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996Y1 - 자동차용 까울의 취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까울의 취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996Y1
KR960009996Y1 KR2019940008869U KR19940008869U KR960009996Y1 KR 960009996 Y1 KR960009996 Y1 KR 960009996Y1 KR 2019940008869 U KR2019940008869 U KR 2019940008869U KR 19940008869 U KR19940008869 U KR 19940008869U KR 960009996 Y1 KR960009996 Y1 KR 9600099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clip
mounting hole
mounting structure
dash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8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237U (ko
Inventor
안상준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08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996Y1/ko
Publication of KR9500302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2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9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9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4Dashboards as superstructur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까울의 취부구조
제1도는 종래 까울의 취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까울 취부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까울 12 : 돌부
13 : 장착공 14 : 스폰지
15 : 클립 15a : 걸림굴곡부
15b : 탄성협지부 16 : 대쉬패널
17 : 끼움돌부 17a : 걸림홈
본 고안은 자동차용 까울에 관한 것으로 특히 까울을 대쉬(dash)패널에 클립으로 취부시켜 작업시 나사와 너트를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써 취부구조를 단순화시켜 작업시간을 줄여주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자동차용 까울(cawol)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용 까울의 취부구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까울(a)의 하부에 체결부(b)를 돌설하고, 상기 체결부(b)의 삽입공(c)을 통해 나사(e)가 끼워지는 나사공(d)을 형성하며, 사이드패널(f)에는 너트(g)를 삽입설치하여, 나사공(d)을 통해 끼워진 나사(e)를 상기 너트(g)에 체결함으로써 까울(a)이 차유리(f)에 들뜨지 않게 취부되도록 한후 삽입공(c)을 가려주기 위해 캡(h)을 삽입공(c)에 끼웠다.
그러나 이렇게 된 종래의 까울 취부구조에 있어서는 까울(a)의 취부를 위하여 나사(e)와 너트(g)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에 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각 구성품간의 작업공차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취부구조가 견고하지 못하게 될 뿐만아니라 대쉬패널(a)에 너트(g)를 끼우고 까울(a)의 나사공(d)에는 나사(e)를 끼워 나사(e)를 너트(g)에 체결한 후 삽입공(c)을 캡(h)으로 막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취부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삽입공(c)을 캡(h)으로 막아주어도 삽입공(c)자리는 외관상 보이기 때문에 디자인상 거친 느낌을 주게 되고 삽입공(c)에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나사(e)가 부식되어 분해작업시 곤란을 겪게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까울의 하부에 장착공을 갖는 돌부를 형성하고, 대쉬패널에는 상기 장착공에 대응하는 끼움돌부를 돌설하여 상기 장착공에 클립을 설치한 후 끼움돌부가 클립에 끼워지도록 까울을 대쉬패널에 취부시킴으로서 취부수단으로 별도의 나사나 너트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게 하여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공에 끼움돌부를 압입되게 끼워 넣는 것만으로 취부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하여 취부작업시간을 줄여줄 수 있게 하고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착공이 외부로 보이지 않게 하여 별도의 캡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함으로서 작업성 향상은 물론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을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 제2도 내지 제4도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까울(10)의 하부에 스폰지(14)가 넣어진 장착공(13)을 갖는 돌부(12)을 돌설하고, 대쉬패널(16)에는 상기 장착공(13)에 대응하는 끼움돌부(17)를 걸림홈(17a)를 갖도록 돌설하며, 양측에 걸림굴곡부(15a)가 형성된 클립(15)을 상기 장착공(13)에 삽입하고, 상기 끼움돌부(17)를 클립(15)에 압입하여 까울(10)이 대쉬패널(16)에 취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고안의 까울(10) 하부에 돌설되는 돌부(12)의 수는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대개 5개 이상 돌설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돌부(12)에 형성된 장착공(13)은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관상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까울(10)의 하부로 돌설된 장착공(13)에는 스폰지(14)가 삽입되어 있고 입구에는 걸림굴곡부(15a)를 갖는 탄성클립(15)이 끼워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대쉬패널(16)의 끼움돌부(17)가 장착공(13)에 끼워진 클립(15)에 일치하도록 까울(10)을 놓고 상기 끼움돌부(17)가 클립(15)에 끼워지게 눌러주면 까울(10)이 대쉬패널(16)에 취부되는데, 끼움돌부(17)가 클립(15)에 압입될때 끼움돌부(17)를 눌러주는 힘에 의해 클립(15)의 걸림굴곡부(15a)는 외향으로 눌려졌다가 끼움돌부(17)의 걸림홈(17a) 위치에서 자체 복원력에 의해 원래상태로 돌출되어 걸림굴곡부(15a)가 걸림홈(17a)에 걸리는 상태로 결합되고, 클립(15)은 장착공(13)입구의 돌부(12)를 탄성 협지부(15b)가 자체 복원력에 의해 물고 있기 때문에 까울(10)이 대쉬패널(16)에 견고히 취부되게 되는 것이다. 즉 클럽(15)이 종래의 나사와 너트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대쉬패널(16)에 취부된 까울(10)은 외관상 장착부위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자동차의 외관 디자인이 미려하게 형성되게 된다. 또한 별도의 캡을 사용하여 장착부위를 가려줄 필요가 없고 취부수단으로서 나사와 너트가 필요없기 때문에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장착공(13)의 클립(15)에 대쉬패널(16)의 끼움돌부(17)를 압입하는 간단한 공정으로 취부작업을 완료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줄여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장착공(13)에 압입된 스폰지(14)는 차체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완화시켜주는 역활을 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까울(10)의 하부에 장착공(13)을 갖는 돌부(12)를 형성하고, 대쉬패널(16)에는 상기 장착공(13)에 대응하는 끼움돌부(17)를 돌설하여 상기 장착공(13)에 클립(15)을 설치한 후 끼움돌부(17)가 클립(15)에 끼워지도록 까울(10)을 대쉬패널(16)에 취부시킴으로서 장착부위가 외관상 보이지 않게 하여 미려한 자동차 외관 디자인을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취부구조를 단순화시켜 작업시간을 줄여줌으로서 작업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1)

