의 접속부위의 수밀성을 향상시켜주는 장점을 기대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고안은, 접지판부가 하수고관 접속부위 외면에 밀착되게 감싸지도록 배려하여 주는 동시에, 그 접지판부가 하수도관 외경에 맞추어서 틈새가 발생됨이 없이 연결될수 있도록 함으로써,
첫째, 하수도관 내부를 따라 흐르는 하수가 누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서 수밀성을 향상시켜 주며,
둘째, 하수관 내의 실사용상의 유량 증가되는 것과 관계없이 누수됨을 방지하여 주어 하수도관 연결시공상의 하자 요인을 배제하여 주는 작용 및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그재질이 유연하여 둘둘 말려질수 있는 직사각형의 유연성 합성수지시이트(111)의 의 내면에 일체로서 발포수지층(112)을 형성하여서 되는 접지판부(110)와, 상기 접지판부(110) 일측의 외측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접지판부의 외면에 부착되는 부착날개(121)와 그 부착날개(121)와 일체로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돌출날개(122)를 가지는 일측결착구(120)와, 상기 접지판부(110) 타측의 외측단부 근처에 폭방향으로 부착되는 부착날개(131)와 그 부착날개(131)와 일체로서 수직하게 세워지는 돌출날개(132)를 가지는 타측결착구(130)로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접지판부(110)의 타측단부는 상기 타측결착구(130)의 돌출날개(132)에서 외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는 연장걸침부(113)로 형성하고 상기 일측 및 타측결착구(120)(130)각각의 부착날개(121)(131)들은 접속되는 하수도관(200)외경의 곡률(R)로서 만곡지게 형성하여서, 상기 접지판부(110)일측단이 내측이 상기 연장결침부(113)의 외면에 걸쳐지는 상태로서 상기 일측 및 타측결착구(120)(130)가 상호간에 체결되면서 하수도관의 곡률로서 만곡지는 부착날개(121)(131)들이 연결되는 하수도관(200)들의 외면에 접지판부(110)가 밀착되도록 하여서, 하수도관(200)들을 틈새없이 긴밀하게 연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및 타측결착구(120)(130)들은 그 각각의 부착날개(121)(131)와 작각으로 돌출날개(122)(132) 후면에 폭방향의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수개의 보강편(123)(133)들을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도관 연결구.
KR2019930032004U 1993-12-31 1993-12-31 하수도관의 연결구 KR960010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2004U KR960010086Y1 (ko) 1993-12-31 1993-12-31 하수도관의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2004U KR960010086Y1 (ko) 1993-12-31 1993-12-31 하수도관의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044U KR950019044U (ko) 1995-07-24
KR960010086Y1 true KR960010086Y1 (ko) 1996-11-22

Family

ID=19374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2004U KR960010086Y1 (ko) 1993-12-31 1993-12-31 하수도관의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0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044U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0086Y1 (ko) 하수도관의 연결구
JP3939997B2 (ja) 波形管の接続構造
KR200386472Y1 (ko) 합성수지관의 분기 소켓
KR960009792Y1 (ko) 하수도관 연결구
JP3787033B2 (ja) 可とう性継ぎ手構造及び可とう継ぎ手と防水下地材との組合せ
CN206036473U (zh) 一种哈夫式管卡
JPS594234Y2 (ja) 上下水道管等の継手部の止水具
CN213329471U (zh) 波纹钢连接机构
JP2789106B2 (ja) 杭等の防蝕装置および防蝕装置の取り付け方法
JPS6215327Y2 (ko)
JP3666919B2 (ja) 伸縮止水継手
JP2808183B2 (ja) シールドセグメントおよびその連結構造
JPH04153407A (ja) 補強用チェーンマットを有する伸縮止水継手
CN215857226U (zh) 一种斜拉索全密封防水结构
JP3852178B2 (ja) 防食被覆コンクリート構造部材の目地部構造
JPS6329039Y2 (ko)
KR100542482B1 (ko) 하수도관 연결구
JP2017002486A (ja) グラウトシールカバーおよびこれを用いたグラウトの注入方法
JP4087921B2 (ja) 軟質管用サドル分水栓
KR0117471Y1 (ko) 하수도관 연결구
KR950005532Y1 (ko) 흄관 연결구
JP3852179B2 (ja) 防食被覆コンクリート構造部材の目地部構造
KR100486151B1 (ko) 폴리에틸렌을 이용한 나선형 호스
JPS6317845Y2 (ko)
JPS5930022Y2 (ja) 構造物間のシ−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