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984Y1 - 자동차의 급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급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984Y1
KR960009984Y1 KR2019950000577U KR19950000577U KR960009984Y1 KR 960009984 Y1 KR960009984 Y1 KR 960009984Y1 KR 2019950000577 U KR2019950000577 U KR 2019950000577U KR 19950000577 U KR19950000577 U KR 19950000577U KR 960009984 Y1 KR960009984 Y1 KR 960009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clutch
proximity switch
detection unit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05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009U (ko
Inventor
이향제
Original Assignee
이향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향제 filed Critical 이향제
Priority to KR20199500005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984Y1/ko
Publication of KR9600270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0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9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20/00Monitoring, detecting driver behaviour; Signalling thereof;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20/04Pedal travel sensor, stroke sensor; Sensing brake requ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6Adaptations on rotatable parts of the steering wheel for accommodation of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급제동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기능 블럭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전원 공급방식을 나타낸 개략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클러치를 나타낸 측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브레이크를 나타낸 측면도.
제7도는 조향핸들에 근접센서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8도는 페달에 근접센서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
제9도는 청각용 센서를 설치한 상태를 보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검출부 11 : 근접 스위치
12 : 조향핸들 13,14,15 : 주행조작페달
16 : 천정 17 : 청각용센서
18 : 제동 스위치 20 : 레칭 릴레이
21,21' : 솔레노이드 밸브 22 : 래칭 스위치
23 : 자가 발전기 24 : 앞바퀴 축
25 : 피니언 기어 26 : 코일
27 : 복귀버튼 31 : 클러치
32 : 브레이크 33,33' : 실린더
34 : 압축공기 공급원 35,35' : 피스톤로드
36,36' : 절곡부 37,37' : 돌기대
38,38' : 장공 39,39' : 마스터 실린더
40,40' : 힌지핀 50 : 경음기 스위치
51 : 기동스위치 52 : 데쉬보드
본 고안은 자동차의 급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주행중 위급 상황 발생시 운전자가 취하는 본능적인 행동양식을 인식하여 자동차의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자동으로 조작하므로서 대형사고나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급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브레이크는 주행중의 자동차를 감속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서 사용되는 중요한 장치이며, 일반적으로 마찰력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그것을 공기 중으로 방산함으로써 제동작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운전자의 오른발을 이용하여 밟아주는 브레이크 페달과 그 힘을 받아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본체로 이루어져 있다.
클러치는 엔진의 동격을 구동바퀴에 대하여 임의로 단속하는 것으로서, 운전자의 왼발로 클러치 페달을 밟으면 릴리즈 베이링이 릴리즈 레버의 선단을 누르므로 레버의 지렛대 작용에 의해 압력판이 클러치 디스크로부터 뒤로 물러나 플라이 휠, 클러치 디스크 및 압력판의 각 마찰면에 틈새가 생기게 되므로 동력이 클러치 축에 전달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자동차의 정상적인 제동방법은 브레이크 페달과 클러치 페달을 운전자의 양발을 이용하여 천천히 누르면, 브레이크에 의해 감속되면서 동시에 클러치에 의해 동력이 단속되어 엔진은 공회전 되며 최종적으로 자동차는 멈추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자동차의 제동방법은 차량전방으로 보행자가 뛰어드는 등의 위급상황 발생시 운전자가 순간적으로 당황하여 브레이크 페달과 클러치 페달을 신속정확하게 밟아 주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운전자가 당황한 상태에서 브레이크 페달 옆에 있는 가속기 페달을 잘못 밟거나 조향 핸들을 무리하게 꺾어 인도로 보행중인 행인을 다치게 하는 등 오히려 대형사고를 초래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위급상황 발생시 운전자가 순간적으로 당황한 상태에서 본능적으로 취할 수 있는 행동방식, 즉 핸들에서 양손을 놓거나 비명소리를 지르거나 페달에서 발을 모두 떼는 등의 행동을 감지하여 운전자 대신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므로서 대형사고나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자동차의 급제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운전자의 위급상황시 취할 수 있는 본능적인 행동 방식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각각 병렬로 연결시킨 검출부와 압축공기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한 제어부와 클러치와 브레이크를 실린더로 작동시키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전류를 끊어도 점검의 상태가 유지되는 레칭릴레이에 의해 자가 발전기로부터 작동전원을 공급받도록 설치된다.
레칭릴레이는 앞바퀴축이 회전하면 레칭릴레이의 코일에 통전되어 레칭 스위치를 a접점으로 유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가 작동대기상태로 전환되도록 이루어진다.