  1. 까울(10)의 하부에 스폰지(14)가 넣어진 장착공(13)을 갖는 돌부(12)를 돌설하고, 대쉬패널(16)에는 상기 장착공(13)에 대응하는 끼움돌부(17)를 걸림홈(17a)를 갖도록 돌설하며, 양측에 걸림굴곡부(15a)가 형성된 클립(15)을 상기 장착공(13)에 삽입하고, 상기 끼움돌부(17)를 클립(15)에 압입하여 까울(10)이 대쉬패널(16)에 취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까울의 취부구조.
KR2019940008869U 1994-04-26 1994-04-26 자동차용 까울의 취부구조 KR9600099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8869U KR960009996Y1 (ko) 1994-04-26 1994-04-26 자동차용 까울의 취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8869U KR960009996Y1 (ko) 1994-04-26 1994-04-26 자동차용 까울의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237U KR950030237U (ko) 1995-11-20
KR960009996Y1 true KR960009996Y1 (ko) 1996-11-19

Family

ID=1938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8869U KR960009996Y1 (ko) 1994-04-26 1994-04-26 자동차용 까울의 취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99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241B1 (ko) * 1999-12-30 2001-12-24 이계안 자동차의 카울 탑 커버 상단 지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237U (ko) 199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9996Y1 (ko) 자동차용 까울의 취부구조
JPH0665093U (ja) 自動車用ルームランプ装置
KR0129367Y1 (ko) 자동차의 윈도우 글라스 체결구조
KR200155016Y1 (ko) 차량용 트림 체결 볼트 커버
KR200149574Y1 (ko) 자동차의 쿼터가니시 장착구조
KR0120096Y1 (ko) 메인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JPH0811529A (ja) モールデイングの接続構造
JPH0642917Y2 (ja) 車両用ドアフレームモールの取付構造
KR970000617Y1 (ko) 차량의 카울그릴조립용 보호재
KR970000619Y1 (ko) 카울그릴부재의 취부구조
KR0133204Y1 (ko) 자동차용 사이드 언더 미러 설치 구조
KR0114630Y1 (ko) 자동차의 프론트판넬 취부구조
KR19980035234U (ko) 탄성 체결돌기를 갖는 자동차의 후드 시일 스트립구조
KR960006443Y1 (ko) 자동차용 사이드 몰딩재의 취부구조
KR100343571B1 (ko) 자동차의 도어 트림 고정구조
KR0140279B1 (ko) 자동차용 조향기 컬럼 브라인더 장치
JPH06293280A (ja) フェンダパネルの取付構造
KR100488975B1 (ko) 자동차의 카울 크로스바 장착구조
KR970043686A (ko) 자동차 도어의 인사이드 핸들 하우징 설치구조
KR200152179Y1 (ko) 차량용 카울의 겸용 클립구조
KR0123493Y1 (ko) 자동차의 천장 패널 취부구조
KR200199615Y1 (ko) 차량의도어인너핸들
KR100384855B1 (ko) 자동차의 카울 그릴 취부구조
KR19980020462A (ko) 차량의 라이센스램프의 취부구조
KR200198934Y1 (ko) 자동차용 카울 상부 커버 조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