실린더는 클러치와 브레이크의 후부에 각각 설치되며, 피스톤 로드의 전단부와 클러치나 브레이크 페달의 돌기대와 장공에 의해 결합된다.
검출부의 센서로는 검출전극에 검출체가 접근하면 검출전극과 검출체 표면에 분극이 발생하여 정전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운전자가 위급상황시 조향핸들에서 양손을 떼면 근접스위치가 작동하도록 이루어 진다.
또 다른 검출부의 센서로는 상기 근접스위치를 3개의 조작페달(클러치, 가속기, 브레이크)의 표면에 설치하여, 3개의 페달 중 어느 하나라도 운전자의 발이 올라가 있지 않으면 근접 스위치가 작동하도록 된다.
또 다른 검출부의 센서로는 음성의 데시벨을 감지할 수 있는 청각용 센서를 운전석 상부에 설치하여 비명소리와 같이 높은 데시벨의 음성이 감지 될 때 청각용 센서가 작동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응급상황시 운전자의 대응 능력과 무관하게 다양한 방법으로 자동차의 급제동을 이룰 수 있으므로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운전자의 특정된 행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m1. m2. m3) 검출부(10)와, 압축공기 공급원(34)과 실린더(33,33')사이에 설치되어 실린더(33,33')를 제어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21,21')와, 자가 발전기(2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앞바퀴축(24)의 회전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21,21')를 작동대기 상태로 위치시키는 레칭릴레이(20)와 실린더(33,33')가 클러치(31)와 브레이크(32) 후부에 각각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35,35')의 장공(38,38')이 돌기대(27,27')와 결합되고 실린더(33,33')의 끝단부는 힌지핀(40,40')으로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예시도면 제1도는 본 고안의 기능에 따른 블럭도로서, 검출부(10)의 각 센서(m1. m2. m3)중 하나만 작동되어도 2개의 솔레노이드 밸브(21,21')가 레칭릴레이(20)의 전원공급에 의해 작동되며, 솔레노이드 밸브(21,21')는 압축공기공급원(34)과 실린더(33,33')사이에 설치하여 실린더(33,33')의 밀고 당겨주는 것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실린더(33,33')의 작동에 의해 클러치(31)와 브레이크(32)를 작동시켜 급제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예시도면 제2도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공급방식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바퀴축(24)에 설치된 피니언기어(25)의 회전으로 레칭 릴레이(20)의 코일(26)에 전류가 흘러 레칭스위치(22)를 a접점으로 유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21,21')가 동작대기 상태가 되도록 전원을 연결 시키도록 된다.
또한, 레칭스위치(22)의 a접점으로 수동으로 옮겨 줄 수 있는 복귀 버튼(27)이 설치된다.
예시도면 제3도 및 제5도는 클러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클러치(31) 후부에 실린더(33)가 설치되며, 피스톤 로드(35)의 전단부는 장공(38)이 형성되어 클러치(31)의 절곡부(36)의 측면으로 돌출된 돌기대(37)와 결합되어 있다.
실린더(33)는 끝단부가 힌지핀(40)으로 힌지결합되어 운전자가 발을 이용하여 클러치(31)를 밟으면 실린더(33) 몸통과 장공(38)내에서 돌기대(37)가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피스톤 로드(35)는 솔레노이드 밸브(21)의 제어로 당겨지게 되며, 피스톤 로드(35)의 장공(38)과 연결된 돌기대(37)를 당겨주게 되어 클러치(31)가 단속된다.
예시도면 제4도 및 6도는 브레이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실린더(33')가 브레이크(32)를 작동시키는 방법은 클러치(31)를 작동시키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연결구성과 방법도 동일하다.
예시도면 제7도는 검출부의 센서중 조향핸들에 근접 센서를 설치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조향핸들(12)의 원주 둘레 내부에 근접 스위치(11)를 매립시켜 운전자가 위급 상황시 조향핸들(12)에서 양손을 떼면 근접 스위치(11)가 작동된다.
또한, 제동스위치(19)가 솔레노이드 밸브(21,21')를 직접 작동시킬 수 있도록 별도로 설치된다.
예시도면 제8도는 검출부의 센서 중 주행조작페달(13,14,15)에 근접 스위치(11)를 설치한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주행조작페달(13,14,15)의 표면에 근접 스위치(11)를 부착하여 운전자가 양발을 모두 주행조작페달(13,14,15)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근접 스위치(11)가 작동된다.
예시도면 제9도는 검출부의 센서 중 운전석 천정(16)에 청각용 센서(17)를 다수개 설치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비명소리와 같이 높은 데시벨의 음성이 감지되면 청각용 센서(17)는 작동된다.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기관이 기동되면 발전기가 기동되면서 충전지의 전원공급은 끊어지게 되고 발전기에서 본 고안의 급제동장치를 포함한 자동차의 모든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방식은 공지된 바와 같으며, 솔레노이드 밸브는 레칭릴레이에 의해 자동차의 앞바퀴축이 회전되지 않으면 코일이 통전되지 않아 b접점 즉, 단락상태로 존재하며, 앞바퀴축이 회전되기 시작하면서 코일에 전류가 흘러 레칭 스위치를 a접점으로 유도하여 솔레노이드 밸브를 동작대기 상태로 만든다.
자동차 주행중 위급상황 발생시 운전자가 순간적으로 당황하여 조향 핸들에서 손을 떼거나, 주행조작페달로부터 발을 떼거나, 비명소리를 지르는 등의 위급상황시 위하는 본능적인 행위가 검출부에 감지되어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여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를 당기게 되므로 브레이크와 클러치가 스스로 작동되어 자동차의 급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자동차가 완전히 정지하고 난 후 복귀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제동을 걸고 있는 브레이크와 클러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실린더가 전진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위급 상황시 자동차의 급제동을 신속하게 할 수 있어 대형사고와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운전자의 특정된 행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m1. m2. m3)검출부(10)와, 압축공기 공급원(34)과 실린더(33,33')사이에 설치되어 실린더(33,33')를 제어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21,21')와, 자가 발전기(2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앞바퀴축(24)의 회전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21,21')를 작동대기 상태로 위치시키는 레칭릴레이(20)와 실린더(33,33')가 클러치(31)와 브레이크(32) 후부에 각각 설치되어 피스톤 로드(35,35')의 장공(38,38')이 돌기대(37,37')와 결합되고 실린더(33,33')의 끝단부는 힌지핀(40,40')으로 힌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제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10)는 조향핸들의 원주 둘레 내부에 근접 스위치(11)가 매립되어 운전자가 조향핸들(12)에서 양손을 떼면 근접 스위치(11)가 작동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제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10)는 주행조작페달(13,14,15)의 표면에 근접 스위치(11)가 부착되어 운전자의 양발이 모두 주행조작페달(13,14,15)로부터 떨어지게 되면 근접 스위치(11)가 작동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제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10)는 운전석 천정(16)에 청각용 센서(17)가 다수개 설치되어 높은 데시벨의 음성이 감지되면 청각용 센서(17)가 작동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급제동 장치.
KR2019950000577U 1995-01-16 1995-01-16 자동차의 급제동 장치 KR960009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577U KR960009984Y1 (ko) 1995-01-16 1995-01-16 자동차의 급제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0577U KR960009984Y1 (ko) 1995-01-16 1995-01-16 자동차의 급제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009U KR960027009U (ko) 1996-08-17
KR960009984Y1 true KR960009984Y1 (ko) 1996-11-19

Family

ID=1940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0577U KR960009984Y1 (ko) 1995-01-16 1995-01-16 자동차의 급제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9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009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09687B1 (en) Vehicle brake systems
JPH0254257B2 (ko)
US6296327B1 (en) Braking device
US5257673A (en) Braking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driven by an electric motor
KR960009984Y1 (ko) 자동차의 급제동 장치
KR101261167B1 (ko) 비상 제동 방법
JPH01175554A (ja) 自動車の制御装置
EP2660114B1 (en) Tractor park brake force sensing system
JP2664829B2 (ja) 自動車用自動先行制動装置
EP0224454A2 (en) An electromechanical device for manual control of a clutch in a motor vehicle
KR200429582Y1 (ko) 차량 브레이크 자동 잠금 및 해제 장치
JP3293419B2 (ja) ロックブレーキ装置
KR0118016B1 (ko) 브레이크의 제동력 유지장치
JP3204016B2 (ja) 駐車ブレーキ安全装置
JPS5996043A (ja) ブレ−キ装置
JP2584639Y2 (ja) ブレーキ液圧保持装置
JPS641160U (ko)
KR200211064Y1 (ko) 자동차의제동장치
KR0184824B1 (ko) 푸트브레이크 오작동시의 안전장치
KR20040033804A (ko) 차량의 안전제동장치
KR200143286Y1 (ko) 자동차의 주브레이크를 이용한 주차브레이크 장치
KR100405526B1 (ko)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
JPH08198080A (ja) 駐車ブレーキ安全装置
GB2334078A (en) Vehicle brake systems
GB2251277A (en) Vehicle brake maintai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